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96Y1 -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 Google Patents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96Y1
KR0136796Y1 KR2019960003014U KR19960003014U KR0136796Y1 KR 0136796 Y1 KR0136796 Y1 KR 0136796Y1 KR 2019960003014 U KR2019960003014 U KR 2019960003014U KR 19960003014 U KR19960003014 U KR 19960003014U KR 0136796 Y1 KR0136796 Y1 KR 0136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ation direction
terminals
pump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176U (ko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03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796Y1/ko
Publication of KR970052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1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펌프 구동회로에서 전원의 오접속에 의한 펌프의 역외전으로 인해 소음이 증가하고 양수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펌프의 역회전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역회전방지회로는, R, S, T 단자를 구비한 전원과 상기 R, S, T 단자에 연결되는 U, V, W 단자를 구비한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에 연동하여 기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구동회로에 있어서, 전원의 R, S, T 단자에 연결된 모터의 U, V, W 단자의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 상기 위상검출부에서 검출된 U, V, W 단자의 윗아으로 부터 모터의 회전 방향을 판별하는 모터 회전방향판별부와, 상기 회전방향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 모터회전방향의 절환을 제어하는 회전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회전방향제어부 및 상기 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U, V, W 단자를 절환하는 회전방향절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의 펌프 정회전 구동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펌프 역회전 구동회로도.
제3 (A),(B) 및 (C)도는 각각 제1도의 전원전압 파형도, 모터전압 파형도 및 모터전압벡터도.
제4 (B),(B) 및 (C)도는 각각 제2도의 전원전압 파형도, 모터전압 파형도 및 모터전압벡터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역회전방지회로가 구비된 펌프구동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역회전방지회로 중의 모터회전방향 절환부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 2 : 모터
3 : 펌프 4 : 위상검출부
5 : 모터회전방향판별부 6 : 모터회전방향제어부
7 : 모터회전방향절환부
본 고안은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에 과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펌프 구동회로에서 전원의 오접속에 의한 펌프의 역회전으로 인해 소음이 증가하고 양수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펌프의 역회전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모터, 펌프로 구성된 펌프구동회로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어진 전압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게 되면 이 모터구동에 연동하여 펌프가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와 2도는 종래의 펌프 구동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정회전의 경우, 제2도는 역회전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정회전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1)의 R, S, T 단자를 차례로 각각 모터(2)의 U, V, W단자에 연결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전원(1)전압은 제3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S, T 단자들간에 전압위상차가 똑같이 120°씩 차이가 나도록 출력되며, 모터(2)의 입력전압도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 전압의 경우와 똑같이 U, V, W 단자들간의 전압위상차가 똑같이 120°씩 차이가 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위상차를 갖는 모터(2) 전압이 입력되면 제3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는 정회전, 즉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3)도 모터(2)와 연동하여 정회전으로 가동되게 된다.
다음, 역회전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의 R, S, T단자가 차례로 각각 모터(2)의 U, V, W 단자에 연결된 경우로서, 오접속된 경우이다. 이와같이 전원(1)의 R, S, T 단자를 모터(2)의 U, V, W단자에 연결할 때 U, V 단자를 서로 바꾸어 연결하게 되면, 전원(1) 전압은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의 경우와 동일한 전압위상차를 갖고서 출력되나, 모터(2)의 입력전압은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U, V, W 단자 순으로 위상차가 120°씩 나는 것이 아니라 V, U, W 단자순으로 120°씩 위상차가 나게 되므로, 즉 U와 V의 위상이 정회전의 경우에 비교해 뒤바뀌게 되어, 제4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는 역회전, 즉 도면에서 보아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3)은 모터(2)와 연동하여 역회전으로 가동되게 된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원(1)의 오접속에 의해 펌프(3)가 역회전을 하게 되면 펌프(2) 내부의 임펠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음이 증가하게 되고 양수기능도 현저히 떨어져 사용자는 이를 펌프고장으로 오인할 수가 있어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구동회로에서 사용자가 전원접속단자를 잘못 접속해도 펌프를 정상적으로, 즉 정회전시킬 수 있는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는 R, S, T 단자를 구비한 전원과 상기 R, S, T 단자에 연결되는 U, V, W 단자를 구비한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에 연동하여 가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구동회로에 있어서, 전원의 R, S, T 단자에 연결된 모터의 U, V, W 단자의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 상기 위상검출부에서 검출된 U, V, W 단자의 위상으로 부터 모터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는 모터 회전방향판별부와, 상기 회전방향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 모터회전방향의 절환을 제어하는 회전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회전방향제어부 및 상기 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U, V, W 단자를 절환하는 회전방향절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양상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 회전방향절환부는 상기 모터회전방향제어부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자화상태가 결정되는 여자코일과 이 여자코일의 자화시에 절환되는 접점들로 구성된 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역회전방지회로가 구비된 펌프구동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서는 종래기술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구동회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역회전방지회로는 전원(1)과 모터(2)사이에 구비된다. 역회전방지회로는 전원(1)의 R, S, T 단자에 연결된 모터(2)의 U, V, W 단자의 위상을 검출하기 위한 위상검출부(4)와, 위상검출부(4)로부터 검출된 U, V, W 단자의 위상으로 부터 모터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는 모터회전방향판별부(5)와, 모터회전방향판별결과에 따라서 모터회전방향의 절환을 제어하는 모터회전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회전방향제어부(6)와, 모터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U, V, W 단자를 절환하는 모터회전방향절환부(7)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역회전방지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위상검출부(4)에서 전원(1)의 R, S, T 단자에 연결된 모터(2)의 U, V, W단자의 위상이 검출되면, 모터회전방향판별부(5)에서 이 검출된 위상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에 따라서 모터회전방향제어부(6)에서 정회전인 경우 회전방향을 절환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만들고 역회전인 경우 회전방향을 절환하도록 제어신호를 만들어 모터회전방향절환부(7)로 출력하게 된다. 이 회전방향절환부(7)에서는 회전방향제어부(6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정회전일 경우에는 회전방향을 절환하지 않고, 역회전일 경우에는 U, V, W 단자 중 두 단자의 연결이 절환되어 역회전에서 정회전으로 바로 변환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2)의 U, V, W 단자가 전원(1)의 R, S, T 단자에 오접속되더라도 모터(2)는 역회전되지 않고 정회전하게 된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역회전방지회로 중의 일구성인 모터회전방향절환부(7)의 상세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회전방향절환부(7)의 상세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회전방향절환부(7)는 모터회전방향제어부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과, 이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자화상태가 결정되는 여자코일(MC)과 이 여자코일(MC)의 자화시에 절환되는 접점들(a, a', b, b', c, c')로 구성된 릴레이로 구성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에는 베일스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R1)이 부가되어 있으며, 여자코일(MC)는 전류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가 병렬고 부가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모터회전방향절환부(7)는 모터(2)가 정회전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가 오프상태가 되고, 따라서 릴레이의 여자코일(MC)이 저화되지 않아 릴레이 접점(c, c')이 각각 접점(a, a')에 연결되어 회전방향을 변경하지 않아 졍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전원(1)과 모터(2)의 오접속으로 역회전하도록 연결된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이 온상태가 되고, 따라서 릴레이의 여자코일(MC)이 저화되어 일레이접점(c, c')는 각각 접점(b, b')에 연결되어 회전방향을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변경하여 정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대한 설명으로 부터 잘 알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역회전방지회로는 전원의 오접속에 의한 펌프의 역회전으로 인한 소음증가 및 양수성능 저하의 결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R, S, T 단자를 구비한 전운과 상기 R, S, T 단자에 연결되는 U, V, W 단자를 구비한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에 연동하여 가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구동회로에 있어서, 전원의 R, S, T 단자에 연결되 모터의 U, V, W 단자의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 상기 위상검출부에서 검출된 U, V, W 단자의 위상으로 부터 모터의 회전 방향을 판별하는 모터 회전방향판별부와, 상기 회전방향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 모터회전방향의 절환을 제어하는 회전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회전방향제어부 및 상기 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U, V, W 단자를 절환하는 회전방향절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역회전 방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방향절환부는 상기 모터회전방향제어부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자화상태가 결정되는 여자코일과 이 여자코일의 자화시에 절환되는 접점들로 구성된 릴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역회전 방지회로.
KR2019960003014U 1996-02-26 1996-02-26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KR0136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014U KR0136796Y1 (ko) 1996-02-26 1996-02-26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014U KR0136796Y1 (ko) 1996-02-26 1996-02-26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176U KR970052176U (ko) 1997-09-08
KR0136796Y1 true KR0136796Y1 (ko) 1999-03-20

Family

ID=1945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014U KR0136796Y1 (ko) 1996-02-26 1996-02-26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7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176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678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rushless motors in response to switching transistor temperature
US3628110A (en) Braking circuit for brushless dc motor
KR920004648A (ko) 세탁기
US20010024063A1 (en) Submergence-detecting power-window apparatus
US5363534A (en) Vacuum cleaner and suction tube for use with a vacuum cleaner
US4942346A (en) Circuit for controlling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an electric motor
KR0136796Y1 (ko) 펌프의 역회전방지회로
US6009362A (en) Anomalous condition detecting apparatus for cooling motor fan
KR100636795B1 (ko) 브러시리스 dc 모터의 역기전력 검출 장치 및 이를이용한 브러시리스 dc 모터의 구동 장치
JP4026741B2 (ja) 過電流保護回路を有する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JPH09207719A (ja) ワイパ装置
JP2005348480A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モータ装置
KR930001868A (ko) 진공청소기의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JP3357851B2 (ja) モータの起動制御回路
TWI739192B (zh) 馬達堵轉檢測電路
JPH0670583A (ja) 直流モ−タの制御回路
US6448726B1 (en)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US5235265A (en) Multi-level motor load sensing circuit
KR930001781Y1 (ko) 직류 전동기의 스위칭 회로
KR960009319Y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 제어장치
KR0184564B1 (ko) 모터 보호 회로
JP2001178175A (ja)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システム
KR940001336Y1 (ko) 전압 겸용 회로
JPH11266591A (ja) モータ駆動装置
RU2077687C1 (ru) Холод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приводом от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