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07Y1 -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07Y1
KR0136707Y1 KR2019960035392U KR19960035392U KR0136707Y1 KR 0136707 Y1 KR0136707 Y1 KR 0136707Y1 KR 2019960035392 U KR2019960035392 U KR 2019960035392U KR 19960035392 U KR19960035392 U KR 19960035392U KR 0136707 Y1 KR0136707 Y1 KR 0136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ootrest
scaffold
lifting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058U (ko
Inventor
문명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5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70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자동차와 같이 차체가 높은 자동차의 승.하차를 위하여 구비되는 승강용 발판이 자동으로 승.하강 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발판의 하측에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와 치합되는 랙크기어를 발판이 설치되는 공간부의 양측에 설치하여 구동부에 의하여 회동되는 기어가 상기 랙크기어를 따라 이동되며 발판이 승.하강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승.하강에 따라 발판이 동작되도록 한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본 고안은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자동차와 같이 차체가 높은 자동차의 승.하차를 위하여 구비되는 승강용 발판이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한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와 같이 탑승자의 승차위치가 높은 자동차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하여 도어의 하측에 승.하강을 위한 발판을 구비하여 탑승자가 상기 발판을 이용하여 탑승 및 하차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탑승자가 승.하차를 위하여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발판(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하측에 공간부(21)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21)의 하측면에 발판(2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발판(20)의 하측에 지지대(22)로 연결되는 하측발판(23)를 설치하여 탑승자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판은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답단면적이 협소하며 차체의 구조에 따라 도어의 개폐부위보다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탑승자가 승.하차를 위하여 발판을 단계적으로 밟고 탑승이나 하차가 용이치 못하였으며 특히, 신체적조건이 불리한 경우에는 발판의 사용이 더욱 곤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탑승과 하차를 위한 발판에 공간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하측으로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 공기의 쾌적함을 유지하기가 곤란하였으며 겨울철과 같은 동절기에는 운전자의 발과 다리부위로 찬 공기가 유입되어 안전운행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며 도어의 하측에 설치되는 승강을 위한 발판이 탑승자의 승.하차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하며 탑승자가 탑승 완료후 도어의 하측에 발판이 밀착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의 유지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발판의 하측에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와 치합되는 랙크기어를 발판이 설치되는 공간부의 양측에 설치하여 구동부에 의하여 회동되는 기어가 상기 랙크기어를 따라 이동되며 발판이 승.하강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승.하강에 따라 발판이 동작되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발판을 보인 화물차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간부 2 : 가이드 레일
3 : 랙크기어 4 : 가이드 홈
5 : 축공 6 : 플렌지
7 : 발판 8 : 구동기어
9 : 모터 10, 11 : 종동기어
12 : 연동기어 D : 도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발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의 도어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승.하강을 위한 발판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를 하측으로 연장하며 연장된 공간부(1)의 내측 양면에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2)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과 동일한 길이의 랙크기어(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승.하강 하기 위한 가이드 홈(4)이 양측에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다수의 축공(5)이 관통된 플렌지(6)가 구비된 발판(7)과, 상기 발판(7)의 하측에는 구동부인 구동기어(8)가 축설되며 승강스위치(S)와 하강스위치(S')의 조작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모터(9)와, 상기 구동기어(8)에는 랙크기어(3)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0)(11)가 플렌지(6)에 축설되며 일측의 종동기어(1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동기어(12)가 상기 플렌지(6)에 축설되어 양측 종동기어(10)(11)의 회전수가 동일하게 회전되며 랙크기어(3)와 치합되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모터(9)의 구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발판(7)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에 돌출된 가이드 레일(2)은 발판(7)의 가이드 홈(4)에 삽입되어 발판(7)이 상기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수평으로 승.하강되며, 승.하강하는 발판(7)은 승강스위치(S)와 하강스위치(S')의 조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터(9)의 구동력으로 승.하강된다.
상기 승강스위치(S)와 하강스위치(S')는 발판(7)의 소정위치에 구비하여 탑승자의 승.차하시 각 스위치(S)(S')의 조작이 탑승자의 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승차시 탑승자의 발을 승강스위치(S)를 누른 상태로 발판(7)에 올라서면 발판(7)은 모터(9)의 구동력으로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승강되어 탑승자의 승강이 용이하며 하차시에는 탑승자가 발판(7)의 하강스위치(S')를 누른 상태로 올라서면 발판(7)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공간부(1)의 하측으로 하강되어 탑승자의 하차가 용이한 것이다.
이때, 발판(7)을 승.하강 하는 모터(9)는 각 스위치(S)(S')의 조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며 구동기어(8)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기어(8)와 치합된 종동기어(10)와 연동기어(12)가 회전하며 상기 연동기어(12)는 일측의 종동기어(11)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발판(7) 양측의 랙크기어(3)에 치합되어 발판(7)이 수평으로 승.하강되며 발판(7)의 지지력이 증가된다.
상기 발판(7)의 하측에 구비된 모터(9)와 구동기어(8) 그리고 종동기어(10)(11)와 연동기어(12)는 발판(7)의 하측에 형성된 플렌지(6)에 축설되어 각각 회전되며 승.하강되는 발판(7)과 일체로 승.하강된다.
상기 발판(7)은 공간부(1)의 내측에 돌출된 가이드 레일(2)이 발판(7)의 가이드 홈(4)에 결합되어 승.하강시 이탈이 방지되며 양측의 랙크기어(3)에 발판(7)의 종동기어(10)(11)가 치합되어 발판(7)이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탑승자의 승차후 발판(7)은 공간부(1)의 상측에 위치되어 도어(D)의 하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하여 도어(D)를 개방하면 발판(7)이 노출되어 탑승자의 하차를 위한 발판(7)의 사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발판을 적용하면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발판이 자동으로 승.하강되어 탑승자가 별도의 승.하강을 위한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발판(7)의 상.하운동으로 탑승자의 승.하강차가 용이하여 승.하차에 따른 편의성의 증대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효과는 탑승자의 승차가 완료되면 발판은 공간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닫혀지는 도어의 하측에 밀착되어 공간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이 최대한 방지되어 쾌적한 실내환경의 유지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화물차의 도어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승.하강을 위한 발판에 있어서; 내측 양면에 가이드 레일(2)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과 동일한 길이의 랙크기어(3)가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승.하강 하기 위한 가이드 홈(4)이 양측에 형성되며 하측에는 다수의 축공(5)이 관통된 플렌지(6)가 구비된 발판(7)과, 상기 발판(7)의 하측에는 승강스위치(S)와 하강스위치(S')의 조작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모터(9)와, 상기 모터(9)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동기어(8)와 상기 구동기어(8)에는 랙크기어(3)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0)(11)가 플렌지(6)에 축설되며 일측의 종동기어(1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동기어(12)가 상기 플렌지(6)에 축설되어 양측 종동기어(10)(11)가 랙크기어(3)와 치합되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KR2019960035392U 1996-10-25 1996-10-25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KR0136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92U KR0136707Y1 (ko) 1996-10-25 1996-10-25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392U KR0136707Y1 (ko) 1996-10-25 1996-10-25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058U KR19980022058U (ko) 1998-07-15
KR0136707Y1 true KR0136707Y1 (ko) 1999-03-20

Family

ID=1947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392U KR0136707Y1 (ko) 1996-10-25 1996-10-25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7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058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9793A (en) Lift for handicapped persons for a rail car
KR20120138912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장치
KR0136707Y1 (ko)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JP2570392B2 (ja) 車椅子乗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0619564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
KR100638176B1 (ko) 탑승체 추락방지용 전동식 안전바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KR200261407Y1 (ko) 전철차량용 보조발판
CN211809604U (zh) 轨道车辆
CN219622540U (zh) 一种轨道交通用站台门
CN108843085B (zh) 一种立体停车装置
KR100291054B1 (ko) 자동차용 승하차발판 자동승강장치
CN111251843B (zh) 一种移动座椅与滑梯式安全门配合的客车逃生装置
KR0120310B1 (ko) 승합자동차용 승강냉장고
JP2600851B2 (ja) エスカレータ
JP2003220093A (ja) 鉄道車両用の車椅子リフタ装置
JPH07206324A (ja) 階段昇降装置
JPH08240030A (ja) 駐車塔のターン装置
JP2002321623A (ja) 鉄道車両用の乗降補助装置
KR890005220B1 (ko) 이동설치가 용이한 자동차 격납장치
KR960001496Y1 (ko) 대문 공간을 이용한 주차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