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542B1 - 전자식 클러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클러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542B1
KR0137542B1 KR1019940037835A KR19940037835A KR0137542B1 KR 0137542 B1 KR0137542 B1 KR 0137542B1 KR 1019940037835 A KR1019940037835 A KR 1019940037835A KR 19940037835 A KR19940037835 A KR 19940037835A KR 0137542 B1 KR0137542 B1 KR 013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olenoid
diaphragm spring
pres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763A (ko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4003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542B1/ko
Publication of KR96002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 F16D27/04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movable friction surfaces
    • F16D27/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movable friction surfaces with friction surfaces arranged externally to the flu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40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in which the or each axially-movable member is pressed exclusively against an axially-locat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의 변속장치차량에 있어서 클러치의 동력전달을 전자식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전자식 클러치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클러치내의 압력판을 작동시키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스위치작동에 의해 2개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클러치의 동력전달을 단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클러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징은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압력판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를 착탈되도록 하는 클러치의 동력전달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중공 사이로 전방에는 드라이브 피니언에 제1솔레노이드가 고정축설되고, 후방에는 상기 드라이브 피니언의 주면을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제2솔레노이드가 전면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중공 단부와, 후면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서 되며, 상기 제2솔레노이드의 전원을 단속하는 ON, OFF스위치는 기어변속레버 파지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클러치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구조의 동력전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클러치가 작동되어 동력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면 제3도는 종래의 클러치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다이어프램 스프링30:압력판
40:클러치디스크50:플라이휘일
60:드라이브 피니언70:제1솔레노이드
80:제2솔레노이드
본 발명은 수동식의 변속장치차량에 있어서 클러치의 동력전달을 전자식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전자식 클러치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클러치내의 압력판을 작동시키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스위치작동에 의해 2개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클러치의 동력전달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클러치에대한 것이다.
수동식 변속장치차량의 클러치에는 통상 기계식과 유압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기계식 클러치가 차량의 대부분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와같은 유압식 클러치는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클러치 페달을 밟을 경우 유압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릴리스포트(120)를 작동시켜 릴리스베어링(110)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릴리스베어링(110)은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이나 릴리스레버(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켜 압력판(30)을 후진시키므로서 클러치디스크(40)를 플라이휘일(50)로 부터 떨어지도록 하여 동력전달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어변속후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개되면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이나 압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복원력에 의해 릴리스베어링(1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서 클러치디스크(40)는 플라이휘일(50)에 밀착되어 엔진으로 부터의 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특히 도심과 같은 복잡한 도로 주행시에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을 자주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피로감을 가중시키게 되며, 잦은 반클러치의 사용으로 클러치디스크(40)의 마모를 촉진시키는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이나 릴리스레버를 작동시키기까지의 기계적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많고, 그만큼 제작비가 상승되는 것이며, 고장빈도가 많아지게 되는 비경제적인 것이다.
한편 자동변속차량의 경우에는 가격이 너무 비싸 일반 운전자들에게는 구입에상당히 부담을 갖게 되므로 폭넓은 수요충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동식 변속차량에서 보다 간단하게 클러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로 되는 바 본 발명은 단순히 스위치 작동에 의해 2개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다이아프램 스프링(10)이 종전과 똑같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과 요구를 해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는 구조를 보다 단순화시켜 제작에 따른 공정 축소 및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목적으로는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면서, 반클러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클러치 디스크이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또다른 목적으로는 단속 작동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므로서 동력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클러치를 제공코자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의 동력전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 압력판(30)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40)를 착탈되도록 하는 클러치의 동력전달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의 중공(11) 사이로 전방에는 드리이브 피니언(60)에 제1솔레노이드(70)가 고정축설되고, 후방에는 상기 드라이브 피니언(60)의 주면을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솔레노이드(70)가 전면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의 중공(11) 단부와, 후면에서는 스토퍼(9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즉 고정된 상기 제1솔레노이드(70)로 제2솔레노이드(80)가 이끌리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을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80)를 배면에서 지지하는 지지구조로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코일스프링이나 접시형의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갖는 탄지구조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으로 부터의 동력이 변속기로 항시 전달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70)는 드라이브 피니언(60)에 고정착설된 상태이고, 제2솔레노이드(80)는 다이어프램 스프링(10)에 의해 후진되어 후면으로 스토퍼(9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동력을 차단시키려면,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스위치를 ON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2솔레노이드(8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80)에 전원이 흐르게 되면, 제2솔레노이드(80)와 제1솔레노이드(70)사이에는 강한 전자기가 형성되어 고정된 제1솔레노이드(70)로 상기 제2솔레노이드(70)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끌려져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을 작동시키므로서 압력판(30)을 후진시키게 되고, 클러치 디스크(40)를 플라이휘일(50)로 부터 이탈되도록 하므로서동력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항상 전자기를 띠고 있는 제1솔레노이드(70)로 스위치작동에 의해 전자기가 생기는 제2솔레노이드(80)가 보다 강해진 인력에 의해 이끌려지면서 제2솔레노이드(80)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이 작동되어 압력판(30)을 후진시키므로서 동력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기어를 변속시킨 후 스위치를 OFF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면 제1솔레노이드(70)와 제2솔레노이드(70)간의 자력이 상실되므로서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솔레노이드(80)는 원위치로 밀려 후진되면서 배면이 스토퍼(90)에 의해 탄지되는 상태인 제1도와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는 기어변환레버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클러치의 동력단속과 기어변환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작동이므로 먼저 변환레버 파지와 동시에 스위치를 ON상태가 되도록 하여 동력을 차단시킨 후 기어변속을 하고, 기어변속이 끝나 변속레버에서 손을 떼게되면 스위치는 자동으로 OFF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서 다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1솔레노이드(70)와 제2솔레노이드(80)의 사이에서 강한 전자기를 형성시켜 제2솔레노이드(80)의 전진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이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압력판(30)을 후진작동시켜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간단한 스위칭조작에 의해서 수행되게 하므로서 조작이 대단히 간편해지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클러치의 완전한 연결 또는 분리만 수행될 뿐 반클러치 사용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클러치디스크(40)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종래에 비해 대단히 간소해지므로서 제작에 따른 다수의 공정이 생략됨과 아울러 부품감소에 따른 제작비를 현저하게 절감시키게 되는 잇점도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스위치 작동과 동시에 제2솔레노이드(80)가 신속하게 이동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10)을 작동시키게 되므로 작동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불필요한 동력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간단히 스위치작동에 의해 쉽고, 빠르며, 명확한 클러치 단속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대폭적인 제작비 및 유지비의 절감을 가능케 하므로서 경제성을 대단히 향상시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압력판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를 착탈되도록 하는 클러치의 동력전달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중공 사이로 전방에는 드라이브 피니언에 제1솔레노이드가 고정축설되고, 후방에는 상기 드라이브 피니언의 주면을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솔레노이드가 전면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중공단부와, 후면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서 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의 전원을 단속하는 ON, OFF 스위치를 기어변속레버 파지부에 구비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클러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장력을 갖는 탄지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클러치.
KR1019940037835A 1994-12-28 1994-12-28 전자식 클러치 KR013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835A KR0137542B1 (ko) 1994-12-28 1994-12-28 전자식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835A KR0137542B1 (ko) 1994-12-28 1994-12-28 전자식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763A KR960021763A (ko) 1996-07-18
KR0137542B1 true KR0137542B1 (ko) 1998-06-01

Family

ID=1940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835A KR0137542B1 (ko) 1994-12-28 1994-12-28 전자식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119B1 (ko) 2014-09-18 201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763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87711B2 (ko)
KR0137542B1 (ko) 전자식 클러치
KR100461078B1 (ko) 자동 트랜스퍼 쉬프팅 장치
KR960011205A (ko) 변속기어박스의 자동 선택장치를 비상 주행위치로 조정하는 장치
KR100452427B1 (ko) 4륜구동 차량의 동력단속장치
KR0165029B1 (ko) 자동 변속기의 파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799554B2 (ja) 変速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0224350B1 (ko) 다단 변속기용 하이/로우(high/low) 절환 장치
KR102184845B1 (ko) 차량용 파킹장치
RU2719746C1 (ru) Механическая трансмиссия автомобиля
KR20020038342A (ko) 차량용 변속 조작기구
KR970001804B1 (ko) 자동변속기의 파킹해제용 스위치장치
KR100568808B1 (ko) 수동 변속기의 비상 클러치 장치
KR100276916B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US20230279910A1 (en) A saddle-ride type vehicle comprising a clutch assembly and a control device for said clutch assembly
JPS5953233A (ja) 自動車における動力取出装置のコントロ−ル装置
KR200247111Y1 (ko) 자동차용 클러칭 지연 장치
JP3359829B2 (ja) 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JP2605533B2 (ja) 自動変速機のエンジンブレーキ選択圧制御装置
KR100552762B1 (ko) 상용차량의 공압 변속장치
KR200167373Y1 (ko) 수동변속기의 파워 실린더 작동제어장치
KR0164296B1 (ko) 차량의 오토 트랜스미션 모듈레이터 제어장치
KR0120309B1 (ko) 매뉴얼 트랜스밋션용 클러치의 자동 작동장치
JPS5873443A (ja) パ−トタイム式4輪駆動車の切換制御装置
JPH04334628A (ja) トラクタシヨベル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