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345B1 - 터치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터치음 발생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345B1
KR0136345B1 KR1019940038238A KR19940038238A KR0136345B1 KR 0136345 B1 KR0136345 B1 KR 0136345B1 KR 1019940038238 A KR1019940038238 A KR 1019940038238A KR 19940038238 A KR19940038238 A KR 19940038238A KR 0136345 B1 KR0136345 B1 KR 013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multivibrator
gate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840A (ko
Inventor
강대관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345B1/ko
Publication of KR96002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마운터에 사용되는 키패드(Key Pad)상의 키스위치로 데이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할때, 상기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수간에 터치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키패드에의한 데이타입력을 터치음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키패드의 조작을 간편화할 수 있도록한 더치음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은 임의의 발진주파수로 클록펄스를 발생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 키패드상기 임의의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경우에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클록퍽스에 따라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래치회로부(40); 상기 래치회로부(30)로부터의 트리거신호에 의해서 일정폭을 갖는 하나의 펄스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 상기 단안정 밀티바이브레이터(50)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클록펄스신호를 논리합하는 AND게이트(70); 상기 AND게이트(70)의 출력신호에 의해 특정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80)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음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키패드의 매트릭스이다.
제2도는 일반적인 키스위치(25)의 상세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음 발생회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챠트로, (a)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를 트리거시키는 입력신호이며, (b)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출력펄스이며, (c)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펄스이고, (d)는 AND게이트(70)의 출력신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마이크로프로세서20:키패드
30:비안전 멀티바이브레이터40:래치회로부
50: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OR게이트
70:AND게이트80:스피커
본 발명은 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될때 터치음(Touch Sound)을 발생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칩마운터에 사용되는 키패드(Key Pad)상의 키스위치로 데이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할때, 상기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순간에 터치음을 발생하도록함으로써, 상기 키패드에 의한 데이타입력을 터치음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키패드의 조작을 간편화할 수 있도록 한 터치음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음는 시스템에 데이타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자동화시스템이나 통신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자동화시스템분야를 예를들면 산업로보트를 제어하는 커트롤박스의 조작부,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자동적으로 장착하는 칩마운터의 조작부, 무인경비시스템의 조작부 등이 있다.
제1도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키패드의 매트릭스이고 제2도는 일반적인 키스위치(25)의 상세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종래에는 키패드(20)를 사용하여 데이타를 임의의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입력한다.
종래에 사용하는 키패드를 사용하여 시스템으로 데이타를 입력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상의 키스위치를 정확하게 눌렸는지, 즉 키스위치를 눌러서 온접점으로 되었는지를 감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상기 시스템의 모니터에 입력표시기능이 있어서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특정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이와같이,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상의 키스위치를 눌려서 온접점으로 되었는지를 감각적으로 확인한다는 것은 불안전한 방법으로 시스템자체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시스템의 모니터에 입력표시기능이 있어서 이 모니터를 육안으로 데이타를 입려할때마다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시간낭비를 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칩마운터에 적용되는 키패드(Key Pad)상의 키스위치로 데이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할때, 상기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순간에 터치음을 발생하도록한 터치음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상기 키패트(Key Pad)상의 키스위치로 데이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할때, 상기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순간에 터치음을 발생하도록 한 터치음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의하여, 상기 키패드에 의한 데이타입력을 터치음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키패드의 조작을 간편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의 본 발명은
임의의 발진주파수로 클록펄스를 발생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키패드상기 임의의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경우에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클록펄스에 따라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래치회로부;
상기 래치회로부로부터의 트리거신호에 의해서 일정폭을 갖는 하나의 펄스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부터의 신호화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클록펄스신호를 논리합하는 AND게이트;
상기 AND게이트의 출력신호에 의해 특정이므로 발생시키는 스피커;
를 구비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상의 키스위치를 눌를때 터치음을 발생하는 회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챠트로, (가)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를 트리거시키는 입력신호이며, (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0)의 출력펄스이며, (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펄스이다.
10은 멀티바이브레이터이며, 이는 임의의 시스템을 제어한다. 20은 키패드이며, 이는 키스위치(25)를 조작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로 데이타를 입력한다. 상기 키패드(20)는 4×4스위치 매트릭스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키스위치(25)의 열방향으로는 각 저항(R1∼R4)을 통해서 접지되어 있다.
30은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며, 이는 임의의 발진주파수(f)로 클록펄스를 발생시키는데, R(Reset)은 리세트단자이고, TR(TRigger)은 트리거단자, CV(Control Voltage)는 컨트롤전압단자, Q는 출력단자, DIS(DIScharge)는 방전단자, THR(THReshold)는 드레쓰홀드단자를 포함하는 타이머555(35)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40은 래치회로부이며, 이는 래치(42)와 OR게이트(44)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42)는 키패드(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키스위치(25)중에 하나가 눌려졌을때 그 해당열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입력단자(D1∼D4)로 입력받아서 출력단자(Q1∼Q4)로 유지시켜서 출력한다. 상기 래치(42)의 클럭단자(CLK)를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단자(Q)에 접속하고, 상기 OR게이트(44)는 상기 래치(42)의 출력단자(Q1∼Q4)를 4입력단자에 각각 접속한다.
50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며, 이는 IC 단안정회로의 소자중에 CMOS 디바이스로 설계한 멀티바이브레이터로, 상기 래치회로부(40)로부터의 정트리거선호에 의해서 트리거되고, 타이밍회로(R11,C11)의 시정수에 의해서 일정폭(τ=0.5(R11*C11))을 갖는 하나의 펄스를 출력한다.
60은 OR게이트이며, 이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출력신호와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에러신호를 논리곱한다.
70은 AND게이트이며, 이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신호와 상기 OR게이트(60)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여 출력한다. 90은 스피커이며, 이는 상기 AND게이트(70)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특정을 특정음을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키패드(20)상의 키스위치(25)를 누르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키스위치(25)의 열방향으로 형성된 저항(R1∼R4)에는 전압이 걸리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래치회로부(40)에는 모두 로우레벨이 입력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터치음이 울리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해서 터치음이 울리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패드(20)상의 키스위치(25)중에 하나를 누르면, 상기 눌려진 스위치는 온접점으로 되어 그 열에 해당하는 저항에 전압이 걸리게 되어서 래치회로부(40)로 입력된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4×4스위치 매트릭스인 키패드(20)에서 제1열, 제2열, 제3열, 제4열에는 각각 4개의 키스위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열상의 4개의 키스위치중에서 하나를 누르면 저항(R1)에 전압이 걸리게 된다.
상기 제2열상의 4개의 키스위치중에서 하나를 누르면 저항(R2)에 전압이 걸리게 되고, 상기 제3열상의 4개의 키스위치중에서 하나를 누르면 저항(R3)에 전압이 걸리게 되며, 상기 제4열상의 4개의 키스위치중에서 하나를 누르면 저항(R4)에 전압이 걸리게 된다.
상기 저항(R1)에 걸리는 전압은 래치회로부(40)에 포함된 래치(42)의 입력단자(Q4)로 입력되고, 상기 저항(R2)에 걸리는 전압은 래치(42)로 입력되며, 상기 저항(R3)에 걸리는 전압은 래치(42)의 입력단자(Q2)로 입력된다. 그릭, 상기 저항(R4)에 걸리는 전압은 래치(42)의 입력단자(Q1)로 입력된다.
상기 래치(42)의 입력단자(D1∼D4)중에 하나로 입력되는 신호는 그대로 출력단자(Q1∼Q4)중에 하나로 유지되어 출력된다. 상기 래치(42)의 출력은 클럭단자(CLK)로 하이레벨인 펄스가 입력될때까지 계속 유지되며, 상기 래치(42)의 출력신호는 OR게이트(44)에서 논리곱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래치회로부(40)의 출력은 제4도(가)와 같은 트리거신호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내의 멀티바이브레이터(55)의 정트리거단자(+T)로 입력되어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를 트리거시킨다.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55)가 트리거되면, 외부의 타이밍회로(R11,C11)의 시정수에 의해서, 제4도(나)와 같은, 일정폭(τ=0.5(R11*C11)을 갖는 하나의 펄스가 출력단자(Q)로 출력된다.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출력펄스는 OR게이터(60)의 일입력단자로 입력되고, 그 타입력단자로는 장치에러에 해당되는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장치에러신호는 장치가 에러일때 하상 하이레벨로 유지되고, 장치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항상 로우레벨로 유지되는 신호이다.
상기 장치가 정상적인 상태일 경우에 있어서, 상기 OR게이터(60)에서 논리곱되어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출력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된다. 상기 OR게이터(60)의 출력신호 AND게이트(70)의 의 일입력단자로 입력되고, 그 타입력단자로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펄스가 제4도(다)와 같이 입력된다.
한편,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펄스는 제4도(다)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이레벨과 로울레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구형 파펄스로, 하이레벨폭(TH)은 0.7*(R21*R22)*C로 계산되고, 로우레벨폭(TL)은 0.7*R2*C로 계산되며, 여기서 펄스주파스(f)는 1/(TH+TL)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 계산하면 1.44/((R1+2R2)*C)로 된다.
상기와 같이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로 출력되는 펄스는 상기 래치(42)의 클리어단자(CLK)로 입력되고 동시에 상기 AND게이트(70)의 타입력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펄스는 상기 래치(42)를 일정시간간격으로 계속 클리어시킨다.
상기 AND게이트(70)는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단펄스와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펄스열을 논리합하여 제4도(라)와 같이 출력하는데, 이는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에서 설정된 펄스폭에 해당되는 시간동안에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펄스를 출력함을 의미한다. 상기 AND게이트(70)의 출력신호는 스피커(80)를 통해서 상기 키패드(20)상의 키스위치를 누르는 순간에만 터치음을 올리게 되는 것이다.
다른한편, 장치에 바정상적인 작동으로 상기 OR게이터(60)에 장치에러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음이 발생되는 경우와 회로동작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에러신호가 계속적으로 하이레벨로 유지되기 때문에 스피커에서는 게속적으로 음이 출력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는 키패드상의 키스위치 조작으로 발생되는 채터링(Chattering)현상을 래치회로부(40)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를 적용하여 방지할 수 있으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로 상기 키스위치를 누르는 시간과 무관하여 상기 키스위치를 누르는 순간만 터치음이 울리게 되고,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외부 저항과 콘덴서를 조정하며 가장 적절한 가청음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키패드(Key Pad)상의 키스위치로 데이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할 때, 상기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순간에 터치음을 발생하도록함으로써, 상기 키패드에 의한 데이타입력을 터치음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로인하여 키패드의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상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장치의 에러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신속히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임의의 발진주파수로 클록펄스를 발생시키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 키패드상기 임의의 키스위치가 온접점으로 되는 경우에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클록퍽스에 따라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래치회로부(40); 상기 래치회로부(30)로부터의 트리거신호에 의해서 일정폭을 갖는 하나의 펄스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 상기 단안정 밀티바이브레이터(50)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클록펄스신호를 논리합하는 AND게이트(70); 상기 AND게이트(70)의 출력신호에 의해 특정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음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후단에 OR게이트(60)를 구비시켜서,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출력신호와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에러신호를 논리곱하여 출력시키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음 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부(40)은 래치(42)와 OR게이트(44)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42)는 키패드(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키스위치(25)중에 하나가 눌려졌을때 그 해당열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입력단자(D1∼D4)로 입력받아서 출력단자(QQ1∼Q4)로 유지시키겨서 출력하고, 상기 래치(42)의 클럭단자(CLK)를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단자(Q)에 접속하며, 상기 OR게이트(44)는 상기 래치(42)의 출력단자(Q1∼Q4)를 4입력단자에 각각 접속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음 발생회로.
KR1019940038238A 1994-12-28 1994-12-28 터치음 발생회로 KR013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38A KR0136345B1 (ko) 1994-12-28 1994-12-28 터치음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38A KR0136345B1 (ko) 1994-12-28 1994-12-28 터치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840A KR960024840A (ko) 1996-07-20
KR0136345B1 true KR0136345B1 (ko) 1998-06-15

Family

ID=1940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238A KR0136345B1 (ko) 1994-12-28 1994-12-28 터치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3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840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0001189A1 (en) Apparatus for defined switching of a microcomputer to standby mode
KR970706634A (ko) 파워 온 리셋 회로(power-on reset circuit)
EP0097816B1 (en) Automatically adjusted delay function for timed repeat character capability of a keyboard
KR0136345B1 (ko) 터치음 발생회로
JPS6141985A (ja) 超音波近接イニシエータ
JPS57130131A (en) Multiple computer device
JPS59185389A (ja) 表示及びキ−入力回路の制御方式
KR890000410Y1 (ko) 리세트 회로
JPS6243209B2 (ko)
JP2001142620A (ja) キーボード
JP2588270Y2 (ja) デジタルスイツチ
KR0152769B1 (ko) 키이 2중 동작 방지 방법
KR940000967A (ko) 오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 리세트회로 및 방법
SU12754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JPH0469722A (ja) リセット回路
RU1835544C (ru) Микропрограм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JP2503631B2 (ja) 電源回路
KR960008203B1 (ko) 키 메트릭스 키 스위치 구동 제어회로
SU12821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KR900003594Y1 (ko) 시스템 리세트 스위치 보호장치
SU121835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равильност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монтажа
KR100254903B1 (ko) 산업용 키이보드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20008043B1 (ko) 펄스주기 및 천이 감시회로
JP3062523B2 (ja) 振動検出装置及び振動検出スイッチ
KR19980060760A (ko) 스위치 매트릭스를 이용한 하드웨어 리셋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