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85Y1 -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 Google Patents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85Y1
KR0139285Y1 KR2019950013576U KR19950013576U KR0139285Y1 KR 0139285 Y1 KR0139285 Y1 KR 0139285Y1 KR 2019950013576 U KR2019950013576 U KR 2019950013576U KR 19950013576 U KR19950013576 U KR 19950013576U KR 0139285 Y1 KR0139285 Y1 KR 0139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ntainer
washing machine
fixing pin
automatic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884U (ko
Inventor
신동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3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285Y1/ko
Publication of KR970001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제용해통의 취출을 용이하게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에 관한 것으로써, 세제용해통(1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봉(23)과, 상기 세제용해통(1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33)과, 상기 고정핀(33)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부재(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제1도는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종단면도.
제2a도는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이 배설된 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화살표 A-A를 따른 일부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이 배설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 타실시예를 따른 세제용해통이 배설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외조
9 : 톱카버부재 11 : 케이스부재
11a : 걸림턱 13 : 세제용해통
13a : 손잡이 13b : 돌기부
13c : 후벽부 25 : 제1탄성부재
27 : 누름부재 29 : 힌지고정대
33 : 고정핀 33a : 삽입부
33b : 걸림부 33c : 고정턱
본 고안은 세제통의 취출을 용이하게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동세탁기는 제1도 내지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본체(1) 내부에는 세탁수를 저류하는 외조(3)와, 상기 외조(3)내부에 배설되어 탈수를 행하는 세탁겸탈수조(5)와, 본체(1) 상부 일측에 배설되어 급수관(7)이 삽입되는 톱카버부재(9)와, 상기 톱카버부재(9)내부에 배설되어 상기 급수관(7)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가이드하는 케이스부재(11)와, 상기 케이스부재(11)내부에 취출가능토록 배설된 세제용해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7)일측에는 상기 급수관(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5)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급수관(7)에는 솔레노이드(15)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급수밸브(17)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세제용해통(13) 일측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을 용이하게 취출가능토록 손잡이(1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제용해통(13)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재(11) 내부에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수납될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제용해통(13)의 후벽부(13c)는 후술하는 걸림턱에 걸리도록 세제용해통(13)의 바닥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11)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부(13b)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후크부재(19)가 체결수단(2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부재(11) 하부 일측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완전개방 되었을 때 상기 세제용해통(13)의 후벽부(13c) 하단이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동세탁기는 세제 투입시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3a)를 좌측으로 잡아당기면 후크부재(19)에 끼워져 있던 돌기부(13b)가 빠져나와 케이스부재(11)의 안내에 따라 본체(1) 내측으로 이동되고, 걸림턱(11a)에 세제용해통(13)의 후벽부(13c) 하단이 걸리면서 점선표시상태와 같이 된다.
상기와 같이 점선표시상태가 되면 세제를 투입한 후, 상기 동작의 역순에 따라 세제용해통(13)을 케이스부재(11) 내측으로 밀어서 안전하게 수납시킨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에 의해 조작조건을 선택하면 솔레노이드(15)의 작동에 따라 급수관(7)의 급수밸브(17)가 온(개방)되어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급수밸브(17)를 통과한 세탁수는 세제용해통(13)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제를 용해하면서 외조(3)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세제용해통(13) 상부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13b)가 상기 케이스부재(11) 상부 내주면에 결합된 후크부재(19)에 삽입되어 상기 세제용해통(13)이 급수관(7)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높은 수압에 의해 본체(1)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13)은 세제투입을 위해 세제용해통(13) 손잡이(13a)를 좌측으로 잡아당길 때 상기 세제용해통(13)의 돌기부(13b)가 후크부재(19)에 걸려 잘 빠져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세제용해통(13)이 잘 빠져나오지 않음에 따라 무리한 힘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세제용해통(13)이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에 따른 세제용해통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여 세탁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은 상부에 급수관이 삽입 배설되는 톱카버부재와, 상기 급수관에서 급수된 물을 가이드하는 케이스부재와, 세제를 수용하여 용해시키는 세제용해통이 구비된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통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봉과, 상기 세제용해통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2b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북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7)이 삽입 배설되는 톱카버부재(9)와, 상기 톱카버부재(9)내부에 배설되어 상기 급수관(7)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가이드하는 케이스부재(11)와, 상기 케이스부재(11)내부에 자동 취출가능토록 배설된 세제용해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11) 내측면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세제용해통(13)의 취출을 가이드하는 안내봉(23)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세제용해통(13)을 관통한 안내봉(23)의 일측 외주면에는 제1탄성부재(25)가 압축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11) 상부 일측에는 누름부재(27)의 상하운동을 지지하는 힌지고정대(29)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힌지고정대(29) 내측에는 상기 누름부재(27)를 힌지하는 힌지축(31)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힌지고정대(29) 일측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누름부재(27)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부(33a)가 형성된 고정핀(33)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33)의 상단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항상 인장상태가 되는 제2탄성부재(35)가 구속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33)은 일정거리로만 하향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3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33)의 상부에는 일정거리로만 상향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턱(3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카버부재(9)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핀(33)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9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톱카버부재(9)의 전면부에는 상기 누름부재(27)의 일측이 돌출 삽입되는 관통홈(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11) 하부 일측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완전 개방시 이탈됨을 방지하는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부재(11) 상부 일측에는 고정핀(33)이 상하이동 가능토록 안내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제용해통(13)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케이스부재(11)내부에 수납시 이탈됨을 방지하는 돌기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제용해통(13)의 후벽부(13c)는 취출시 상기 케이스부재(11)의 걸림턱(11a)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세제용해통(13)의 바닥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7) 일측에는 전기적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15)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급수관(7)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5)에 의해 온/오프되는 급수밸브(17)가 배설되어 있다.
다음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세제통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세제용해통(13)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부재(27)를 아래로 누르면 힌지축(31)이 힌지고정대(29)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누름부재(27)의 끝단은 상승하고 상기 누름부재(27)의 끝단이 삽입된 고정핀(33)이 가이드부재(9a)를 따라 제2탄성부재(35)를 압축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용해통(13)이 본체(1)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막고 있던 고정핀(33)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케이스부재(11) 내측면과 세제용해통(13)의 외측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던 제1탄성부재(25)가 케이스부재 외측으로 팽창되어 세제용해통(13)을 본체(1) 내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와 같이 본체(1) 내측으로 밀린 세제용해통(13)은 상기 세제용해통(13)의 후벽부(13c)하단이 케이스부재(11) 하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1a)에 걸리게 되어 완전이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완전 개방된 세제용해통(13)에 세제를 투입하고, 세제용해통(13)을 케이스부재(11) 내측으로 밀면 제1탄성부재(25)가 압축되어 안내봉(23)에 끼워져 케이스부재(11) 내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세제용해통(13)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13b)가 고정핀(33)을 밀어올리면서, 케이스부재(11)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승되었던 고정핀(33)이 하강하여 세제용해통(13)이 세탁겸탈수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제를 완전히 투입한 후 세제용해통(13)을 수납하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에 의해 조작하면 솔레노이드(15)가 작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5)가 작동됨에 따라 급수밸브(17)가 오픈되어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세탁수는 세제를 용해하면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을 따라 흘러 도시하지 않은 세탁겸탈수조내로 투입된다.
이때, 고정핀(33)이 상기 급수밸브(17)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높은 압력에 의해 세제통(13)이 좌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세제용해통(13) 외측에 제1탄성부재(25)를 배설하여 자동취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용해통(13) 하단에 롤러(37)나 혹은 기어를 장착하여 상기 롤러(37)나 기어의 마찰력에 의해 급격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은 원터치 버튼에 의해 세제용해통의 취출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여 세탁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7)

  1. 상부에 급수관(7)이 삽입 배설되는 톱카버부재(9)와, 상기 급수관(7)에서 급수된 물을 가이드하는 케이스부재(11)와, 세제를 수용하여 용해시키는 세제용해통(13)이 구비된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통(1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봉(23)과, 상기 세제용해통(1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33)과, 상기 고정핀(33)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부재(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23)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일측으로 자동취출되도록 제1탄성부재(25)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3)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핀(33)의 상하운동을 구속하는 제2탄성부재(35)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3)은 상기 누름부재(27)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부(33a)와, 상기 고정핀(33)이 일정거리로 상향하도록 하는 고정턱(33c)과, 상기 고정핀(33)이 일정거리로 하향하도록 하는 걸림부(33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카버부재(9)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핀(33)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9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11)는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3)이 상하이동 가능토록 하는 안내홈(11b)과, 상기 케이스부재(11)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제용해통(13)의 완전개방시 상기 세제용해통(13)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1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27)는 상기 누름부재(27)의 상하운동을 지지하는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을 고정하는 힌지고정대(2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KR2019950013576U 1995-06-15 1995-06-15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KR0139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576U KR0139285Y1 (ko) 1995-06-15 1995-06-15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576U KR0139285Y1 (ko) 1995-06-15 1995-06-15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84U KR970001884U (ko) 1997-01-24
KR0139285Y1 true KR0139285Y1 (ko) 1999-05-15

Family

ID=1941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576U KR0139285Y1 (ko) 1995-06-15 1995-06-15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700B1 (ko) * 2001-05-21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박스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700B1 (ko) * 2001-05-21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박스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84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168B1 (ko) 세탁기
KR101311448B1 (ko) 세탁기
KR100404981B1 (ko) 전방투입방식세탁기
KR20080030139A (ko) 세탁기
KR20080027677A (ko) 세탁기
AU2005200380B2 (en) Detergent-supply system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EA017204B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управлением
WO2002020893A1 (en) A washing machine with a removable detergent cartridge
KR100873681B1 (ko) 탑 로드형 세탁기
KR0139285Y1 (ko) 전자동세탁기의 세제용해통
KR100753440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US3848436A (en) Preclean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KR900008982B1 (ko) 플립-탑 고형 세제 분배기를 가진 접시 세척 장치
KR100551494B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KR100225400B1 (ko)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자동투입장치 및 섬유유연제 자동투입제어방법
KR200146546Y1 (ko) 세탁기의 세제서랍인출장치
KR101330244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JP7236607B2 (ja) 洗濯機
KR100453978B1 (ko) 세탁기
KR10067344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154137Y1 (ko) 자동판매기의 폐수회수통 수납장치
KR101193697B1 (ko) 세탁기의 헹굼수 재활용을 위한 배수 시스템
KR101054395B1 (ko)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
JP2006204674A (ja) 洗濯機
KR200152455Y1 (ko) 세탁기의 호스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