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425Y1 - 자동차의연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연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425Y1
KR0135425Y1 KR2019960035562U KR19960035562U KR0135425Y1 KR 0135425 Y1 KR0135425 Y1 KR 0135425Y1 KR 2019960035562 U KR2019960035562 U KR 2019960035562U KR 19960035562 U KR19960035562 U KR 19960035562U KR 0135425 Y1 KR0135425 Y1 KR 0135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torage unit
pump
oi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227U (ko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5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42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81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explo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유기의 삽입 상태를 감지하는 주유감지수단과, 주유시 주유구(1)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압송하는 주유펌프(2)와, 상기 주유펌프(2)에 연결된 탄력성 있는 고무로 형성된 연료저장부(3)와, 상기 연료저장부(3)와 주유펌프(2)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저장부(3)의 연료가 주유펌프(2)쪽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4)와, 상기 연료저장부(3)의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밸브수단과, 상기 주유감지수단의 신호를 받아 상기 주유펌프(2)를 구동하고 엔진(E)의 상태에 따라 상기 단속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연료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연료가 탄성 고무재질의 연료저장부(3)에 저장되도록 하므로, 차량의 사고시에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화재 및 폭발의 염려가 없고, 연료저장부(3) 자체의 탄력성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연료펌프를 계속해서 구동할 필요가 없으며, 그 구조 및 형상의 유연성으로 설치 위치의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여 뛰어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및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폭발력을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서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엔진은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하며, 상기와 같은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자동차에는 연료탱크를 구비하고 일정량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제어 분사식 자동차의 연료장치가 도시된 바, 연료탱크(50)와, 상기 연료탱크(5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주유파이프(51)와, 연료탱크(50)의 연료를 엔진에 전달하는 연료 공급파이프(52)와, 상기 연료 공급파이프에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53)와, 상기 연료 공급파이프(52)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54)와,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54)를 통해 연료를 연료탱크(50)로 복귀시키는 리턴 파이프(5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장치는 상기 연료 공급파이프(52)에서 제공되는 연료를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연결된 인젝터를 통해 분사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의 분사압력은 상기한 연료펌프(53)와 압력 레귤레이터(5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연료펌프(53)에서는 계속적으로 연료를 압송하고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54)에서는 연료 공급파이프(52)내의 압력을 약 3.3㎏/㎠ 으로 유지하고 잉여 연료는 리턴파이프(55)를 통해 연료탱크(50)로 복귀시키며, 상기와 같이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는 연료는 인젝터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에 분사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장치에서 상기 연료탱크(50)는 그 재질이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동차의 사고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 및 구조상 차체에 설치할 위치의 선정이 매우 까다로워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포장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도로에서 연료탱크(50)의 파손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탱크의 재질을 탄력적인 재질로 변경하여 사고와 같은 충격에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며, 아울러 그 형상의 다양한 변형 가능성으로 차량에서 그 설치 위치의 선정이 비교적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노면의 상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연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연료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료장치를 적용한 자동차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유구2: 주유펌프
3: 연료저장부4: 체크밸브
5: 근접센서6: 솔레노이드 밸브
7: ECUE: 엔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장치는 주유기의 삽입 상태를 감지하는 주유감지수단과, 주유시 주유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압송하는 주유펌프와, 상기 주유펌프에 연결된 탄력성 있는 고무로 형성된 연료저장부와, 상기 연료저장부와 주유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저장부의 연료가 주유펌프 쪽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연료저장부의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밸브수단과, 상기 주유감지수단의 신호를 받아 상기 주유펌프를 구동하고 엔진의 상태에 따라 상기 단속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유기의 삽입 상태를 감지하는 주유감지수단과, 주유시 주유구(1)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압송하는 주유펌프(2)와, 상기 주유펌프(2)에 연결된 탄력성 있는 고무로 형성된 연료저장부(3)와, 상기 연료저장부(3)와 주유펌프(2)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저장부(3)의 연료가 주유펌프(2)쪽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4)와, 상기 연료저장부(3)의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밸브수단과, 상기 주유감지수단의 신호를 받아 상기 주유펌프(2)를 구동하고 엔진(E)의 상태에 따라 상기 단속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주유감지수단은 주유구(1)에 설치되어 주유기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5)로 하고, 상기 단속밸브수단은 흡기 매니폴드에 설치된 인젝터(6)를 직접 사용하며,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은 주유기의 삽입시에 상기 근접센서(5)의 신호에 따라 주유펌프(2)를 구동하며, 엔진(E)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인젝터(6)를 조작하도록 한 ECU(7)로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유시의 작용을 보면, 상기 주유구(1)를 통해 주유기가 삽입되면 상기 근접센서(5)는 주유기가 삽입되었음을 ECU(7)에 전달하고, ECU(7)는 상기 신호를 받아 주유를 해야할 상태임을 파악한 후 상기 주유펌프(2)를 구동하여 주유기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상기 연료저장부(3)에 압송한다.
상기와 같이 압송되는 연료는 주유펌프(2)에서 얻은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연료저장부(3)를 팽창시키면서 저장되며, 상기와 같이 연료의 주유가 끝나고 주유기가 주유구에서 빠져나가면, ECU(7)는 상기 근접센서(5)의 신호에 따라 주유펌프(2)의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주유펌프(2)의 작동이 중지되어 연료를 압송하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체크밸브(4)가 연료저장부(3)에서 연료탱크(50)쪽으로 연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살펴보면, 상기 연료저장부(3)는 탄성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자체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연료를 강제적으로 엔진쪽으로 압송하고 있는 상태를 지속하게 되며, 이때, ECU(7)는 상기 인젝터(6)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압력을 가지고 제공되는 연료를 엔진(E)의 흡기 매니폴드에 분사한다.
즉, 별도의 연료펌프에 의해 연료를 압송할 필요가 없이 연료저장부(3) 자체의 탄력성에 의해 연료를 지속적으로 압송함으로써, 연료펌프의 계속적인 구동에 따른 에너지의 소모를 없앨 수 있다.
물론, 상기 ECU(7)는 엔진에 부착된 각종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젝터(6)를 통해 엔진의 운전상태가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연료분사량을 알맞게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장치는 연료저장부(3)의 재질이 탄성 고무재질이므로 그 형상 및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바퀴 위쪽 휠하우징 내측에 연료저장부(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노면의 상태에 따라 파손이 우려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료가 탄성 고무재질의 연료저장부(3)에 저장됨으로써, 차량의 사고시에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화재 및 폭발의 염려가 없고, 연료저장부(3) 자체의 탄력성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연료펌프를 계속해서 구동할 필요가 없으며, 그 구조 및 형상의 유연성으로 설치 위치의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여 뛰어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유기의 삽입 상태를 감지하는 주유감지수단과, 주유시 주유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압송하는 주유펌프와, 상기 주유펌프에 연결된 탄력성 있는 고무로 형성된 연료저장부와, 상기 연료저장부와 주유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저장부의 연료가 주유펌프 쪽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연료저장부의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밸브수단과, 상기 주유감지수단의 신호를 받아 상기 주유펌프를 구동하고 엔진의 상태에 따라 상기 단속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감지수단은 주유구에 설치되어 주유기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밸브수단은 흡기 매니폴드에 설치된 인젝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주유기의 삽입시에 상기 주유펌프를 구동하며, 엔진의 상태에 따라 단속밸브수단을 조작하는 ECU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장치.
KR2019960035562U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연료장치 KR0135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562U KR0135425Y1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연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562U KR0135425Y1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연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27U KR19980022227U (ko) 1998-07-15
KR0135425Y1 true KR0135425Y1 (ko) 1999-03-30

Family

ID=1947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562U KR0135425Y1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연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4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27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064A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245953A (en) Emulsion fuel engine
US4381750A (e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50003760B1 (ko) 가스 분사식 연료분사 시스템
US7431018B2 (en) Fuel injection system monitoring abnormal pressure in inlet of fuel pump
EP1243786B1 (en) Fuel supply system for dimethyl ether engine
JP2004308575A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
KR0135425Y1 (ko) 자동차의연료장치
KR100444383B1 (ko) 엘피지차량용 연료 누출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3053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trimming of fuel system
KR20030048603A (ko)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JPH07238857A (ja) 燃料噴射装置
JP4211733B2 (ja)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装置
US6527199B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04056B2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US6966301B2 (en) Accumulator fuel system
US4166441A (en) Compressed air-actuated fluid injection apparatus
US7406936B2 (en) Accumulator fuel system
US20090173316A1 (en) Injection means for a combustion engine
JP3740825B2 (ja) 燃料噴射装置
JP2512893B2 (ja) 燃料噴射装置
KR100220476B1 (ko) 자동차의 연료장치
JP2006152852A (ja) 内燃機関の燃料配管
JPH1130165A (ja) 燃料噴射装置
KR100534870B1 (ko) 자동차의 커먼 레일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