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52B1 -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52B1
KR0138252B1 KR1019910700042A KR910700042A KR0138252B1 KR 0138252 B1 KR0138252 B1 KR 0138252B1 KR 1019910700042 A KR1019910700042 A KR 1019910700042A KR 910700042 A KR910700042 A KR 910700042A KR 0138252 B1 KR0138252 B1 KR 013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pigment
dispersant
titanium dioxide
filter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371A (ko
Inventor
마일즈 스토리 필립
Original Assignee
죠지 알. 헤니간
케르-멕기 캐미컬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지 알. 헤니간, 케르-멕기 캐미컬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죠지 알. 헤니간
Publication of KR92070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09D17/007Metal oxide
    • C09D17/008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Paper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높은 고체 함유율의 슬러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약 20내지 약50중량%의 미처리된 비블록화 이산화티탄안료를 함유하며 약 4.0이하 또는 약 8.0이상의 pH를 가는 고분산 안료 슬러리를 초대기압에서 탈수시켜서 습윤필터 케이크를 얻고 이 필터 케이크를 분산제의 존재하에서 재슬러리화하여 약 70내지 약 80중량%의 고체함유율을 갖는 이산화티탄안료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지용으로서 적합한,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이산화티탄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제지 산업에서는 오래전부터 각종 종이 제품의 명도 및 투명도와 같은 광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산화티탄 안료를 사용하여 왔다. 관례적으로,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 형태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 되어 왔던 이산화티탄 안료는 건식 분쇄된 예추석 이산화티탄이다. 이 안료는 일반적으로 황산티탄과 같은 티탄염 수용액의 가수 분해를 제어함으로써 생성되고, 여과 및 세정후에, 하소에 의해 안료를 건조 시키고 이것의 예추석 결정 형태를 완전히 전개시킴으로써 제조 된다. 이를 제지에 사용하기 위해서, 하소된 안료는 과대 크기 및 응집 입자들을 파쇄시키기위한 부가의 건식 분쇄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어서 60 내지 80 중량% 범위의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하소 및 분쇄된 안료를 물에 분산시킨다.
금홍석 이산화탄소 안료도 제지에 사용되며 이들의 사용방법은 전술한 소위 황산염 공정에 의한 예추석 이산화티탄 안료의 제조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더욱 일반화 되었다. 일반적으로, 금홍석 안료는 증기상에서 4 염화 티탄을 산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제조된 산화 생성물은 상당량의 과대크기 모래상의 이산화티탄 입자를 함유하는 이산화티탄 조제 안료이다. 이 조제생성물을 안료로 적합하게 사용하기위해서, 습윤 분쇄, 가수분류화(hydroclassification), 건조시킨후, 최종적으로 건식 분쇄 공정을 거쳐서 유연한 조직의 안료 제품을 제조한다.
제지에 사용할 경우, 예추석 안료에 대하여 전술한 범위의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상기 건조 및 분쇄된 안료 제품을 물에 분산시킨다.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이산화티탄 안료가 전술한 황산염 공정에 의해 제조 되었든지 또는 산화 공정에 의해 제조되었든지간에, 이들은 일반적으로 무수가공 안료, 즉 건조 및 건식분쇄 공정을 거친 안료로 부터 제조된다. 가공 안료의 일반적 사용 방법에 대한 한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3,758,32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중간 공정에서, 분쇄 및 그릿 제거단계(즉, 분류) 만을 거친 조제 이산화티탄 안료의 고체 함량이 적은 슬러리를 사용하여 고체함량이 많은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그릿이 제거된 고체함량이 작은 안료 슬러리의 응집(flocculation)단계, 응집된 안료 슬러리의 진공 탈수 단계 및 탈수된 안료를 재슬러리화 하여 고체 함량이 60 중량% 이상인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이산화티탄가공 단계에서 소비되는 비용 및 시간을 없앰으로써 비용면의 효과를 꾀한 것이었으나, 그 자체의 단점이 없지 않다. 한 단점은 종래의 진공 여과기술을 이용하여 여과 가능하게 하기위한 안료의 응집공정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시간 및 원료 면에서 비용이 부가된다는 것이다. 다른 단점은 최종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고 고체 함량의 필터 케이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긴 탈수 사이클로 인해 생산률이 낮다는 것이다.
후술하는 본발명은 응집 단계의 필요성과 최종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한 고 고체 함량의 필터 케이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긴 탈수 사이클을 없앰으로써 진술한 단점들을 해소하였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미처리되고 비응집된 금홍석 이산화티탄 안료의 고체를 많이 함유한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대략적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방법은 (1)물, 제 1 분산제 및 미처리된 응집화 이산화티탄 안료를 함유하는 수성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 (2)고압 조건하에서 단계 (1)의 수성 슬러리를 탈수시켜서 미처리된 비응집화 안료를 함유하는 습윤 필터 케이크를 제조하는 단계 ; 및 (3) 단계(2) 의 습윤 필터 케이크에 적어도 제 2 분산제를 첨가함으로서 재 슬러리화 하여 고체함량이 약 70 중량% 인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료 슬러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 제품 또는 이것을 위한 피복제의 제조에 유용한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광범위하게,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안료, 특히 미처리된 비응집성 이산화티탄 안료의 고체함량이 많은 슬러리를 제조하기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사용된 용어 미처리된 안료는 그 입자들이, 예를 들어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등과 같은 수화 금속 산화물이 표면 피복물을 전혀 갖지 않는 이산화티탄 안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미처리된 비응집성 이산화티탄 안료는 전술한 황산염 및 증기산 산화 방법으로 제조한 것들과 같이 임의의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예추석, 금홍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임의의 이산화티탄 안료를 포함한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방법의 발명은 사염화티탄의 기체상 산화로 제조한 미처리된 비응집성 금홍석 이산화티탄으로 부터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특히 이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미처리된 비응집성 이산화티탄 안료는 습식 분쇄된후 가수 분류되어 실질적으로 균일한 입도의 안료가 제공될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소량의 과대크기의 응집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생원료의 미처리된 이산화티탄 안료를 하소 장치 또는 산화 반응기에 존재하는 물에 분산시켜서 생안료 슬러리를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통상적으로, 물에 분산된 미처리 안료의 함량은 약 20 내지 약 50중량%의 안료를 함유하는 생안료 슬러리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양일 수 있다.
생슬러리를 제조한후, 그것을 습식 분쇄(또는 마쇄)또는 가수분류하여 거기에 분산된 과대 크기의 응집 안료 입자들이 파쇄되고 실제적으로 균일한 입도의 안료를 함유한 슬러리가 제공된다. 슬러리의 습식 분쇄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들이 이용하는 수많은 공지된 방법들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달성 될 수 있다. 응집 안료 입자들을 파쇄시키기 위해 특히 유용한 수단은 샌드밀(sand mill)인데 이것의 조작은 다음문헌[페리의 Chemical Engineer's Handbook, Section 8, 페이지 41, 4판(1963년)]에서 상세히 기술 되어 있다. 또한 가수 분류는 예컨대 히드로사이클론의 사용과 같은 공지의 통상적인 수단 및 방법을 이용하여 실현 될 수 있다. 히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사용하는 한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3,130,157호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한 습식 분쇄 및 가수분류된 슬러리속에 미처리 안료를 고분산 상태(이것은 슬러리의 차후의 가압여과를 위하여 중요한 조건임)로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제 1분산제를 슬러리에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는 생 슬러리의 습식 분쇄 및 가수분 전 또는 후에 수행할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작업에 앞서 제 1분산제를 생슬러리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 1분산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분산제의 예로는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다가인산 칼륨 및 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과 같은 공지의 인산알카리 금속화합물을 들수 있다. 제 1분산제로서 생슬러리에 첨가된 이와 같은 분산제의 함량은 생슬러리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 내일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산제의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이다.
전술한 분산제의 사용외에도, 필요하다면,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암모니나, 수산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 알칼리금속, 탄산 화합물 또는 중탄산 화합물 같은 무기염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슬러리의 ph를 약 4.0 이하 또는 약 8.0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슬러리에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용한 무기 염기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수산화 칼슘,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슬러리의 ph를 약 4.0 이하의 값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염산 또는 황산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슬러리의 ph를 약 8.0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람직한 염기화합물은 예컨대 수산화나트륨과같은 수산화 알칼리 금속이다.
슬러리의 ph를 약 4.0 이하의 값 또는 8.0 이상의 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미처리된 안료를 비응집된 조건으로 보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조건은 가압 여과를 사용하여 전술한 슬러리의 소정 탈수를 달성해야 하는 경우에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한편, 진공드럼 필터를 사용하는 것과같이 통상적인 감압 여과가 고체 함량이 적은 슬러리로부터 고체함량이 많은 여과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우, 슬러리의 ph를 4 내지 8의 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이러한 ph범위안에서, 슬러리에 함유된 안료 입자는 그 표면에서 이온성 전하를 실제적으로 띠지 않는다. 그러므로, 안료 입자들은 용이하게 응집되어 이들을 함유하는 슬러리가 진공 여과 조건하에서 더 쉽게 탈수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슬러리의 ph는 약 3.5이하, 또는 약 8.5이상으로 유지될수 있다.
이어서, 고분산되고, 습식 분쇄되고 가수분류된 안료 슬러리는 탈수 처리한다. 이러한 탈수는 초 대기압하에서 조작되는 가압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습윤 필터 케이크를 제조한다.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습윤필터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특정의 가압여과 장치는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하지 않으며 공지의 가압여과 장치라면 어느것이나 이용될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는 참고문헌[페리의 Chemical Engineer's Handbook, Section 19, pp.62-73, 4판(1963년)]에 기재된 각종 유형 및 디자인의 회분식으로 간헐적으로 조작되는 필터 프레스가 있다. 특히 유용한 필터 프레스는 B.C.Hoesch Industries,Inc. 에 의해 제작되는 수직으로 위치하는 필터 프레스이다. 이러한 특정한 필터 프레스는 로타리 및 밸트 필터의 장점과 통상의 필터 프레스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겸비하고 있고 완전히 자동으로 조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이용되는 필터 프레스 장치의 특별한 유형 또는 디자인에 무관하게, 상기 장치는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에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대표적인 작동압력은 약 50 내지 250 psi(또는 약 3.5 내지 약 17.5 kg/㎠)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00psi 내지 약 225psi(또는 약 7내지 약 15.8kg/㎠)의 범위이다.
필터 프레스에 도입된 수성 슬러리는 약 70 중량% 이상의 고체함량을 지닌 습윤 필터 케이크가 제조되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전술한 초대기압하에서 필터 프레스내에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습윤 필터 케이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10 내지 약 30분의 범위일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충전, 압착, 건조 및 프레스로부터 습윤 필터 케이크를 꺼내는 대표적인 여과사이클을 나타낸다. 이러한 시간은 최초 수성 슬러리의 안료 함량, 필터 프레스에서 이용되는 압력 및 필터 케이크의 재슬러리화시에, 특정의 고함량의 고체를 지닌 완성된 슬러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출한 습윤 필터 케이크에서 요구되는 특징의 고체함량에 의존하여 달라질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렇지만, 당업자는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습윤 필터 케이크를 수득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시간을 쉽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체함량이 약 70 중량%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80 중량%인 습윤 필터 케이크를 윈하는 최종 슬러리 제품을 제조하도록 재슬러리화 시킨다. 일반적으로, 습윤 필터 케이크는 기계적인 교반과 함께 습윤 필터 케이크에 제 2 분산제를 첨가함으로써 재슬러리화 될 수 있다. 제 2 분산제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분산제는 이와 같은 목적에 이용되는 공지의 수용성 유기 분산제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산제로는 예컨대, 치환된 지방족 카르복실산 및 이것의 알카리 금속 및 산염, 다가알콜, 및 알칸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은 분산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과 이것의 나트륨 및 칼륨염, 소르비톨, 만니톨,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이 있다. 필요하다면, 이와같은 분산제들중 두개이상의 혼합물도 사용할수 있다. 필터 케이크에 첨가되는 분산제의 양은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최종 슬러리 제품에 함유된 이산화티탄 안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내지 약 5중량%읠 양일 수 있다. 상시 함량이 약 0.3 내지 약 1.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최종 슬러리 제품은 본 발명의 가압 여과 단계에서 회수한 습윤 필터 케이크에 제 2분산제를 첨가함에 의해서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있어서,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최종 슬러리 제품은 이것이 얻어지는 습윤 필터 케이크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고체함량을 갖는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최종 슬러리 제품의 고체 함량을 임의의 원하는 소정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제2 분산제와 함께 물을 습윤 필터 케이크에 첨가할 수 있다. 습윤 필터 케이크의 고체 함량 및 최종 슬러리 제품에서 필요한 고체 함량을 제공하는 이러한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부가되는 물의 정확한 양은 당업자가 쉽게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어떤경우에도 첨가하는 물의 함량은 최종 슬러리 제품의 고체 함량을 약 70 중량% 이하로 감소시킬수 없는 양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최종 슬러리 제품의 고체 함량은 약 70 내지 80 중량%일 것이다.
제 2 분산제로서 유용한 전술한 분산제외에도, 다른 물질들 또한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내로 동시에 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질로는 여러가지의 살균제, 금속 이온 봉쇄제등이 있다. 본 발명의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에 상기 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물질들의 양은 슬러리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 중량% 의 범위일 것이다.
본 발명을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든 부 및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단위다.
실시예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를 본 발명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제조했다:
TiCl4의 기체상 산화에 의해 제조된 미처리된 금홍석 이산화티탄 생안료를 물에 분산 시켜서 고분산의 고체 함량이 적은 공급 슬러리를 제조했다. 충분량의 상기 생안료를 물에 분산시켜서 수득한 생안료 슬러리는 32 내지 35중량%의 고체함량을 가졌다. 물에서의 생안료의 분산을 촉진하기 위하여,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을 동시에 첨가했다. 생안료의 응집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슬러리의 pH를 약 10으로 조절하고 끝으로 슬러리를 습식 분쇄하여 가수분류화 시켰다.
이어서, 산출한 슬러리를 전체 필터 면적이 약 27ft2(2.5m2)인 Hoesch Model PF1-2.5 수직 가압 필터(B.C. Hoesch Industries, Inc. 제작)에 간헐적으로 펌핑하여 이곳에서 10 1b/시/필터표면 ft2(48.8kg/시/㎡)의 공칭 여과속도, 약 125psig(7.8kg/㎠)의 압력하에서 슬러리를 탈수시켰다. 약 5,680파운드(2753kg)의 습윤 필터 케이크가 생성될 때까지 슬러리를 계속 탈수 시켰다. 가압 필터에서 회수한 습윤 필터 케이크의 고체함량은 약 78.9 중량%이었다.
이러한 필터 케이크를 1000갈론짜리 고속 분산장치에 옮기고 여기에 물 576 파운드(261kg)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44파운드(20kg), 시트르산(50%용액) 13파운드(6kg)및 Dowcil(Dow Chemical Co. 로 부터 입수 가능함) 4.0파운드(1.8kg)를 첨가했다. 이어서, 습윤 필터 케이크 및 첨가된 물질들을 20분간 고속 교반하고 유동성의 펌핑 가능한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최종 슬러리를 제조했다.
상기의 최종 슬러리를 분석하였더니 그 슬러리는 71중량%의 고체함량, 658 센터포이즈(100rpm에서 3번 스핀들을 사용하여 브룩필드 모델RVT점도계에서 측정한 값)의 점도, 10.3의 pH 및 400ohm-cm의 비저항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충전 및 코팅된 종이에 이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슬러리는 우수한 휘도 및 불투명도를 나타냈다.
상기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를 효과적이고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고체함량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종래 긴기술의 여과시간을 필요로 함이 없이, 그리고 최초공급 슬러리를 응집화 시킬 필요없이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슬러리가 쉽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전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화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8)

  1. 물, 제1 분산제 및 미처리되고 비응집화된 이산화티탄 안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산화티탄 응집화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pH 4.0이하 또는8.0 이상으로 유지되는 고분산 수성 안료 슬러리를 준비하고; 상기의 미처리되고 비응집화된 안료를 함유한 습윤 필터 케이크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초대기압 조건하에서 상기의 고분산 안료 슬러리를 탈수시키고; 상기의 습윤 필터 케이크에 제 2분산제를 첨가하여 상기의 습윤 필터 케이크를 재슬러리화하여_70중량% 이상의 안료 함량을 갖는 안료 슬러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분산제가_0.01 내지 _2.0 중량%의 범위로 고분산 안료 슬러리내에 존재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분산제가 다가 인산 알칼리 금속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산 안료 슬러리가, pH 8.0 이상에서 슬러리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수산화 알칼리 금속 또는 pH 4.0 이상에서 슬러리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염산 및 황산을 포함하는 염기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고분산 안료 슬러리를 pH_3.5 이하 또는_8.5 이상으로 유지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슬러리내의 고체 함량이 20중량%이상이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의 이산화티탄 안료가 고분산 안료 슬러리내에 존재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산 안료 슬러리를 _50 1b/in2(3.5kg/㎠) 이상의 초대기압에서 탈수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압력이 _50 1b/in2(3.5kg/㎠) 내지 _250 1b/in2(17.5kg/㎠)의 범위인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습윤 여과 케이크에 첨가되는 제 2분산제가 치환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이것의 알카리 금속 및 이것의 산염, 다가 알코올 및 알칸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물질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제 2분산제가_0.1 내지_5중량%의 함량으로 습윤 필터 케이크에 첨가하는 방법.
  11. 물,_0.01 내지_2.0중량% 의 다가인산 알칼리금속, pH_8.5이상에서 슬러리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수산화 알칼리금속,_20중량 이상의 고체 함량을 슬러리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미처리되고 비응집화된 이산화티탄 안료로 이루어진 고분산 이산화티탄 수성 안료를 준비하고; 상기 고분산 안료 슬러리의 탈수를 50 1b/in2이상의 초대기압에서 수행하여 안료 슬러리를 여과함으로써 비응집화된 안료를 함유한 습윤 여과 케이크를 생성하고; 치환된 지방족 카르복실산, 이것의 알칼리금속 및 이것의 산성염, 다가 알톨 및 알콜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 2분산제_0.1 내지_5.0중량%를 습윤 필터 케이크에 첨가하여 그 습윤 필터 케이크를 재슬러리화하여 70중량%이상의 고체함량을 갖는 안료 슬러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이산화티탄 안료 슬러리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슬러리내의 고체 함량이_20 내지_50중량%가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산화티탄 안료가 상기의 고분산 안료 슬러리내에 존재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고분산 안료 슬러리내에 존재하는 미처리되고 비응집화된 이산화티탄 안료가 미처리된 금홍석 이산화티탄 안료인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제2 분산제를_0.3 내지_1.5 중량%의 양으로 습윤필터 케이크에 첨가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고분산 안료 슬러리의 탈수를_50psi(3.5kg/㎠) 내지_250psi(17.5kg/㎠)의 초 대기압에서 안료를 여과함으로써 수행하는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습윤 필터 케이크에 첨가되는 제 2 분산제가 알칼올아민인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제 2분산제가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인 방법.
  18.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
KR1019910700042A 1989-05-12 1990-04-20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 KR0138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1061 1989-05-12
US07/351,061 US4978396A (en) 1989-05-12 1989-05-12 Process for preparing high solids slurries
US351.061 1989-05-12
PCT/US1990/002105 WO1990013606A1 (en) 1989-05-12 1990-04-20 Process for preparing high solids slur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371A KR920701371A (ko) 1992-08-11
KR0138252B1 true KR0138252B1 (ko) 1998-04-27

Family

ID=2337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042A KR0138252B1 (ko) 1989-05-12 1990-04-20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978396A (ko)
EP (1) EP0472537B1 (ko)
JP (1) JPH0717873B2 (ko)
KR (1) KR0138252B1 (ko)
CN (1) CN1028325C (ko)
AR (1) AR247904A1 (ko)
AU (1) AU623569B2 (ko)
BR (1) BR9007279A (ko)
CA (1) CA2010869C (ko)
DE (1) DE69013501T2 (ko)
ES (1) ES2019833A6 (ko)
FI (1) FI912335A0 (ko)
MY (1) MY105214A (ko)
PH (1) PH26398A (ko)
RU (1) RU2052479C1 (ko)
WO (1) WO1990013606A1 (ko)
ZA (1) ZA9016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0352A (en) * 1991-11-11 1994-03-01 Bayer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igment suspension
US5393510A (en) * 1992-07-22 1995-02-28 Rheox, Inc. High solids content titanium dioxide suspension
GB9325051D0 (en) * 1993-12-07 1994-02-02 Tioxide Group Services Ltd Titanium dioxide slurries
US5830317A (en) * 1995-04-07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ft tissue paper with biased surface properties containing fine particulate fillers
US5958185A (en) * 1995-11-07 1999-09-28 Vinson; Kenneth Douglas Soft filled tissue paper with biased surface properties
US5611890A (en) * 1995-04-07 1997-03-1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containing a fine particulate filler
US5653793A (en) * 1995-08-01 1997-08-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iO2 slurry process
US5908498A (en) * 1996-02-16 1999-06-01 Kerr-Mcgee Chemical Llc Process for preparing an improved low-dusting, free-flowing pigment
CA2218287A1 (en) * 1996-02-16 1997-08-21 John E. Halko Process for preparing an improved low-dusting, free-flowing pigment
US5700352A (en) * 1996-04-03 1997-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including a fine particulate filler into tissue paper using an anionic polyelectrolyte
US5672249A (en) * 1996-04-03 1997-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including a fine particulate filler into tissue paper using starch
US5989331A (en) * 1996-05-28 1999-11-23 Southern Clay Products, Inc. TiO2 slurry stabilization
US5759346A (en) * 1996-09-27 1998-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smooth uncreped tissue paper containing fine particulate fillers
US6197104B1 (en) * 1998-05-04 2001-03-06 Millennium Inorganic Chemicals, Inc. Very high solids TiO2 slurries
US6569920B1 (en) 2000-08-16 2003-05-27 Millennium Inorganic Chemicals, Inc. Titanium dioxide slurries having improved stability
TWI240700B (en) * 2001-07-19 2005-10-01 Sumitomo Chemical Co Ceramics dispersion liqui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ydrophilic coating agent using the same
US20040107871A1 (en) * 2002-08-09 2004-06-10 Defeo Maureen A. Aluminum trihydrate containing slurries
US7745372B2 (en) 2003-12-22 2010-06-29 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Catalyst for selective hydrogenation of olefins and its preparation as well as use
US20090000512A1 (en) * 2005-05-27 2009-01-01 Sun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printing ink
US20080022900A1 (en) * 2006-07-25 2008-01-31 Venkata Rama Rao Goparaju Process for manufacturing titanium dioxide pigment
CN101851435B (zh) * 2010-05-26 2013-05-22 宁波新福钛白粉有限公司 一种生产高亮度蓝色相金红石型钛白粉的方法
DE102011114363A1 (de) * 2011-09-27 2013-03-28 Kronos International, Inc. Stabile nanopartikuläre Suspensio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CN103693688B (zh) * 2013-12-09 2015-09-16 云南新立有色金属有限公司 钛白粉浆料预处理方法
US20190249014A1 (en) 2018-02-14 2019-08-15 Tronox Llc Stir-in titanium dioxide pigm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1923B (de) * 1965-08-05 1967-06-08 Tita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itandioxid-Pigmentes fuer die Polyamidfasermattierung
US3821359A (en) * 1969-08-05 1974-06-28 American Cyanamid Co Titanium dioxide pigments
US3686010A (en) * 1970-12-30 1972-08-22 Dow Unquinesa S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titanium dioxide pigment having high specific resistance
US3758322A (en) * 1971-07-21 1973-09-11 American Cyanamid Co Rutile tio2 slurries
DE2423983C3 (de) * 1974-05-17 1978-09-07 Bayer Antwerpen N.V., Antwerpen (Belgien) Verfahren zum Aufbereiten wäßriger Titandioxidhydrat-Suspensionen durch Druckfiltration
GB1560944A (en) * 1975-12-23 1980-02-13 Laporte Industries Ltd Slurries of titanium dioxide
US4152176A (en) * 1978-08-07 1979-05-01 R. O. Hull & Company, Inc. Method of preparing titanium-containing phosphate conditioner for metal surfaces
GB2043609B (en) * 1979-03-06 1983-01-26 Tioxide Group Ltd Aqueous dispersions
CA1151499A (en) * 1979-03-06 1983-08-09 Tioxide Group Limited Aqueous dispersions
US4288254A (en) * 1979-07-27 1981-09-08 Nl Chem Canada Inc. Predispersed slurry of titanium dioxide
US4448609A (en) * 1981-04-10 1984-05-15 Laporte Industries Limi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queous dispersions of pigmentary titanium dioxide
JPS6223988A (ja) * 1985-07-24 1987-01-31 Toshiba Corp 防錆剤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007279A (pt) 1992-03-17
MY105214A (en) 1994-08-30
DE69013501D1 (de) 1994-11-24
CN1047102A (zh) 1990-11-21
CN1028325C (zh) 1995-05-03
EP0472537A1 (en) 1992-03-04
AU5448590A (en) 1990-11-29
WO1990013606A1 (en) 1990-11-15
CA2010869A1 (en) 1990-11-12
ZA901670B (en) 1991-11-27
CA2010869C (en) 2000-01-04
JPH0717873B2 (ja) 1995-03-01
AR247904A1 (es) 1995-04-28
AU623569B2 (en) 1992-05-14
EP0472537B1 (en) 1994-10-19
JPH04505172A (ja) 1992-09-10
FI912335A0 (fi) 1991-05-14
US4978396A (en) 1990-12-18
RU2052479C1 (ru) 1996-01-20
DE69013501T2 (de) 1995-02-23
KR920701371A (ko) 1992-08-11
PH26398A (en) 1992-07-02
ES2019833A6 (es) 199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252B1 (ko) 고함량의 고체를 함유한 안료 슬러리의 제조 방법
US3642511A (en) Method of treating wollastonite with acid and the pigment product formed thereby
KR101081727B1 (ko) 구형상 탄산칼슘 및 그의 제조방법
EP0435936B1 (en) High solids aqueous silica slurry
EP0444798A2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itanium dioxide
CA2329824C (en) Very high solids tio2 slurries
US3268388A (en) Manufacture of calcium carbonate
JP2000178024A (ja) 製紙スラッジを利用した軽質炭酸カルシウムおよびその製法
US5573658A (en) Low brightness functional pigment from process by-product
JPS6223989B2 (ko)
CA1053876A (en) Method and means of growing coarse gypsum and magnetite
CN103068737A (zh) 通过预消化的石灰苛化产物的亮度改进
US2785991A (en) Preparation of red oxide of iron
US2956859A (en) Preparation of anhydrite
JPH1111941A (ja) 軽質炭酸カルシウムの製造方法
US5338354A (en) Composite pigmentary material
CA2101042C (en) High solids content titanium dioxide suspension
US5766564A (en) Process for making aluminosilicate for record material
JPH0673690A (ja) 製紙用軽質炭酸カルシウムの製造方法
US3981978A (en) Working up aqueous titanium dioxide hydrate suspensions
US3783096A (en) Method of making paper using a pigment comprising calcium sulfate particles embedded in silica gel particles
US5147458A (en) Structured pigment from high TiO2 /Fe2 O3 kaolinite reject material
US2378148A (en) Process of treating titanium oxide pigments
US3110606A (en) Preparation of crystalline silicic acid pigments
EP1365993A1 (en) Process for reductive bleaching of alkaline earth metal carbon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