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192Y1 - 옹벽용 배수판 - Google Patents

옹벽용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192Y1
KR0135192Y1 KR2019960001379U KR19960001379U KR0135192Y1 KR 0135192 Y1 KR0135192 Y1 KR 0135192Y1 KR 2019960001379 U KR2019960001379 U KR 2019960001379U KR 19960001379 U KR19960001379 U KR 19960001379U KR 0135192 Y1 KR0135192 Y1 KR 0135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retaining wall
projections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699U (ko
Inventor
이익균
Original Assignee
이익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균 filed Critical 이익균
Priority to KR2019960001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192Y1/ko
Publication of KR970049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벽의 배면측과 배면토가 충전된 토목 섬유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종횡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전면 돌기와, 상기 전면 돌기와 간격을 두고 종횡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배면 돌기와, 상기 전면 및 배면 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배면토로부터 유입된 배면수를 배수시키는 다수개의 배수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배수판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됨에 따라 배면토에서 토목 섬유를 통하여 유입된 배면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별도의 맹암거나 배수관 등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비가 현저하게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옹벽용 배수판
본 고안은 옹벽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판의 전면 및 배면측에 종횡 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돌기들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여 배면토로부터 유입된 배면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옹벽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공사에서 계획고의 차이가 나는 부분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시공된 옹벽(1)내에 배면토(2)를 충전하게 되는데, 이는 옹벽(1)의 내측에 충전된 배면토(2)의 압력이나 배면수의 압력 등에 의해 옹벽(1)이 심한 하중을 받게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은 옹벽이 받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옹벽의 배면측에 일정 공간까지 직경이 약 15cm 내외인 잡석들을 충전하여 잡석들을 통과한 배면수가 옹벽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잡석을 이용하여 배면수를 배수시키는 구성은 잡석 시공시 적정의 크기를 갖는 잡석을 충전시키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크기가 적절하지 않은 잡석을 충전하는 경우에는 배수율이 저하되거나 지반이 약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1)과 배면토(2)의 사이에 다수의 돌기(3a)를 갖는 배수판(3)을 위치시키고, 상기 배수판(3)의 일측에는 토목 섬유(4)를 설치하여 배면토(2)에서 토목 섬유(4)를 통과한 배면수가 하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맹암거(잡석을 이용한 배수 통로)를 통하여 배수되거나, 별도로 시공된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배수판은 옹벽과 토목 섬유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만을 유지함에 따라 배면토에서 토목 섬유를 통과한 배면수가 배수판의 하측부터 저수가 이루어짐으로써 배수판의 하측에 별도의 맹암거나 배수관을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를 상승시키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엇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면토에서 유입된 배면수가 배수판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을 통하여 옹벽으로 배수되도록 하여 배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배수 구조를 간략화하여 시공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옹벽용 배수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옹벽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종래 옹벽용 배수판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배수판을 나타내는 일부 도면이다.
제4도는 제3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배수판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옹벽 1a : 배수구
2 : 배면토 4 : 토목 섬유
10 : 배수판 12 : 전면 돌기
14 : 배면 돌기 16 : 배수공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배수판은 옹벽의 배면측과 배면토가 충전된 토목 섬유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종횡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면 및 배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전면 및 배면 돌기와, 상기 전면 및 배면 돌기의 사이에 형성되어 배면토로부터 유입된 배면수를 배수시키는 다수개의 배수공을 구비하는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배면 돌기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면 돌기는 배면 돌기의 크기 및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배수공의 크기는 전면 돌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판을 나타내는 일부 도면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부호(10)은 합성수지재의 배수판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수판(10)의 전면측에는 종횡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전면 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배면측에는 상기 전면 돌기(12)와 간격을 두고 역시 종횡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배면 돌기(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10)에는 전면 돌기(12) 및 배면 돌기(14)의 배열 간격보다 큰 간격을 두고 종횡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배수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및 배면 돌기(12)(16)는 적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전면 돌기(12)는 배면 돌기(16)의 크기 및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16)은 전면 돌기(1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배수판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배수구(1a)가 형성된 옹벽(1)의 배면측에 전면 돌기(12)가 배면측으로 향하도록 배수판(10)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전면 돌기(12)의 일측에는 배면수의 유입이 가능한 토목 섬유(4)를 시공한 후 배면토(2)를 충전시키면 배수판(10)의 배면측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배면 돌기(14)가 옹벽(1)의 배면측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옹벽(1)과 토목 섬유(4)와의 사이에는 배면수의 유통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면토(2)에서 유출된 배면수는 토목 섬유(4)를 통하여 배수판(10)의 배면측으로 유입되어지고, 상기 배수판(10)의 배면측으로 유입된 배면수는 배수판(10)내에 종횡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공(16)을 통하여 배수판(10)의 전면측으로 유입된 후 옹벽(1)내의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1a)를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면토(2)에서 토목 섬유(4)를 통하여 옹벽(1)과 토목 섬유(4)의 사이로 유입된 배면수는 곧바로 배수판(10)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공(16)을 통하여 옹벽(1)의 배수구(1a)내로 배수가 이루어짐으로써 배수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배수판에서는 배수판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됨에 따라 배면토에서 토목 섬유를 통하여 유입된 배면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별도의 맹암거나 배수관 등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비가 현저하게 절감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옹벽(1)의 배면측과 배면토(2)가 충전된 토목 섬유(4)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종횡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면 및 배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전면 및 배면 돌기(12)(14)와, 상기 전면 및 배면 돌기(12)(14)의 사이에 형성되어 배면토(2)로부터 유입된 배면수를 배수시키는 다수개의 배수공(16)을 구비하는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배면 돌기(12)(14)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면 돌기(12)는 배면 돌기(14)의 크기 및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배수공(16)의 크기는 전면 돌기(1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배수판.
KR2019960001379U 1996-01-29 1996-01-29 옹벽용 배수판 KR0135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379U KR0135192Y1 (ko) 1996-01-29 1996-01-29 옹벽용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379U KR0135192Y1 (ko) 1996-01-29 1996-01-29 옹벽용 배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699U KR970049699U (ko) 1997-08-12
KR0135192Y1 true KR0135192Y1 (ko) 1999-02-18

Family

ID=1944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379U KR0135192Y1 (ko) 1996-01-29 1996-01-29 옹벽용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1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699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7172A (ko)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6164949B2 (ja) 盛土の補強構造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2210048B1 (ko) 침투수의 선택적 배출 기능이 구비된 옹벽 시스템
KR0135192Y1 (ko) 옹벽용 배수판
KR100995831B1 (ko) 자립식 옹벽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101676016B1 (ko) 배수기능을 증대시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37545B1 (ko) 콘크리트 파일과 토류판을 이용한 지하 흙막이 공법
JP3960690B2 (ja) 地中構造物構築用ケーソン
KR100561716B1 (ko) 측구
KR10045713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KR200431569Y1 (ko) 판형 배수재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20200074510A (ko) 조립식 세굴 방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KR200188134Y1 (ko) 배수판
CN216515715U (zh) 一种快速排水箱式扶壁挡土墙支挡结构
KR200205755Y1 (ko) 토목공사용 샌드팩
CN216194437U (zh) 一种河床防冲刷的护岸结构
KR102337526B1 (ko)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05753Y1 (ko) 옹벽용 거푸집 겸용 배수 패널
JP2668922B2 (ja) 掘割道路の耐震構造
KR200287888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KR100415906B1 (ko) 지중관용 간격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