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629A -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629A
KR20040037629A KR1020020066196A KR20020066196A KR20040037629A KR 20040037629 A KR20040037629 A KR 20040037629A KR 1020020066196 A KR1020020066196 A KR 1020020066196A KR 20020066196 A KR20020066196 A KR 20020066196A KR 20040037629 A KR20040037629 A KR 2004003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element
portable computer
fe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7629A/ko
Publication of KR2004003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6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서, 액정 표시기(LCD)가 닫혀진 상태와 시스템 전원 버튼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온 상태로 입력되는 지를 감시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원을 상시 전원(Always Power)으로 불필요하게 계속 소비하게 되는 것을, 간단한 하드웨어의 스위칭 소자들을 추가하여 효율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Apparatus for controling power in 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서, 한정된 용량의 배터리 전원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는, AC 어댑터를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속 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배터리를 결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 결착부가 포함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컴퓨터의 시스템 전원으로서, AC 어댑터 전원을 사용하거나, 또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데,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하나가, 휴대용 컴퓨터의 시스템(10)으로 선택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 예를 들어 제1 에프이티(FET 1)(11)가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에프이티(FET 1)(11)에서는, AC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AC 어댑터 전원을, 휴대용 컴퓨터의 시스템(10)으로 선택 인가하여, 한정된 용량의 배터리 전원이 소비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에프이티(FET 1)(11)에서는,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 접속된 AC 어댑터가 분리 이탈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컴퓨터의 시스템(10)으로 선택 인가하여, 시스템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하던 도중, 사용자가 전원 버튼(미도시)을 오프 상태로 선택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스템 전원 버튼을 온 상태로 다시 입력하는 지를 감시하기 위하여, 키보드 컨트롤러(Keyboard Controller) 등과 같은 구성수단에 최소한의 배터리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게 된다.
그러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액정 표시기(LCD)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온 상태로 입력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종료 이후에도,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시 전원(Always Power)으로서 불필요하게 계속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서, 한정된 용량의 배터리 전원이 상시 전원(Always Power)으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시스템11,21,23,24 : 에프이티(FET)
12,26 : 배터리22,25 :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는, 교류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시스템 전원으로 선택 공급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액정 표시기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전원 버튼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스위칭 소자가 포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원 제어장치에서는, AC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하나가, 휴대용 컴퓨터의 시스템(20)으로 선택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 예를 들어 제1 에프이티(FET 1)(21)가 포함 구성되며, 상기 제1 에프이티(FET 1)(21)에서는, AC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AC 어댑터 전원을, 휴대용 컴퓨터의 시스템(20)으로 선택 인가하여, 한정된 용량의 배터리 전원이 소비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에프이티(FET 1)(21)에서는,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 접속된AC 어댑터가 분리 이탈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컴퓨터의 시스템(20)으로 선택 인가하여, 시스템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 제어장치에는, 액정 표시기의 개폐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기가 닫혀 있는 경우, 온되고, 열려있는 경우, 오프되는 기계적인 제1 스위치(SW1)(22)가 포함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SW1)(22)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에프이티(FET 1)(21)로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 예를 들어 제2 에프이티(FET 2)(23)가 포함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장치에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 버튼이 오/오프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신호(System PWR Off Signal)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 예를 들어 전원 버튼이 온되는 경우, 오프되고, 전원 버튼이 오프되는 경우, 온되는 전자적인 제2 스위치(SW2)(25)가 포함 구성되는 데, 상기 제2 스위치는 인버스 에프이티(Inverse FET)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치(SW2)(25)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에프이티(FET 1)(21)로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스위칭 소자, 예를 들어 제3 에프이티(FET 3)(24)가 포함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시스템 전원으로 사용하던 도중,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오프 상태로 선택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25)가 온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3 에프이티(24)가 오프되지만, 상기 배터리 전원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2 에프이티(23)와 제1 에프이티(21)를 거쳐, 상기 시스템(20)으로인가된다.
한편,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사용자가 시스템 전원 버튼을 온 상태로 다시 입력하는 지를 감시하기 위하여, 키보드 컨트롤러(Keyboard Controller) 등과 같은 구성수단에 최소한의 배터리 전원을 상시 전원으로서 계속 인가하게 되는 데, 이때 사용자에 의해 액정 표시기를 닫히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22)가 온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2 에프이티(23)가 오프되어, 결국 상기 제1 에프이티(21)로 인가되던 배터리 전원이 완전 차단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기가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온 상태로 입력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종료 이후에도, 배터리 전원을 상시 전원(Always Power)으로서 불필요하게 계속 소비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 내지 제3 에프이티(FET)와, 제1 및 제2 스위치(SW)들은, 다른 스위칭 소자들로 대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서, 액정 표시기(LCD)가 닫혀진 상태와 시스템 전원 버튼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온 상태로 입력되는 지를 감시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원을 상시 전원(Always Power)으로 불필요하게 계속 소비하게 되는 것을, 간단한 하드웨어의 스위칭 소자들을 추가하여 효율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교류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시스템 전원으로 선택 공급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액정 표시기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로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전원 버튼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스위칭 소자가 포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교류 어댑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그 교류 어댑터 전원을 시스템 전원으로 선택 공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교류 어댑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가 각각 오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액정 표시기의 개폐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기계적 스위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원 버튼의 온/오프 상태를 알리는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전자적 스위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KR1020020066196A 2002-10-29 2002-10-29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KR20040037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96A KR20040037629A (ko) 2002-10-29 2002-10-29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96A KR20040037629A (ko) 2002-10-29 2002-10-29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29A true KR20040037629A (ko) 2004-05-07

Family

ID=3733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196A KR20040037629A (ko) 2002-10-29 2002-10-29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76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418B1 (ko) * 2010-10-26 2014-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 모듈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032228B2 (en) 2011-06-30 2015-05-12 Lg Innotek Co., Ltd. Standby power reduc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418B1 (ko) * 2010-10-26 2014-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 모듈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032228B2 (en) 2011-06-30 2015-05-12 Lg Innotek Co., Ltd. Standby power reduc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6050A (ko) 휴대용 전자단말의 전원 관리 방법
US200800282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69530157D1 (de) Datenverarbeitungssystem mit Batterieentladung-Betrieb
KR20010038449A (ko) 여러 전원 관리 상태를 갖는 컴퓨터를 위한 전원 공급 제어 회로
KR20040037629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JP2013039018A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のバックアップ電源システム及びバックアップ電力の供給方法
KR1005951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백라이트 전원제어장치
KR20010001459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9009386A (ja) 情報処理装置
KR20040088265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JP2007311849A (ja) 携帯情報端末
KR100820641B1 (ko) 범용직렬버스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컴퓨터 시스템
JP2004180103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926184B1 (ko) 모니터 대기전력 저감장치
KR20080023813A (ko)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JPH054024Y2 (ko)
KR19990073937A (ko)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8320743A (ja) 情報機器
JPH1115573A (ja) 情報機器および情報機器における制御方法
KR100776002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68453B1 (ko) 컴퓨터
KR20040027242A (ko) 컴퓨터시스템
KR20050059866A (ko) 컴퓨터의 시간표시장치
KR20120041407A (ko) 파워 제어장치
KR20030034353A (ko) 리드 스위치를 이용한 절전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