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476Y1 -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장치 - Google Patents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76Y1
KR0138476Y1 KR2019960004255U KR19960004255U KR0138476Y1 KR 0138476 Y1 KR0138476 Y1 KR 0138476Y1 KR 2019960004255 U KR2019960004255 U KR 2019960004255U KR 19960004255 U KR19960004255 U KR 19960004255U KR 0138476 Y1 KR0138476 Y1 KR 0138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inger
cassette
paper cassette
fing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268U (ko
Inventor
임광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04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76Y1/ko
Priority to US08/813,983 priority patent/US5944307A/en
Publication of KR970056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일반 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용지 카세트를 세트에서 분리하였을때 자동 이격되게 함으로써 용지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용지 카세트를 장착하였을때 용지와 픽업은 물론이고 카세트의 삽탈 여부를 감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용지 카세트가 삽탈되는 세트의 일측에 용지 감지센서와 연계되는 도체성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용지 카세트에 핀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핑거 장치를 카세트 트레이 부분과 이격되게 설치하여, 용지 카세트의 삽입시 상기 세트의 돌기에 의해 상기 핑거 장치의 핑거부가 카세트의 모서리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용지 카세트의 이탈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핑거부가 자동 이격되도록 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스프링에 의해 핑거가 자동으로 트레이 안쪽과 이격되므로 용지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카세트 삽입시 핑거를 트레이상의 위치로 밀어 주는 세트의 돌기부를 용지 센서와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용지 카세트의 장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Finger) 장치
제1도는 종래 핑거 장치가 설치된 용지 카세트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인 핑거 장치에 대한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핑거 장치의 세트 장착시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핑거 장치의 세트 분리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지 카세트 11 : 핑거 장치
12 : 고정홀 13 : 몰드부
14 : 스프링 15,19 : 걸이홈
16 : 고정판 17 : 힌지 핀(Hinge Pin)
18 : 핀 홀(Pin Hole) 20 : 핑거부
21 : 돌기부
본 고안은 일반 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를 세트에서 분리 했을때 자동으로 이격되게 하여 용지 셋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 카세트의 핑거(Fing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수매의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 카세트에는 급지시 낱장으로 용지를 이격시켜주도록 하는 핑거 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핑거 장치는 대부분이 용지 카세트의 일측 양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 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30)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핑거 장치(30)는 몰드(Mold)물로써 고정판(31)의 일측에 용지 카세트(33)의 몰드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핀(3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31)의 일측에 절곡시켜 상기 용지 카세트(33)의 모서리 상부를 덮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핑거(35)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핑거 장치(30)를 용지 카세트(33)에 설치함에 있어, 상기 핑거 장치(30)의 고정판(31)을 상기 용지 카세트(33)의 몰드물과 하우징과의 사이에 넣고, 핀(34) 부분을 상기 용지 카세트(33)의 몰드물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핑거 장치(30)는 상기 용지 카세트(33)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형태가 되고, 또한 상기 핑거 장치(30)의 핑거(35) 부분은 상기 용지 카세트(33)의 모서리 상면을 덮는 형태로 된다. 이와 같은 핑거 장치(30)가 설치된 용지 카체트(33)에 일반 용지를 세팅시, 상기 핑거 장치(30)의 핀(34)을 기준으로 핑거(35)의 반대편을 눌러 그 각도는 미비하나 약간 이완되도록 하여 세팅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핑거 장치는 손으로 눌러주는 각도가 카세트 몰드에 의해 예각이 되고, 핑거의 이격 방향도 용지 세팅 방향으로 즉, 위쪽으로 움직이므로 많이 움직이지 않으면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며, 또한 고정 및 상태보전이 안되기 때문에 카세트의 충격이 있을시에는 그 위치가 움직이게 되고, 이를 한손으로 누르게 되는 것이 불가피 함에 따라 용지 세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핑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용지 카세트를 세트에서 분리하였을때 자동 이격되게 함으로써 용지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용지 카세트를 장착하였을때 용지와 픽업은 물론이고 카세트의 삽탈 여부를 감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용지 카세트가 삽탈되는 세트의 일측에 용지 감지센서와 연계되는 도체성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용지 카세트에 핀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핑거 장치를 카세트 트레이 부분과 이격되게 설치하여, 용지 카세트의 삽입시 상기 세트의 돌기에 의해 상기 핑거 장치의 핑거부가 카세트의 모서리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용지 카세트의 이탈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핑거부가 자동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 및 핑거 장치의 확대도로써, 용지 카세트(10)는 일측 모서리 부분의 바닥면에 핑거 장치(11)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홀(12)을 형성하고, 몰드부(13)에는 스프링(14)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15)을 형성한다. 상기 핑거 장치(11)는 몰드(Mold)물로써 일정한 각도로 밴딩(Banding)된 고정판(16)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16)의 밴딩부위에는 힌지 핀(Hinge Pin)(17)을 끼워 넣기 위한 핀 홀(18)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핀 홀(18)을 기준으로 일측 고정판(16)의 면상에 상기 스프링(14)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19)를 형성하고, 타측 상부에는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모서리 상부를 덮도록 절곡시켜 낱장으로 용지를 이격시키도록 하는 삼각형 모양의 핑거부(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16)의 밴딩각은 상기 힌지 핀(17)에서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몰드부(13)와 충분히 이격될 수 있는 각도로 하고, 상기 핑거부(20)의 측면을 도체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용지 카세트(10)가 장착되는 세트 내에는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삽입시 핑거 장치(11)의 핑거부(20)를 용지 이격 위치로 밀어주기 위한 돌기부(2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돌기부(21)는 도체물로 형성되고, 이를 용지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은)와 직렬로 연결시켜,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삽탈을 감지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삽탈방향으로 라운드(Round)지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핑거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제4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핑거 장치(11)의 핀 홀(18)에 힌지 핀(17)을 끼우고, 고정판(16)의 걸이홈(15)에는 스프링(14)의 일측을 고정한 뒤, 상기 힌지 핀(17)을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고정홀(12) 끼우고, 상기 스프링(14)의 타측을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몰드부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핑거 장치(11)의 핑거부(20)는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모서리 부분과 완전히 이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핑거 장치(11)가 설치된 용지 카세트(10)를 세트 내로 삽입시키면, 상기 세트의 돌기부(21)가 상기 핑거 장치(11)의 핑거부(20) 측면부와 접하게 되고, 이에 용지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며, 계속해서 상기 핑거 장치(11)는 상기 돌기부(21)에 의해 힌지 핀(17)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삽입을 완료하면 상기 핑거 장치(11)의 핑거부(20)는 용지 카세트(10)의 모서리상에 위치 하고, 또한 스프링(14)은 늘어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지를 세팅하기 위해 용지 카세트(10)를 삽탈하게 되면, 상기 핑거 장치(11)가 세트의 돌기부(21)를 벗어남과 동시에 늘어난 상태의 스프링(14)이 복원됨으로서 상기 핑거 장치(11)는 원래의 위치로 되고, 따라서 상기 핑거 장치(11)의 핑거부(20)도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가장자리로 자동 이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에 의해 핑거가 자동으로 트레이 안쪽과 이격되므로 용지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카세트 삽입시 핑거를 트레이상의 위치로 밀어 주는 세트의 돌기부를 용지 센서와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용지 카세트의 장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낱장으로 이격시키거나 또는 용이하게 세팅시키기 위하여, 적재하는 용지 카세트(10)가 삽탈되는 세트의 일측에 도체성 돌기(21)를 형성하고,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일측에 삽입시 상기 돌기(21)와 접촉에 의해 위치가변되도록 하고, 삽탈시 자동 이격되도록 하는 핑거 장치(11)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1)는 용지 센서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핑거 장치(11)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삽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1)는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삽탈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장치(11)는 상기 돌기(21)와의 접촉부를 도체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카세트(10)는 일측 모서리 부분의 바닥면에 상기 핑거 장치(11)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홀(12)을 형성하고, 몰드부(13)에는 스프링(14)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장치(11)는 몰드물로써 일정한 각도로 밴딩된 고정판(16)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16)의 밴딩부위에는 핀 홀(18)을 형성하며, 상기 핀 홀(18)을 기준으로 일측 고정판(16)의 면상에 스프링(14)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19)를 형성하고, 타측 상부에는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모서리 상부를 덮도록 절곡된 삼각형 모양의 핑거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장치(11)의 고정판(16)은 도체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8. 급지 용지를 이격시키거나 용지를 용이하게 세팅시키기 위한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 카세트(10)가 삽탈되는 세트의 일측에 도체성 돌기(21)를 형성하고, 상기 용지 카세트(10)는 일측 모서리 부분의 바닥면에 상기 핑거 장치(11)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홀(12)을 형성하고, 몰드부(13)에는 스프링(14)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15)을 형성하며, 상기 핑거 장치(11)는 몰드물로써 일정한 각도로 밴딩된 고정판(16)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16)의 밴딩부위에는 핀 홀(18)을 형성하며, 상기 핀 홀(18)을 기준으로 일측 고정판(16)의 면상에 스프링(14)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19)를 형성하고, 타측 상부에는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모서리 상부를 덮도록 절곡된 삼각형 모양의 핑거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1)는 용지 센서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핑거 장치(11)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용지 카세트(10)의 삽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장치(11)는 상기 돌기(21)와의 접촉부를 도체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 장치.
KR2019960004255U 1996-03-08 1996-03-08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장치 KR0138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55U KR0138476Y1 (ko) 1996-03-08 1996-03-08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장치
US08/813,983 US5944307A (en) 1996-03-08 1997-03-10 Finger device for feed cassette using common printing pap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55U KR0138476Y1 (ko) 1996-03-08 1996-03-08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268U KR970056268U (ko) 1997-10-13
KR0138476Y1 true KR0138476Y1 (ko) 1999-05-01

Family

ID=1945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255U KR0138476Y1 (ko) 1996-03-08 1996-03-08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44307A (ko)
KR (1) KR01384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638B1 (ko) * 1999-06-24 2001-12-12 윤종용 전자사진 복합기
KR100474440B1 (ko) * 2002-09-13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카세트
US7159863B2 (en) * 2004-08-25 2007-01-09 Lexmark International, Inc. Compliant media stack height limiter
JP5485248B2 (ja) * 2011-11-17 2014-05-07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6030654A (ja) * 2014-07-25 2016-03-07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
JP6729621B2 (ja) * 2018-03-26 2020-07-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トレイロック機構及び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5643A (en) * 1967-01-03 1968-05-28 U S Products Dev Stereo tape cartridge container
US4288137A (en) * 1980-02-19 1981-09-08 Dickran Babigian Drawer slide system
JPS5957838A (ja) * 1982-09-28 1984-04-03 Mita Ind Co Ltd 複写紙カセツトを備えた給紙装置
US5232214A (en) * 1989-03-08 1993-08-0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ape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detachable cassette
JPH04286550A (ja) * 1991-03-11 1992-10-12 Canon Inc シート材給送装置
JP3285633B2 (ja) * 1993-01-18 2002-05-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用紙カセット
US5417490A (en) * 1993-03-29 1995-05-23 General Devices Co., Inc. Telescoping slide assembly
US5490724A (en) * 1994-10-21 1996-02-13 Grass America, Inc. Drawer guide for supporting a moveable structure such as a drawer in a furniture article
US5542759A (en) * 1995-04-27 1996-08-06 Snap-On Technologies, Inc. Shock absorbing disconnect latch for drawer sl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268U (ko) 1997-10-13
US5944307A (en) 199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889A (en) Module connector having a switching mechanism
US5822183A (en) Memory card installing device
US7232325B2 (en) Hinged SIM-type card holder
US4691826A (en) Information recording carrier-holding frame
KR0138476Y1 (ko) 일반용지 카세트의 핑거장치
WO1996021258A1 (en) Connector including pcb latching and ejection mechanism
JPH0540859A (ja) Icメモリカードを電子装置と電気的に接触させる装置
US5980294A (en) IC card loading device
JPH02202096A (ja) プリント回路カード・アセンブリ接地装置および方法
CN105830286A (zh) 读卡器和包括该读卡器的电子设备
US4062534A (en) Stripper arrangement for removing various sized copy sheets from fuser roll
JP7163501B2 (ja) 移動端末
WO2022127723A1 (zh) 卡座装置及电子设备
CN210257680U (zh) 一种用于装订页的新型热转印打印机的支架
JPS6066383A (ja) 電子機器
JP2683367B2 (ja) 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カバー
US6926268B2 (en) Paper cassette
US6414253B1 (en) Object insertion/separation sensing apparatus
JP2572718Y2 (ja) 用紙収納装置
JPH0648933Y2 (ja) 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
KR200158209Y1 (ko) 프린터의 접지용 용지크기 감지장치
JPH0135422Y2 (ko)
KR0124529Y1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단자연결장치
JPH09293551A (ja) メモリカード装着装置
JPH0566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