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367Y1 - 도어 개페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367Y1
KR0137367Y1 KR2019930009031U KR930009031U KR0137367Y1 KR 0137367 Y1 KR0137367 Y1 KR 0137367Y1 KR 2019930009031 U KR2019930009031 U KR 2019930009031U KR 930009031 U KR930009031 U KR 930009031U KR 0137367 Y1 KR0137367 Y1 KR 0137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device body
guid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867U (ko
Inventor
김용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9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367Y1/ko
Publication of KR940027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8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기본체로부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개폐작동이 원활하도록 한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기본체(A)의 내부 상,하측에 판스프링(5)을 가지는 장홈형의 가이드홈(2),(3)을 형성하여 상용도어(7)의 축핀형태 가이더(72),(73)를 슬라이딩 자재되게 삽입구성하고, 상기 기기본체의 개구부(1) 내측 상,하부에 형성시킨 축핀(8),(9)과 도어의 내벽 상,하부에 형성한 힌지부재(74),(75)와를 인장스프링(14)(15)이 장설된 링크(10)(11)로 힌지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결합 평단면도로서, 도어의 폐문상태 및 개문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기기본체 1 : 개구부
2,3 : 가이드홈 7 : 도어
8,9 : 축핀 10, 11 : 링크
14,15 : 인장스프링 72,73 : 가이더
74,75 : 힌지부재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본체로부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개폐작동이 원활하도록 한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와 같은 전자제품의 콘트롤부에 설치되는 종래 일반적인 도어는, 기기본체에 기 형성된 축핀에 도어의 힌지부를 삽탈식 조립수단에 의해 체결구성하여 여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개문된 상태에서 도어에 약간의 외압만 가해지더라도 그 힌지부가 해탈되게 됨으로써 본체와의 잦은 이탈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일소하여,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이탈 염려가 전혀없는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서는, 기기본체측의 가이드홈에 도어의 가이더가 삽입안내되어 슬라이딩작동케 하되, 도어 타측을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링크에 힌지 구성하여 도어의 미닫이식 개폐시 원활한 작동은 물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기본체(A)의 개구부(1) 상,하측에 소정길이의 가이드홈(2),(3)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홈(2) 직하부 전방측의 보스(4)에 판스프링(5)을 고정나사(6)로 고정설치하고, 손잡이부(71)를 갖는 도어(7)의 일측 상,하부에 축핀 형태의 가이더(72),(73) 및 타측의 내벽 상,하부에는 축핀 형태의 힌지부재(74),(75)를 가지는 브래킷(76),(77)을 내향되게 연설하여, 기기본체(A)의 내측 상,하부에 돌설한 축핀(8),(9)과 상기 도어(7)의 힌지부재(74),(75)에 링크(10),(11)를 그 축공(101),(102),(111),(112)을 통해 힌지구성 한다.
또한, 상기 링크(10),(11)의 스프링 걸이부(103),(113)와 기기본체(A) 상,하측의 스프링 걸이부(12),(13)에는 인장스프링(14),(15)을 탄력설치한다.
상기, 인장스프링(14),(15)은 가이드홈(2)측 판스프링(5)보다 하한치의 장력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17,18,19는 링크(10),(1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도어가 개문됨에 있어서는, 통상의 미닫이문 개문방식과 같이 손잡이부(7)를 가이드홈(2),(3)을 향해 밀므로써 개문이 가능케 되는바, 제1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7)의 가이더(72),(73)가 기기본체(A)의 가이드홈(2),(3)에 삽입 안내된채로 슬라이딩 되면서 도어(7)를 전진이동 시키며, 가이드홈(2),(3)의 종단부에 도달함과 동시에 판스프링(5)의 탄지압에 의해 상측의 가이더(72)가 록킹되게 되는 한편, 링크(10),(11)에 장설된 인장스프링(14),(15)은 인장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2) 측 판스프링(5)의 장력은 링크(10),(11)측 인장스프링(14),(15)의 장력에 비해 약간의 상한치의 값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7)는 개문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개문된 상태의 도어(7)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부(71)를 상기 개문시의 역방향으로 당기므로써 최초의 상태 즉, 폐문상태로 복귀되는 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장스프링(14),(15)이 압축됨에 따라 링크(10),(11)는 그 힌지축 즉, 축핀(8),(9)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이더(72),(73)가 상응 가이드홈(2),(3)내에서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도어(7)의 후진이 진행되며 또한 완료되게 된다.
이과정에서, 개문시 상기 가이더(72)를 구속하고 있던 판스프링(5)은 도어(7)의 후진과 더불어 가이더(72)를 점진적으로 탄지해제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고안 도어개폐 장치에 의하면, 기기본체의 가이드홈에 도어의 가이더가 삽입된채로 슬라이딩 작동됨에 따라 도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으며, 스프링이 장설된 링크 및 록킹 역할의 판스프링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기본체(A)의 개구부(1) 내측 상,하부에 형성시킨 축핀(8)(9)과 도어의 내벽 상,하부에 형성한 힌지부재(74),(75)와를 인장스프링(14),(15)이 장성될 링크(10),(11)로 힌지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A)의 내부 상, 하측에 판스프링(5)을 가지는 장홈형의 가이드홈(2),(3)을 형성하여 상응도어(7)의 축핀형태 가이더(72),(73)를 슬라이딩 자재되게 삽입 구성하여 도어가 이탈되지않고 미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KR2019930009031U 1993-05-26 1993-05-26 도어 개페장치 KR0137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031U KR0137367Y1 (ko) 1993-05-26 1993-05-26 도어 개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031U KR0137367Y1 (ko) 1993-05-26 1993-05-26 도어 개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867U KR940027867U (ko) 1994-12-10
KR0137367Y1 true KR0137367Y1 (ko) 1999-05-15

Family

ID=1935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031U KR0137367Y1 (ko) 1993-05-26 1993-05-26 도어 개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3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19724B (hu) * 1998-07-28 2001-07-30 Arturo Salice S.P.A. Működtető berendezés függőleges irányban eltolható záróelemm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867U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230B1 (ko) 벨트 인장 장치
US4790579A (en) Sliding spring latch
US5713647A (en)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computer case
EP0276757B1 (en) Torsion spring powered door
KR0137367Y1 (ko) 도어 개페장치
KR100870117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GB2339239A (en) Folding stay
KR100501154B1 (ko)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냉장고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KR930004049Y1 (ko) 다단레버 구동장치
GB2432189A (en) Stay comprising latch located between slider and base end
JP3271450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
KR960009297Y1 (ko) 도어 장치
AU6968894A (en) A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operator device with an operating member
US4146313A (en) Slot load movie projector mechanism
KR0113439Y1 (ko) 식기건조기의 도아개폐 및 수납장치
KR910007309Y1 (ko) 전기.전자제품의 콘트롤부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
KR940007802Y1 (ko) 카메라의 스트랩끈 고정장치
KR920001056Y1 (ko) 전자제품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100328985B1 (ko) 차량용 쿼터 글래스 개폐 장치
KR920006098Y1 (ko) Vtr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0126198Y1 (ko) 마이크로버스의 스윙도어용 센터링크
KR960001990Y1 (ko) 전자제품용 도어 체결장치
KR910000592Y1 (ko) Vtr의 콘트롤박스를 이용한 카세트 도아장치
KR100219907B1 (ko) 창문용 슬라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