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089B1 - 전선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연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089B1
KR0135089B1 KR1019860008750A KR860008750A KR0135089B1 KR 0135089 B1 KR0135089 B1 KR 0135089B1 KR 1019860008750 A KR1019860008750 A KR 1019860008750A KR 860008750 A KR860008750 A KR 860008750A KR 0135089 B1 KR0135089 B1 KR 013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clip
insertion memb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539A (ko
Inventor
서피 루이스
Original Assignee
존 에이치. 포트우드
릴라이언스 일렉트릭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에이치. 포트우드, 릴라이언스 일렉트릭 컴퍼니 filed Critical 존 에이치. 포트우드
Publication of KR87000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1Details of connexions between cable and distribu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전선연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서의 콘넥터블럭과 삽입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의 콘넥터블럭에 삽입부재가 삽입되기 시작할 때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의 콘넥터블럭에 삽입부재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의 삽입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4도 A는 정면도, 4도 B는 우측면도, 4도 C는 평면도, 4도 D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콘넥터블럭,12 --- 성형돌출부,
13 --- 상단부,14 --- 상부면,
15 --- 밑판,16 --- 콘넥터수용부,
17, 19 --- 클립편,18 --- 클립,
20a~20d --- 절결홈,21 --- 걸림부,
20a, 22b --- 측면,30 --- 삽입부재,
32, 34 --- 각부,33, 35 --- 간극,
32a, 32b;34a, 34b --- 평행부재,32c, 34c --- 상부,
36 --- 사각형상부,36a --- 하부면,
36b --- 상부면, 37 --- 외측부,
38, 40 --- 전선삽입구멍, 42 --- 사각밑판,
44, 46 --- 관통구멍, 48 --- 플랜지,
50 --- 간격,54 --- 관측구멍,
56 --- 탄성편,56a --- 하단부,
56b --- 경사부,58 --- 간격,
60 --- 걸림턱,62 --- 전선.
본 발명은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을 콘넥터블럭에다 연결할때 케이블의 피복이 동시에 벗겨지도록 하는 절연재박리용 클립이 사용되고 있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통신산업에서 전화선과 같은 통신선을 연결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콘넥터블럭은 용도에 따라 크기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는 바, 그중 크기가 작은 콘넥터블럭은 흔히 수용자 가옥내에서 5내지 10쌍의 인입선을 연결하는데 쓰이고, 25 또는 50쌍을 연결하도록 된 대용량의 콘넥터블럭은 다세대 주택과 같이 다수의 인입선이 중앙통제케이블과 연결되는 곳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콘넥터블럭을 설치함에 있어서 블럭의 크기나 사용법에 따라 밀폐상태로 설치판이나 지주에 설치하거나 또는 일부가 흙에 묻히는 상태로 설치되게 되는 바, 통상적으로 25쌍이나 50쌍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대용량의 콘넥터블럭은 연결시킬 전선의 숫자에 따라 적당한 배치로 그룹지워 지주나 설치판에 설치되는 단자함내에 넣어지는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또, 5쌍이나 10쌍의 연결용량을 갖는 소용량의 콘넥터블럭이 밀폐상태로 되고서 일부가 땅에 묻혀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콘넥터블럭이 밀폐되어 있다 하더라도 외부의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현재 옥외용으로 쓰이고 있는 콘넥터블럭은 대체로 전선들을 콘넥터블럭에다 연결시키는데 지주가 쓰여지고 있다.
그리고 기술자가 작업현장에서 전선을 연결할때는 먼저 전선의 피복을 벗겨 연결하고 나서 노출된 전선심재의 주위를 절연테이프와 같은 절연재료로 씌운 다음 나사를 조여 고정시키는 순서로 작업을 하게 되는바, 이와 같이 전선을 지지하는 지주가 갖춰지는 콘넥터블럭으로서 널리 쓰여지고 있는 것으로는 BT형을 들 수 있다.
또한 콘넥터블럭이 옥내에서 상호간의 연락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옥내용 콘넥터블럭에서는 주로 절연재박리형 콘넥터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옥외용과는 다르다.
그리고 이 절연재박리형 콘넥터는, 특별한 수동공구를 이용해서 전선을 삽입하게 되면 전선의 절연용 피복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벗겨지도록 된 것을 말하는데, 만일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전선을 연결할 수 있다거나 나아가 그러한 절연재박리형 콘넥터를 옥외용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으면 하는 것이 그간의 업계의 여망이었다.
그러나 콘넥터블럭에 쓰여지고 있는 종래의 콘넥터는, 좋지 못한 환경에서는 특별한 보호조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좋지 못한 환경에서는 전선연결부위가 손상되기 쉬워 전화 등의 오동작이 유발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옥내용으로는 물론 옥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외부환경으로부터 유효하게 보호될 수 있는 전선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밑판위에 사출성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부로 이루어진 콘넥터수용부에 콘넥터역할을 하는 클립이 수납·설치되는 한편, 상기 콘넥터수용부의 윗쪽에는 전선이 가로로 끼워지는 각(脚)부를 가진 삽입부재가 윗쪽으로부터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이 삽입부재가 상기 콘넥터수용부에 끼워지면 삽입부재에 끼워진 전선이 상부가 2쪽으로 갈라져 구성된 클립의 클립편 사이를 거치는 과정에서 전선을 심재를 피복하고 있던 절연피복재가 클립편에 의해 절개·박리됨으로써 도체인 클립과 전선심재가 접촉연결되어 전선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서의 콘넥터블럭과 삽입부재를 분리사시도로 도시한것으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다수의 절연재박리형 콘넥터가 내설된 콘넥터블럭인바, 이 콘넥터블럭(1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로 평판형상을 한 밑판(15)의 상부면(14)에 육면체형상으로 사출성형된 성형돌출부(12)가 형성되고서, 이 성형돌출부(1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간부로 이루어진 콘넥터수용부(16)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콘넥터 수용부(16)는 그 상단부(13)로부터 성형돌출부(12) 및 밑판(15)을 관통하는 공간부를 이루고서 내부에 절연재박리형 콘넥터인 클립(18)이 수납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성형돌출부(12)의 콘넥터수용부(16)는 2개씩이 짝을 이뤄 2가닥의 전선이 짝을 이루는 전기통신케이블쌍을 다수쌍 연결하는 연결부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바, 예컨대 콘넥터블럭(10)이 25쌍연결식이라면 10개의 콘넥터수용부(16)가 형성된 성형돌출부(12)가 5줄로 배열된 것이 되도록 성형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성형돌출부(12)의 콘넥터수용부(16)는 그 형상이 일반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하고서 측벽(22a, 22b)에 상하로 절결형성된 절결홈(20a, 20b, 20c, 20d)이 형성되어, 이들 절결홈(20a~20d)이 전기적 연결에 사용되는 전선의 통로로 이용되도록 되어 있는바, 그중 2개의 절결홈(20a, 20c)은 한쪽 측벽(22b)에 형성되는 한편 나머지 절결홈(20b, 20d)은 다른쪽 측벽(22b)에 형성되어 절결홈(20d)과 절결홈(20c) 및 절결홈(20b)과 절결홈(20a)이 각각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절결홈(2a~2d)은 밑판(15)에 돌출형성된 성형돌출부(12)의 상단부(13)로부터 측벽의 아래쪽으로 일정거리만큼 절결되어 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콘넥터수용부(16)내에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윤곽이 대략 +자 형상을 한 클립(18)이 설치되는데, 이 클립(18)은 그 상부에서 그쪽으로 갈라져 클립편쌍(17, 19)을 형성하여, 전선(62)이 클립(18)에 끼워지기 위해 이 클립편(17, 19)사이를 통과할때 전선(62)의 절연피복재를 클립편(17, 19)의 내부가장자리가 절개해서 박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절결홈(20a~20d)은 뒤에 설명될 클립(18)에 끼워질 전선(62)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립(18)은 도전재료로 만들어져 전선(62)의 절연물이 벗겨지면 전선(62)과 클립(18)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클립(18)에는 좌우에 걸림편(21)이 형성되어, 클립(18)이 콘넥터수용부(16)에 끼어넣어지면 이 걸림편(21)이 콘넥터수용부(16)의 벽면을 파고들어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바, 그 때문에 전선(62)의 연결작업이 반복되더라도 클립(18)이 콘넥터수용부(16)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18)에는 제1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서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룬 클립편(17, 19) 외에 상기 클립편(17, 19)이 형성된 쪽과는 반대쪽으로 뻗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연결부를 갖고 있는바, 이 다른 연결부는 클립(18)이 콘넥터수용부(16)에 완전히 삽입되면 콘넥터블럭(10)의 밑판(15)쪽으로 연장되어 나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형식인 절연재료감기식 또는 기타의 연결장치에도 채택하고 있는 공지의 구조이기도 하다. 즉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18)을 콘넥터수용부(16)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다른 연결부를 끝이 뾰족하게 형성시켜 놓으면 좋은데, 이 경우 이 다른 연결부에의 전선연결은 콘넥터블럭(10)의 하부로부터 연결하면 된다. 콘넥터블럭(10)의 각 콘넥터수용부(16)에다 클립(18)을 삽입하는 조립작업은 일반적으로 제조공장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조립을 할 때 클립(18)이 콘넥터수용부(16)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콘넥터수용부(16)의 내벽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내홈 같은 것이 형성되어 있어서, 먼저 클립(18)을 모두 콘넥터수용부(16)에다 안착시킨 다음, 밑판(15)이 하부에서 클립(18)의 다른 연결부에다 전선을 연결한 후 연결부위를 밀봉하기 위해 콘넥터블럭(10)의 밑면을 적당한 절연물질로 채우게 되는 바, 연결된 전선들이 밀봉된 후에는 블럭의 밑면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연결상태를 바꿀수가 없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연부재박리형 클립을 쓰는 전선연결장치에서는 그 장치에다 전선을 끼우는 데는 기술자가 별도의 수동공구를 가지고 작업을 하여야 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짝을 이룬 1쌍씩의 콘넥터 수용부(16)에다 단지 삽입부재(30)를 끼워넣기만 하면 전선연결작업이 끝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부재(3)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하도록 된 것이다.
a) 전선(62)이 클립(18)에 접촉할 위치까지 운반해서 안내하고,
b) 삽입부재(30)가 콘넥터수용부(16)속으로 들어갈때 전선(62)을 클립(18)에 쉽게 접촉하도록 하고,
c) 삽입부재(3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콘넥터수용부(16)를 덮어씌우고,
d) 수리나 교체 및 연결을 바꿔야 할때 클립(18)으로부터 전선(62)을 쉽게 뽑아낼 수 있게 하고,
e) 별도의 공구를 필요치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은 모든 특징이 제1도에 사시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서의 삽입부재(30)에 나타내어져 있는바, 그 각 정면도와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가 각각 제4도 A~제4도 D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거 상기 결합체(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4도 A~D에 도시된 삽입부재(30)는 제1도에 도시되고 앞에서 설명된 콘넥터수용부(16)를 가진 콘넥터블럭(10)에 사용되도록 된 것으로, 이 삽입부재(30)의 형태는 뒤에 설명되듯이 도면에 나타내어진 형식으로 사용되도록 1개의 삽입부재(30)가 1개 또는 복수의 콘넥터수용부(16)를 가진 성형돌출부(12)에 끼워져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삽입부재(30)는 대체로 U자형상을 하고서 사각형상부(36)와 연결되는 직육면체형상을 한 2개의 각부(32, 34)를 갖도록 되어 있는 한편, 이들 2개의 각부(32, 34) 또한 사이에 간극(33, 35)이 형성되어 분리됨으로써 각각 1쌍의 평행부재(32a, 32b;34a, 34b)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평행부재(32a, 32b;34a, 34b)사이의 간극(33, 35)은 각각 각부(32, 24)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각부(32, 34)가 콘넥터블럭(10)의 각 콘넥터수용부(16)에 끼워짐으로써 삽입부재(30)가 콘넥터블럭(10)에 끼워맞춰져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각부(32, 34)의 평행부재(32a, 32b;34a, 34b)사이에 형성된 간극(33, 35)은, 각부(32, 34)가 콘넥터수용부(16)에 삽입되었을 때 콘넥터역할을 하는 클립(18)이 쉽게 삽입되도록하기 위한 충분한 폭을 갖도록 되어 있는 한편, 각 각부(32, 34)의 재질이 클립(18)의 두께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에 충분한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각 각부(32, 34)의 윗쪽에는 이들 각부(32, 34)를 가로로 관통하는 원형의 전선삽입구멍(38, 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삽입부재(30)가 약간 뽑아내어진 위치에서 클립(18)에 연결될 절연전선(62)이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뚫려진 것으로, 이들 전선삽입구멍(38, 40)의 지름은 콘넥터블럭(10)에 사용되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전선의 삽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전선의 삽입이 보다 더 쉬워 전선삽입구멍(38, 40)의 끝쪽을 깔때기모양으로 만들면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30)의 사각형부(36)가 각부(32, 34)의 상단부(32c, 34c)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 사각형상부(36)를 잡고서 삽입부재(30)를 콘넥터수용부(16)에다 삽입하거나 또는 뽑아낼 수 있게 되는데, 여기에다 클립(18)과 전선(62)의 연결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사각형상부(36)의 하부면(36a)은 각부(32, 34)의 상부(32c, 34c)와 사각형상부(36)사이의 접촉면을 이루는 사각형상밑판(42)에 연결되게 되는 바, 이 사각형상밑판(42)은 삽입부재(30)가 콘넥터수용부(16)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콘넥터수용부(16)의 상단부(13)을 완전히 덮어씌울 수 있도록 사각형상부(36)의 폭보다 조금 더 넓은 폭을 갖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재(30)의 사각형상부(36) 상부면(36b)에서부터 하부면(36a)까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44, 46)이 형성되어 각부(32, 34)의 평행부재(32a, 32b;34a, 34b)사이에 위치하는 클립(18)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들 관통구멍(44, 46)은 길이가 각부(32, 34)의 폭과 거의 같게 되어 있는 한편 폭이 각부(32, 34)의 평행부재(32a, 32b;34a, 34b)사이의 간격(33, 35)과 대략 같게 되어 있어서, 삽입부재(30)가 콘넥터수용부(16)에 완전히 삽입되면 각 클립(18)의 클립편(17, 19)상단부가 사각형상부(36)의 하부면(36a)과 관통구멍(44, 46)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실제로는 검사탐침을 상기 관통구멍(44, 46)에다 삽입해서 클립(18)에 접촉시켜 본 다음 삽입부재(30)의 각부(32, 34)에 형성된 전선삽입구멍(38, 40)에다 전선(62)을 끼워 삽입부재(30)를 콘넥터블럭(10)의 콘넥터수용부(16)에다 삽입하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각형상부(36)와 각부(32, 34)의 상부(32c, 34c)사이에 사각형밑판(42)이 양자와 공유접촉하도록 위치하고서, 한쪽에는 직각방향아래쪽으로 플랜지(48)가 연결형성되어 있는 바, 사각형상 밑판(42)의 한쪽부분(42b) 가장자리에서 밑으로 꺾여진 형상을 하고서 전선 삽입구멍(38, 40)을 덮기에 충분한 넓이로 아랫쪽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전선삽입구멍(38, 40)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50)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서, 이 플랜지(48)가 전선삽입구멍(38, 40)에 끼워져 통과하는 전선의 멈춤판으로써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62)을 클립(18)과 연결시키기 위해 플랜지(48)가 없는 쪽인 한쪽 평행부재(32b, 34b)의 전선삽입구멍(38, 40)으로부터 삽입해서 다른 쪽인 평행부재(32a, 34a)의 전선삽입구멍(38, 48)으로 빠져나가도록 전선(62)을 끼워 밀어넣으면 삽입구멍(38, 48)을 통과한 전선(62)의 끝이 플랜지(48)에 닿아 멈춰지게 되는 바, 이로써 전선(62)이 각부(32, 34)를 관통한 다음 그 끝부분이 각부(32, 34)와 플랜지(48)사이의 간격(33, 35)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사각형상 밑판(42)의 한쪽부위(42d)의 플랜지(48)와 가까운 쪽에다 관측용 구멍(52, 54)을 뚫어 전선(62)의 통과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플래지(48)와 같이 전선의 진행을 정지시키는 전선멈춤수단으로서, 삽입부재(30)의 각부(32, 34)에 형성된 전선삽입구멍(38, 40)중 전선이 나가는 쪽 평행부재(32a, 34a)의 전선삽입구멍(38, 40)쪽과 닿는 콘넥터블럭(10)의 성형돌출부(12)를 연장형성시켜 전선멈춤판을 대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삽입부재(30)를 뽑아낼때 삽입부재(30)가 콘넥터수용부(16)로부터 너무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삽입부재(30)에다 설치해 놓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걸림수단으로서 각부(32, 34)의 평행부재(32a, 32b, 34a, 34b) 하단부에다 윗쪽을 향해 넓혀지도록 된 경사부(56b)를 가진 탄성편(56)을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 경사부(56b)를 가진 탄성편(56)은 각 각부(32, 34)의 하부(36d)로부터 상부(36c)쪽으로 폭이 좁은 절결홈(58)을 형성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부재(30)가 콘넥터블럭(10)에 결합될때 상기 콘넥터블럭(10)의 콘넥터수용부(16)의 상단부(13) 가까운 곳에 형성된 걸림턱(60)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지도록 되어 있는바, 일단 이 탄성편(56)이 걸림턱(60)을 지나게 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져 탄성편(56)의 경사부(56b)가 콘넥터수용부(16)의 걸림턱(60)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삽입부재(30)가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물론, 큰 힘으로 삽입부재(30)를 잡아당겨 경사부(56b)가 걸림턱(60)에서 벗어나게 한다거나 탄성편(56)을 절단하면 삽입부재(30)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콘넥터블럭(10)에 삽입부재(30)가 삽입되기 시작할 때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콘넥터블럭(10)에 삽입부재(3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클립(18)이 완전히 나타내어지도록 콘넥터수용부(16)를 절단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에는 클립(18)에다 연결시킬 전선(62)이 각부(32, 34)의 전선삽입구멍(38, 40)에 끼워넣어진 삽입부재(30)가 콘넥터블럭(10)의 콘넥터수용부(16)에 조금만 들어가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는바, 전선(62)을 각부(32, 34)의 전선삽입구멍(38, 40)에 끼워넣어 끝이 플랜지(48)에 닿을때까지 밀어넣은 다음 삽입부재(30)를 콘넥터수용부(16)에 대해 아래로 누르면 전선(62)이 클립(18)의 클립편(17, 19)사이로 들어가게 되는 바, 그렇게 되면 삽입부재(30)가 제3도에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최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클립(18)에 의해 전선(62)의 절연용 피복이 갈라져 벗겨지게 됨으로써 한쌍의 전선설치가 끝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전선(62)의 수리나 교체등을 위해 삽입부재(30)를 성형돌출부(12)의 콘넥터수용부(16)로부터 뽑아내어 전선을 제거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삽입부재(30)의 사각형상부(36)를 쥐고서 잡아당겨 삽입부재(30)를 콘넥터블럭(10)에서 뽑아내어 전선(62)이 클립(18)의 클립편(17, 19)에서 풀려나게 한 다음 삽입부재(30)로부터 전선(62)을 뽑아내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는 옥내나 옥외 어느 곳에도 사용될 수가 있는 바,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그리이스나 기타의 방수재질로 필요한 숫자의 삽입부재(30)가 모두 삽입된 콘넥터블럭(10)의 외부로 통하는 공간부를 채워 밀봉하면 되고, 옥내에서 사용할 때는 방수재료로 밀봉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등이 클립(19)에 연결될 때 전선(62)이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성형돌출부(12)내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회로사이의 단락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시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삽입부재(30)에서도 2가닥의 전선(62)이 확실히 분리시켜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옥내에서 사용될 경우 습기에 의한 회로의 단락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전선연결작업을 할때 발생할 수 있는 회로의 단락현상도 방지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피복박리도구가 없이도 전선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능률이 높아지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밑판의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내부가 콘넥터역할을 하는 클립(18)이 수납되는 콘넥터수용부(16)를 이루는 다수의 성형돌출부(12)가 형성된 콘넥터블럭(10)에다, 삽입부재(30)를 이용해서 전선(62)을 눌러 놓으면, 전선(62)이 콘넥터수용부(16)내의 클립(18)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피복이 절개되어 클립(18)과 전선(62)의 심재가 접촉해서 연결되도록된 전선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30)가, 캡형상을 하고서 한쪽편에 전선멈춤판역할을 하는 플랜지(48)를 가진 사각형상부(36)와, 이 사각형상부(36)의 하부에 아랫쪽을 향해 평행하게 뻗고서 그들 사이에 각각 일정한 간극(33, 35)를 갖도록 배치된 평행부재쌍(32a, 32b;34a, 34b)로 이루어져 상기 사각형상부(36)와 일체로 대략 U자형상을 하고 있는 1쌍의 각부(32, 34), 이들 각부(32, 34)의 상기사각형상부(36)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전선(62)이 통과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된 전선삽입구멍(38, 42) 및 상기 각부(32, 34)의 각 평행부재(32a, 32b;34a, 34b)의 하단부에 갖춰진 윗쪽이 넓혀지는 경사부(26)를 가진 탄성편(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장치.
KR1019860008750A 1985-10-18 1986-10-18 전선연결장치 KR0135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89.084 1985-10-18
US06/789,084 US4652070A (en) 1985-10-18 1985-10-18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block
US06/789.084 1985-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39A KR870004539A (ko) 1987-05-11
KR0135089B1 true KR0135089B1 (ko) 1998-05-15

Family

ID=2514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750A KR0135089B1 (ko) 1985-10-18 1986-10-18 전선연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52070A (ko)
EP (1) EP0220884B1 (ko)
JP (1) JPH0738310B2 (ko)
KR (1) KR0135089B1 (ko)
CA (1) CA1241080A (ko)
DE (2) DE368074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3877A (en) * 1988-02-08 1991-05-07 Raychem Corporation Devices for electrical connection
EP0437782A3 (en) * 1990-01-17 1993-01-13 Grote & Hartmann Gmbh & Co. Kg Electric plug connector
FR2666953B1 (fr) * 1990-09-17 1993-11-19 Mars Actel Reglette de raccordement pour cablage a haute fiabilite.
GB9026529D0 (en) * 1990-12-06 1991-01-23 Amp Holland An electrical wir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terminal therefor
US5364288A (en) * 1992-07-24 1994-11-1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5302137A (en) * 1993-04-22 1994-04-12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block
FR2710462B1 (fr) * 1993-09-20 1995-11-10 Alcatel Cable Interface Réglette de connexion.
US5451170A (en) * 1993-09-28 1995-09-19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Terminal block with protection
US5372519A (en) * 1993-11-19 1994-12-13 Chen; Michael Electrical connector
US5368501A (en) * 1993-12-06 1994-11-2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Rotary actuated, enviromental,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R2718295B1 (fr) * 1994-03-30 1996-04-26 Alcatel Cable Interface Poussoir de raccordement et réglette de connexion équipée de tels poussoirs.
US5514005A (en) * 1994-05-02 1996-05-07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Quick connect/disconnect module
DE9407659U1 (de) * 1994-05-09 1994-09-01 Quante Ag, 42109 Wuppertal Umschalteadapter für eine Telekommunikationsanschlußleiste
US5897383A (en) * 1995-01-31 1999-04-27 The Wiremold Company Cross-connect bus
US5779504A (en) * 1995-09-29 1998-07-14 Reltec Corporation Modular terminal block assembly
US6074240A (en) * 1996-10-16 2000-06-13 Marconi Communications Inc. Terminal block
US6142817A (en) 1997-03-07 2000-11-07 Marconi Communications In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DE10006143A1 (de) * 2000-02-11 2001-08-16 Prec Controls Bt Veszprem Gerätesteckdose
US6672893B1 (en) 2002-12-31 2004-01-06 Marconi Communications, Inc. Modular terminal block assembly
US7399197B2 (en) 2004-09-15 2008-07-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ssembly for housing insulation displacement elements
US7335049B2 (en) 2004-09-15 2008-0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ssembly for housing insulation displacement elements
US7458840B2 (en) 2004-09-15 2008-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p configured to removably connect to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block
US20060228950A1 (en) * 2005-03-30 2006-10-1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Guard for terminals in a terminal block
DE102008013317B4 (de) * 2008-03-10 2010-10-14 Adc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deranschlussleiste mit Gelfüllung
US7985094B2 (en) * 2008-09-15 2011-07-26 Adc Gmbh Connector block
US9184515B1 (en) * 2012-09-28 2015-11-10 Anthony Freakes Terminal blocks for printed circuit boards
CN106537692B (zh) * 2014-07-18 2019-11-22 考比内特电信和数据网络部件有限公司 模块布置结构
KR101737759B1 (ko) 2015-06-24 2017-05-19 이문재 프리텐션 접속단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522A (en) * 1967-04-28 1970-02-17 Bell Telephone Labor Inc Wire connecting blocks
US3910670A (en) * 1974-01-02 1975-10-07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s with insulation piercing contacts
US3976350A (en) * 1974-10-21 1976-08-24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nsulated insulation piercing contact portions
US4040701A (en) * 1976-07-30 1977-08-0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Quick connector for service wires
US4099822A (en) * 1977-01-24 1978-07-1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king splicing, half-tap, bridging and terminating connections of multiple insulated conductors
US4163596A (en) * 1978-01-27 1979-08-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R2504315A1 (fr) * 1981-04-16 1982-10-22 Carpano & Pons Element de connexion et dispositif de connexion, comportant de tels elements
US4431247A (en) * 1982-04-23 1984-02-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sulated terminal and module
US4486064A (en) * 1982-12-08 1984-12-04 Amp Incorporated Power interfac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80743D1 (de) 1991-09-12
KR870004539A (ko) 1987-05-11
US4652070A (en) 1987-03-24
EP0220884B1 (en) 1991-08-07
CA1241080A (en) 1988-08-23
EP0220884A3 (en) 1989-02-22
JPS62117281A (ja) 1987-05-28
JPH0738310B2 (ja) 1995-04-26
EP0220884A2 (en) 1987-05-06
DE220884T1 (de) 198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089B1 (ko) 전선연결장치
KR910007667B1 (ko) 통신용 케이블접속장치
US5203716A (en) Terminal block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3835445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s for terminating cord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devices to cords
US4148539A (en) Modular plug having superior dielectric strength for terminating cords
EP1368862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conductors
CZ282205B6 (cs) Spojovací modul pro spojení většího počtu vodičů
US5219302A (en) Crossconnect terminal block
US3617612A (en) Electrical junction means
US4789354A (en) Voice/data communication termination connector
JPH0834111B2 (ja) 電線保持装置
US4508410A (en) Electrical termination system and connector member
US4099826A (en) Feed-through terminal block
US3813636A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US4159159A (en) Terminal module with dual binding post terminals
JPH04255687A (ja) 多導体ケーブルの搬送保護及び挿入装置
GB2404097A (en) Wal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Module
US4465899A (en) Box for transmission line repeaters
US4580864A (en) Modular connecting blocks
US4212507A (en) Selective interconnection system and connector
US4927384A (en) Flat wire to round wire electrical interconnect
US7871287B2 (en) Branching device for an electric line
US4917633A (en) Separable connection device between a conducting lug and at least one connection wire
US4533195A (en) Pre-wired modular connecting blocks
US5942725A (en) Self-grounding protector module for building entrance protecto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