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134Y1 - 배수판 - Google Patents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134Y1
KR200188134Y1 KR2020000003829U KR20000003829U KR200188134Y1 KR 200188134 Y1 KR200188134 Y1 KR 200188134Y1 KR 2020000003829 U KR2020000003829 U KR 2020000003829U KR 20000003829 U KR20000003829 U KR 20000003829U KR 200188134 Y1 KR200188134 Y1 KR 200188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protrusion
present
protrusion
drainag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학순
이창준
전세기
Original Assignee
곽학순
주식회사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이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69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26868B1/ko
Application filed by 곽학순, 주식회사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이창준 filed Critical 곽학순
Priority to KR2020000003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지하부분 외부 옹벽에 체류하는 지하수를 하부로 유도하여 배수하기 위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배수판은 기판(11)을 중심으로 한 면에 T형 돌기(12)와 상기 T형 돌기보다 더 높은 ∏형 돌기(1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 형성되고, 상기 기판(11)의 다른 면에는 I형 돌기(14)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도록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한다.

Description

배수판{Drain board}
본 고안은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지하부분 외부 옹벽에 체류하는 지하수를 하부로 유도하여 배수하기 위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 외벽에는 외벽의 깊이가 깊어지면 큰 수평 수압이 작용하여 외벽의 변형을 가져오는 수가 있다. 수평 수압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지하 수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수중에 있는 물체는 그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중량만큼 부력이 작용하여 가벼워진다. 이 때문에 지하수면 아래에 있는 건축물이 받는 부력을 줄이기 위하여 지하수위를 떨어뜨릴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건물에 작용하는 부력에 저항하기 위해 건물의 자중을 늘이거나 자중이 부족한 만큼 부력 앵커를 설치하거나 지하 수위를 떨어뜨리는 배수공법을 채택하였다. 종래에 채택한 배수공법은 건물의 지하외벽 주변에 맹암거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물이 쉽게 유도되도록 자갈층을 두거나 지하 외벽의 외부에 다발관을 부분적으로 설치하여 물을 유도하였다. 다발관을 사용하는 경우 건물 외벽에 전체적으로 설치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다발관을 싸고 있는 부직포는 토압이 강해지면 함몰되는 등 파손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고안자는 기존 건물 외부 배수공법이 안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주변의 지하 수위를 떨어뜨리기 위한 배수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하기 쉬우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배수성능이 우수한 배수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배수판의 구체예로서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변형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배수판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배수판 11:기판
12: T형 돌기 13: ∏형 돌기
14: I형 돌기 15: 중공
16: 유도공간 17: 틈
18: 필터 19: 폼타이용 볼트 구멍
첨부한 구체예의 도면을 참고하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배수판의 구체예로서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본 고안의 배수판(10)은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기판(11)의 한 쪽에는 콘크리트와 쉽게 일체가 될 수 있도록 I형 돌기(14)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구체예의 배수판은 평면의 크기가 900X1,800이다. 이 규격은 통상 콘크리트용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합판의 크기와 같다. 경우에 따라서 1,200X2,400이나 다른 규격으로 제조해도 무방하다.
제2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본 고안의 배수판(10)은 기판(11)을 중심으로 한 쪽 면으로 T형 돌기(12)와 상기 T형 돌기보다 더 높은 ∏형 돌기(1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 형성되고, 상기 기판(11)의 다른 쪽 면으로는 I형 돌기(14)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도록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한 것이다.
배수판의 한 면에는 ∏형 돌기(13)와 ∏형 돌기 보다 키가 작은 T형 돌기(12)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어 물이 유도될 수 있는 유도공간(16)이 만들어지므로 배수기능을 갖는다. ∏형 돌기의 돌출부와 T형 돌기의 돌출부 사이로 틈(17)이 생겨 이 틈으로 물은 통과하지만 흙이나 자갈 등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간극을 만든다. 그리고 ∏형 돌기(13)는 기판에서 형성될 때 재료 사용량을 줄이면서 구조적인 성능을 유지하도록 중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판의 다른 면에는 I형 돌기(14)가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I형 돌기는 중간이 잘록하게 패여 콘크리트 속에 결합될 때 빠져 나오지 않게 일체가 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단면을 가진 배수판은 사출성형에 유리하고 재료가 절약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배수판의 단면구조가 세포구조와 같이 형성되므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어 건물의 지하벽이 반드시 직선이 아니어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변형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본 변형예는 제2도에서 틈(17)으로서 조절하기 힘든 토질에 적용한다. 입자가 미세한 토질일 경우 흙 입자가 유도공간(16)으로 침투하여 공간을 메워 배수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18)를 추가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배수판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와 입면도이다. 본 변형예는 제2도 또는 제3도에서 T형 돌기(12)를 중간 중간에 생략하고 ∏형 돌기와 인접한 다른 ∏형 돌기의 돌출부가 서로 맞닿게 처리하고 그 부분에 폼타이용 볼트 구멍(19)을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수판은 기본적으로 배수기능을 위한 것이지만 설치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본 배수판을 설치함으로서 생략할 수 있다. 본 배수판을 거푸집 겸용으로 설치할 때에는 양 거푸집을 결속시키기 위하여 폼타이볼트를 사용하는데 이를 위한 용도로 T형 돌기를 중간 중간 생략하고 ∏형 돌기와 인접한 다른 ∏형 돌기의 돌출부가 서로 맞닿게 처리하고 그 부분에 폼타이용 볼트 구멍(19)을 형성하였다.
본 고안의 배수판을 이용하여 건물 지하벽 외부 배수공사를 하는 방법은 건물 지하 외벽의 외부 쪽에 배수판을 설치하고, 건물의 기초 바닥 아래에 배수층을 형성하여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펌프로 배수한다.
본 고안으로 제조하기 쉬우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배수성능이 우수한 배수판 및 그 배수판을 이용한 배수공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3)

  1. 기판(11)을 중심으로 한 면에 T형 돌기(12)와 상기 T형 돌기보다 더 높은 ∏형 돌기(1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 형성되고, 상기 기판(11)의 다른 면에는 I형 돌기(14)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도록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한 배수판.
  2. 제1항에서, 상기 ∏형 돌기(13)의 한 쪽 면과 상기 T형 돌기(12)의 상단부와 다른 ∏형 돌기(13)의 한 쪽 면의 한 쪽 면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필터(18)를 더 형성한 배수판.
  3. 제1항에서, 상기 T형 돌기(12)와 상기 T형 돌기(12)보다 더 높은 ∏형 돌기(1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 형성될 때 상기 T형 돌기(12)가 생략되고 상기 ∏형 돌기(13)가 서로 맞닿게 부위가 중간 중간 형성된 배수판.
KR2020000003829U 1999-07-06 2000-02-14 배수판 KR200188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829U KR200188134Y1 (ko) 1999-07-06 2000-02-14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992A KR100326868B1 (ko) 1999-07-06 1999-07-06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2020000003829U KR200188134Y1 (ko) 1999-07-06 2000-02-14 배수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992A Division KR100326868B1 (ko) 1999-07-06 1999-07-06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134Y1 true KR200188134Y1 (ko) 2000-07-15

Family

ID=2663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829U KR200188134Y1 (ko) 1999-07-06 2000-02-14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1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9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CN103510528B (zh) 用于地下结构抗浮的盲沟排水结构
KR100659599B1 (ko)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KR20150047172A (ko)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10712868U (zh) 一种简捷式基坑支护结构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20180096552A (ko)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용 다중벽체 시공방법 및 그 다중벽체를 이용한 건물 구조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0655384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100501508B1 (ko) 토류판
KR200188134Y1 (ko) 배수판
JPH04161610A (ja) 液状化地盤の改良方法
KR200313164Y1 (ko)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 구조체
KR101119651B1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친환경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100748607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2337545B1 (ko) 콘크리트 파일과 토류판을 이용한 지하 흙막이 공법
CN211547830U (zh) 一种防止地面泛潮的结构
KR200434601Y1 (ko)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KR20120126925A (ko)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KR200189588Y1 (ko) 조립식 옹벽 배수판 및 배수공법
KR200356920Y1 (ko) 건축 및 토목에서의 지하수 배수용 드레인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