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47Y1 - 풍구 - Google Patents

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47Y1
KR0137447Y1 KR2019950000457U KR19950000457U KR0137447Y1 KR 0137447 Y1 KR0137447 Y1 KR 0137447Y1 KR 2019950000457 U KR2019950000457 U KR 2019950000457U KR 19950000457 U KR19950000457 U KR 19950000457U KR 0137447 Y1 KR0137447 Y1 KR 0137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inlet
outlet
dischar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792U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2019950000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447Y1/ko
Publication of KR960026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에서 돌이나 쭉쟁이 등을 선별하는 풍구를 개량고안한 것인데, 기존의 풍구에서 투입구 상측에는 받침대(14)를 설치하고 배출구(18) 측면으로 또 다른 배출구(10)를 이중으로 설치하므로서 투입구에 곡물을 부을때 손쉽게 부을 수 있고 곡물 포대가 스크류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여, 풍구의 작동을 멈추거나 곡물을 땅에 흘림이 없이 연속적으로 곡물을 포대에 담을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풍구
제1도는 본 고안 풍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반대편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이송콘베이어 및 배출함체 부분만을 발췌한 단면도.
제4도는 배출구에 곡물포대를 대고 곡물을 받는 상태의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 풍구에서 투입구에 곡물을 쏟아 붓기 위하여 곡물포대를 투입구 상측에 위치한 받침대에 올려놓은 상태의 예시도.
제6도는 종래 풍구에서 투입구에 곡물포대의 곡물을 쏟아붓는 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풍구 2 : 함체
3 : 송풍통 4 : 투입구
5 : 이송콘베이어 6 : 버킷트벨트
7 : 배출함체 8,10 : 배출구
8a,10a : 배출공 11 : 배출공차단판
12 : 축봉 13 : 배출방향 조절레버
14 : 받침대
본 고안은 곡물을 탈곡한 후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돌맹이나 모래 그리고 쭉쟁이나 기타불순물등을 선별하여 순수한 곡물 만을 얻는데 사용하는 풍구를 개량 고안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풍구는 대체적으로 함체의 상측에는 선별하고자 하는 곡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일측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통이 있으며, 내부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걸름망과 이송스크류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 스크류의 끝단외부에는 이송콘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곡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상측의 투입구에 곡물을 투입하면 곡물은 투입구의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송풍기의 바람에 날려서 경사지게 설치된 걸름망에 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빈쭉정이나 검불들은 걸름망을 지나 배출구로 배출되고 곡물만이 걸름망에 낙하하여 이송스크류로 굴러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는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돌맹이나 모래등이 걸름망 하측으로 낙하선별된다. 따라서 순수한 곡물들은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콘베이어로 이송되고 이송콘베이어에 의하여 곡물포대에 담겨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구는 사용상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다.
첫째 : 상기와 같은 기존의 풍구는 이송콘베이어 상측의 배출구가 1개만 설치되어 있어서, 곡물포대에 곡물이 가득담겨서 새로운 곡물포대를 배출구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60㎏ 정도인 무거운 곡물포대를 배출구에서 들어내고 다시 새로운 곡물포대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순간 곡물이 계속 배출되므로 곡물이 땅에 떨어져 나중에 별도로 쓸어 담아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풍구의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선별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둘째 : 선별하고자 하는 곡물을 풍구의 투입구에 부을 경우 곡물포대는 60㎏정도의 무게 이기 때문에 포대 내부의 곡물이 모두 쏟아질때 까지 들고 있을수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곡물포대의 입구를 홉퍼의 내부로 향하게 하고 포대전체를 투입구에 집어넣은 다음 곡물포대를 잡아당겨서 빼내는 것이 통예인데 이럴경우 제6도의 도시와 같이 곡물포대의 입구가 투입구 하측의 좁은 낙하공으로 빠짐과 동시 내부의 곡물이 눌러주므로 곡물포대가 잘 빠지지 않으며, 특히 조금만 방심하면 곡물포대가 이송스크류에 휘감겨 버리므로 기계의 동작이 멈춤과 동시 이송스크류에 감긴 곡물포대를 빼내기 위해서는 풍구를 분해 하여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풍구를 개량고안한 것인데 기존의풍구에 있어서, 이송콘베이어 상측의 배출구와 90도 방향으로 또 다른 배출구를 이중으로 설치함과 동시 내부에는 두개의 배출구중 한개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는 배출공차단판을 설치하여 연속적인 선별작업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또한 투입구 상측에는 투입구를 가로지르는 다수개의 받침개를 설치하므로서 곡물포대를 올려놓아도 곡물만 투입구로 낙하할뿐 포대는 낙하공으로 빨려들어가지 않게 한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함체(2)의 상측에는 홉퍼형태의 투입구(4)가 마련되어 있고 일측에는 송풍통(3)이 있으며 내부에는 걸름망(24)과 이송스크류(20)가 설치되고 이송스크류(20)의 일측 끝단과 접해서는 이송콘베이어(5)가 설치되었으며, 이송콘베이어 상측에는 1개의 배출구(8)가 설치되어 있는 통상적인 풍구에 있어서, 투입구(4)의 상측에는 투입구를 가로지는 1개 또는 2개 정도의 받침대(14)를 고정설치하였으며, 이송콘베이어(5) 상측의 배출함체(7)에 마련된 기존의 배출구(8) 측면 90도 방향으로는 동일한 형태의 또다른 배출구(10)를 이중으로 형성함과 동시 배출함체(7)의 내부에는 두개의 배출구(8)(10)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배출공차단판(11)을 축봉(12)으로 설치함과 동시 축봉(12)을 배출함체(7) 상측으로 연장하여 배출방향 조절레버(13)을 부착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송풍기이며, 6은 버킷트 벨트, 8a, 10a는 배출공, 16, 16a는 곡물포대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풍구의 전체적인 동작상태를 기존의 풍구와 동일한 것으로서, 투입구(4)에 곡물(21)을 공급하면 곡물은 하측의 낙하공으로 자유낙하되고 이순간 송풍기(9)의 바람에 의해 검불이나 쭉쟁이 등은 바람에 날려서 외부로 배출되고, 곡물은 송풍기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걸름망(24)으로 낙하하여 미세한 돌맹이 들이 제거된채 이송스크류(20)에 모이면 이는 다시 이송콘베이어(5)에서 버킷트벨트(6)에 의해 상측의 배출구(8)로 배출되어 다시 곡물포대에 담겨지는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투입구(4) 상측에 다수개의 받침대(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5도의 도시와 같이 곡물포대(16)를 입구가 투입구 하측의 낙하공(25)으로 향하게 투입구(4) 상측에 올려놓아도 곡물포대(16)는 낙하공(25)으로 빨려 들어가지 않고 내부의 곡물만 쏟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같이 곡물포대가 스크류(20)에 감기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또 곡물포대가 스크류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물포대를 여러사람이 잡아당기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송콘베이어(5)의 상측 배출함체(7)에는 기존의 배출구(8)와는 별도로 또 다른 배출구(10)를 마련하고, 내부에는 두개의 배출구(8)(10)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배출공차단판(11)을 설치하고 이의 축봉(12)을 배출함체(7)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배출방향 조절레버(13)를 부착하므로서 배출함체(7) 상측의 배출방향 조절레버(13)를 회전시키면 배출공차단판(11)이 쉽게 90도 회전하며 배출구(8)(10)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곡물을 선별할때는 제3도 및 제4도의 도시와같이 두개의 배출구(8)(10) 중 일측의 배출구(10)를 배출공차단판(1)으로 차단하고 배출구(8)에 곡물포대(16)를 대고 곡물을 담는 작업을 함과 동시 폐쇄된 배출구(10)에는 또다른 곡물포대(16a)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출구(8)쪽의 곡물포대(16)에 곡물이 가득담기면 즉시 배출방향 조절레버(13)를 90도 회전시켜 준다. 그러면 배출공 차단판(11)은 반대로 배출구(8)를 막아주고 배출구(10)를 열어주게 되어 곡물은 이번에는 곡물포대(16a)에 담기게 된다. 따라서, 이 순간에 배출구(8)에서 곡물이 가득담긴 포대를 옮기고 새로운 곡물포대를 설치하는등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풍구의 작동을 중지시킴이 없이 연속적인 선별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풍구는 포대에 담긴 곡물을 풍구의 투입구에 부을때 포대가 스크류에 말려들어가는 폐단이 없으며, 선별된 곡물을 포대에 담을때도 곡물을 땅바닥으로 흘리거나 풍구의 작동을 중지시킴이 없이 연속작업을 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상측에는 투입구(4)와 하측에는 송풍기(9)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걸름망(24) 및 이송스크류(20)가 설치되었으며 이송스크류의 측면에 맞닿아서는 이송콘베이어(5)가 설치되고 이송콘베이어(5) 상측의 배출함체(7)에는 배출구(8)가 마련된 통상적인 풍구에 있어서, 투입구(4) 상측에는 1~2개의 받침대(14)를 설치하고, 배출함체(7)의 배출구(8) 측면에는 또 다른 배출구(10)를 이중을 설치함과 동시 이들의 내부에는 배출구(10)(8)를 교대로 폐쇄하는 배출공차단판(11)을 설치하고, 이의 축봉(12)을 배출함체(7)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여 이에 배출방향 조절레버(13)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KR2019950000457U 1995-01-13 1995-01-13 풍구 KR0137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457U KR0137447Y1 (ko) 1995-01-13 1995-01-13 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457U KR0137447Y1 (ko) 1995-01-13 1995-01-13 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792U KR960026792U (ko) 1996-08-17
KR0137447Y1 true KR0137447Y1 (ko) 1999-03-20

Family

ID=1940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457U KR0137447Y1 (ko) 1995-01-13 1995-01-13 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4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49Y1 (ko) * 2007-06-26 2009-07-24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의 공기 흡입구 개폐장치
KR200469439Y1 (ko) *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49Y1 (ko) * 2007-06-26 2009-07-24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의 공기 흡입구 개폐장치
KR200469439Y1 (ko) *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792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447Y1 (ko) 풍구
JP4049922B2 (ja) 穀粒等の選別装置
JP4049918B2 (ja) 穀粒等の三段選別機
US4548087A (en) Coal sampling device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JP3845812B2 (ja) 穀類選別計量機
JPS6122698Y2 (ko)
JPH0632231Y2 (ja) 回転式穀粒選別機
JPS5813983Y2 (ja) 多段式揺動選別機の分配給穀装置
JPH0335423Y2 (ko)
JPH0737844Y2 (ja) 骨材引き出しゲート装置
KR20040089812A (ko) 코크스 빈 장입설비의 장입조정 및 더스트 집진장치
JPS6120089Y2 (ko)
JPH01236980A (ja) 小米選別装置付き貯留タンク
CA1269100A (en) Apparatus for blending particulate solids
JPH0425263Y2 (ko)
JP3581468B2 (ja) 籾摺精米装置
KR860000336B1 (ko) 선회형 곡립 선별장치
JPS6314936Y2 (ko)
JPS638452Y2 (ko)
JP2561487B2 (ja) 穀粒選別装置
JP3767216B2 (ja) 精米施設
JPH0630314Y2 (ja) 無端ベルト式穀物選別装置における選別調節装置
JPS62783Y2 (ko)
JPH05365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