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97B1 - 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 Google Patents

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97B1
KR0138197B1 KR1019940028727A KR19940028727A KR0138197B1 KR 0138197 B1 KR0138197 B1 KR 0138197B1 KR 1019940028727 A KR1019940028727 A KR 1019940028727A KR 19940028727 A KR19940028727 A KR 19940028727A KR 0138197 B1 KR0138197 B1 KR 013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er
arm
horizontal
bogi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8113A (en
Inventor
교이찌 야마시다
Original Assignee
교이찌 야마시다
코요지도우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이찌 야마시다, 코요지도우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이찌 야마시다
Priority to KR101994002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97B1/en
Priority to TW083110553A priority patent/TW254991B/en
Publication of KR96001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97B1/e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Handcar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암의 승강기구를 간략화하여 자동차의 이동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입체주차장용 자동차 이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vehicle mov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that can greatly reduce the moving time of the vehicle by simplifying the elevating mechanism of the arm.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이동장치는 승강대차에 탑재되며, 승강판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주행하는 수평대차와, 상기 수평대차에 탑재되고 수평대차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입 및 후퇴가 가능하며 수평대차에 대해 승강이 가능한 캐처를 포함한다.The vehicle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oisting bogie, and includes a horizontal bogie that ru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plate, and is capable of entering and retracting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horizontal bogie and mounted on the horizontal bogie. It includes a catcher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캐처는 4개의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아암은 수평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캐처에 지지되어 있으며, 좌우 한쌍을 한조로 하여 캐처상에 이동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The catcher is provided with four arms, which are supported by the catcher for horizontal rotational movement, and are mounted on the catcher in a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각각의 아암의 자유 단부에는 타이어의 하부로 출입이 자유로운 다수의 갈고리가 세로방향의 진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At the free end of each arm, a number of hooks, which are free to enter and exit the bottom of the tire, are supported in a state allowing longitudinal vibration.

Description

입체주차장용 자동차 이동장치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제1도는 일부분을 생략하여 도시한 이동장치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mobile device shown with a portion omitted.

제2도는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이동장치의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of a moving device shown by removing a portion.

제3도는 이동장치의 승강수단에 대한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lifting means of the mobile device.

제4도는 아암의 미끄럼 이동기구에 대한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sliding mechanism of the arm.

제5도는 일부 아암에 대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some arms.

제6도는 아암의 중앙횡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er of the arm.

제7도는 아암의 회전운동기구에 대한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rotary motion mechanism of the arm.

제8도는 이동장치의 가로이동기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one embodiment of a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of a mobile device.

제9도는 일부분을 생략하여 도시한 일체주차장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n integrated parking lot in which a part is omitted.

제10도는 제9도의 선 X-X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주차실12,31,41,62,71:레일11: Parking lot 12, 31, 41, 62, 71: Rail

13,32:바닥면14:중앙통로13, 32: Bottom 14: Central passage

15:지지기둥20:자동차15: support pillar 20: car

21:타이어30:턴테이블21: tire 30: turntable

40:승강판43,77c:체인40: lifting plate 43, 77c: chain

50:이동장치60:수평대차50: mobile unit 60: horizontal balance

61,72,93:차바퀴70:캐처61,72,93: wheel 70: catcher

73:차축75:워엄기어73: axle 75: worm gear

76,78,101:전동기77a,77b:스프로켓76, 78, 101: Motor 77a, 77b: Sprocket

80:아암82:갈고리80: arm 82: hook

83,92:지지축85:스프링83,92: Support shaft 85: Spring

88:가로대90:하부끼움판88: side stand 90: bottom plate

91:상부끼움판100:랙91: upper plate 100: rack

102:스토퍼102: stopp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입출고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입체주차장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직접 자동차를 탑재하여 이송하는 자동차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for automatically carrying out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moving apparatus for directly transporting a vehicle.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 2-279880 호에는 입체주차장내로의 자동차의 입출고를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이동장치를 채용한 입체주차장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2-279880 discloses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employing a moving device for mechanically carrying out a car in and out of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이 이동장치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구획지워진 다수의 주차실에 대한 통로내에 배치되며, 통로에 제공된 턴테이블과 각 주차실 사이를 이동한다.The moving device is arranged in a passageway for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partition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moves between the turntable provided in the passageway and each parking space.

또한, 이 이동장치는 주차실 또는 턴테이블상을 주행할 수 있는 캐처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is mo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atcher which can travel on a parking space or a turntable.

캐처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부터 자동차의 하부로 잠입이 가능하도록 얇게 설계되어 있다.The catcher is thinly designed to be able to sneak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from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또한, 캐처는 자동차의 4개의 타이어 하부로 미끄러져 들어가 파지할 수 있는 포트형상의 아암을 4쌍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catcher is provided with four pairs of port-shaped arms which can slide and grasp under four tires of an automobile.

각각의 아암은 그 일단부가 90도 각도의 범위내에서 수평회전할 수 있도록 캐처축 상에서 지지된다.Each arm is supported on the catcher axis so that one end thereof can rotate horizontally within a range of 90 degrees.

아암의 다른쪽 단부의 일면에는 포크형상의 갈고리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arm, fork-shaped hook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턴테이블이나 각 주차실의 바닥면에는 아암의 갈고리 선단부가 들어갈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진 홈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groove having a width and a depth in which the hook tip of the arm can enter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rntable or each parking compartment.

턴테이블상의 자동차를 주차실로 이동시키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진행된다.When the car on the turntable is moved to the parking space, the following process is performed.

우선, 4쌍의 아암을 닫은 상태에서 캐처를 턴테이블과 자동차 바닥면과의 사이에 잠입시킨다.First, the catcher is infiltrated between the turntable and the floor of the vehicle with the four pairs of arms closed.

그런다음, 캐처만을 자동차 하면에 충돌시키고 않고 4쌍의 아암이 열리는 높이까지 상승시킨다.Then, without catching only the catcher on the underside of the car, four pairs of arms are raised to the open height.

이 상태에서 4개의 아암을 90도 각도로 수평으로 회전시켜 정지시킨다.In this state, the four arms are rotated horizontally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stop.

이때, 각 아암의 갈고리는 각 타이어와 평행한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hooks of each arm are orien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tire.

다음은, 각 아암의 갈고리 선단부가 턴테이블 바닥면의 홈내에 수용 될 때까지 캐처만을 내려고, 이 상태에서 각 아암을 앞바퀴 및 뒷바퀴를 향해 평행이동시켜 각 아암의 갈고리를 각 타이어의 바로 아래에 들어가도록 한 다음, 모든 타이어가 턴테이블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올라간 높이까지 캐처만을 상승시킨다.Next, lower the catcher only until the hook tip of each arm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on the bottom of the turntable, and in this state, move each arm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so that the hook of each arm enters directly under each tire. Then, raise the catcher only to the height that all the tires are slightly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turntable.

끝으로, 자동차를 들어올린채 캐처를 이동장치 본체로 후퇴시킴으로써, 자동차를 옮겨 놓는 작업이 완료된다.Finally, by retracting the catcher to the vehicle body while lifting the car, the work of moving the car is completed.

다음에는, 자동차를 올려놓은채 이동장치를 빈주차실 앞까지 이동시키고, 자동차를 탑재한 캐처만을 주차실내로 전진시킨다.Next, the moving device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empty parking room with the car on, and only the catcher equipped with the car is advanced into the parking space.

캐처를 주차실내로 전진시키고, 캐처만을 내려서 자동차의 모든 타이어를 주차실의 바닥면에 착지시킨다.Advance the catcher into the parking space and lower only the catcher to land all tires of the car on the floor of the parking space.

이때, 캐처의 각 아암의 갈고리를 주차실 바닥면의 홈내에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hook of each arm of the catcher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 channel of the parking compartment floor surface.

타이어의 착지가 완료되면, 하강상태인채로 각각 쌍으로된 아암을 서로 근접방향으로 평행이동시켜서 아암의 갈고리를 타이어의 하부로부터 빼낸다.When the landing of the tire is completed, the paired arms are mov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lowered state, and the hooks of the arms are remov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tire.

그런다음, 아암을 닫기위해 필요한 높이까지 캐처만을 상승시킨후, 각각의 아암을 반대로 90도 각도로 회전시켜서 캐처의 내측에 수용한다.Then, only the catcher is raised to the height necessary to close the arm, and then each arm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accommodate the inside of the catcher.

이어서, 캐처만을 하강시켜 주차실로부터 이동장치본체로 후퇴시킨다.Subsequently, only the catcher is lowered to retreat from the parking compartment to the mobile unit body.

자동차를 입체주차장으로부터 꺼낼 경우에는, 입고시에 비해 자동차의 수취지점과 인도지점이 상이할뿐, 이동장치의 기본동작은 동일하다.When the car is taken out from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only the receiving point and the delivery point of the car are different from those at the time of receipt, and the basic operation of the moving device is the same.

한편, 이들 각부의 운동개시나 정지는 각종 센서를 통해서 감시되며, 제어된 컴퓨터에 의해 자동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art or stop of movement of each part is monitored by various sensors and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controlled computer.

전술한 이동장치에서는 자동차의 입출고에 요구되는 시간의 단축화가 요망되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mobile device, it is desired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getting in and out of a car.

왜냐하면, 조작시간의 단축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자동차를 주차장으로부터 꺼낼때의 대기시간의 단축을 제공할 수 있고, 주차장의 경영자에게 있어서는 자동차의 입출고 시간이 짧아질수록 주차장의 이용효율이 높아져서 그만큼 영업상의 이익이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hortening of the operation time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 shortening of waiting time when the car is taken out of the parking lot, and for the manager of the parking lot, the shorter the entry / exit time of the car, the higher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parking lot, and thus the operational benefit. Because it becomes.

그러나, 전술한 이동장치의 각 동작속도를 빨리하는데에는 동작의 확실성과 안전성을 유지한다는 면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is a limit in maintaining the certainty and safety of the operation to speed up each operation speed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개량을 통해 이동장치에 의한 일부의 동작을 생략함으로써 신속·정확하게 자동차의 입출고를 수행할 수 있는 입체주차장용 자동차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ov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that can perform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quickly and accurately by omitting a part of the operation by the moving device through a simple improvement. It i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입체주차장의 전체구성Overall structure of multi-level parking lot

제9도는 입체주차장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이 도면을 참조하면, 격납고(10)내에는 중앙통로(1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가로 및 세로방향의 다수의 주차실(11)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11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gar 10 with the central passage 14 therebetween.

각각의 주차실(11)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이 움푹패어 있다.Each parking chamber 11 is recessed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

주차실(11)의 양쪽에는 한쌍의 레일(12)과, 각각의 레일(12) 바깥쪽에 자동차의 타이어를 착지시켜 지지하는 바닥면(13)이 형성되어 있다.On both sides of the parking space 11, a pair of rails 12 and the bottom surface 13 which support and support the tire of an automobile are formed in each rail 12 outer side.

또한, 자동차의 방향을 바꾸는 턴테이블(30)이 통로(14)쪽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turntable 30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s arranged to be rotatable toward the passage 14.

턴테이블(30)의 중앙도 주차실(11)과 마찬가지로 움푹하게 패여있고, 그 양측에 한쌍의 레일(31)과, 각각의 레일(31)의 바깥쪽에 자동차 타이어를 착지시키는 바닥면(32)이 형성되어 있다.Similarly to the parking room 11, the center of the turntable 30 is also recessed, and a pair of rails 31 on both sides thereof and a bottom surface 32 on which an automobile tire is landed on the outside of each rail 31 are provided. Formed.

각각의 주차실바닥면(13) 및 턴테이블(30)의 바닥면(32)에는 각각의 레일(12) 및 (13)에 따라서 홈(13a) 및 (32a)의 등간격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parking surface floor 13 and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turntable 30 are recessed at equal intervals of the grooves 13a and 32a along the rails 12 and 13, respectively. .

통로(14)내에는 통로(14)의 전체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승강판(40)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passage 14, a lifting plate 4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passage 14 is arranged horizontally.

승강팡(40)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로(14)의 양쪽에 세워서 설치한 지지기둥(15)에 보유되며, 그 양단부에 로프(43)의 당겨감기조작에 의하여 임임의 높이로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elevating member 40 is held in support pillars 15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assage 14, and are mounted at both ends thereof by a pulling operation of the rope 43. It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이동장치(50)는 차바퀴(61)를 통해서 승강판(40)의 레일(41)상에서 주행가능하도록 탑재되어 있다.The moving device 50 is mounted on the rail 41 of the elevating plate 40 via the wheel 61 so as to be capable of traveling.

제8도는 승강판(40)에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감은 회전식 체인(43)의 일부를 이동장치(50)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하고 체인(43)의 정회전 및 역회전 조작에 의해서 이동장치(50)를 주행시키는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동장치(50)의 주행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되어 있는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가 있다.8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device 50 by integrally connecting a part of the rotary chain 43 which is rotatably wound in both directions of the lifting plate 40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and operate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chain 43. By way of example, the mobile device 50 is driven by one embodiment, but the traveling means of the mobile device 50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known means can be adopted.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승강판(40)의 승강구동원과 이동장치(50)의 주행구동원을 컴퓨터로 제동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주차실(11)과 턴테이블(30) 사이를 이동장치(50)가 이동하게 된다는 것이다.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by controlling the braking of the elevating drive source of the elevating plate 40 and the driving drive source of the moving device 50 by a computer, the arbitrary parking room 11 and the turntable ( The moving device 50 is moved between 30).

제1도에는 이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illustrates a mobile device.

이동장치(50)는 승강판(40)의 레일(41)상에 주행가능하게 탑재된 수평대차(60)와, 수평대차(60)에 탑재되어 레일(41)의 직교방향으로 주행하는 캐처(70)를 구비하고 있다.The moving device 50 includes a horizontal bogie 60 mounted on the rail 41 of the elevating plate 40 so as to be capable of traveling, and a catcher mounted on the horizontal bogie 60 and travel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rail 41 ( 70).

본 발명은 특히 캐처(70)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the improvement of the catcher 70.

제3도를 참조하면, 수평대차(60)는 그 중앙에 개처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3, the horizontal bogie 60 has a recess in the center for accommodating the location.

오목부의 양쪽상면에는 각각 레일(62)이 배치되어 있다.Rails 62 are dispos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recessed portions.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 캐처(70)는 수평대차(60)와 거의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가지는 강성틀로서, 복수개의 차바퀴(72)에 의해서 수평대차(60)에 대해 승강이 가능하고, 수평대차(60)의 길이방향에 따라 주행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1 to 7, the catcher 70 is a rigid frame having the same overall length as the horizontal bogie 60, and is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the horizontal bogie 60 by the plurality of wheels 72.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rav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ogie 60.

캐처(70)는 자동차의 앞타이어 2개와 뒷타이어 2개를 잡아줄 수 있도록 4개의 아암(8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아암(80)은 자동차의 좌우에 위치한 타이어를 잡을 수 있도록 쌍을 이루고 있고, 각 쌍 단위로 지지축(92)을 중심으로한 회전운동과 캐처(70)의 길이방향으로의 미끄럼이동을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catcher 70 is provided with four arms 80 to hold two front tires and two rear tires. These arms 80 are paired to hold the tir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and the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support shaft 92 and the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cher 70 are carried out in each pair unit. Can be controlled by

수평대차(60)의 레일(62)상에는 캐처(70)의 차바퀴(72)가 탑재되어 있다.The wheel 72 of the catcher 70 is mounted on the rail 62 of the horizontal bogie 60.

차바퀴(72)는 제3도에서와 같이, 캐처(70)를 횡단하여 지지된 차축(73)에 대해 편심상태로 부착되어 있다.The wheel 72 is attached eccentrically to the axle 73 supported across the catcher 70, as in FIG.

캐처(70)는 차축(73)의 회전조작에 의해 차바퀴(72)중심과 차바퀴(72)중심의 편심된 분만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The catcher 7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ccentric one of the center of the wheel 72 and the center of the wheel 72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axle 73.

차축(73)의 회전수단으로서는 예를들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처(70)의 길이방향을 향해 공통축(74)을 배치하고, 공통축(74)과 각 차축(73)에 설치한 기어와의 교차점에 워엄기어(75)를 부착시키며, 각 공통축(74)에 기어를 통해 전공기(76)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전동기(76)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서 수평대차(60)에 대해 캐처(70)의 승강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As the rotation means of the axle 73,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mmon shaft 74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cher 70, and the common shaft 74 and each axle ( The worm gear 75 is attached to the intersection with the gear installed in 73, and the forward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76 is arranged on the common shaft 74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machine 76 through the gear. And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tcher 70 relative to the horizontal bogie 60 by reverse rotation.

수평대차(60)상의 캐처(70)를 주차실(11) 또는 텐테이블(30) 사이로 진입·후퇴시킬때에는, 예컨대, 래크와 피니언기어등의 조합에 의한 기어기구나 나사이송기구등의 공지된 이송기구를 채용할 수가 있다.When the catcher 70 on the horizontal bogie 60 enters and retracts between the parking compartment 11 or the tentables 30, for example, a known feed such as a gear mechanism or a screw transfer mechanism by a combination of a rack and a pinion gear, and the like. A mechanism can be adopted.

이동장치(50)는 자동차의 좌우 앞바퀴와 좌우 뒷바퀴를 개별적으로 잡아준다.The moving device 50 separately holds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and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of the vehicle.

좌우 한쌍(제1도에서는 상하 한쌍)을 한조로 하는 가조의 아암(80)의 회전운동기구와 미끄럼 이동기구는 동일하나, 각조의 아암(80)의 회전운동이나 미끄럼 이동을 개별적으로 제어된다.The rotary motion mechanism and the sliding mechanism of the arm 80 of a pair of right and left pairs (one pair up and down in FIG. 1) are the same, but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arm 80 of each pair are controlled individually.

아암(80)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체형상이 엘(L)자를 이루고 있으며, 아암(80)의 자유단부에는 아암(80)의 자유단부와 직교하는 방향쪽으로 복수의 갈고리(82)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arm 80 has an L-shape in its entire shape, and a plurality of arms 80 are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ee end of the arm 80 at the free end of the arm 80. The hooks 8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각각의 갈고리(82)는 수평부(82a),경사부(82b) 및 연장부(82c)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Each hook 82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part 82a, the inclination part 82b, and the extension part 82c.

갈고리(82)의 수평부(82a)에는 지지축(83)이 관통되어서 일정범위에 걸쳐 지지축(83)을 중심으로한 상하방향의 진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The support shaft 83 penetrates the horizontal portion 82a of the hook 82 and is supported in a state allowing th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support shaft 83 over a predetermined range.

갈고리(82)의 수평부(82a)의 하면과 아암(80)사이에는 각각의 갈고리(82)를 상승방향으로 미는 스프링(85)이 삽입설치되어 있다.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82a of the hook 82 and the arm 80, a spring 85 for pushing the respective hook 82 in the upward direction is inserted.

아암(80)의 구조상의 특징중 하나는, 캐처(70)가 수평대차(60)에 대해 하강상태에 있을 때, 갈고리(82)가 캐처(70) 및 수평대차(60)의 각각의 레일(71) 및 (62)에 충돌하지 않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One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rm 80 is that when the catcher 70 is in the lowered position relative to the horizontal bogie 60, the hooks 82 are each of the rails of the catcher 70 and the horizontal bogie 60. It is arranged at a height that does not collide with 71) and (62).

이것은, 캐처(70)가 하강상태이더라도 각각의 아암(80)의 개폐조작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each arm 80 even when the catcher 70 is in the lowered state.

또한, 갈고리(82)가 원활하게 타이어의 하부로 잠입할 수 있도록, 갈고리(82)의 연장부(82c) 선단을 둥글게 형성하거나, 혹은 롤러를 부착시켜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ip of the extension portion 82c of the hook 82 is rounded or a roller is attached so that the hook 82 can be smoothly penetra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tire.

제1도 내지 제7도에 기초하여, 아암(80)의 미끄럼 이동기구에 대해 설명하자면, 각각 쌍으로된 아암(80)은 하부끼움판(91)의 양단부사이에 각각 지지축(92)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the sliding mechanism of the arm 80 will be described. The paired arms 80 respectively support the support shafts 92 between both ends of the lower fitting plate 91. It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하부끼움판(90)의 하부에 설치한 차바퀴(93)가 캐처(70)의 레일(71)에 올려져 있다.The wheel 93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itting plate 90 is mounted on the rail 71 of the catcher 70.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처(70)의 측면에 설치한 스프로켓(77a)와 (77b) 사이에 전동기(78)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체인(77c)이 감겨진다.As shown in FIG. 2 and FIG. 4, the chain 77c which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78 is wound between the sprockets 77a and 77b provided in the side of the catcher 70. As shown in FIG.

이 체인(77c)은 하부끼움판(90)의 일부에 접속되며, 전동기(78)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서 각각 쌍으로된 아암(80)을 레일(71)을 따라 자유롭게 주행시킬 수가 있다.The chain 77c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lower fitting plate 90, and the pair of arms 80 can freely travel along the rails 71 by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78, respectively. .

그리고, 갈고리(82)의 경사부(82b)상부의 적당한 위치에 타이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도시생략)를 부착시킨다.And a sensor (not shown) which detects a tire contact is attached to the appropriate position on the inclined part 82b of the hook 82. As shown in FIG.

이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제2도에 도시한 전동기(78)에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면, 갈고리(82)가 타이어의 하부둘레면에 접촉한 시점에서 아암(80)의 미끄럼이동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When a stop signal is generated to the electric motor 78 shown in FIG. 2 using the signal of this sensor, the sliding movement of the arm 80 is stopped when the hook 82 contacts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 can do it.

그리고, 갈고리982)의 경사부(82b)상부의 적당한 위치에 타이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도시생략)를 부착시킨다.Then,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contact of the tire is attach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inclined portion 82b of the hook 982.

이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제2도에 도시한 전동기(78)에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면, 갈고리(82)가 타이어의 하부둘레면에 접촉한 시점에서 아암(80)의 미끄럼이동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When a stop signal is generated to the electric motor 78 shown in FIG. 2 using the signal of this sensor, the sliding movement of the arm 80 is stopped when the hook 82 contacts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 can do it.

아암980)의 미끄럼 이동수단으로서는, 상기한 기구 이외에도 나사이송기구등의 공지된 이송기구를 채용할 수가 있다.As the sliding means of the arm 980, a known transfer mechanism such as a screw transfer mechanism can be adopted in addition to the above mechanism.

제1도 및 제7도에 예시한 각 아암(80)의 회전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쌍으로된 아암(80)과 가로대(88)가 링(89)으로 연결되어 있고, 가로대(88)에 접속된 직선형기어인 랙(100)이 회전운동제어용 전동기(101)의 기어에 맞물려 있다.Referring to the rotational motion mechanism of each arm 80 illustrated in FIGS. 1 and 7, first, the paired arms 80 and the crosspiece 88 are connected by a ring 89, and the crossbars ( The rack 100, which is a straight gear connected to 88, is meshed with a gear of the motor 101 for rotational motion control.

랙(100)의 중간에는 가로대(100)의 미끄럼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102)가 배치되어 있다.The stopper 102 which regulates sliding of the crosspiece 10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rack 100. As shown in FIG.

또한, 전동기(101)의 정·역회전 조작에 의해 아암(80)이 지지축(92)을 중심으로하여 수평으로 회정운동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the arm 80 rotates horizontally about the support shaft 92 by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101.

다음은, 캐처(70)에 의한 타이어의 파지동작과 착지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grip operation and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tire by the catcher 70 will be described.

먼저, 턴테이블(30)상의 자동차를 주차실(11)로 입고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ase where the car on the turntable 30 is put into the parking room 11 is demonstrated.

운전자의 운전에 의해 자동차가 턴테이블(30)상으로 들어가면, 이동장치는 턴테이블(30)과 대향하는 위치에 정치되고, 모든 아암(80)을 안쪽으로 닫은 상태의 캐처(70)가 레일(62)로부터 턴테이블(30)의 레일(32)위로 이동하여 자동차의 바로 아래에 잠입한다.When the vehicle enters the turntable 30 by the driver's driving, the moving device is lef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urntable 30, and the catcher 70 in the state in which all the arms 80 are closed inward is turned on the rail 62. Is moved from above to the rail 32 of the turntable 30 and sneak directly under the vehicle.

본 발명자가 이전에 제안한바 있는 이동장치는 캐처가 자동차의 아래측에 잠입하면, 아암을 수평대차의 레일에 충돌시키지 않고 열기 위해서 캐처를 상승시킬 필요가 잇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캐처(70)를 상승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쌍으로된 아암(80)을 바깥쪽을 향해 90도 각도로 회전시켜서 열 수가 있다.The mover previousl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needed to raise the catcher in order to open the arm without colliding with the rail of the horizontal bogie when the catcher is infiltrated on the underside of the vehicl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cher 70 is lifted. The paired arms 80 can be opened by rotating the paired arms 80 outwar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out being raised.

모든 아암(80)을 연후, 각각의 아암(80)을 자동차와 전단 및 후단을 향해 미끄럼이동시켜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갈고리(82)의 선단이 타이어의 하부둘레면에 맞붙어서 강제로 밀려내려간다.After opening all arms 80, sliding each arm 80 towar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ar, the tip of each hook 82 will engage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as shown in FIG. I'm forced to go down.

밀려내려간 갈고리(82)는 턴테이블(30)의 바닥면(32)에 형성되어 있는 홈(32)내로 수용되면서 평행이동을 계속한다.The claw 82 pushed back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32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turntable 30 to continue the parallel movement.

갈고리(82)가 타이어(21)의 하부로 잠입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타이어(21)와의 접촉정보를 기초로하여 미끄럼이동이 정지된다.When the hook 82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ire 21, the sliding movement is stopped based on the contact information with the tire 21 as described above.

만약, 갈고리(82)가 진동히지 않는 고정식이라면, 아암(80)이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갈고리(82)가 홈(32)내에 수용되는 높이까지 캐처(70)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갈고리(82)를 진동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캐처(70)를 하강시키지 않고서도 갈고리(82)를 타이어(21)의 하부로 잠입시킬 수가 있다.If the hook 82 is a stationary type that does not vibrat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catcher 70 to a height at which the hook 82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32 before the arm 80 starts to move. In this case, the hook 82 is vibrated so that the hook 82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ire 21 without lowering the catcher 70.

갈고리(82)가 타이어(21)의 하부로 잠입하면, 캐처(70)를 상승시켜 자동차를 바닥면(32)으로부터 근소하게 상승시킨다.When the hook 82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ire 21, the catcher 70 is raised to slightly raise the automobile from the bottom surface 32.

그런다음, 자동차를 탑재시킨 캐처(70)를 수평대차(60)로 후퇴시킨다.Then, the catcher 70 on which the vehicle is mounted is retracted to the horizontal bogie 60.

이동장치(50)는 턴테이블(30)로부터 자돛차(20)를 받으면, 빈주차실(11)까지 이동한다.When the moving device 50 receives the sleeper car 20 from the turntable 30, the moving device 50 moves to the empty parking room 11.

다음에, 이동장치(50)가 주차실(11)에 도착하면, 자동차(20)를 탑재한 캐처(70)가 주차실(11)을 향해 전진한다.Next, when the moving device 50 arrives at the parking space 11, the catcher 70 on which the vehicle 20 is mounted moves forward toward the parking space 11.

이때, 캐처(70)는 수평대차(60)의 레일(62)로부터 주차실(11)의 레일(12)위로 옮겨타고 주차실(11)로 자동 주행한다.At this time, the catcher 70 moves from the rail 62 of the horizontal bogie 60 to the rail 12 of the parking compartment 11 and automatically travels to the parking compartment 11.

자동차(20)가 주차실(11)내의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캐처(70)의 전진을 정지시킨다.When the vehicle 2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rking compartment 11, the forwarding of the catcher 70 is stopped.

그런 다음, 캐처(70)를 하강시키면 모든 아암(80)들도 함께 하강하는데, 그 결과, 타이어가 주차실(11)의 바닥면(13)에 착지됨과 동시에 아암(80)의 갈고리(82)가 바닥면(13)의 홈내에 수용된다.Then, when the catcher 70 is lowered, all the arms 80 are lowered as a result, and as a result, the tire lands on the bottom surface 13 of the parking compartment 11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82 of the arm 80. Is received in the groove of the bottom surface 13.

이 상태에서 각각의 아암(80)을 근접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키면, 갈고리(82)가 타이어(21)의 하부로부터 빠져나와 스프링(85)의 탄력을 받아서 원래의 높이까지 상승한다.In this state, when each arm 80 is slid in the proximal direction, the hook 82 is pulled out of the lower part of the tire 21 to receive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85 and rise to the original height.

각각의 아암(80)의 평행이동이 완료되면, 제1도에 도시한 모든 아암(80)을 닫고, 캐처(70)를 수평대차(60)로 후퇴시킨다.When the parallel movement of each arm 80 is completed, all the arms 80 shown in FIG. 1 are closed and the catcher 70 is retracted to the horizontal bogie 60.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아암의 갈고리를 진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갈고리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다음과 같은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by constructing the arm hook so that the arm can be made to advance and applying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is raised.

먼저, 아암의 갈고리를 타이어의 하부로 잠입시킬 때 갈고리가 타이어의 둘레면을 따라 강제적으로 밀려내려가므로, 캐처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생략할 수가 있다.First, since the hook is forcibly pushed down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when the hook of the arm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tire,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catcher can be omitted.

그리고, 아암의 갈고리를 타이어의 하부로부터 빼낼때에, 갈고리가 탄력으로 인해 상승되므로, 캐처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생략할 수가 있다.When the hook of the arm is pulled out from the lower part of the tire, the hook is raised due to the elasticity, so that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catcher can be omitted.

이에의해, 이동장치의 일부동작을 생략할 수가 있으므로, 그만큼의 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자동차의 입·출고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As a result, since a part of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can be omitted, such control is unnecessary, and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quickly.

끝으로, 세로방향으로 진동하는 갈고리의 진동량만큼 캐처의 승강량을 적게 설계할 수가 있다.Finally, the amount of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tcher can be designed as much as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hook vib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laims (1)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주차실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주차실에 연결된 통로내에 승강가능한 승강판을 구비하고 있는 입체주차장에서, 상기 통로를 따라서 상기 승강판에 이동가능하게 탑재되어 소정의 상기 주차실과 자동차 분배지점 사이로 자동차를 이송함으로써 자동차를 입·출고시키는 입체주차장용 자동차 이동장치에 있어서, 승강대차에 탑재되며 상기 승강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주행하는 수평대차, 및 상기수평대차에 탑재되고 상기 수평대차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입 및 후퇴가 가능하며 상기 수평대차에 대해 승강이 자유로운 캐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캐처는 4개의 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아암은 수평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캐처에 지지되어 있으며 좌우 한쌍을 한조로하여 상기 캐처상에 이동가능하게 탑재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아암의 자유단부에는 타이어의 하부로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는 다수의 갈고리가 세로방향의 진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갈고리가 항상 승강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동장치.In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partition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lifting plate that can be lifted and lowered in a passage connected to each of the parking chambers,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is movable on the lifting plate along the passage and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In a three-dimensional parking vehicle moving apparatus for moving in and out of a car by transferring a car between the parking compartment and the distribution point of a vehicle, a horizontal bogie mounted on a hoisting cart and travel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isting plate, and a horizontal bogie. And a catcher capable of entering and retract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horizontal bogie and freely lift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gie, wherein the catcher has four arms, and the arm has the catcher to enable horizontal rotational movement. It is supported on the top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to move on the catcher The free end of each arm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hooks that can freely enter and exit the bottom of the tire in a state that allows the vibr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hooks can always lift up and down. Car shifter,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40028727A 1994-11-03 1994-11-03 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KR0138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727A KR0138197B1 (en) 1994-11-03 1994-11-03 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TW083110553A TW254991B (en) 1994-11-03 1994-11-15 Automobile movement device for 3-D parking l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727A KR0138197B1 (en) 1994-11-03 1994-11-03 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113A KR960018113A (en) 1996-06-17
KR0138197B1 true KR0138197B1 (en) 1998-07-01

Family

ID=5140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727A KR0138197B1 (en) 1994-11-03 1994-11-03 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38197B1 (en)
TW (1) TW254991B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113A (en) 1996-06-17
TW254991B (en)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33809A (en) Transfer mechanism for automobile parking garages
CN211032326U (en) AGV floor truck
KR100955167B1 (en) Article transfer method using self·propelled carriage, and self·propelled carriage
JP2004211513A (e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KR0138197B1 (en) Vehicle shifter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CN109488078B (en) Vehicle carrying system based on AGV
CN113802903B (en) Stopping and taking method based on AGV trolley transfer vehicle
JP2805518B2 (en) Vehicle transfer method and vehicle transport trolley
CN214835185U (en) Tandem parking equipment
KR200280709Y1 (en) Side lifting machine of tow car
JP3192599B2 (en) Plane reciprocating parking system
KR200163899Y1 (en) Automobiles access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system
JPS61111296A (en) Roll transporter
CN218623586U (en) Stereo garage sideslip frame
CN217872068U (en) Car garage
JP3192600B2 (en) Mechanical multi-story parking device
JP2602396B2 (en) Pallet transfer device for elevator type garage
JP2004092354A (en) Parking apparatus
CN114737805A (en) Stereo garage rapid vehicle storing and taking method and lifting comb frame thereof
JP3731701B2 (en) Goods storage equipment
JP7001257B2 (en)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with an external vehicle boarding / alighting section
JPH1046858A (en) Turntable turning driving device for parking device
JP3225208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JP2023080208A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JPS6111122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