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697B1 -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697B1
KR0136697B1 KR1019940040483A KR19940040483A KR0136697B1 KR 0136697 B1 KR0136697 B1 KR 0136697B1 KR 1019940040483 A KR1019940040483 A KR 1019940040483A KR 19940040483 A KR19940040483 A KR 19940040483A KR 0136697 B1 KR0136697 B1 KR 0136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transmission
state
timer
st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957A (ko
Inventor
권태상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1994004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697B1/ko
Publication of KR96002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통신장치에서 국번 설정장치 없이 제어장치에 부여되어 있는 국이름만으로 자동적으로 국번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원 인가후 외부신호의 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로부터의 명령코드 및 할당국번을 수신하여 타이머가 종료될때 까지 송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응답코드와 할당국번 및 국이름을 송신한 후 송신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제어기기에서 요구하는 데이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후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신호가 수신되면 슬레이브국에 송신명령코드, 국번, 국이름을 송신하여 각국의 데이타가 송신되도록 하는 과정과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제1도는 종래 링크시스템의 통신장치의 접속상태를 보인도.
제2도는 제1도의 통신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신호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통신장치를 보다 상세히 보인 구성도.
제6도는 제4도에 따른 송수신 프레임 구성도.
제7도는 제4도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 그램도.
제8도는 제4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마이크로 프로세서20:통신회로
20a:무작위번호 생성장치20b:타이머
20c:통신프로세서20d:송/수신장치
200:제1제어기200a:제어장치
200b:통신장치
본 발명은 국번 설정장치 없이 제어장치에 부여되어 있는 국이름(보통 아스키 코드)만으로 자동적으로 국번이 생성되는 링크(LANK)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화 라인 현장에서의 통신장치의 통신방법이 마스터 슬레이브 형식인 것에 적합한 링크시스템에서의 국번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링크시스템의 통신장치는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제어기기(100 내지 103)는 각각 제어장치(100a)와 통신장치(100b)로 구성되어 각 통신장치는 통신 케이블(104)에 의해 접속되어 통신을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장치(100b)는 자국의 국번을 설정장치(100c) 등을 사용하여 설정한다.
상기 통신장치(100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타이머와; 통신 프로세서서와; 송수신장치와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링크시스템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인가후 통신 프로세서가 국번 설정장치(100c)에서 국번을 익어 저장하고 타이머에 이 값을 설정한 후 타이머가 종료될때 까지 아무 프레임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자국 국이름이 국번에 0를 삽입하고 1프레임의 할당 국번을 1로 하여 송신하고 타이머를 N으로 로드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마스터가 하나 생성된다.
마스터가 생성된 후 국번 설정장치(100c)의 최대번호 N까지 차례대로 반복하여 4프레임에서 국이름 없이 슬레이브국에 송신한다.
각 슬레이브국은 4프레임을 받고 자국이 다른 국으로 보낼 데이타가 있는 경우 3프을 보낸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제어기기(100 내지103)가 보낸 데이타가 있어 통신장치(100b)로 이를 넘겨 줄때는 상대국번, 데이타의 형식으로 넘겨주며 통신장치(100b)는 마스터에서 4프레임을 받으면 상기 데이타를 3프레임으로 하여 전송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링크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국번 설정장치를 일일이 설정해야 하고 각 제어기기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직접 가서 설정해야 하므로 시간, 노력이 낭비되고 혹시 중복으로 국번이 설정된 경우 그 국은 통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통신장치에 국번 설정장치를 부착함으로써 부품가 및 외관 가공비 등이 추가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중복 국번 설정시 통신불능과 국번 설정장치 부착으로 부품가, 외관 가공비의 추가 부담, 국번 설정시 노력, 시간낭비를 해소하기 위해 국번 설정장치 없이 제어장치에 부여되어 있는 국이름만으로 자동적으로 국번이 생성되도록 하는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전원 인가후 외부신호의 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로부터의 명령코드 및 할당국번을 수신하여 타이머가 종료될때 까지 송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응답코드와 할당국번 및 국이름을 송신한 후 송신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제어기기에서 요구하는 데이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후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신호가 수신되면 슬레이브국에 송신명령코드, 국번, 국이름을 송신하여 각국의 데이타가 송신되도록 하는 과정과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내지 제4제어기기(200 내지 203)는 각각 제어장치(200a)와 통신장치(200b)로 구성되어 각 통신장치는 통신 케이블(204)에 의해 접속되어 통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장치(200b)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데이타 버스(200c)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장치(200a)의 데이타에 따라 통신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출력되는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를 통해 입력받아 국번을 무작위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통신회로(20)에 포함된 무작위번호 생성장치(20a)와; 상기 무작위번호 생성장치(20a)에서 얻어진 데이타를 카운트하는 타이머(20b)와; 상기 타이머(20b)를 제어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입력된 데이타를 처리하는 통신프로세서(20c)와; 상기 통신프로세서(20c)에서 처리된 송신 데이타를 송신하고 접속콘넥터(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통신프로세서(20c)에 제공하는 송/수신장치(20d)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국은 전원 인가후 제1 내지 제4제기기(200 내지 203)의 제어장치(200a)의 자국의 국이름을 통신장치(200b)로 넘겨준다.
각국의 통신장치(200b)는 전원 인가후 국번 및 국이름 리스트를 확보하게 되다.
예로써, 제4제어기기(203)의 국이 마스터인 경우 제4제어기기(203)의 국번을 0으로 하고, 제1제어기기(200)의 국번을 '1로, 제2제어기기(201)의 국번을 '2'로, 제3제어기기(202)의 국번을 3으로 리스트한다.
이 리스트에 제4도의 통신장치(200b)의 통신프로세서(20c)가 국이름과 국번을 제7도와 같은 상태 다이아그램에 의한 동작으로 작성을 하게 된다.
즉,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세트상태에서 무작위번호 생성장치(20a)에서 임의의 번호 n을 타이머(20b)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로 변경한다(t01).
여기서, 10프레임 송신시간n≤N, N=최대 타이머시간이다.
그리고 아이들 상태에서는 타이머가 종료되기전에 제6도의 (b)(c)(d)중 하나가 수신되면 타이머(20b)에 무작위 번호를 로드하고, 수신된 프레임이 제6도의 (b) 또는 (d)이면 국이름과 국번을 상기 리스트한 빈곳에 저장한다(t11).
상기에서 수신된 프레임이 제6도의 (a)에서와 같이, 명령코드와 할당국번이면 2프레임의 국이름에 자국의 국이름을, 할당국번은 수신된 프레임의 할당국번을 설정한다(t12).
그리고 상태를 송신대기로 변경한다.
그리고 아이들 상태에서 타이머(20b)가 종료될때까지 아무 프레임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한 리스트의 자국 국이름의 국번에 0을 삽입하고, 1프레임의 할당국번을 '1로 하여 송신하고 타이머(20b)를 N으로 로드한다(t15).
상기 송신대기상태에서는 통신회로(20)의 타이머(20b)가 종료될때까지 외부신호가 없는 경우 t12에서 작성한 2프레임을 송신하고 상태를 송신체크 상태로 판정한다(t23).
그리고, 타이머가 종료되기전에 외부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무작위번호 생성장치(20a)로부터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20b)에 다시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한다(t21).
상기 송신체크상태는 송신에러가 발생한 경우 무작위번호 생성장치(20a)로부터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20b)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한다(t31).
만약 송신에러가 없이 송신이 완료된 경우 t12의 할당국번을 상기한 리스트에 저장하고 상태를 송신런 상태로 변경하고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한다(t34).
상기 송신-런 상태에서는 프레임이 수신되면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20b)에 로드하는데, 이때 2프레임이 수신되면 할당번호와 국이름을 리스트의 빈곳에 저장하고 4프레임이 수신되고 국번이 리스트의 자국 국이름 밑의 국번과 동일한 경우 다른 국으로 보낼 데이타가 있는 경우 데이타를 포함하여 3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국번이 다른 경우 국이름과 국번을 리스트에 중복되지 않게 저장한다(t44).
또한 타이머(20b)가 종료될때까지 프레임이 없는 경우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한다(t41).
그리고, 제7도의 외부신호 체크상태에서는 타이머가 종료될때까지 수신 프레임이없거나 송신에러가 없는 경우 상태를 엠-런상태로 변경한다(t56).
만약 수신 프레임이 있는 경우 또는 송신에러가 있는 경우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한다(t51).
상기 엠-런 상태는 슬레이브국에 4프레임을 전송하여 각국의 데이타가 송신되도록 하는 상태로서, 자국의 리스트가 모두 완성될때 까지 현재 리스트에서 할당되지 않은 국번을 사용하여 1프레임을 송신하고 그 응답을 기다리며, 2프레임이 수신되면 리스트에 그 내용을 저장한다.
또한 자국의 송신 데이타가 있을 경우 3프레임을 송신하고 리스트에서 국이름과 국번이 완성된 국들에게 차례로(자국을 제외한) 4프레임을 보내어 슬레이브국이 데이타를 보내도록 한다(t66).
이와같이, 상태 다이어그램의 동작이 완료되면 제4도의 링크시스템에서 제1 내지 제4국, 즉 제1 내지 제4제어기기(200 내지 203)중 마스터(상태 다이어그램의 엠-런 상태에 있는)는 하나만 존재하며 그 생성은 제7도의 t51부터 t56의 동작을 거쳐 생성된다.
마스터가 일단 생성되면 마스터는 상태 엠-런의 t66에서 1프레임을 보내면 송신-런 상태에 있지 않은 모든 슬레이브국을 t12의 동작으로 2프레임을 보낼 준비를 하며 모든 슬레이브국은 무작위 번호를 발생하여 타이머(20b)에 로드했을때 그 번호가 같을 확률은 거의 없다.
그 슬레이브 국중 타이머가 제일 먼저 종료된 슬레이브가 2프레임을 전송하고 나머지 슬레이브는 t21의 동작으로 아이들로 귀환한다.
마스터는 상기와 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마스터국의 리스트를 완성한다.
마스터의 리스트가 완성되면 각 슬레이브국 모두는 송신-런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각 슬레이브의 리스트도 t44의 국번이 다를 경우 국이름과 국번을 리스트에 중복되지 않게 저장된 것에 의해 완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국번 설정장치 없이 제어기기 고유의 이름만 사용하여 링크 시스템은 운영할 수 있으며 실제 제어장치가 다른 제어장치로 데이타를 보낼때는 상대 제어장치 국이름, 데이타의 형식으로 통신장치에 넘겨주면 통신장치는 마스터인 경우 t66의 자국위 송신 데이타가 있는 경우 3프레임을 송신에 의해 리스트에서 상대 제어장치 국이름과 동일 국이름의 국번을 사용하여 3프레임을 전송하고 슬레이브인 경우 마스타에서 4프레임이 수신되면 t44의 국번이 리스트의 자국 국이름 밑의 국번과 동일한 경우 다른 국으로 보낼 데이타가 있는 경우의 데이타를 포함하여 3프레임을 송신한다.
상기 제6도에서 (a)는 마스터 통신 장치가 슬레이극에 국번을 할당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명령코드는 1프레임의 명령 코드값이고, 할당국번은 슬레이브국에 할당할 국번이다.
그리고 (b)는 슬레이브국이 (a)를 받고 마스터국으로 응답을 보내는 프레임으로서, 응답코드는 2프레임의 응답코드 값이고, 할당국번은 제6도의 (a) 프레임의 할당국번과 동일하다.
그리고 국이름은 제어장치의 국이름이다.
제6도의 (d)는 마스터국과 슬레이브국이 각각 제7도의 엠-런, 송신-런에 있을때 마스터국이 슬레이브국으로 데이타를 보내라는 명령 프레임이며 송신 명령코드는 4프레임의 명령 코드값이며, 국번은 슬레이브 국번이다.
그리고, 제6도의 (c)는 슬레이브국이 4프레임을 받고 송신할 프레임이 있는 경우 송신하는 프레임이고, 데이타 코드는 3프레임의 명령코드값이며, 국번은 이 데이타가 도착할 국번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기 자체에 부여되어 있는 국이름만을 이용하여 국번 설정장치 없이 링크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으로서, 국번설정시 시간, 노력 낭비를 없애며, 국번 설정장치가 제거됨으로써 부품가, 가공비 등이 절약되며 특히 자동적으로 링크시스템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상대 국이름만 사용하여 원하는 국으로 데이타를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원 인가후 외부신호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외부로부터의 명령코드 및 할당국번을 수신하여 타이머가 종료될때 까지 송신을 대기하는 제2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응답코드와 할당국번 및 국이름을 송신한 후 송신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제어기기에서 요구하는 데이타를 송신하는 제4과정과; 상기 송신 후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제5과정과; 신호가 수신되면 슬레이브국에 송신명령코드, 국번, 국이름을 송신하여 각국의 데이타가 송신되도록 하는 제6과정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송수신 프레임중 하나가 수신되면 타이머에 무작위 번호를 로드하고 수신된 프레임이 응답코드, 할당국번, 국이름이거나 또는 송신명령코드, 국번, 국이름이면 국이름과 국번을 리스트의 빈곳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프레임이 명령코드, 할당국번이면 2프레임의 국이름에 자국의 국이름을, 할당국번은 수신된 프레임의 할당국번을 설정하고 송신 대기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타이머가 종료될때까지 외부의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작성한 리스트의 2프레임을 송신하고 상태를 송신체크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외부의 신호가 있는 경우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송신에러가 발생한 경우 무작위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에러가 없이 송신 완료된 경우 할당국번을 리스트에 저장하고 송신-런으로 변경하여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4과정은 프레임이 수신되면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때까지 수신 프레임이 없는 경우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5과정은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때까지 수신 프레임이 없거나 송신에러가 없는 경우 상태를 엠-런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프레임이 있는 경우 또는 송신 에러가 있는 경우 무작위 번호를 타이머에 로드하고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6과정은 자국의 리스트가 모두 완성될때 까지 현재 리스트에서 할당되지 않은 국번을 사용하여 1프레임을 송신하고 그 응답을 기다리고 2프레임이 수신되면 리스트에 그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자국의 송신 데이타가 있을 경우 3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에서 국이름과 국번이 완성된 국들에게 차례로 4프레임을 전송하여 슬레이브국이 데이타를 보내도록 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KR1019940040483A 1994-12-31 1994-12-31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KR0136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483A KR0136697B1 (ko) 1994-12-31 1994-12-31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483A KR0136697B1 (ko) 1994-12-31 1994-12-31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957A KR960027957A (ko) 1996-07-22
KR0136697B1 true KR0136697B1 (ko) 1998-06-01

Family

ID=1940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483A KR0136697B1 (ko) 1994-12-31 1994-12-31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6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957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5199B1 (en) Communication protocol selection for data processing system
US4359731A (en) Communication link contention resolution system
CA2305328A1 (en) Remote diagnostics in a process control network having distributed control functions
US6401159B1 (en) Method of half-duplex serial signal control with multi-baud rate and multi-configuration
KR960020204A (ko) 다중통신 시스템
US4703451A (en) Data relay system
EP0436932A2 (en) A loop data link system and a station number setting method
KR0136697B1 (ko) 링크시스템의 국번 자동 생성방법
US5251214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o a plurality of data stations
KR930001080A (ko) 직렬 입출력 접속 장치를 이용한 마스터 시스템과 다중 슬레이브 시스템간 데이타 통신 방법
JPS62200839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のリンクユニツト
KR0122883B1 (ko) 판매데이터 관리시스템
JPH04156739A (ja) 通信システム
JPS63202154A (ja) シリアル通信方式
JP3222030B2 (ja) 端末機、監視装置及び通信装置
JPH01162962A (ja) セッション制御方式
JP3067159B2 (ja) パケット交換装置の信号方向制御方法及び装置
JPS6315546A (ja) 応答確認方式
JPH01103046A (ja) 通信制御方式
JPH05304696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H04172032A (ja) ポーリング制御方式
JPS6218149A (ja) 多重伝送方法
JPS5671352A (en) Multidrop data communication system
JPH02154550A (ja)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
JPS6093850A (ja) デ−タ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