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667Y1 -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667Y1
KR0135667Y1 KR2019960009081U KR19960009081U KR0135667Y1 KR 0135667 Y1 KR0135667 Y1 KR 0135667Y1 KR 2019960009081 U KR2019960009081 U KR 2019960009081U KR 19960009081 U KR19960009081 U KR 19960009081U KR 0135667 Y1 KR0135667 Y1 KR 0135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power saving
portable comput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9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541U (ko
Inventor
오창훈
Original Assignee
이정식
주식회사삼보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식, 주식회사삼보컴퓨터 filed Critical 이정식
Priority to KR2019960009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667Y1/ko
Publication of KR970059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전모드를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에 선택된 어느 일 방향으로 직선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20)와, 본체(10)에 전원스위치(20)와 직교하며 정상모드/절전모드 사이을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절전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전원스위치의 이동을 제한하는 절전스위치(3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전원스위치
30 : 절전스위치 22, 32 : 손잡이
24, 34 : 작동판 24a, 34a : 작동홈
본 고안은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전모드를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전원스위치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컴퓨터는 작업중 잠시동안 자리를 떠날 필요가 있거나 또는 다른 업무를 수행할 경우에는 절전(節電)을 위해 필요부분으로의 전원공급만을 허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모드를 수행하게된다.
이러한 절전기능은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등에 모드 제공되어 있는 것으로, 특히, 휴대용 컴퓨터는 이동간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한 번의 배터리 공급으로 장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절전기능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다.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는데, 예를 들면, 별도의 절전모드용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방식과, 서스펜드(Suspend)타이머를 구비하여 일정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필수적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시스템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대부분의 휴대용 컴퓨터는 절전기능을 위하여 상기 두가지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도록 되어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중 절전을 위해서는 상기 후자의 방식보다 보다 즉시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모가 적은 전자의 방식 즉, 절전모드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방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기능 수행시에는 가장 전력소모가 큰 액정디스플레이부 및 기타 지속적인 전력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이 포함된다.
제1도에는 절전모드용 스위치를 갖는 통상의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2)가 구비된 본체(1)부와 입력된 정보 및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측면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전원스위치(4)및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하 '절전모드(Suspend Mode)라 함)와 절전기능을 해제하여 정성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이하 '정상모드'(Resume Mode)라 함)를 수행하는 절전모드용스위치(이하 '절전스위치(5)'라 약칭함)가 제공된다.
상기 절전스위치(5)를 동작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부(3)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화면이 블랭크상태가 되고, 절전스위치(5)를 원위치 시키면 다시 디스플레이부(3)로 전력이 공급되어 절전기능 수행전의 화면상태로 복귀하여 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절전기능 수행시 디스플레이부(3)가 블랭크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부주위로 인해 전원스위치(4)를 오프시킬 우려가 있어 작업중이던 데이터(Data)를 잃어버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작업자가 아닌 다른 사람 즉, 절전기능 수행중인 휴대용 컴퓨터의 현재상황을 모르는 사람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대처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아 데이타손실의 우려를 더욱 크게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절전기능 수행시에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없도록하여 작업중이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선택된 어느 일 방향으로 직선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본체에 전원스위치와 직교하며 정성모드/절전모드 사이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절전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전원스위치의 이동을 제한하는 절전스위치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는 일측에 손잡이가 고정되며, 온(ON)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절전스위치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홈을 갖는 작동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전스위치는 일측에 손잡이가 고정되며, 정상모드에 있을때에만 상기 전원스위치 작동판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홈을 갖는 작동판으로 이루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본체(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20)가 구비된다. 전원스위치(20)는 소정두께를 갖는 장방향의 작동판(24) 및 작동판(24) 일측에 손잡이(22)가 제공되어 있으며, 작동판(24)에는 작동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0)에 대해 상기 전원스위치(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절전모드를 수행하는 절전스위치(30)가 구비된다.
절전스위치(30)는 전원스위치(20)와 동일한 형태 즉, 소정두께를 갖는 장방향의 작동판(34) 및 작동판(34) 일측에 손잡이(32)가 제공되어 있으며, 작동판(34)에는 작동홈(3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20)와 절전스위치(30)는 상호 상대의 작동홈(24a)(34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전원스위치(20)는 절전스위치(30)의 작동홈(34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절전스위치(30)는 전원스위치(20)의 작동홈(24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전원스위치(20)의 작동홈(24a)은 전원스위치(20)가 온(ON)일 때에만 절전스위치(30)의 이동을 허용하고,(제3도의 가상선 도시상태참조) 절전스위치(30)의 작동홈(34a)은 절전스위치(30)가 정상모드일 때에만 전원스위치(20)의 이동을 허용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20)는 절전스위치(30)가 정상모드에 있을 때에만 절전스위치(30)의 작동홈(34a)은 전원스위치(20)의 작동판(24)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므로 전원스위치(20)는 온/오프 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절전스위치(30)는 전원스위치(20)가 오프(OFF)되어 있을 경우에는 절전스위치(30)의 작동홈(34a)이 전원스위치(20)의 작동판(24)에 의해 간섭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전원스위치(20)가 온(ON)되면 비로소 전원스위치(20)의 작동홈(24a)이 전원스위치(20)의 작동판(24)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므로 절전모드/정상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스위치(20)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절전스위치(30)가 절전모드로 이동하게 되면, 전원스위치(20)의 작동홈(24a)이 절전스위치(30)의 작동판(3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절전모드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전원을 오프하는 것으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위해 상기와 같은 전원스위치와 절전스위치의 상대 위치간의 작동가능 여부를 표로 구성하면,
과 같이 표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원스위치(20)와 절전스위치(30)의 배열은 상호 반대로 즉, 전원스위치(20)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절전스위치(30)가 수직으로 배열되어도 본고안에서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휴대용 컴퓨터에 한정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요구되는 구조를 변경 및 추가하여 두개의 연동하는 스위치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산업분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는 전원스위치와 절전스위치를 상호 직교하도록 배열하되 두 개의 부재가 동시에 작동하지 못하도록 간섭시킴으로써 절전모드시에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없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중이던 데이터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10)에 직선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20)와, 본체(10)에 전원스위치(20)와 직교하며 정상모드/절전모드 사이을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절전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전원스위치의 이동을 제한하는 절전스위치(3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20)는 일측에 손잡이(22)가 고정되며, 온(ON)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절전스위치(30)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홈(24a)을 갖는 작동판(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전스위치(30)는 일측에 손잡이(32)가 고정되며, 정상모드에 있을때에만 상기 전원스위치(20) 작동판(24)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홈(34a)을 갖는 작동판(3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KR2019960009081U 1996-04-24 1996-04-24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KR0135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081U KR0135667Y1 (ko) 1996-04-24 1996-04-24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081U KR0135667Y1 (ko) 1996-04-24 1996-04-24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41U KR970059541U (ko) 1997-11-10
KR0135667Y1 true KR0135667Y1 (ko) 1999-03-30

Family

ID=1945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081U KR0135667Y1 (ko) 1996-04-24 1996-04-24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41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500B1 (ko) 전원 제어 모드 변환부를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JPH08166814A (ja) ロボット用教示操作盤
WO2003107164A3 (en) MULTIMODE INTERFACE
JPH07134628A (ja) 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0345876B1 (ko) 전원관리모드를갖는컴퓨터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0135667Y1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KR870011551A (ko) 운전 조작 데스크
KR100358015B1 (ko) 터치 패널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및 입력 모듈설정방법
JP2854077B2 (ja) 液晶表示装置
DE59804265D1 (de) Verkürzung der prozessorlaufzeit bei einer programmierbaren steuerung
JPS63118817A (ja) キ−ボ−ド
KR970002366B1 (ko) 피씨의 전원자동차단 제어장치
JP3056291U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キーボード
JPH0561631A (ja) 画面スクロール方式
JPH032954A (ja) 計算機付キーボード
KR100465802B1 (ko) 컴퓨터장치
KR20040037629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KR20030094530A (ko) 복수 사용자 운영을 위한 하드디스크 선택 장치
KR19990012277U (ko) 중앙집중식 전원제어장치
KR960005325Y1 (ko) 휴대용 사무기기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JPH0277917A (ja) 電子機器の電源スイッチ
JPS62293410A (ja) 電子機器
JPH10254571A (ja) ペン入力型コンピュータ
JPH10133724A (ja) 数値制御装置の操作盤
KR20080023813A (ko)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