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66Y1 - 배기통 - Google Patents

배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66Y1
KR0135966Y1 KR2019950022817U KR19950022817U KR0135966Y1 KR 0135966 Y1 KR0135966 Y1 KR 0135966Y1 KR 2019950022817 U KR2019950022817 U KR 2019950022817U KR 19950022817 U KR19950022817 U KR 19950022817U KR 0135966 Y1 KR0135966 Y1 KR 0135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exhaust pipe
exhaust cylinder
cylinder
insec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541U (ko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김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문 filed Critical 김종문
Priority to KR2019950022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66Y1/ko
Publication of KR970010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의 조리기기 위에 설치되는 환기팬에서 빨아들인 각종 배기 물질을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벽 등에 형성되 배출구로 배기통을 고정 설치시 일정한 설치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결로수 등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방출이 용이하도록 한 배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통과 가림부가 접하는 부위로 경사 돌출면을 구성시켜, 건물벽에 구성된 배출구로내로 배기통 삽입 설치시 배기통이 돌출 경사면에 의해 배출구 내에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결로수의 실내 유입을 방지되도록함에 있으며, 또 다르게는 방충망에 배수홈을 구성하여, 이 배수홈에 의해 결로수의 외부 방출이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배기통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배기통과 가림부로 형성되어 그 내주연으로 방충망을 구비하며, 나사 결합에 의해 마감테를 결합되게 하는 배기통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과 가림부간의 턱 상부로 경사 돌출면을 형성하고, 배기통 내주연의 방충망으로는 배수홈을 형성하여 결로수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배기통
본 고안은 주방의 조리기기 위에 설치되는 환기팬에서 빨아들인 각종 배기 물질을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벽 등에 형성되 배출구로 배기통을 고정 설치시 일정한 설치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결로수 등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방출이 용이하도록 한 배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 설치되는 환기팬은 조리기기로 부터 발생되는 각종 배기 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므로서 내부의 공기를 청정케 하는데 많은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환기팬에 있어 종래의 환기팬 배기통은 제1도 및 제2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1)를 갖는 가림부(30)와 배기통(10)을 리벳(6)으로 결합하고, 이 배기통(10)의 외부에는 복수의 고정띠(5)를 두어 실내 벽면(A)과 결합하며, 상기 배기통(10)과 가림부(30)간에는 개구부(31)로 부터 들어오는 벌레들을 막기 위한 철망(7)이 리벳팅(6')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기통 구조는 배기통의 일부가 건물 외벽에 가림부와 배기통을 각기 제작하여 이들 상호간의 조립 부분 및 방충철망을 각기 리벳으로 고정하는 이외 배기통 외주연에도 적어도 복수의 고정띠를 리벳으로 부착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그에 따른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다수의 고정띠에 의해 배기통 전체가 고정됨에 따라 지지력 또한 부실한 단점이 있는 것으로서,
근래에 들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가림부와 배기통을 일체로 구성시키고, 건물벽에 형성된 배출구로의 배기통 설치 고정 수단으로서 배기통 외주연에 나사산을 구성시켜 별도의 마감테에 의해 고정시키며, 배기통의 내부로 장착홈을 형성시켜 방충망을 장탈착할 수 있도록 끼움고정한 배기통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배기통은 배출구로의 설치 고정시 설치되는 배기통 자체에 별도의 설치 기울기를 두지 않아 특히, 겨울철에는 배기팬으로 강제배기되는 더운 습기와 외부의 차가운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상당량의 결로수(물)가 배기통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주방쪽으로 유입되어 실내(주방 등)의 벽면 및 렌지 후드를 부식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배기통 내부로 구성된 방충망이 결로수의 외부 배출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오랜 시간 결로수와의 접촉에 의해 결로수에 함유된 기름 찌꺼기 등이 방충망에 고착되어 부패되는 등의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아직도 상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배기통에 있어, 결로수 배출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통과 가림부가 접하는 부위로 경사 돌출면을 구성시켜, 건물벽에 구성된 배출구로내로 배기통 삽입 설치시 배기통이 돌출 경사면에 의해 배출구 내에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결로수의 실내 유입을 방지되도록함에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방충망에 배수홈을 구성하여, 이 배수홈에 의해 결로수의 외부 방출이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배기통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배기통과 가림부로 형성되어 그 내주연으로 방충망을 구비하며, 나사 결합에 의해 마감테를 결합되게 하는 배기통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과 가림부간의 턱 상부로 경사 돌출면을 형성하고, 배기통 내주연의 방충망으로는 배수홈을 형성하여 결로수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의 배기통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배기통 설치 상태 단면도.
제3도는 종래 배기통의 또 다른 설치 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기통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기통의 결합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방충망의 구조도.
제7도는 본 고안 배기통의 바람직한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통 12 : 결합돌기
13 : 나사산 15 : 마감테
16 : 나사산 17 : 커버편
20 : 방충망 21 : 배수홈
22 : 장착홈 23 : 손잡이
24 : 배기공 30 : 가림부
31 : 개구부 32 : 턱
33, 34 : 경사 돌출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해 배기통의 분리사시도이며, 제5도는 배기통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10'은 건물벽에 고정되어 있는 배출구에 관통 삽입되고 일측이 배출측에 연결되는 배기통이고, '15'는 배기통(10)이 설치되는 내벽 배출구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마감테이며, '20'은 배기통(10)을 통해 들어오는 벌레들을 막기 위한 방충망이고, '30'은 상기 배기통(10)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외부로 부터 바람 및 비의 침투를 막기 위한 가림부이다.
이 때, 상기 배기통(10)은 제4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 일정구간에 걸쳐 나사산부(13)가 형성되고, 이에 내주벽에는 방충망(20)을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돌기(12)가 배기통(1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가림부 측 상단 근접한 위치로는 일정 길이로 돌출 구성되는 경사 돌출면(3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한 한 쌍의 결합돌기(12)는 적어도 복수의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바람직한 위치는 좌, 우측 및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사 돌출면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배기통의 배출구 삽입 작업시 상기 배기통이 억지 끼움되도록 돌출 구성시켜, 이 경사 돌출면에 의해 배기통 자체가 설치 경사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마감테(15)는 그 내주연에 상기 배기통(10)의 나사산부(13)와 대응하는 나사산부(16)가 형성되고, 그 종단측에는 건물의 배출 구멍의 주변을 가리기에 충분한 크기의 커버편(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충망(20)은 제6도에서와 같이 중앙에 손잡이(23)가 형성되고, 원호 사방면에는 상기 배기통(10)의 3개조 결합돌기(12) 위치와 대등하게 장착홈(22)과 배수홈(21)을 두어 적어도 3개의 장착홈(22)을 통해서는 상기 배기통(10)의 좌, 우측 및 상측 내주벽에 형성된 결합돌기(12)와 착탈되도록 구성하되, 한 쌍의 결합돌기(12) 사이에 방충망(20)이 위치한 상태에서 약간 돌리도록하여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수홈(21)은 상기 결합돌기(12)의 방충망(20) 장착시 배기통(10)의 하부면과 맞닿도록 구성하여 이 배수홈(21)을 통해서는 환기팬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 또는 실내, 외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통(10)과 일체로 성형되는 가림부(30)에는 이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물질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개구부(3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1)와 대응하는 턱(32)면의 외둘레 상단으로는 일정 길이로 돌출 구성되는 경사 돌출면(33)이 구성되어도 7에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통의 외벽 설치시, 전술한 배기통의 경사 돌출면에 의해 설치 경사각을 갖는 상기 배기통(10)을 이중으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림부(30)의 개구부(31)는 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항상 밑으로 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배기통은 먼저 건물벽에 형성된 배출구에 설치하기 전 방충망(20)을 제5도에서와 같이 배기통(10)에 장착한다.
이 때, 방충망(20)의 장착 방법은 방충망(20)의 손잡이(23)를 잡고 배기통(10)에 삽입하면서 방충망(20)의 장착홈(22)이 배기통(10)의 내주연에서 돌출된 복수조의 결합돌기(12) 중 첫번째의 결합돌기(12)를 통과하도록 한 상태에서 임의방향으로 돌리면 방충망(20)은 각 위치에 있는 결합돌기(12) 사이에 장착되며 배수홈은 배기통의 하부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림부(30)를 실외측으로 한 배기통(10)을 건물벽의 배출구를 통해 삽입하면 건물 내벽면으로 부터는 배기통(10)의 나사산부(13)가 노출되는데,
이 때, 배기통의 상단에 구성된 경사 돌출면에 의해 배기통은 배출 구상에 억지끼움됨과 동시에 배기통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의 내부측으로 일정한 설치 경사각을 갖게되며, 배출구의 외측 끝단이 가림부(30)의 외부 턱()의 외둘레로 맞닿게 되면, 가림부의 경사 돌출면에 의해 배기통의 설치 경사각이 이중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이 후, 건물의 내벽면에 노출되어 있는 배기통(10)은 환기팬의 배출구측과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환기팬의 배출구측에 끼움하기 전에 미리 배기통(10)의 외주연에 마감테(15)를 걸어놓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배기통(10)에 걸어 놓은 마감테(15)를 조임 방향으로 돌리면 마감테(15)의 나사산부(16)와 배기통(10) 나사산부(13)의 조임 결합에 의해 배기통이 배출구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배기통(10)는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자체 경사됨에 따라 외부 유입 또는 결로 현상등에 의한 물(결로수)이 생성될 경우 그 물은 자연적으로 경사면을 따라 방충망(20)의 배수홈(2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상기 마감테(15)와 배기통(10) 상호간의 나사산부(13) (16)의 조임 결속력은 가림부(30)의 경사 돌출면(33)과 배기통(10)의 경사 돌출면(34)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고정된 배기통을 마감테(15)의 커버편(17)이 건물의 내외벽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2차적으로 배기통 전체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도중 실내에서 배출되는 배기 물질이나 실외에서 들어오려다 걸린 벌레들에 의해 이물질이 방충망(20)에 많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방충망(20) 장착순서의 역으로 해체하여 배기통(1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청소한 후, 다시 상기 설명과 같이 결합하여 사용토록 하므로서 영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기통은 배기통과 가림부로 돌출 경사면을 구성하여 배기통을 배출구로 삽입 설치시 배출구 내에서 일정한 설치 경사각을 갖도록 하므로서 결로수 등의 내부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배수홈의 구성에 의해 설치 경사각을 따라 자연적으로 행하여지는 결로수 등의 외부 방출이 배수홈을 통해 용이하게 이루워지는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괄목할 만한 기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배기통(10)과 가림부(30)로 형성되고, 그 내주연으로 방충망(20)을 구비하며, 나사 결합에 의해 마감테(15)를 결합되게 하는 배기통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10)과 가림부(30) 간의 턱 상부로 경사 돌출면(33, 34)을 형성하고, 배기통(10) 내주연의 방충망(20)으로는 배수홈(21)을 형성하여 결로수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통.
KR2019950022817U 1995-08-29 1995-08-29 배기통 KR0135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817U KR0135966Y1 (ko) 1995-08-29 1995-08-29 배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817U KR0135966Y1 (ko) 1995-08-29 1995-08-29 배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541U KR970010541U (ko) 1997-03-29
KR0135966Y1 true KR0135966Y1 (ko) 1999-03-20

Family

ID=1942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817U KR0135966Y1 (ko) 1995-08-29 1995-08-29 배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541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6023C (en) Roof vent
US20060277857A1 (en) Exterior siding mounting bracke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5081914A (en) Roof vent cap
US20170191683A1 (en) Bath Vent Roof Cap
KR0135966Y1 (ko) 배기통
US20100120352A1 (en) Wall Vent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356679Y1 (ko) 에어컨 실외기용 차양 덮개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KR200405559Y1 (ko)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JPH0113695Y2 (ko)
JP3860401B2 (ja) 浴室乾燥機
JPH0233053Y2 (ko)
JP3256381B2 (ja) 天井用換気扇
JPS627949Y2 (ko)
JP3359886B2 (ja) 換気口
KR200146169Y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구조
KR200254163Y1 (ko) 에어컨 배수펌프용 이중구조의 하부케이싱
JP2007187336A (ja) 換気口
KR200331023Y1 (ko) 냉,난방용 공기배출 확산구의 그릴 구조
KR200485225Y1 (ko) 기름받이가 구비된 레인지 후드용 배기장치
JPH0327220Y2 (ko)
KR100346956B1 (ko) 루바
KR200182549Y1 (ko) 오븐렌지의 셀프크린판 결합구조
KR840001255Y1 (ko) 환 풍 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