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85Y1 -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85Y1
KR0134185Y1 KR2019940026456U KR19940026456U KR0134185Y1 KR 0134185 Y1 KR0134185 Y1 KR 0134185Y1 KR 2019940026456 U KR2019940026456 U KR 2019940026456U KR 19940026456 U KR19940026456 U KR 19940026456U KR 0134185 Y1 KR0134185 Y1 KR 0134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seat
rear seat
ca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21U (ko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6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185Y1/ko
Publication of KR960013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4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요람에 관한 것으로서, 뒷 시트에 절첩할 수 있는 요람을 부설하여 유아가 편안하게 놀거나 잠을 잘 수 있게 하고, 자동차의 주행중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도록 한것이다.
본 고안은 뒷 시트백(1)의 대략 중앙부에 공간부(2)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그 하단내벽에 요람(3)의 후면하단을 힌지(4)결합하여 요람(3)을 사용할 때에는 힌지(4)를 지점으로 펼쳐서 요람(3)의 바닥이 시트쿠션(5)에 닿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공간부(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워두며, 공간부(2)의 측벽전방에는 상하 2개이 커버(6)(6')를 뒷 시트백(1)과 평편이 되도록 힌지(7)로서 결합한 것이다. 상기한 요람(3)은 4개의 직선형 측면프레임(8)과 4개의 전·후면용 2절형 프레임(9) 2조를 직육면체로 조립하여 절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그 내면에 상면이 개방되도록 시트(10)를 씌워서 개방부측 프레임에 고정하며, 직선형 측면프레임(8)이 하단에 고정구(11)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요람을 보관할 때의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요람을 사용할 때의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중 고정구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중 고정구의 횡단면도.
제7도(a)(b)는 본 고안의 실시예중 요람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백 2 : 공간부
3 : 요람 6, 6' : 커버
8 : 측면프레임 9 : 2 절프레임
10 : 시트 11 : 고정구
12 : 하우징 13 : 드럼
14 : 고정끈 15 : 지지축
16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가 자동차에 탑승하기 위하여서는 유아용 보조시트를 기존의 시트를 설치하고 있는 바, 유아는 성인에 비하여 잠자는 시간이 생리적으로 길기 때문에 상기 유아용 보조시트에서 잠을 잘 경우에는 앉은 상태로 자야하기 때문에 깊은 잠을 잘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유아용 보조시트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뒷 시트쿠션에 누워서 잠을 자게하면 깊은 잠은 잘 수 있으나 자동차이 급정차시 등에 유아가 시트에서 플로워패널측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생기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시정하여 뒷 시트에 절찹할 수 있는 요람을 부설하여 유아가 편안하게 놀거나 누워서 잠을 잘 수 있게 한 뒷 시트 부설 요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뒷 시트백에 공간부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그 하단내벽에 요람이 후면하단을 힌지결합하고 공간부에 커버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요람은 직선형 프레임과 2절 프레임을 직육면체로 조립하여 그 내면에 직포를 설치하며 전방에 고정구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1)의 대략 중앙부에 공간부(2)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그 하단내벽에 요람(3)의 후면하단을 힌지(4) 결합하여 요람(3)을 사용할 때에는 힌지(4)를 지점으로 펼쳐서 요람(3)의 바닥이 시트쿠션(50에 닿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어서 공간부(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워두며, 공간부(2)의 측벽전방에는 상하 2개의 커버(6)(6')를 뒷 시트백(1)과 평면이 되도록 힌지(7)로서 결합한 것이다. 상기한 요람(3)은 4개이 직선형 측면프레임(8)과 4개의 전·후면용 2절형 프레임(9) 2조를 직육면체로 조립하여 절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그 내면에 상면이 개방되도록 시트(10)를 씌워서 시트(10)의 상면을 개방부측 프레임에 고정하며, 직선형 측면프레임(8)의 하단에 고정구(11)를 고정한 것이다. 상기한 고정구(11)는 하우징(12)에 드럼(13)의 일단을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그 외주에 고정끈(14)을 감음과 동시에 드럼(13)의 내부에는 지지축(15)을 설치하여, 그 일단은 드럼(13)의 타단을 관통하여 하우징(12)에 지지하고 타단은 드럼(13)에 지지토록하며, 지지축(15)의 외주에 코일스프링(16)을 감아서 일단은 지지축(15)에 타단은 드럼(13)의 내면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7은 요람 손잡이, 18은 시트쿠션(5)의 저면에 설치된 고정끈 고정돌기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요람(3)을 수직으로 세워서 뒷 시트백(1)의 후방에 위치토록 한 후 공간부(2)에 힌지(4)결합된 상하 커버(6)(6')를 닫아서 뒷 시트백(1)과 커버(6)(6')가 평면으로 되게 하여 통상의 시트와 같이 사용하다가, 요람(3)을 사용하려고 할 때에는 커버(6)(6')를 열고 그 후면하단이 공간부(2)의 하단내벽에 힌지(4)결합된 요람(3)의 바닥이 시트쿠션(5)에 닿도록 끄집어 낸다음 절첩되어 있던 2절 프레임(9)을 직선으로 펼치며 드럼(13)에 감겨 있던 고정끈(14)을 잡아당겨 시트쿠션(5)의 저면에 설치된 고정돌기(18)에 걸고 상부커버(6)를 닫으면 요람(3)이 사용준비상태가 완료되는 것이므로 요람(3)에서 유아가 놀거나 잠을 자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요람(3)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부커버(6)를 연다음 고정끈(14)을 고정돌기(18)에서 풀면 고정끈(14)은 지지축(15)의 외주에 감은 코일스프링(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드럼(13)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끈(14)이 드럼(13)에 감겨서 그 돌출길이가 짧아지게 함과 동시에 2절 프레임(9)를 접은 후에 요람(3)을 들어올려 공간부(2)에 밀어넣은 후 상기 커버(6)(6')를 닫고 통상의 시트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시트백에 공간부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그 후방에 요람을 은폐되게 설치하여 성인용 시트로 사용하면서 필요시에 끄집어내어 유아가 편안하게 놀거나 잠을 자게 할 수 있으며, 요람은 그 후면하단이 공간부의 하단내벽에 힌지결합되고 전면은 고정끈으로서 시트쿠션하단에 고정하므로서 자동차의 주행중에서도 요람이 움직이지 않아서 요람에서 유아가 놀거나 잠을 잘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게 되며, 커버를 상하로 구분하여 요람을 사용할 때에도 상부커버를 닫으므로서 외관도 아름다운효과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뒷 시트백에 공간부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그 하단내벽에 요람이 후면하단을 힌지결합하고 공간부에 커버를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요람.
  2. 제1항에 있어서, 요람은 직선형 측면 프레임과 2절형 프레임을 직육면체로 조립하여 절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프레임이 내면에 상면이 개방되는 시트를 설치한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요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요람의 하단에 고정구를 설치한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요람.
KR2019940026456U 1994-10-11 1994-10-11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KR0134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456U KR0134185Y1 (ko) 1994-10-11 1994-10-11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456U KR0134185Y1 (ko) 1994-10-11 1994-10-11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21U KR960013921U (ko) 1996-05-17
KR0134185Y1 true KR0134185Y1 (ko) 1999-01-15

Family

ID=1939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456U KR0134185Y1 (ko) 1994-10-11 1994-10-11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1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21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465A (en) Bassinet for attachment to a child's playard
US5829771A (en) Foldable bicycle carriage
US7565910B2 (en) Attachable swing shade
US4810030A (en) Shade for cars seats and the like
US20070052264A1 (en) Backrest structure of foldable safety seat
JPS6219247Y2 (ko)
JP2001315558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0134185Y1 (ko) 자동차의 뒷 시트 부설 유아용 요람
KR101305677B1 (ko)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US9089781B1 (en) Combination mirror and amusement system with mobile assembly
KR960000183Y1 (ko) 자동차용 유아보호 의자
US4407024A (en) Toilet seat lid cover
KR102066039B1 (ko) 유아용 카시트
US4930166A (en) Toilet lid safety restraint
KR200428138Y1 (ko) 자동 스윙 기구
KR100390876B1 (ko)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JP2504071Y2 (ja) 幼児用抱き具
JPS6030109Y2 (ja) 自動車用チヤイルドシ−ト
CN220147191U (zh) 提篮拆换系统
KR0127051Y1 (ko) 승용차의 흔들받이 장치
KR20080005835A (ko) 자동 스윙 기구
KR200183529Y1 (ko) 커버를 포함한 유아용 좌판을 겸비한 좌변기의 좌판
KR970002156Y1 (ko) 모빌과 클립형 연결고리를 갖는 유아용 요람
KR0129283Y1 (ko) 유아용 침대
KR200145056Y1 (ko) 유아용 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