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472B1 -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472B1
KR0134472B1 KR1019940023311A KR19940023311A KR0134472B1 KR 0134472 B1 KR0134472 B1 KR 0134472B1 KR 1019940023311 A KR1019940023311 A KR 1019940023311A KR 19940023311 A KR19940023311 A KR 19940023311A KR 0134472 B1 KR0134472 B1 KR 013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ng edge
image
filtering
predetermined valu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040A (ko
Inventor
김진헌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2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472B1/ko
Publication of KR96001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2Edge-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1Dividing image into blocks, subimages or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4Filt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영상을 효과적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전처리 과정에서 스트롱 에지가 포함된 블럭에 대해서만 나가오 필터링하는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이 개시되는 바, 이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소정개의 서브 블럭으로 분할하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서 분할된 서브 블럭에 4방향 미분 연산자를 적용하여 스트롱 에지를 찾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찾은 스트롱 에지와 미리 설정된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를 비교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찾은 스트롱 에지와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별되면 그 스트롱 에지와 포함된 블럭에 대해 나가오 필터링을 수행하고, 작다고 판별되면 그 블럭에 대해서는 나가오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제4스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영상의 에지를 선명화시키고 영상의 상세한 부분도 살린다.

Description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럭도.
제2도는 나가오 필터링된 화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에 적용되는 4방향 미분 연산자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영상 입력부 103 : 나가오 필터부
105 : 영상 분할부
본 발명은 영상신호의 영역분할(Segmentation)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효과적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전처리 과정에서 스트롱 에지(Strong Edge)가 포함된 블럭에 대해서만 나가오(Nagao) 필터링함으로써, 영상의 상세한(Detatl) 부분도 살리고 에지도 선명화하는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제1도를 보면, 영상 입력부(101)를 통해 제2도(a)와 같은 영상이 입력되면 나가오 필터부(103)에서 제2도(b)와 같이 나가오 필터링된 후 영상 분할부(105)에서 영상이 분할되었다. 여기서, 나가오 필터는 5×5 윈도우내에서 9개 방향 마스크 중 각 마스크 내 화소들의 분산치가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하여 그 마스크의 평균 밝기를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나가오 필터는 마스크 각각에 대하여 분산치를 구하므로 타 필터들보다 큰 필터링 시간을 가지지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국부 입상을 제거하고 서서히 변하는 램프 에지를 선명화시킴으로써, 타필터들에 비해 소요 메모리 용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최종 분할 결과의 정확도를 증대시킨다.
따라서, 영상 분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의 전처리 필터로서 나가오 필터를 선택하였고, 필터링의 반복 횟수로는 수행 시간을 고려하여 1회로 정하였다.
그러나, 상기된 제1도는 입력되는 모든 영상에 대해 나가오 필터링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경계선은 선명화시키지만 영상의 상세한 부분이 모두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소정개의 서브 블럭으로 분할한 후 4방향 미분 연산자를 적용하여 스트롱 에지를 찾고, 소정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가 포함된 블럭에 대해서만 나가오 필터링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에지를 선명화시키고, 영상의 상세한 부분도 살리는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의 특징은, 입력되는 영상을 소정개의 서브 블럭으로 분할하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서 분할된 서브 블럭에 4방향 미분 연산자를 적용하여 스트롱 에지를 찾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찾은 스트롱 에지와 미리 설정된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를 비교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찾은 스트롱 에지가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별되면 그 스트롱 에지가 포함된 블럭에 대해 나가오 필터링을 수행하고, 작다고 판별되면 그 블럭에 대해서는 나가오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제4스텝으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3도에서, 영상이 입력되면 (스텝 301), N×N서브블럭으로 입력된 영상을 분할한다(스텝 302). 그리고, 제4도와 같은 4방향 미분 연산자를 상기 분할된 N×N 서브 블럭에 적용하고(스텝 303), 상기 스텝(303)의 4방향 연산자의 최대값을 구하여 스트롱 에지를 찾는다(스텝 304). 여기서, 상기 4방향 연산자의 스트롱 에지를 Grad(Grad=max(DH,DV,DD,DA))라고 하고,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를 Th라 정한다. 이때,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롬 에지에 대새서만 나가오 필터링을 적용하기 위하여 현재 찾은 스트롬 에지(Grad)와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Th)를 비교한다(스텝 305). 따라서, 상기 (305)에서 현재 찾은 스트롱 에지(Grad)가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Th)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별되면 그 스트롱 에지가 포함된 블럭에 나가오 필터링을 적용하고, 작다고 판별되면 그 블럭은 나가오 필터링을 적용하지 않는다(스텝 306).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에 의하며, 입력되는 영상을 소정개의 서브 블럭으로 분할한 후 4방향 미분 연산자를 적용하여 스트롱 에지를 찾고, 찾은 스트롱 에지가 미리 설정된 소정 스트롱 에지보다 크거나 같으면 그 블럭에 대해서만 나가오 필터링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에지를 선명화시키고 영상의 상세한 부분도 살리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영상을 소정개의 서브 블럭으로 분할하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서 분할된 서브 블럭에 4방향 미분 연산자를 적용하여 스트롱 에지를 찾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찾은 스트롱 에지와 미리 설정된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를 비교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찾은 스트롱 에지가 소정 값 이상의 스트롱 에지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별되면 그 스트롱 에지가 포함된 블럭에 대해 나가오 필터링을 수행하고, 작다고 판별되면 그 블럭에 대해서는 나가오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제4스텝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 영역분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텝은, 4방향 미분 연산자의 최대값을 구하여 스트롱 에지를 찾음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영역분할 방법.
KR1019940023311A 1994-09-15 1994-09-15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KR013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311A KR0134472B1 (ko) 1994-09-15 1994-09-15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311A KR0134472B1 (ko) 1994-09-15 1994-09-15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40A KR960013040A (ko) 1996-04-20
KR0134472B1 true KR0134472B1 (ko) 1998-04-23

Family

ID=1939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311A KR0134472B1 (ko) 1994-09-15 1994-09-15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4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40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0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artifact in decompressed images using morphological post-filtering
US5748778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762019B2 (ja) 画像処理方法
CN111080723A (zh) 基于Unet网络的图像元素分割方法
KR980007745A (ko) 화상테이터 처리 방법 및 화상 데이터 처리 장치
JP2000115585A (ja) 動き検出回路とノイズ低減装置
JP2000115586A (ja) 動き検出回路とノイズ低減装置
KR0134472B1 (ko) 영상신호의 영역분할 방법
JPH04180381A (ja) 画像信号の復号化装置
KR100249823B1 (ko) 정지 영상의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JPH1013854A (ja) 映像強調装置
US7570812B2 (en) Super precision for smoothly changing area based on segmentation and low-pass filtering
CN113034366A (zh) 无拼接缝sar图像分割并行加速处理方法
JPH09116905A (ja) 画像復号化処理方法
JP2762753B2 (ja) 線画の面塗り処理方法
KR100321696B1 (ko) 상대명도를이용한배경제거기및그방법,그를이용한배경제거장치및그방법
CN112508978A (zh) 一种基于3乘3均匀归一化模板的图像边缘提取方法及系统
CN112464961A (zh) 一种基于log算子的图像边缘提取的方法与系统
Zain et al. Hybri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based alpha trimmed mean-median filter in eliminating high density salt and pepper noise from grayscale image
KR100322707B1 (ko) 형태학적필터링에의한영상단순화방법
CN112508980A (zh) 一种基于5乘5模块均匀归一化模板的图像边缘提取方法及系统
KR100212844B1 (ko) 디지탈 영상에서 더블 윈도우를 이용한 경계선 검출방법
JPH02128575A (ja) 画像処理装置
KS Impulse Noise Removal from Digital Images by Using Edge Preserved Morphological Mean Filter
JPS63468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