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557B1 -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557B1
KR0135557B1 KR1019940039797A KR19940039797A KR0135557B1 KR 0135557 B1 KR0135557 B1 KR 0135557B1 KR 1019940039797 A KR1019940039797 A KR 1019940039797A KR 19940039797 A KR19940039797 A KR 19940039797A KR 0135557 B1 KR0135557 B1 KR 013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ire
robot
welding wir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340A (ko
Inventor
김성엽
권순창
김지희
Original Assignee
김준성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성,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김준성
Priority to KR101994003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557B1/ko
Publication of KR96002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로보트형 아크 용접 시스템은 프로그램이 입력된 로보트 제어장치(1)가 일측은 순차적으로 용접기 제어장치(4), 용접기(5), 용접 와이어 피이더(6)가 접속되고, 그리고 타측은 용접로보트(2)에 접속되고, 용접 와이어(10)는 용접와이어 피이더(6)의 가이드 구멍(10)을 통해 가이드 롤러(9)에 장착된다.
리미트 스위치(11)는 와이어 가이드 구멍(10)의 후방에 설치되고 리미트 스위치(11)의 접촉롤러(12)에는 용접와이어가 얹혀지도록 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1)의 신호선은 커넥터(13) 및 케이블(14)을 통해 상기 용접기(5), 용접기 제어장치(4) 및 로보트 제어장치(1)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로봇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검출장치.
제1도는 용접 로봇을 이용한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용접 와이어 피이더의 개략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유무검출장치가 사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로보트 제어장치 2:로보트
3:용접토오치 4:용접기 제어장치
5:용접기 6:용접 와이어 피이더
7:용접와이어 8:모터
9:가이드 롤러 10:가이드 구멍
11:리미트 스위치 12:접촉롤러
13:용접시그널 커넥터 14:케이블
본 발명은 아크 용접 로보트 또는 기타 자동 용접시스템의 연속적인 용접 작업수행시 용접 와이어의 유무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접자동화 시스템은 로보트가 고정위치에 설치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보통 200kg의 용접 와이어가 내장된 팩드럼(pack drum)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의해 용접 로보트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팩 드럼의 사용이 곤란하여 20kg의 용접 와이어 스풀(wire spool)이 장착된 용접 와이어 피이더를 사용하게 된다.
용접 와이어 피이더를 이용하는 용접 자동화 시스템은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보트 제어장치(1)에 의해 로보트(2)가 동작하게 되고, 용접 로보트(2)에는 용접 토오치(3)가 설치된다. 그리고 로보트 제어장치(1)는 용접기 제어장치(4)에 접속되어 용접기(5)를 제어하고 이때 용접기(5)에 접속된 용접 와이어 피이더(6)는 용접기(5)의 요구조건에 따라 용접 와이어(7)를 용접부에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도는 이러한 용접 와이어 피이더(6)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모터(8)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롤로(9)가 회전함으로써 와이어 스풀에 담겨져 있던 용접 와이어(7)는 가이드 구멍(10)을 통해 용접부에 공급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용접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연속적인 용접 작업시 용접 와이어가 소진될 빈도수가 많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의 소진 사실이 용접 로보트 제어장치나 기타 자동화 제어장치에 즉시 알려지도록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용접이 중단된 곳의 위치를 제어장치가 모르기 때문에 중단 위치에서 다시 용접을 재개시킬 수 없는 등 용접 자동화 구축에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용접 자동화 시스템에 용접 와이어 검출장치를 부가시켜 와이어의 유무상태를 검출하고 있으나. 이 와이어 검출장치는 실제의 용접와이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용접 작업시 용접전류를 검출하여 그 전류치로 용접 와이어의 유무를 판별하기 때문에 실제의 용접 와이어의 유무와 상관없이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용접 와이어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와이어의 유무를 검출하여 용접 와이어가 없으면 이 정보를 바로 용접 로보트 제어장치에 알려주어 용접작업을 즉시 중지시키도록 차질이 없도록 한 로보트형 아크 용접 시스템의 와이어 유무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이 입력된 로보트 제어장치가 일측은 순차적으로 용접기 제어장치, 용접기, 용접 와이어 피이더가 접속되고, 그리고 타측은 용접로보트에 접속되어 용접 와이어는 상기 용접와이어 피이더의 가이드 구멍을 통해 가이드 롤러에 장착되어진 로보트형 아크 용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구멍의 후방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접촉롤러에 용접와이어가 얹혀지도록 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선은 커넥터 및 케이블을 통해 상기 용접기, 용접기 제어장치 및 로보트 제어장치에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트형 아크 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는 상기 접촉롤러에 용접와이어가 얹혀 있을 때는 ON되고, 와이어가 없을때는 OFF되도록 설정 되어 있고, 로보트 제어장치는 리미트 스위치의 OFF 신호시 용접기를 비상정지시키는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보트 제어장치중에 경보기능을 포함하여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가 OFF되었을 때 경보음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럼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유무검출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와이어 피이더(6)는 모터(8)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롤러(9)를 회전시켜서 와이어 스풀에 담긴 용접 와이어가 가이드구멍(10)을 통해 전진하게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용접 와이어(7)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구멍(10)의 후방에는 리미트 스위치(11)가 설치된다. 리미트 스위치(11)에는 접촉 롤러(12)를 부착하여 상기 용접 와이어(7)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11)의 신호는 용접 와이어(7)가 상기 접촉 롤러(12)에 얹혀져 접촉롤러(12)가 눌려질 때는 ON이 되도록 설정하고, 용접 와이어(7)가 소진되어 상기 접촉롤러(12)가 정상위치에 있을 때에는 OFF 되도록 설정시킨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11)의 신호선을 용접 시그널 커넥터(13) 및 케이블(14)을 통해 상기 용접기(5)에 전달되도록 하고, 다시 이 신호를 용접기 제어장치(4)를 통해 로보트 제어장치(1)에 전달되어지도록 구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로보트 제어장치(1)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11)의 OFF 신호시 용접기(5)를 비상정지시키는 프로그램을 입력시켜서, 작업중 용접 와이어가 소진되었을때(즉, OFF 신호시) 자동적으로 용접기(5)가 비상정지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와이어를 재공급할 수 있게끔 용접 와이어 스풀(도시하지 않았음)을 교체하고 다시 용접 재개 지령을 내려주면 로보트 제어장치(1)는 기억해 놓았던 용접 중단위치에서 다시 용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보트 제어장치(1)중에 상기 용접와이어의 소진을 알리는 경보기능을 입력시켜 놓으면 작업자는 청각을 이용해 보다 쉽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와이어 유무검출장치는 용접와이어의 소진상태를 즉시 시스템에 알려 용접작업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청각을 통해 용접중단 상태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행동영역도 커지게 되어 용접 로보트를 이용한 용접 자동화의 효율 및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프로그램이 입력된 로보트 제어장치(1)가 일측은 순차적으로 용접기 제어장치(4), 용접기(5), 용접 와이어 피이더(6)가 접속되고, 그리고 타측은 용접로보트(2)에 접속되어 용접 와이어(10)는 상기 용접와이어 피이더(6)의 가이드 구멍(10)을 통해 가이드 롤러(9)에 장착되어진 로보트형 아크 용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구멍(10)의 후방에 용접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용접 와이어의 유무를 ON/OFF 신호로 로보트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리미트 스위치(11)와,상기 로보트 제어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ON/OFF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음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보트 제어장치(1)는 상기 리미트(11)의 OFF 신호시 상기 용접기(5)를 비상정지시키는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는 와이어 유무검출장치.
KR1019940039797A 1994-12-30 1994-12-30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KR013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797A KR0135557B1 (ko) 1994-12-30 1994-12-30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797A KR0135557B1 (ko) 1994-12-30 1994-12-30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40A KR960021340A (ko) 1996-07-18
KR0135557B1 true KR0135557B1 (ko) 1998-07-01

Family

ID=1940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797A KR0135557B1 (ko) 1994-12-30 1994-12-30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5392A (zh) * 2016-06-03 2016-09-21 广东昊鼎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堆焊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5392A (zh) * 2016-06-03 2016-09-21 广东昊鼎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堆焊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40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9658B2 (ja) 高速自動溶接のための作業方法
JP2012501852A (ja) 自動ワイヤ供給システム
US5412175A (en) Method of operating an arc welding apparatus
KR0135557B1 (ko) 로보트형 아크용접 시스템의 용접 와이어 유무 검출장치
US4645902A (en) Automatic circumferential welding apparatus
US56017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rc welding robot
EP3978176B1 (en) Welding system with wire electrode contact detection
JPH04401Y2 (ko)
JPH01170593A (ja) 溶接ワイヤ送給装置
JPH04143074A (ja) 溶接アークスタート方法
US11911857B2 (en) Apparatus and systems to determine voltage measurements in welding-type applications
JPH0647547A (ja)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5305441A (ja) 溶接ワイヤ切れ検出方法
JP6992224B2 (ja) ワイヤ送給システム、および、溶接システム
JP2999054B2 (ja) 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3212041B2 (ja) 工作機械
KR960004836Y1 (ko) 자동용접장치의 용접와이어 잔량검출장치
JP2000079472A (ja) 自動溶接機
JPS6338270B2 (ko)
JPS622904B2 (ko)
JPH0354031B2 (ko)
JP2570121Y2 (ja) 溶接ワイヤ送給異常検出装置
JP2684073B2 (ja) 消耗電極式ホットワイヤ溶接装置
JPH06126455A (ja)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WO2019077985A1 (ja) 溶接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