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978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978B1
KR100453978B1 KR10-2002-0037602A KR20020037602A KR100453978B1 KR 100453978 B1 KR100453978 B1 KR 100453978B1 KR 20020037602 A KR20020037602 A KR 20020037602A KR 100453978 B1 KR100453978 B1 KR 10045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etergent
supply device
recess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160A (ko
Inventor
맹창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978B1/ko
Priority to US10/314,171 priority patent/US7219517B2/en
Priority to JP2002375540A priority patent/JP3746481B2/ja
Priority to CNB021588112A priority patent/CN1257325C/zh
Publication of KR2004000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6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the powder or tablets being added directly, e.g. without the need of a flu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제공급장치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가 개시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함과 이 세제함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하우징의 상부에는 세제공급장치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의 양 측면부에는 힌지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세제함의 상부의 양 측면에는 각 힌지홀이 끼워지도록 힌지축이 돌출되어 손잡이는 세제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손잡이의 양 측면부에는 힌지홀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세스의 양 측면에는 걸림홈의 개구부를 통해 걸림홈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세제함을 리세스에 삽입시킨 후에 손잡이를 하향으로 회동된 위치로 전환시키게 되면 걸림홈이 걸림돌기에 끼워져서 세제공급장치가 리세스의 내부에서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상부에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게 마련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두 가지 방식의 세탁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수직축 세탁기에 적용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세제공급장치가 수직축 세탁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대략적으로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수직축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수조(2)와 세탁조(3), 그리고 이 세탁조(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미도시)를 구비하여 펄세이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하우징(1)의 상부는 세탁조(3)로 세탁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된 하우징(1)의 상부에는 도어(미도시)가 힌지 결합되어 하우징(1)의 내부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의 상부의 후방에는 수조(2)에 분말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세제함(11)과 상기 세제함(1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12)를 구비한다. 세제함(11)의 하단에는 상기 세제함(11)에 수용된 분말세제를 수조(2)로 이송시키기 위한 세제이송기구(미도시)가 장착되는 세제이송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제함(11)의 하부의 양측에는 이 세제공급장치(10)를 하우징(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14)가 설치되며, 이 한 쌍의 후크(14) 중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상기 후크(14)를 내측으로 밀어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푸시버튼(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제공급장치(10)를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1)의 상부의 후방에는 리세스(4)가 설치되며, 이 리세스(4)의 내측에는 상기 한 쌍의 후크(14)가 걸려서 고정되기 위한 후크홈(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4)는 푸시버튼(15)과 한 쌍의 후크(14)가 세제함(11)의 하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세제함(11)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된 세제이송부(13)만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는 그 구조상 하우징(1)의 리세스(4)로부터 분리하고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를 리세스(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손으로 세제함(11)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푸시버튼(15)을 누름과 동시에 세제함(11)을 상향으로 올려서 이 푸시버튼(15)과 연결되어 있는 후크(14)를 리세스(4)의 후크홈(5)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다른 쪽의 후크(14)가 후크홈(5)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반대측면을 향해 당긴 후에, 세제함(11)을 다시 상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세제공급장치(10)가 리세스(4)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된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를 다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세제함(11)을 일측으로 약간 기울여서 푸시버튼(15)이 없는 후크(14)를 리세스(4)에 마련된 대응하는 후크홈(5)에 끼운 후에, 푸시버튼(15)을 누른 상태에서 세제함(11)에 하향으로 힘을 가해서 푸시버튼(15)과 연결되어 있는 후크(14)를 대응하는 후크홈(5)에 끼워 넣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를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함은 물론, 후크(14)를 후크홈(5)으로부터 분리하고 결합하는 과정에서 강제적인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분리 및 결합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고, 또한 시간을 요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를 높이와 폭이 큰 대형 세탁기에 장착시키는 경우에는 하우징(1)의 후방에 설치된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로 접근하여 분리하고 결합하는 작업이 더욱 어렵게 되며, 특히 키가 작은 사람인 경우에는 이 세제공급장치(10)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작업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는 이 세제공급장치(10)를 하우징(1)의 리세스(4)에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해 마련된 푸시버튼(15)과 한 쌍의 후크(14)가 세제함(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이 푸시버튼(15)과 후크(14)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세제공급장치(10)의 세제함(11)이 하우징(1)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구조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외관이 나빠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세제공급장치(10)를 하우징(1)의 내부로 삽입하는 구조를 채택하게 되면 사용자가 푸시버튼(15)에 접근하지 못하게 되어 분리 및 결합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공급장치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제공급장치를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보인 세탁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세탁기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4A는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에 분해 가능한 상태로 위치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하우징 20: 세제공급장치
21: 세제함 24: 힌지축
30: 손잡이 31: 측면 결합부
32: 연결부 33: 힌지홀
34: 걸림홈 34a: 개구부
40: 리세스 41: 걸림돌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분말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세제공급장치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마련되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리세스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리세스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세스는 상기 세제공급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가져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의 양 측면부에는 힌지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함의 상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각 힌지홀이 끼워지는 힌지축이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세제함에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양 측면부에는 상기 힌지홀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의 양 측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걸림홈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상기 세제함을 상기 리세스에 삽입시킨 후에 상기 손잡이를 하향으로 회동된 위치로 전환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리세스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20)는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21)과, 상기 세제함(2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22)와, 세제함(21)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세제함(21)을 하우징(1)(도 3 참조)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손잡이(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세제함(21)의 하부에는 세제 이송관(23)이 배치되며 이 세제 이송관(23)에는 자동 세제이송기구(미도시)가 설치되어서, 세제함(21)에 저장된 분말세제를 수조(2)(도 3 참조)로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제함(21)의 양측면은 하향을 향해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서, 분말세제가 세제함(21)의 바닥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려서 상기 세제 이송관(23)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경사각도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45°~ 55°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22)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오프닝(22a)을 구비하여 이 오프닝(22a)을 통해 분말세제가 세제함(21)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22)의 테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걸림후크(22b)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세제함(21)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후크(22b)가 걸려져서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홈(21a)이 마련되어 있어서, 커버(22)가 세제함(21)에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손잡이(30)는 이 손잡이(30)를 세제함(21)과 세탁기의 하우징(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측면 결합부(31)와, 상기 한 쌍의 측면 결합부(31)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이 손잡이(30)를 회동시켜서 세제공급장치(20)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측면 결합부(31)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힌지홀(33)과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함(21)의 상부의 양측에는 상기 각 힌지홀(33)이 끼워져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30)는 양 측면 결합부(31)가 외향으로 벌려져서 힌지홀(33)이 힌지축(24)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걸림홈(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가 세제함(21)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향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34a)를 가져서 손잡이(30)의 하향동작에 따라 이 개구부(34a)를 통해 걸림홈(34)이 후술하는 걸림돌기(4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를 세탁기의 하우징(1)에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1) 상부의 후방에는 리세스(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리세스(40)는 세제공급장치(20)가 그 상부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갖도록 하며, 그 양측면에는 세제공급장치(20)의 손잡이(30)에 마련된 걸림홈(34)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돌기(41)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가 하우징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세탁기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4A는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에 분해 가능한 상태로 위치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4A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20)가 하우징(1)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손잡이(30)를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시키게 되면 걸림홈(34)의 개구부(34a)가 하향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0)가 상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세제공급장치(20)를 하우징(1)의 리세스(40)에 삽입시킨 후에, 손잡이(30)의 연결부(32)를 하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손잡이(30)는 세제함(21)에 마련된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대략 90도의 각도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걸림홈(34)도 함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34)의 개구부(34a)를 통해 걸림홈(34)이 리세스(40)에 마련된 걸림돌기(41)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세제공급장치(2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가 하우징(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 세제공급장치(20)에 분말세제를 공급하거나, 또는 이 세제공급장치(20)를 수리할 경우에는 이 세제공급장치(20)를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리작업은 상술한 결합작업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의 연결부(32)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측면 결합부(31)의 걸림홈(34)이 리세스(40)의 걸림돌기(41)로부터 빠져 나와 결합이 해제되면서 손잡이(30)는 도 4B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수직 상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0)가 세제함(21)의 상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손잡이(30)의 연결부(32)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세제공급장치(20)는 리세스(40)로부터 빠져 나와서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는 세제함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의 상하방향으로의 회동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세제공급장치를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세제공급장치를 하우징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는 세제공급장치가 세제함의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에 의해 하우징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세제공급장치를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세제공급장치가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세탁기의 외관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리세스가 마련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분말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손잡이가 상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리세스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세제공급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가져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 측면부에는 힌지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함의 상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각 힌지홀이 끼워지는 힌지축이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세제함에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 측면부에는 상기 힌지홀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의 양 측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걸림홈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함을 상기 리세스에 삽입시킨 후에 상기 손잡이를 하향으로 회동된 위치로 전환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리세스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세제함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측면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측면 결합부를 연결하며 상기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 결합부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힌지홀과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함의 상부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홀이 끼워져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에는 상기 걸림홈이 걸려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가져서, 상기 손잡이가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함을 상기 리세스에 삽입시킨 후에 상기 손잡이를 하향으로 회동된 위치로 전환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리세스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분말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오프닝이 형성된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세제함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분말세제가 세제함의 바닥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하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의 경사각도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45°~ 55°의 범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2-0037602A 2002-06-29 2002-06-29 세탁기 KR10045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602A KR100453978B1 (ko) 2002-06-29 2002-06-29 세탁기
US10/314,171 US7219517B2 (en) 2002-06-29 2002-12-09 Washing machine
JP2002375540A JP3746481B2 (ja) 2002-06-29 2002-12-25 洗濯機
CNB021588112A CN1257325C (zh) 2002-06-29 2002-12-25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602A KR100453978B1 (ko) 2002-06-29 2002-06-29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160A KR20040002160A (ko) 2004-01-07
KR100453978B1 true KR100453978B1 (ko) 2004-10-20

Family

ID=3731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602A KR100453978B1 (ko) 2002-06-29 2002-06-29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43B1 (ko) * 2009-04-03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듀얼세제 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60B1 (ko) * 2007-08-20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6911000B2 (ja) * 2018-11-15 2021-07-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093A (ja) * 1986-02-15 1987-08-18 株式会社東芝 洗濯機等の洗剤供給装置
KR870008074A (ko) * 1986-02-06 1987-09-24 와다리 스기이찌로 세탁기등의 세제공급장치
KR19990032607U (ko)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인쇄회로기판의 착탈 및 전원 온오프 스위치 겸용 인/이젝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074A (ko) * 1986-02-06 1987-09-24 와다리 스기이찌로 세탁기등의 세제공급장치
JPS62189093A (ja) * 1986-02-15 1987-08-18 株式会社東芝 洗濯機等の洗剤供給装置
KR19990032607U (ko)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인쇄회로기판의 착탈 및 전원 온오프 스위치 겸용 인/이젝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43B1 (ko) * 2009-04-03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듀얼세제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160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6481B2 (ja) 洗濯機
KR100479083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CN101158103A (zh) 洗衣机
KR0130587Y1 (ko) 세탁기의 뚜껑
KR20140073908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장치
KR100453978B1 (ko) 세탁기
KR101564598B1 (ko) 드럼세탁기
JP2013138849A5 (ko)
EP0503999B1 (fr) Lave-linge muni d'un distributeur de produits lessiviels
KR100446493B1 (ko) 세탁기
JP2004313234A (ja) 洗濯機
KR100492323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JP7270182B2 (ja) 縦型洗濯機
JP3800693B2 (ja) 洗濯機の給水装置
KR100743700B1 (ko) 세탁기의 세제 박스 결합장치
KR101306035B1 (ko) 세탁물 오염 방지용 세탁기
JP3773931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11639575B2 (en) Washing machine
KR102408753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0115046Y1 (ko) 세탁물 보관장치
KR101053573B1 (ko) 세탁기의 리드 지지구조
JP3992451B2 (ja) 洗濯機
JP2002282580A (ja) 洗濯機の蓋ロック装置
JP2506750B2 (ja) 洗濯機の蓋装置
KR0139274Y1 (ko) 세탁기 세제용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