KR0139837Y1 -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837Y1
KR0139837Y1 KR2019950030945U KR19950030945U KR0139837Y1 KR 0139837 Y1 KR0139837 Y1 KR 0139837Y1 KR 2019950030945 U KR2019950030945 U KR 2019950030945U KR 19950030945 U KR19950030945 U KR 19950030945U KR 0139837 Y1 KR0139837 Y1 KR 0139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pstan motor
hole
main ba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430U (ko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30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837Y1/ko
Publication of KR970019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캡스턴모터에 후크를 일체로 형성하여 메인베이스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브이씨알의 메인베이스(50)에 취부되는 캡스턴모터(10)의 축받이부(30)저면에 소정간격으로 상향 돌출형성된 다수의 후크(40)와, 상기 후크(40)가 결합되도록 메인베이스(50)에 형성된 후크결합공(70)이 구비되며, 후크결합공(70)은 상기 후크(40)가 삽입되는 입구공(71)과 상기 후크(40)가 회전되어 고정되는 고정공(72)으로 구성되어 'ㄱ'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부품 수가 감소되어 생산성 향상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의 캡스턴모터가 메인베이스에 나사로 취부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모터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캡스턴모터가 취부되는 메인베이스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모터의 사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모터가 보조고정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후크 41 : 돌기부
71 : 입구공 72 : 고정공
본 고안은 브이씨알의 캡스턴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스턴모터에 후크를 일체로 형성하여 메인베이스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스턴모터는 테이프를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메인베이스에 고정되어 아이들러기어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으며, 캡스턴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공급릴테이블 또는 감이릴테이블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스턴모터(3)는 축받이부(c)의 저면 둘레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 내측의 축받이부(c)일부를 각지게 형성하며, 상기 축받이부(c)가 삽입되는 메인베이스(d)에 일부가 직선인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에 상기 축받이부(c)를 삽입시켜 상기 캡스턴모터(3)의 축받이부(c)가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시킨 후 상기 삽입공 둘레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b)를 체결시켜 고정시켰었다. 미설명부호 e는 회전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종래의 캡스턴모터(a)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나사(b)로 고정시킴으로써, 캡스턴모터(a)의 조립 및 분해시 작업공수가 증가됨은 물론 조립과 분해시 나사(b)의 머리부분이 쉽게 소성변형되어 나사를 잘라서 제거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메인베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부품 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고안의 캡스턴모터의 축받이 부에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가 결합되도록 메인베이스에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의 입구부에 상기 후크를 삽입시킨 후 고정하는 보조고정수단으로 된 캡스턴모터 취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캡스턴모터(10)는 저면에 형성된 풀리와, 상기 풀리에 결합된 축(20)과, 상기 축(20)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지지하는 축받이부(30)와, 상기 축받이부(30)의 저면에 고정된 피씨비(9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축받이부(30)의 저면 둘레에는 후크(40)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40)는 돌기부(41)와, 상기 돌기부(41)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지지부(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41)의 결합면 양측은 상기 후크(40)의 회전이동이 용이하도록 라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42)가 회전이동이 용이하도록 만곡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베이스(50)에는 상기 캡스턴모터(10)의 축받이부(30)가 삽입되는 삽입공(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60)의 둘레에 후크결합공(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결합공(70)의 형상은 'ㄱ'형으로 되어 후크(40)가 삽입되는 입구공(71)과, 상기 후크(40)가 고정되는 고정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공(72)은 상기 후크(40)가 회전결합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제5도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베이스(50)에 형성된 후크 결합공(70)의 고정공(72)에 고정된 후크(40)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후크결합공(70)의 입구공(71)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보조고정수단(8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캡스턴모터(10)는 축받이부(30)에 피씨비(90)를 고정시키고, 상기 축받이부(30)의 베어링에 풀리가 결합된 축(20)을 끼워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풀리와 피씨비(90)가 고정된 축받이부(30)를 메인베이스(50)의 삽입공(60)에 결합시키면, 상기 삽입공(60)둘레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72)으로 후크(40)가 삽입된다. 즉 상기 고정공(72)의 입구공(71)에 후크(40)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축받이부(3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풀리와 피씨비(90)을 잡아서 회전시키면, 후크(40)의 양측면에 형성된 라운드부가 메인베이스(50)의 상면을 타고 올라가서 상기 후크(40)의 지지부(42)가 고정공(72)에 안내되고, 상기 후크(40)의 결합면이 상기 메인베이스(50)의 상면에 접촉된다. 즉 축받이부(30)에 형성된 후크(40)가 메인베이스(50)에 탄성결합되므로 캡스턴모터(10)가 상기 메인베이스(50)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후크(40)가 후크결합공(72)의 고정공(72)에 결합되어 있을 때, 입구공(71)은 공간부로 존재하므로 보조고정수단(80)을 상기 입구공(71)에 끼움결합시키면, 상기 후크(40)가 회전될 공간이 없게 되므로 상기 후크(4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캡스턴모터(10)를 분해시킬 때는, 먼저 보조고정수단(80)을 고정공(72)의 입구공(71)으로부터 빼낸 다음, 상기 캡스턴모터(10)를 결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후크(40)를 고정공(72)으로부터 입구공(71)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후크(40)를 하부로 당기면 상기 캡스턴모터(10)가 메인베이스(5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조립 및 분해되는 본 고안의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는 캡스턴모터(10)의 축받이부(30)에 후크(4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부품 수가 감소되어 생산성 향상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브이씨알의 메인베이스(50)에 취부되는 캡스턴모터(10)의 축받이부(30) 저면에 소정간격으로 상향 돌출형성된 다수의 후크(40)와, 상기 후크(40)가 결합되도록 메인베이스(50)에 형성된 후크결합공(70)이 구비된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공(70)은 상기 후크(40)가 삽입되는 입구공(71)과 상기 후크(40)가 회전되어 고정되는 고정공(72)이 'ㄱ'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공(70)의 고정공(72)에 고정된 후크(40)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후크결합공(70)의 입구공(71)에 보조고정수단(8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KR2019950030945U 1995-10-30 1995-10-30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KR0139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945U KR0139837Y1 (ko) 1995-10-30 1995-10-30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945U KR0139837Y1 (ko) 1995-10-30 1995-10-30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430U KR970019430U (ko) 1997-05-26
KR0139837Y1 true KR0139837Y1 (ko) 1999-04-15

Family

ID=1942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945U KR0139837Y1 (ko) 1995-10-30 1995-10-30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8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430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1185Y1 (ko) 모터의 고정장치
US5722814A (en) Fan blade mounting device having a decorative member provided thereon
WO2005116490A1 (en) One-piece drive pulley and belt guide
KR940002173B1 (ko) 공업용 로보트
KR0139837Y1 (ko) 캡스턴모터의 취부구조
JP3637772B2 (ja) ネジ締め用ガイドプレート
JPH0342105B2 (ko)
JP3813191B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飾り部品の取付構造
CN219054092U (zh) 一种电机外壳组装夹具
KR100494172B1 (ko) 회로기판 위치 가이드 장치
KR900701482A (ko) 산업용 로봇의 축지지체 구조
KR200158950Y1 (ko) 세탁기의 펌프하우징 고정구조
KR200165712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200167898Y1 (ko) 컴퓨터드라이브고정장치
JPH07298544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S6478477A (en) Magnetic disk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y of actuator mechanism
JP2579070Y2 (ja) 噴流式自動半田付け装置の半田槽
JPH0320869Y2 (ko)
JPS5814672Y2 (ja) タイマのモ−タ取付機構
JPS6040991Y2 (ja) 回転ヘツドドラムの取付装置
KR900008849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d.a.t)드럼 모터
KR960005146Y1 (ko) 수직다관절 로보트의 케이블처리장치
KR900005021Y1 (ko) 브래킷 일체형 드럼 모터
JPS6232379Y2 (ko)
KR880000774Y1 (ko) 음향기기 튜닝장치의 와이어 로울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