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93B1 - 전자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용 자동재조정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용 자동재조정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93B1
KR0136793B1 KR1019890018546A KR890018546A KR0136793B1 KR 0136793 B1 KR0136793 B1 KR 0136793B1 KR 1019890018546 A KR1019890018546 A KR 1019890018546A KR 890018546 A KR890018546 A KR 890018546A KR 0136793 B1 KR0136793 B1 KR 013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lutch
drive shaft
armature plate
re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256A (ko
Inventor
바이스 하랄트
회프렐 빈프리트
쉬링 칼
크링렐 귄테르
Original Assignee
프리쯔 마이어
크리스티안 마이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쯔 마이어, 크리스티안 마이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filed Critical 프리쯔 마이어
Publication of KR90001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전자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용 자동 재조정 조립체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재조정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고, 비여자된 상태, 즉 비작동 정지상태로 있는 브레이크 유니트의 단면도,
제 2a 도는 브레이크가 맞물려 있지만 마모 또는 재조정이 없이 전자기로 여자된 상태로 제 1 도의 브레이크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
제 2b 도는 브레이크 X간격만큼 마모되어 재조정된 후 제 2a 도에서와 같은 전자기로 여자된 상태로 제 1 도의 브레이크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의 자동 재조정 특징을 브레이크 및 클러치 측면 양쪽에 합체한 전자기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유니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일지지요소 2 : 전기자플레이트
3 : 구동축 4 : 재조정링
5 : 엔트레인먼트링 6 : 스프링/골이진 와셔
7 : 토오크전달볼트 8 : 토오크전달 환형의 스프링
9 : 베어링슬리이브 10 : 방사상플랜지/외면플랜지
12 : 부분(엔트레인먼트링(5)의) 14 : 플랜지부분(재조정링(4)의)
17 : 로우터/클러치측면 18 : 탄성 O-링(시일링)
(추가적인 부호)
a : 공기간격 X : 마모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전문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장치의 공기간격을 자동으로 재조정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각종 조정조립체는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실례는 크리스티안 게엠베하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에서 출원한 유럽특허 공개번호 제5473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 재조정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조립체는 균일한 공기간격이 균일한 작동상태, 평균적으로 균일한 작동 횟수, 및 개선된 위치조정의 정확성으로 작용하는 장점을 갖고 있어, 이러한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조립체의 사용자는 그자신이 공기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유럽특허 공개번호 제54734호에 개시된 이러한 형태의 자동 재조정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조립체는 구동축에서 전기자 플레이트로의 토오크가 연속으로 작동하는 2 개의 환형스프링(겹판)을 경유해서 전달되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그중의 하나는 토오크를 구동축에 연결된 플랜지 허브로부터 축방향 작용 엔트레인먼트(entrain ment) 연결부를 경유하여 전기자플레이트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엔트레인먼트링에 전달되며, 하지만 이 엔트레인먼트 연결부는 토오크를 전달하지 않는다. 엔트레인먼트링은 다른 하나의 전동 스프링을 경유하여 회전용 전기자플레이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자동 재조정 장치의 구조는 전동 스프링중의 하나가 이동되는 제 1 간격이 마모로 증가하여서 자기 코일이 구동측과 엔트레인먼트 사이에서 존재하는 마찰맞물림에 대해서 자동조정을 하기 위한 엔트레인먼트링은 원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점차로 어려워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상황은 구동축과 엔트레인먼트링 상에서 작용하는 잠금기구에 의해서 교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대체로 수선 비용을 요구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피복이 마모됨에 따를 재조정이 더욱 쉽게 되는 장치를 얻기 위해서 특허청구의 범위의 독립항에서 인용된 형태의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용 자동 재조정조립체를 개선함에 있다. 더욱, 이 조립체는 설계 및 제조가 단순하다.
재조정하기 위해 재조정의 더 넓은 범위가 코일지지부(1)와 전기자플레이트(2) 사이에 제공되는 한편 힘의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자기코일이 마모로 인해 증가하는 스프링력(추가로 전기자플레이트를 당기는데 필요로 하는 힘)을 극복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렇게하여, 개선된 위치조정의 정확성은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의 수명동안에 얻어진 것이다.
전술된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특징부를 이해함으로써 성취된다. 토오크전달은 전동볼트에 의해서 달성되어서 예를들어 전술한 종래의 기술의 토오크-전달 환형 스프링(겹판)과 같은 복원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코일지지요소가 발생하는 끌어당기는 힘은 오로지 압축스프링 조립체에 의해서 엔트레인먼트 연결부에서 반작용하게 되고 장치의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의 가압은 변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이유때문에 끌어당기는 힘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추가적인 장점은 본 발명의 해결로 인해 제조가 단순화된다는 것이다. 재조정은 마찰을 기초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재조정링과 구동축 사이에서 존재하는 마찰은 구동축내의 상응하는 홈에 놓여있는 0-링 또는 형상 및 재질이 유사한 마찰요소에 의해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발생되는 방식으로 원리는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힘전달 볼트가 환형의 스프링(겹판)에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볼트가 전기자플레이트 까지 안내하는 것을 제공하는 반면에 힘전달 환형 스프링이 약간 보상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전달볼트가 전기자플레이트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면, 전기자플레이트는 코일지지부재와 균일하게 맞물릴 수가 없으며, 잠재적으로 전기자플레이트가 움이지 않게 된다. 이 결과로서, 전동스프링은 탄성 보상축 연결의 방식으로 작용한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개공보 제135 821호는 클러치/브레이크의 허브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기자플레이트로 토오크를 전달시키기 위해서 리프스프링과 연결하고 있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볼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는, 재조정이 동시에 적어도 3개의 지점에서 이루어지지만, 이 재조정은 본 발명의 센터 재조정과 비교하여 볼 때 단점이다.
본 발명의 설계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유니트의 높은 위치조정의 정확성, 균일하고 짧은 작동횟수, 보수면제, 및 긴수명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단지 이 도면은 클러치의 상부분만 도시하였다는 사실에 주의하여야 한다. 하부부품은 동일하다.
제 1 도는 전자기코일을 지지하고 사용으로 인한 마모를 극복하기 위해 채용되는 마찰피복을 가진 코일지지요소(1)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코일지지요소(1)는 엔진벽 등과 같은 구조에 체결된다. 이 코일지지요소(1)는 감속되게 하는 구동축(3)을 둘러싸고 있고, 확대된 부분이 코일 외측외면 근처에서 외면을 따라 균일하게 이격된 복수의 평행축방향 보어를 가지고 있는 방사상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원주플랜지(10)를 가지고 있고, 사익 보어는 각각 베어링슬리이브(9) 나란히 세워져 있는 구동축(3)의 방사상플랜지(10)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토오크 전달볼트를 수용하고, 이러한 것의 모든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예를들면, 이러한 3 개의 토오크전달볼트는, 비록 도면에서는 한개만 도시하였지만, 외면을 따라 균일하게 이격된 관계로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슬리이브(9) 내측에서 이동가능한 토오크전달볼트(7)는 내부 나사식슬리이브 및 거기에 수용되는 외부 나사식 원통형 나사를 포함하고 있다. 축방향으로는 탄성적이지만 원주력에 대해서는 견고한 토오크 전달 환형의 부재(8)는 상기 슬리이브와 원통형 나사 사이의 제위치에서 체결된다. 토오크 전달 환형의 스프링 또는 부재(8)는 그 원주를 따라 볼트(7)의 슬리이브상에서 환형의 부재를 체결하도록 외부 나사식 원통형 나사를 수용하는 복수의 균일하게 이격된 보어를 갖고 있다. 환형의 부재는 3 개의 토오크전달볼트(7) 중에서 어떤 2 개 사이에서 외면 중심으로 위치된 리벳(도시되지 않았음)으로 전기자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토오크전달볼트(7)와 전기자플레이트(2)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하지만 축방향으로 항복되는 연결부가 제공된다. 전술한 리벳에 의해서 전기플레이트로의 토오크전달 환형스프링 또는 부재(8)의 연결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플레이트(2)는 토오크전달볼트(7)의 원통형 나사의 길이를 수용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대체로 보어의 형상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토오크전달볼트(7)와 환형의 스프링 또는 부재(8)를 연결하는 면적의 방사상 내부로, 전기자플레이트(2)는 나사체결구와 같은 부재에 의해서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냄비형상인 엔트레인먼트링(5)에 확고하게 연결된다. 엔트레인먼트(5)의 부분(12)은 마찰맞물림으로 구동축(3)에 놓여지는 슬리이브와 같은 재조정링(4)의 방사상 외방으로 돌출한 플랜지부분(14)을 넘어서 뻗어있도록 방사상 내부로 돌출한다. 구동축(3)과 신장되는 재조정링(4)의 슬리이브 형상부분 사이에서 마찰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서, 3 개의 탄성 0-링(18)과 같은 부재는 구동축의 표면에서 상응하게 제공된 홈에 놓여진다.
압축스프링(6)은 재조정링(4)의 방사상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플랜지부분(14)과 엔트레인먼트의 방사상 내부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12) 사이에서 안착된다. 전자브레이크의 비여자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은 엔트레인먼트링(5)과 전기자플레이트(2)를 일정한 간격 우측으로 가압하여 제동단부면에 대향하는 전기자플레이트(2)의 단부면이 재조정링(4)의 방사상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플랜지부분(14)의 단부면에 대향한 압축스프링(6)과 맞물린다.
자동조정기능, 또는 브레이크 유니트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작동한다.
제 1 도는 비여자된 위치에서의 브레이크, 즉 정상정지상태에서의 자동조정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공기간격 a 은 코일지지부재(1)와 전기자플레이트(2) 사이에 존재하여 비여자된 상태에 있는 브레이크는 재조정링(4)(구동축상의 제위치에서 마찰적으로 유지됨)과 전기자플레이트(2)에 연결된 엔트레인먼트링(5) 사이에서 작용되는 압축스프링(6) 효과에 의해서 풀림상태로 유지된 것이다.
코일지지요소(1) 내면을 감싸고 있는 자기의 여자는 전기자플레이트(2)가 압축 스프링(6)의 힘에 대항하여 코일지지요소(1)로 향하여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간격 a 은 제 2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로로 구동축소될 것이다. 감소되는 토오크는 구동축(3)으로 부터 방사상 플랜지(10)를 경유하여 플랜지(10)의 외면을 따라 분포되고 나사식 체결구등과 같은 것에 의해서 토오크 전달 환형의 스프링(8)과 연결되는 3 개의 축방향 이동전달볼트(7)로 전달된다. 이결과로써, 토오크는 부분(3)으로부터 부분(10,7)으로 전달되고 부분(8)으로 전달되고, 거기로부터 부분(2)으로 전달되고 마지막으로 코일지지요소(1)에 전달되고, 이 코일지지요소(1)는 엔진벽등과 같은 구조(도시되지 않았음)에 체결되고, 구동축(3)은 감속되거나 속력이 늦추게 된다.
클러치-브레이크 유니트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경우에, 좌측면상에 도시된 브레이크 부분은 유사하게 작용할 것이다. 클러치측면상에 로우터(17)는 토오크를 구동축에 전달하도록 코일지지요소 대신에 사용된다. 그밖에 대해서는, 제 3 도에 도시된 조립체의 클러치측면은 브레이크측면과 동일하며, 즉 전기자플레이트(2)는 나사식체결구와 같은 부재에 의해서 엔트레인먼트링(5)에 확고하게 연결되고 압축 스프링(6)은 엔트레인먼트링(5)과 재조정링(4) 사이에서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압축스프링은 골이진 와셔 또는 보올베어링 보상디스크 또는 벨레빌와셔 등과 같은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스프링은 전기자플레이트(2)가 재조정링(4)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에 맞물리기 위해서 가압된다.
전자기를 여자시킴으로써 이결과로 전기자플레이트(2)를 코일지지요소(제2a도) 및 끌어당김은 압축스프링(6)이 압축되도록 하고 전기자플레이트(2)가 재조정링(4)의 플랜지부분(14)에 대해서 공기간격 a (전기자플레이트의 행정)의 폭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동 되도록하며, 그후에 전기자플레이트는 3 개의 0-링에 의해서 발휘되는 압축력(마찰)에 의해서 추정되는 그 위치에서 있게 될 것이다. 코일지지요소(1)에서의 감은 것이 비여자화 되자마자 곧, 전기자플레이트(2)는 그것의 초기위치(제 1 도)로 복귀된다.
코일지지요소(1) (또는, 따라서, 제 3 도의 클러치 유니트의 로우터(17)가 간격 X 만큼 마모되었다면, 전기자플레이트(2)는 간격의 폭 a 에 추가로 상기 간격 X 에 의해서 우측(브레이크 측면) 또는 좌측측면(클러치측면)으로 이동하고, 즉 엔트레인먼트링(5)은 이러한 마모의 크기 X 만큼 적당한 방향으로 조정링(4)을 변위시킨다. 방사상 가압력이 미치는 3 개의 0-링(18)은 그것의 새로운 위치에서 재조정링(4)을 유지한다. 코일지지요소(1)가 비여자됨에 있어서, 압축스프링(6)은 마모 X 와 공기간격 a 을 합한 것에 상응하는 간격만큼이 아니라 재조정링(4)이 마모 X 에 동일한 간격만큼 이동됨에 따라 공기간격 a 의 폭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다시(제 3 도의 클러치측면에서 좌측으로)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브레이크 측면(또는 클러치측면상의 로우터) 상의 코일지지 요소가 마모되면 될수록, 전기자플레이트(2)와 엔트레인딩(5)이 더 수행되거나 조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기자플레이트(2)는 공기간격 a 의 폭보다 더 큰 간격으로 이동할 수 없다. 토오크 전달 환형 스프링 또는 부재(8)를 대체로 마찰이 없는 방식으로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토오크 전달 볼트(7)를 통해서 구동축(3) 상의 방사상 플랜지(10)에 연결시킴으로써, 압축스프링(6)은 전기자플레이트(2)에 동일한 복원력을 항상 발휘할 것이고 전기자플레이트가 받는 마모량은 무시할 수 있다.
원주로 분포되는 토오크전달볼트(7)(예를들면, 3 개가 제공된 것 중에서)와 전기자플레이트(2) 및 토오크 전달환형의 스프링 또는 부재(8) 사이에서의 연결부의 형태 때문에, 불균일한 마모 또는 다른 결과에서 발생되는 전기자플레이트(2)의 약간의 위치맞춤 에러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토오크 전달볼트와 전기자플레이트가 정지 또는 고장나지 않게 하도록 보상될 것이다.
공기간격은 일정한 작동횟수 및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유니트의 개선된 위치 조정의 정확성이 얻어지도록 균일한 폭으로 유지될 것이다. 자동 재조정작용은 공기간격의 조정을 더이상 필요없게 하고, 즉 조립체는 보수가 면제된다. 더욱이, 압축스프링으로 제공되는 힘은 균일하게 마모와는 관계가 없어서 코일 지지요소(1)의 끌어당기는 힘은 마찬가지로 균일하게 유지된다.

Claims (6)

  1. 전달/감속되는 토오크를 제공하는 구동축(3),
    구동축(3)과 중심이 같고 전자기코일을 지지하는 코일지지요소(1)에 의해서 전자기적으로 끌어당기도록 채용되는 전기자플레이트(2),
    마찰맞물림으로 구동축상(3)에 장착되고 코일지지요소(1)를 향한 방향으로의 스프링가압에 대항하여 재조정링(4)의 플랜지부분(14)을 넘어서 방사상 내측으로 뻗어있는 엔트레인먼트링(5)의 부분(12)에 의해서 전기자(2)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엔트레인먼트 연결부의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축방향 이동가능한 재조정링(4), 및
    연결부가 원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기자플레이트(2)에 체결되는 토오크 전달 환형스프링(8)을 포함하고, 축방향으로 만곡가능하고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통해서 토오크가 축방향 이동가능한 전기자플레이트(2)로 전달되도록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방사상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 및 스프링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에서 공기간격을 조정시키기 위한 자동작동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으로 만곡가능하지만 회전방향을 전달하는 연결부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방사상 플랜지(10) 내부로 안내되는 복수의 토오크전달볼트(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토오크 전달환형의 스프링(8)은 상기 위치로부터 원주로 오프셋하는 점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고,
    구동축(3)과 재조정링(4) 사이에서 마찰맞물림은 탄성 0-링(18) 또는 형상 및 재질이 유사한 마찰요소로 제공되며,
    상기 탄성 0-링 또는 마찰요소는 구동축에 제공된 상응하는 외면홈에 놓여지고, 그리고 압축스프링부재(6)는 재조정링(4)과 상기 엔트레인먼트 링(5)의 부분(12) 사이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에서의 공기 간격 재조정용 자동 작동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압축스프링부재(6)는 골이진 와셔 또는 보올베어링 보상디스크 또는 벨레빌(belle ville) 와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에서의 공기 간격 재조정용 자동 작동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레인 연결부는 전기자 플레이트(2)에 연결된 엔트레인먼트링(5)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재조정링(4) 상에서 방사상 외방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분(14)을 넘어서 뻗어있는 방사상 내부로 돌출하는 부분(12)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에서의 공기 간격 재조정용 자동 작동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토오크 전달볼트(7)는 상기 슬리이브상의 제위치에서 토오크 전달환형의 스프링(8)을 체결하도록 작용하는 나사를 나사식으로 수용하는 슬리이브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에서의 공기 간격 재조정용 자동 작동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보어는 베어링슬리브(9)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구동축(3)의 방사상 플랜지(10)에서 토오크전달볼트(7)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에서의 공기 간격 재조정용 자동 작동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0-링(18)은 슬리이브 형상내에서 신장되는 재조정링(4)의 부분과 맞물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에서의 공기 간격 재조정용 자동 작동조립체.
KR1019890018546A 1988-12-14 1989-12-14 전자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용 자동재조정 조립체 KR0136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8120922.5 1988-12-14
EP88120922A EP0374268B1 (de) 1988-12-14 1988-12-14 Selbsttätige Nachstellvorrichtung für elektromagnetisch betätigte Kupplungs- und/oder Bremsaggreg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256A KR900010256A (ko) 1990-07-07
KR0136793B1 true KR0136793B1 (ko) 1998-05-15

Family

ID=819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546A KR0136793B1 (ko) 1988-12-14 1989-12-14 전자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용 자동재조정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93532A (ko)
EP (1) EP0374268B1 (ko)
JP (1) JPH039120A (ko)
KR (1) KR0136793B1 (ko)
AT (1) ATE75824T1 (ko)
DE (1) DE3870882D1 (ko)
ES (1) ES203122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032B1 (ko) * 2000-10-09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01247A (fi) * 1990-03-13 1991-09-14 Kone Oy Elektromagnetisk broms.
DE4021310C2 (de) * 1990-07-04 1998-11-05 Dornier Gmbh Lindauer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 Kupplungs-Bremskombination, insbesondere für Webmaschinen
US5252874A (en) * 1992-11-20 1993-10-12 Thermo King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lutch with torque isolation for return springs
US5373927A (en) * 1993-08-31 1994-12-20 Dana Corporation Clutch release assembly
US5427211A (en) * 1994-01-10 1995-06-27 Deere & Company Piston stop pin for a hydraulic brake
DE9414054U1 (de) * 1994-08-31 1994-11-03 Riepl Gerhard Elektrischer Energiesparantrieb für Kleinfahrzeuge
JP3825818B2 (ja) * 1994-10-28 2006-09-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JP2002501152A (ja) 1998-01-21 2002-01-15 テスマ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磁クラッチとプーリのアセンブリ
DE19849750B4 (de) * 1998-10-28 2005-08-04 Chr. Mayr Gmbh + Co Kg Doppelt ausgeführte, elektromagnetisch gelüftete Federdruckbremse
US6209700B1 (en) * 1999-09-27 2001-04-03 Tractech Inc. Electric clutch including resilient disk biasing means
DE10059747A1 (de) * 2000-12-01 2002-06-06 Hilti Ag Elektrohandwerkzeug mit Sicherheitskupplung
SE524715C2 (sv) * 2002-03-26 2004-09-21 Volvo Constr Equip Holding Se Bromsinrättning med automatisk inställning av spelet mellan bromskolv och bromsskiva
FR2846722B1 (fr) * 2002-11-04 2005-08-26 Jacques Clausin Dispositif actionneur d'embrayage et de debrayage utilisant un electroaimant de forme torique a faible constante de temps, a consommation reduite et commande par des moyens lui assurant un fonctionnement rapide et controle
US7681704B2 (en) * 2004-01-20 2010-03-23 Eat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inertia brake for a power input shaft of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JP4994642B2 (ja) * 2005-11-11 2012-08-0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ブレーキシリンダの隙間調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ブレーキシリンダ
US8123012B2 (en) * 2008-11-11 2012-02-28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Rotational coupling device with wear compensation structure
US9512892B2 (en) * 2009-10-26 2016-12-06 Performance Friction Corporation Brake caliper with brake pad timing and retraction controller
JP5799058B2 (ja) * 2013-07-30 2015-10-21 三桜工業株式会社 負圧ポンプ及び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WO2017083507A1 (en) 2015-11-10 2017-05-18 Peformance Friction Corporation Brake caliper with brake pad timing and retraction controller with lock-connection
CN110835065B (zh) 2018-08-17 2022-02-0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制动装置以及电梯系统
DE102020109940B4 (de) 2020-04-09 2021-10-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anordnung mir schaltbarer Magnet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5058A (en) * 1953-11-30 1955-03-29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Magnetic torque producing device
FR1252875A (fr) * 1960-02-05 1961-02-03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Dispositif magnétique de transmission de couples
US3221854A (en) * 1962-05-14 1965-12-07 Eaton Mfg Co Coupling device for clutch or brake use
US3391768A (en) * 1966-10-12 1968-07-09 Rex Chainbelt Inc Wear adjustor for friction devices
US3394787A (en) * 1967-05-31 1968-07-30 Stearns Electric Corp Self-adjusting clutch or brake
US3458022A (en) * 1967-09-12 1969-07-29 Stearns Electric Corp Self-adjusting clutch or brake
US3624767A (en) * 1970-08-05 1971-11-30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Self-adjusting clutch or brake
US3762522A (en) * 1972-05-10 1973-10-02 Stearns Electric Corp Self-adjusting clutch or brake
US3857468A (en) * 1973-04-05 1974-12-31 Ogura Clutch Co Ltd Self-adjusting clutch or brake
DE3048577A1 (de) * 1980-12-22 1982-07-15 Chr. Mayr GmbH + Co KG, 8951 Mauerstetten "selbsttaetige nachstellvorrichtung fuer das lueftspiel eines durch elektromagnetische und federkraefte betaetigten kupplungs- und/oder bremsaggregats"
JPS58166138A (ja) * 1982-03-29 1983-10-01 Koufu Meidensha:Kk 電磁クラツチブレ−キ
JPS58196329A (ja) * 1982-05-13 1983-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連結装置
FR2539195B1 (fr) * 1983-01-06 1988-07-29 Renault Embrayage a friction muni d'un actionnement hydraulique a course limitee
JPS60188628A (ja) * 1984-03-08 1985-09-26 Aisin Seiki Co Ltd 摩耗追従機構
DE8624705U1 (ko) * 1986-09-16 1986-12-04 Maschinenfabrik Stromag Gmbh, 4750 Unna, 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032B1 (ko) * 2000-10-09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31222T3 (es) 1992-12-01
EP0374268B1 (de) 1992-05-06
ATE75824T1 (de) 1992-05-15
DE3870882D1 (de) 1992-06-11
US4993532A (en) 1991-02-19
JPH039120A (ja) 1991-01-17
EP0374268A1 (de) 1990-06-27
KR900010256A (ko) 199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793B1 (ko) 전자클러치 및/또는 브레이크용 자동재조정 조립체
US7958977B2 (en) Segment brake
KR100204947B1 (ko) 릴리즈력을 보조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
US8172049B2 (en) Noise damping for a quiescent-current-actuaged, electromagnetic spring pressure brake
US20180223923A1 (en) Wedge cam brake
US3789966A (en) Self-adjusting electromagnetic disc clutch
US3994379A (en) Self-adjusting electromagnetic clutch
US3724619A (en) Self-adjusting electromagnetic clutch-brake
EP3721112B1 (en) Rotational coupling device having means for seal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armature and the electromagnet
US4285420A (en) Air gap adjuster for electric clutches
US3873066A (en) Self-contained mechanical actuator
GB1579209A (en) Electromagnetic fric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orque
US3624767A (en) Self-adjusting clutch or brake
US4582187A (en) Self-adjusting electromagnetic cone brake with overrunning adjustment assembly
GB2101241A (en) Fluid engaged and spring returned fan clutch
US3620339A (en) Electromagnet clutch or brake, twisted torsion spring therefor
US3381784A (en) Electromagnetic clutch and brake
US4838391A (en) Braking device
US3613838A (en) Automatic adjusting device for clutches and brakes
EP0937211B1 (en) Disc brake with rigid connection between load plate and adjusting piston
US4416359A (en) Electromagnetic cone clutch with ball torque booster
US3744609A (en) Self-adjusting two-way electromagnetic disc clutch
US4566575A (en) Self-adjusting electromagnetic cone brake
US4865172A (en) Combination brake and inching device
JPS6220922A (ja) 負作動形電磁ブレ−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