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742Y1 - 개량 재떨이 - Google Patents

개량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742Y1
KR0137742Y1 KR2019950016986U KR19950016986U KR0137742Y1 KR 0137742 Y1 KR0137742 Y1 KR 0137742Y1 KR 2019950016986 U KR2019950016986 U KR 2019950016986U KR 19950016986 U KR19950016986 U KR 19950016986U KR 0137742 Y1 KR0137742 Y1 KR 0137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ashtray
cap
fire extinguisher
ash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906U (ko
Inventor
황영주
Original Assignee
황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주 filed Critical 황영주
Priority to KR2019950016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742Y1/ko
Publication of KR970003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각종의 재떨이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존 재떨이 사용시 발생하는 담뱃재 등의 비산방지 및 소화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재떨이의 청결유지 및 광고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재떨이 몸체(2)의 수납요입부(1)에는 끼움턱(3)을 형성하여 소화구(4)를 결합함으로써 담뱃재의 소화에 일익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2)의 상부에는 투입공(11)과 광고부(12)를 가진 캡(9)을 끼움결합하여 담뱃재가 풍향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캡(9)의 상면에는 광고부(12)를 형성하여 다양한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각종의 재떨이.

Description

개량 재떨이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요입부 2 : (재떨이)몸체
3 : 끼움부 4 : 소화구
5 : 관체 6 : 소화공
7 : 가이드판넬 8 : 경사면
9 : 캡 10 : 끼움턱
11 : 투입공
본 고안은 재떨이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흡연시에 담뱃재와 담배꽁초를 수납,수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재떨이는 개략 다양한 형상의 수납요입부를 가지는 재떨이 몸체와, 상기 몸체에는 담배를 흡연시 잠시 안치시킬 수 있는 안치홈, 또는 담배를 소화(消火)할 때 압압식으로 소화할 수 있는 압압부 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재떨이는 흡연자가 흡연을 하는 데에는 하등의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재떨이 본연의 기능인 담뱃재와 담배꽁초 등을 수납하는 기능상에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즉 기존의 재떨이 몸체는 상부가 개방형으로 되어 있어 하절기에 선풍기 등에서 발생하는 인공적인 풍향이나 자연풍에 의해 몸체내에 수납저장된 담뱃재가 공중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있어 주위를 오손시키고, 이를 재차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담뱃불을 소화할 경우 대개는 담뱃불의 확실한 소화여부를 확인치 않고 압압한 후에 기존에 미리 수납된 담배꽁초 상간에 버리게 되면 잔여 불씨가 이웃하는 담배꽁초에 전이되어 실내의 공기를 오손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재떨이는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담뱃재와 담배꽁초가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실내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재떨이의 외면여백이나 바닥면 등에 다양한 광고를 행하고 있으나, 이는 주위사람들의 눈에 쉽게 확인되지 않아 광고효과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었는바,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기존의 재떨이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재떨이를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주된 특징은 담뱃재나 담배꽁초를 별도로 분리수납할 수 있는 재떨이 몸체와 소화구를 구비하여 소화의 용이성 및 화재예방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담뱃재의 비산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캡을 재떨이 몸체에 착탈되게 결합하되, 상기한 캡의 외면은 광고면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 작용, 효과 등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통상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담배꽁초와 담뱃재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요입부(1)를 가지는 재떨이 몸체(2)의 중앙에는 돌출형의 끼움턱(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끼움턱(3)의 외경치수와 거의 일치하며, 끼움턱(3)에 끼움안치될 수 있는 소화구(4)를 별도로 구비한다. 상기한 소화구(4)는 소정 높이를 가진 원통형의 관체(5)의 상단에 소화공(6)을 가지며 외연부로 하향 경사진 개략 깔때기형의 가이드판넬(7)을 결합한 형상으로서, 상기한 가이드판넬(7)은 소화공(6)을 경계로 적정폭 중앙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8)도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떨이 몸체(2)의 상부 외연에는 개략 소정의 폭(t)을 갖는 링타입의 캡(9)을 끼움 안치토록 하며, 캡(9)을 몸체(2)와 결합시 안내기능과 동시에 끼움결합 후 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9)의 저면부에는 몸체(2)의 내경치수와 동일한 정도의 외경치수를 가진 끼움턱(10)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한 캡(9)의 중앙에 형성되는 투입공(11)의 치수(t')은 소화구(4)의 가이드판넬(7)치수보다는 최소한 동일하거나 조금이라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실시예 1과 기본 구성은 동일한 것이나, 재떨이 몸체(2)의 중앙에 소화구(4)만 구비하고 캡(9)을 제외시킨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는 단지 소화구(4)의 가이드판넬(7)을 보다 크게 형성하여 캡으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2)는 캡(9)의 상면 광고부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재떨이 사용방법과 같이 흡연시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재떨이를 사용할 경우는 하기와 같이 사용한다.
즉 흡연자가 흡연시에 발생되는 담뱃재는 캡(9)의 투입공(11)과 소화구(4)의 소화공(6)을 통하여 담뱃재만 분리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흡연시에 발생하는 담뱃재는 소화구(4)의 관체(5)상에 별도로 분리수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흡연 종료를 위하여 담뱃불을 소화코져 할 시는 담배의 연소부를 소화구(4)의 소화공(6) 내주연 부위에 마찰시켜 연소되고 있는 담뱃재만 소화구(4)의 관체(5)상으로 수납되도록하고, 담배의 연소부가 분리된 담배꽁초는 소화구(4)의 가이드판넬(7)상에 안치하면 가이드판넬(7)이 외방으로 하향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안치된 담배꽁초는 가이드판넬(7)을 따라 슬라이드 낙하하여 재떨이 몸체(2)의 수납요입부(1)상으로 수납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떨이 몸체(2)의 수납요입부(1)상에 적정의 담배꽁초가 수납되어 재떨이를 청소코져 할 경우는 몸체(2)상부의 캡(9)과 끼움턱(3)상에 끼움된 소화구(4)를 상방으로 각각 분리하여 수납요입부(1)상의 담배꽁초와 담뱃재를 별도의 분리포대 등에 분리수거하면 되는 것이며, 제4도와 같은 경우는 소화구(4)만 분리한 후 수납요입부(1)상의 담배꽁초와 담뱃재를 별도의 분리포대 등에 분리수거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재떨이를 재사용 할 시에는 소화구(4)와 캡(9)은 재차 끼움턱(3)과 몸체(2)상부에 끼움안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재떨이는 사용시 하기와 같은 특유의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서, 첫째는 각종의 냉방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인공적인 풍향, 또는 자연풍 등이 불어도 담뱃재가 주위에 비산되지 않는다. 이는 담뱃재와 담배꽁초가 수납되는 부위가 각각 소화구(4)상의 상부만 개방되고 측방부가 폐쇄된 관체(5)상에 수납되므로 풍향에도 수납된 담뱃재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 수납상태에서 비산되는 폐단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며, 담배꽁초 역시 수납요입부(1)상에 수납된 후 캡(9) 또는 소화구(4)에 의해 풍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담배공초상에 있는 담뱃재 역시 주위에 비산될 수 있는 폐단이 일소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재떨이 몸체(2)상부에 끼움안치되는 캡(9)은 소정의 치수(t)를 가진 상면 광고부(12)를 가지고 있어 상기 상면 광고부에 다양한 광고를 행할 경우 그 광고효과는 종래의 측면이나 바닥면 등에 행하는 광고와 비교하여 볼 때 지대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다양한 형상의 재떨이에 담뱃재 소화용의 소화구(4)를 구비하여 미소화된 담뱃불로 인한 주위 공기의 오염방지 및 만약의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재떨이 몸체(2)의 상부에는 소화구(4)의 가이드판넬(7)과 협조하여 수납요입부(1)를 풍향 또는 주위사람들의 육안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캡(9)을 결합하거나 또는 소화구(4)의 가이드판넬(7)을 수납요입부(1)치수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크게 형성하여 담뱃재 등이 공중에 비산하여 주위를 오손시키는 폐해를 미연에 예방하여 청결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캡(9)의 상면 광고부(12)에는 각종의 다양한 광고를 행할 수 있어 광고상품으로도 크게 각광 받을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개시하는 기술중에서 특히 보호받고져 하는 부분이 기재될 것이지만, 본 고안의 구성중에서 일부 구성부재의 형상을 달리하거나 재질구성을 달리하는 등의 본 고안에서 해결한 기술적 수단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유사한 변형 실시예 역시 본 고안과 동일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Claims (1)

  1. 각종의 재떨이에 있어서, 상기 재떨이 몸체(2)의 수납요입부(1)에는 끼움턱(3)을 형성하여 소화구(4)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2)의 상부에는 투입공(11)과 광고부(12)를 가진 캡(9)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소화구(4)는 끼움턱(3)에 부합끼움되는 관체(5)의 상단에 중심을 향한 경사면(8)과 외향 경사면을 가진 가이드판넬(7) 중심에 소화공(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재떨이.
KR2019950016986U 1995-07-07 1995-07-07 개량 재떨이 KR0137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986U KR0137742Y1 (ko) 1995-07-07 1995-07-07 개량 재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986U KR0137742Y1 (ko) 1995-07-07 1995-07-07 개량 재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906U KR970003906U (ko) 1997-02-19
KR0137742Y1 true KR0137742Y1 (ko) 1999-02-01

Family

ID=1941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986U KR0137742Y1 (ko) 1995-07-07 1995-07-07 개량 재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7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906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5164A1 (en) Disposable hookah bowl
JPH08942U (ja) エチケットパイプ
US5469870A (en) Secondary smoke filtration device
US4587980A (en) Portable cigarette holder, extinguisher and ashtray
KR0137742Y1 (ko) 개량 재떨이
CA2252198A1 (en) Smoke without a trace technology (s.w.a.t.t.)
CN101011189A (zh) 防火、保洁、定点灭火烟套
KR100650159B1 (ko) 휴대용 담배 파이프 겸용 재떨이
CN201418377Y (zh) 多功能自熄式烟灰缸
KR20140101913A (ko) 휴대용 흡연장치
KR930003311Y1 (ko) 재떨이
JP3097236U (ja) タバコ火消し装置
JP3033561B2 (ja) スモーキングスタンド
KR200222406Y1 (ko) 재떨이
CN212464876U (zh) 一种吸烟方便安全能自行收集烟灰的夜光吸烟具
JP3035783U (ja) 消火装置付灰皿
KR950007936Y1 (ko) 재떨이
KR101179619B1 (ko) 휴대용 담배꽁초 홀더
AU688546B2 (en) Smokers ventilation apparatus
KR200236568Y1 (ko) 담배 부스러기 유출방지 마개와 착화부 인식표가 구성된담배
JP3066414U (ja) 携帯用灰皿
KR200199735Y1 (ko) 재떨이가 부설된 라이터
JPH02303476A (ja) 喫煙用ブロック
KR200189276Y1 (ko) 연소방지수단이 구비된 담배
JPH08228749A (ja) 紙巻煙草の灰落ち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