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55B1 - 디지탈데이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데이터기록 재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55B1
KR0134155B1 KR1019940010533A KR19940010533A KR0134155B1 KR 0134155 B1 KR0134155 B1 KR 0134155B1 KR 1019940010533 A KR1019940010533 A KR 1019940010533A KR 19940010533 A KR19940010533 A KR 19940010533A KR 0134155 B1 KR0134155 B1 KR 013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block
digital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925A (ko
Inventor
신지 하마이
아키라 이케타니
치요코 마쯔미
타쯔로 쥬리
마사즈미 야마다
야스노리 카와카미
유조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1016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70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790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56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28793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434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05288030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6875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4002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5/926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04N5/926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with insertion of the PCM audio signals in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f the PCM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서 기록하는 소위디지탈 VCR와, 기록수단을 고유하므로써, 디지탈 VCR와 회로·자기매체등을 공유하고, 적은 코스트에서 또한, 트랙의 사용효율이 좋고, 기억용량이 보다 큰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입력한 디지탈데이터를 2개의 분할하고, 분할된 데이터로 부터 각각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싱크블록을 구성하여, 각각을 음성신호기록영역과 영상신호기록영역으로 기록한다. 이때, 디지탈데이터의 기록시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기록시에서, 동일착오정정부호를 사용하고, 동일 트랙, 싱크블록의 구성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탈데이터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트랙 패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트랙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다른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다른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다른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106),(125)의 블록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기록 장치의 블록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트랙패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트랙의 구성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기록 장치의 다른 블럭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기록 장치의 다른 블럭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기록 장치의 다른 블럭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322),(325)의 블록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322),(325)의 또 다른 블록도.
제24도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데이터처리회로(322),(325)의 또 다른 블럭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자기 테이프의 영역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자기 테이프의 영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영상 A/D 회로 102 : 영상신호처리회로
103 : 음성 A/D 회로 104 : 음성신호처리회로
105,120 : 스위치 106 : 데이터처리회로
107 : 영상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 108 :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
109 :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 110 : 변조회로
111 : 기록헤드 112 : 트래킹정보생성회로
113 : 갭패턴생성회로 114 : 자기테이프
115 : 재생헤드 116 : 복조회로
117 :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
118 :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
119 :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 121 : 영상신호처리회로
122 : 영상 D/A 회로 123 : 음성신호처리회로
124 : 음성 D/A 회로 125 : 데이터처리회로
126 : 특수재생용복호화회로 131 : 트래킹정보영역
132 : 음성신호기록영역 133 : 영상신호기록영역
134,135,136 : 갭 151 : 영상데이터
152 : 영상아우터패리티 153 : 블록
154 : 음성데이타 155 : 음성아우터패리티
156 : 이너패리티 157 : 블록
158 : 싱크패턴 159 : 볼록어드레스
160 : 싱크블록 201 : 데이터분할회로
202,203 : 포맷터 204,205 : 디포멧터
206 : 멀티플렉서 211 : 데이터선택회로
212,213 : 포멧터 214,215 : 디포멧터
221 : 데이터생성회로 222,223 : 포멧터
224,225 : 디포멧터 231 : 데이터생성회로
232 : 데이터분할회로 233,234 : 포멧터
235,236 : 디포멧터 237 : 데이터분할회로
238 : 멀티플렉서 241 : 데이터분할회로
242 : 데이터생성회로 243,244 : 포멧터
245,246 : 디포멧터 247 : 혼합기
248 : 데이터분할회로 251,253 : 데이터분할회로
252 : 데이터생성회로 254,255 : 포멧터
256,257 : 디포멧터 258,259 : 데이터분할회로
260,261 : 혼합기 271 : 데이터선택회로
272,274 : 포멧터 275 : 디포멧터
273 : 더미데이터생성회로 281 : 데이터생성회로
282,284 : 포멧터 285 : 디포멧터
283 : 더미데이터생성회로 291 : 데이터선택회로
292 : 데이터생성회로 293,298 : 데이터분해회로
294,295 : 포멧터 296,297 : 디포멧터
301 : 영상 A/D 회로 302 : 영상신호처리회로
303 : 영상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 304 : 음성A/D회로
305 : 음성신호처리회로 306 :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
307 :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 308 : 변조회로
309 : 기록헤드 310 : 트래킹정보생성회로
311 : 갭형성회로 312 : 자기테이프
313 : 재생헤드 314 : 복조회로
315 :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 320 : 음성신호처리회로
321 : 음성 D/A회로 322 : 데이터처리회로
324 :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 325 : 데이터 처리회로
326 : 특수재생용 데이터복호화회로 331 : 트래킹정보영역
332 : 데이터기록영역 333, 334 : 갭
351 : 데이터 352 : 아우터패리티
353 : 블록 354 : 이너패리티
355 : 싱크패턴 356 : 블록어드레스
357 : 싱크블록 361 : 포맷터
362 : 디포맷터 371 : 데이터생성회로
372 : 포맷터 373 : 디포맷터
374 : 데이터분할회로 381 : 데이터선택회로
382 : 포맷터 383 : 디포맷터
501, 502 : 영역 511, 512 : 영역
본 발명은,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VTR에는 아날로그기록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아날로그기록에 의한 VTR에 있어서는 기록재생, 특히 더빙에 의한 화질열화가 현저하고, 디지탈 기록에 의한 VTR이 기대되고 있다.
아날로그기록 VTR에 있어서는, 재생시에는, 잡음이나 지러등에 의해 변형된 신호가 그대로 출력된다. 편집이나 더빙등을 행하며, 이들의 변형등이 누적되고, 재생화질이 열화한다. 그러나, 디지탈 기록 VTR에 있어서는, 애날로그이 ㄴ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샘플링, 양자화에 의해 이산적인 디지탈치로 변환하고,이 디지탈치를 기록한다.기록되는 값은 이산적인 값이기 때문에, 잡음등이 충분히 작으면, 기록된 디지탈치를 정확하게 얻는 것은 용이하다. 또, 잘못된 디지탈치를 얻은 경우에도, 기록시에 착오정정부호를 부가하고 있으면 정확한 값으로 정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탈 기록에 있어서는, 더빙등에 의한 화질열화를 현저하게 저감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한편, TV 방송인 NTSC 신호를 디지탈치로 변환하면 데이터량이 많아진다. 이것은 1개의 점의 정보가 애날로그치에서는 1개의 값으로 표시되는데 대하여, 디지탈치는 복수의 데이터로서 표시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디지탈 VTR은 주로 값으로 표시되는데 대하여, 디지탈치는 복수의 데이터로서 표시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디지탈 VTR은 주로 방송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영상압출기술의 전보에 따라, 영상신호를 압축해서 데이터량을 수분의 1에서 수십분의 1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가정용 애날로그 VTR에 비교해서 더빙에 의한 화질열화가 적고, 또한 화질이 좋은 가정용 디지탈 VTR이 실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영상신호를 압축해서 기록하는 가정용 디지탈 VTR에서는, 종래의 가정용 애날로그 VTR에 비교해서 소형이며 또한 고화질의 VTR을 얻을 수 있다. 또, 가정용 VTR로 하는 경우, 그 영상효과에 의해 값싸게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종래 컴퓨터의 기록미디어로서는 자기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이 알려져 있으나, 백업 등의 용도에는 기록용량이 큰 자기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테이프로서 음악용의 DAT(Digital Audiop Tape)의 포맷을 기본으로한 DDS(Digital Data Storage)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터의 기록장치를 값싸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서 기록재생하는 소위 디지탈 VTR와, 착오정정 부호화수단, 착오정정수단, 기록수단 및 재생수단을 공유하므로서, 디지탈 VTR와, 회로·자기매체등을 공유하고, 적은 코스트에 의해 디지탈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또, 회로·자기매체등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량 생산으로 코스트의 저하가 기대되는 디지탈 VTR(Video Cassette recorder)의 회로·자기매체를 유용하므로서, 적은 코스트에 의해 디지탈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소 기록재생하는 소위 디지탈 VTR와, 기록수단 혹은 재생수단을 공유하므로서, 디지탈 VTR와 회로·자기매체등을 공유하고, 적은 코스트에 의해 또한, 트랙의 사용효율이 좋고, 기억용량이 큰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또, 회로·자기매체등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량 생산으로 코스트의 저하가 기대되는 디지탈 VTR의 회로·자기매체를 유용하므로서, 적은 코스트로 또한, 트랙의 사용효율이 조혹, 디지탈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은, 입력한 디지탈데이터를 2개의 분할하고, 분할된 데이터로부터 각각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싱크블록을 구성하고, 각각을 음성신호기록영역과 영상신호기록영역으로 기록한다. 또, 재생시에는 음성신호기록영역 및 영상신호기록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고, 2개의 분할된 데이터로부터 디지탈 데이터를 재구성에서 출력한다. 이때, 디지탈데이터의 기록시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기록시에서, 동일 착오정정부호를 사용, 동일 트랙의 구성 및 싱크블록의 구성을 취한다.
이와 같이 디지탈데이터를, 디지탈 VTR와 동일 착오정정부호를 사용, 동일 트랙의 구성 및 싱크블록의 구성으로 하고, 기록재생하므로서, 착오정정부호화회로, 착오정정복호화회로, 기록회로, 재생회로 및 기록매체를 디지탈 VTR와 공용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은, 입력한 디지탈에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그후 이너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여 싱크블록을 구성하고, 각각을 음성신호기록영역과 영상신호기록영역과 갭을 1개로 종합한 영역에 기록한다. 재생시는 음성신호 기록영역과 영상신호기록영역과 갭을 1개로 종합한 영역으로부터 싱크블록을 재생하고, 착오정정을 행하여 디지탈데이터를 재구성해서, 출력한다. 이때, 디지탈데이터의 기록시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기록시에서, 동일 이너착오정정 부호를 사용, 동일 트랙 및 싱크블록의 구성을 취한다.
이와 같이 디지탈데이터를, 디지탈 VTR와 동일착오정정부호를 사용, 동일트랙의 구성 및 싱크블록의 구성으로 하고, 기록재생하므로서, 착오정정부호화회로와 착오정정복호화회로, 기록회로, 재생회로 및 기록매체를 디지탈 VTR와 공용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며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제1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기록장치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할 때에는, 스위치(105), (120)은 A쪽으로 접속한다.
영상신호를 영상 A/D회로(101)에 입력한다. 영상 A/D회로(101)는 영상신호에 샘플링·량자화등의 처리를 해서 디지탈영상신호로 한다. 그리고, 디지탈영상신호를 영상신호처리회로(102)에 출력한다. 영상신호처리회로(102)는 디지탈영상신호로 배열변경·압축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해서 영상데이터로 한다. 또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스위치(105)에 출력한다. 음성신호를 음성 A/D회로(103)에 입력한다. 음성 A/D회로(103)는 음성신호에 샘플링·량자화등의 처리를 해서 디지탈 음성신호로 한다.
그리고, 디지탈음성신호를 음성신호처리회로(104)에 출력한다. 음성신호처리회로(104)에서는 디지탈음성 데이터로 배열변경·압축 등의 음성신호처리를 해서 음성데이터로 한다. 또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스위치(105)에 출력한다. 스위치(105)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아우터 착오정정부호화회로(107)에 출력하고, 음성데이터를 음성아우터 착오정정부호화회로(108)에 출력한다. 영상아우터 착오정정부호화회로(107)는 영상데이터를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하고, 영상아우터패리티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와 영상아우터패리티를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09)에 출력한다.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08)는 음성데이터에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해서, 음성아우터패리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와 음성아우터패리티를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09)에 출력한다. 이너착오정정부호회회로(109)는 영상 데이터·영상아우터패리티·음성데이터 및 음성아우터패리티를 소정의 블록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블록에 대해서 이너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이너패리티를 생성해서 블록의 뒤에 접속한다. 그리고, 블록 및 이너 패리티를 변조회로(110)에 출력한다. 변조회로(110)는 블록의 앞에 싱크패턴 및 블록어드레스를 접속해서 싱크블록으로 한다. 싱크패턴 및 블록어드레스는 재생시에 블록을 구분하기 위한 표적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싱크블록을 변조해서 변조신호로 한다. 그리고, 변조신호를 기록헤드(111)에 출력한다.
트래킹정보생성회로(112)는 트래킹서보를 걸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기록헤드(11)에 출력한다. 갭생성회로(113)는, 각 영역간 및 뒤의 갭패턴을 생성하여,기록헤드(111)에 출력한다. 기록헤드(111)는 변조신호, 트래킹정보 및 캡패턴을 자기테이프(113)에 기록한다.
제2도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기록했을 때의 트랙패턴도이다. 트랙의 선두로부터 트래킹정보영역(131), 음성신호기록영역(132), 영상신호기록영역(133)의 순서로 기록되고, 그 영역의 사이 및 뒤에는, 갭(134), (135), (136)이 기록된다.
제3도는 기록되는 데이터의 배치도이다. 영상데이터(151)로부터 영상아우터패리티(152)가 생성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151)와 영상아우터패리티(152)로부터 블록(153)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음성데이터(154)로부터음성아우터패리티(155)가 생성되다. 그리고 음성데이터(154)와 음성아우터패리티(155)로부터 블록(153)이 구성된다. 블록(153)에 대해서 이너패리티(156)가 생성되어 블록의 뒤에 접속된다. 그리고 블록(157)의 앞에 싱크패턴(158)과 블록어드레스(159)가 접속된다. 이, 1조의 싱크패턴(158)·블록어드레스(159)·블록(153) 및 이너패리티(156)가 싱크블록(160)이다. 그리고, 이들의 싱크블록을 변조해서 기록한다. 영상데이터(151)로부터 구성되는 싱크블록과, 음성데이터(153)로부터 구성되는 싱크블록의 사이에는 갭(135)이 기록된다. 갭은,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각각 개별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재생시에는, 자기테이프(114)로부터 재생헤드(114)로부터 재생헤드(115)에 의해서 신호를 재생한다. 재생헤드(115)는 재생된 신호를 복조회로(116)에 출력한다. 복조회로(116)는 재생신호를 복조하고, 싱크패턴을 표적으로 블록마다 구분하여 이너착오 정정복호화회로(117)에 출력한다. 이너착오 정정부호화회로(117)에서는, 블록에 부가된 이너패리티를 기초로 이너착오정정을 행하고, 패리티를 제외한 블록을 영상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18)와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19)에 출력한다. 이때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17)는 블록어드레스를 기초로해서, 영상신호기록영역에 기록되고 있는 블록을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에, 음성신호기록영역에 기록되고 있는 블록을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9)에 출력한다.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에서는, 입력된 블록에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하고 영상데이터로서 스위치(120)에 출력한다.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19)에서는, 입력된 블록에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하고 음성데이터로서 스위치(120)에 출력한다. 스위치(120)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신호처리회로(121)에 출력한다. 영상신호처리회로(121)는 영상데이터로 배열변경, 신장등의 처리를 행하여 디지탈영상신호로 한다. 영상신호처리회로(121)는 디지탈영상신호를 영상 D/A회로(122)에 출력한다. 영상 D/A회로(122)에서는 입력된 디지탈영상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스위치(120)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처리회로(123)에 출력한다. 음성신호처리회로(123)는 음성데이터로 배열변경, 신장등의 처리를 행하여 디지탈음성신호로 한다. 음성신호처리회로(123)는 디지탈음성신호를 음성 D/A회로(124)에 출력한다. 음성 D/A회로(124)에서는 입력된 디지탈 음성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에 디지탈데이터를 기록재생할 때에는 스위치(105), (120)을 B쪽으로 접속한다. 디지탈데이터를 데이터처리회로(106)에 입력한다. 데이터처리회로(106)는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 배열변경·데이터생성·데이터선택등의 처리를 해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별데이터를 생성하고,데이터c와 데이터 D로 한다. 그리고,데이터처리회로(106)는 데이터C와 데이터D를 각각 스위치(105)로 출력한다. 스위치(105)는 데이터 C를 영상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07)에, 데이터 D를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08)에 출력한다.
영상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07)는 데이터C를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화하여, 영상아우터패리티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C와 영상아우터패리티를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09)에 출력한다.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08)는 데이터 D를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하여, 음성 아우터 패리티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D와 음성아우터패리티를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09)에 출력한다.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09)는 데이터 C·영상아우터패리티·데이터D 및 음성 아우터 패리티를 소정의 블록으로 구분한다. 그리고,블록에 대해서 ㅣ너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여 이너패리티를 생성해서 블록의 뒤에 접속한다. 그리고, 블록 및 이너패리티를 변조회로(110)에 출력한다. 변조회로(110)는 블록의 앞에 싱크패턴 및 블록어드레스를 접속해서 싱크블록으로 한다. 싱크패턴 및 블록어드레스는, 재생시에 블록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싱크블록을 변조해서 변조신호로 한다. 그리고,변조신호를 기록헤드(111)에 출력한다. 트래킹정보 재생회로(112)는 트래킹서보를 걷기 위한 정보를 행하고,기록헤드(111)에 출력한다. 트래킹 정보 재생회로(112)는 트래킹서보를 걷기 위한 정보를 행하고, 기록헤드(111)에 출력한다. 갭생성회로(113)는, 각 영역간 및 뒤의 갭패턴을 생성하여,기록헤드(111)에 출력한다. 기록헤드(111)는 변조신호, 트래킹 정보 및 캡패턴을 자기테이프(114)에 기록한다. 기록헤드(111)는 변조신호를 자기테이프(114)에 기록한다.
디지탈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자기테이프(114)로부터 재생헤드(115)에 의해서 신호를 재생한다. 재생헤드(115)는 재생된 신호를 복조회로(116)에 출력한다. 복조회로(116)는 재생신호를 복조하고, 싱크패턴을 표적으로 블록마다 구분하여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117)에 출력한다.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117)에서는, 블록에 부가된 이너패리티를 기초로 이너착오정정을 행하고,패리티를 제외한 블록을 영상아우터 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와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9)에 출력한다.이때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117)는 블록어드레스를 기초로 해서 영상신호기록영역에 기록되고 있는 블록을 음성아우터 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에, 음성신호기록영역에 기록되고 있는 블록을 음성아우터 착오정정복호화회로(119)에 출력한다.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에서는, 입력된 블록에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하여 데이터 C로서 스위치(120)에 출력한다.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9)에서는, 입력된 블로겡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하고 데이터 D로서 스위치(120)에 출력한다. 스위치(120)는 데이터 C 및 데이터 D를 데이터처리회로(125)에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회로(125)는 데이터 C 및 데이터 D에 포함되는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데이터 C 및 데이터 D로 배열변경등의 처리를 행하고 기록된 디지탈을 출력하는 동시에, 생성 혹은 선택된 보조데이터를 출력한다.
보조데이터로서는, 데이터의 기록시간 혹은 크기등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보조적인 데이터이다.
또, 입력되는 데이터가 디지탈영상신호등인 때에는,특수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고려할 수 있다. 특수재생시에는, 재생가능한 데이터가적고,착오가 많다고 생각되기 때무에,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별도생성 혹은 분리해서 기록하므로서 특수재생시의 화질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입력되는 데이터가 블록화된 디지탈데이터의 경우는 블록의 번호가 기록되는 블록의 선두 혹은 최종어드레스, 블록의 크기,서치를 위한 마크의 위치 혹은 수등을 고려할 수 있다.
혹은, 보조데이터로서, 기록해야 될 디지탈데이터에 또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였을 때의 패리티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착오가 적은 신뢰성이 높은 기록장치를 얻는 일이 가능하다.
또, 이상과 같은 보조데이터를 조합해서 기록해도 좋다.
또, 디지탈데이터로서 디지탈영상데이터를 기록했을 때의 특수재생시에는,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117)에 착오정정된 블록은 특수재생용 데이터복호화회로(126)에 출력된다. 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126)에 출력된다. 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126)에서는, 입력된 블록으로부터 디지탈영상신호를 복호해서 출력한다.이것은 고속서치등의 특수재생에서는, 모든 데이타를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아우터착오정정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126)는 디지탈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경우에만 부가된다.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했을 때의 트랙 패턴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했을 때의 트랙패턴과 동일하다. 제2도에 있어서, 영상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에 데이터 C가 기록되고,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부분에 데이터D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105), (120)을 A로 했을 때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스위치(105), (120)을 B로 했을때의 디지탈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므로서, 디지탈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와 디지탈 VTR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고, 장치의 코스트, 크기 등에서 다대한 메릿이 있다.
또, 디지탈데이터만을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를 제4도에 표시한다. 데이터처리회로(106), 영상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07),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108),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09), 변조회로(110), 트래킹정보생성회로(112), 갭패턴생성회로(113), 기록헤드(111), 자기테이프(114), 재생헤드(115), 복조회로(116),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117),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9), 데이터처리회로(125),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126)는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제1도)에 표시한 회로와 동일하다. 이 구성으로 디지탈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므로서, 디지탈 데이터를 재생하느 장치와, 디지탈 VCR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고, 장치의 코스트, 크기 등에서 다대한 메릿이 있다.
또, 영상신호·음성신호 및 디지탈데이터의 재생장치의 블록도를 제5도에 표시한다. 자기테이프(114), 재생헤드(115), 복조회로(116),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117),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9),스위치(120), 영상신호처리회로(121), 영상 D/A회로(122), 음성신호처리회로(123), 음성 D/A회로(124), 데이타처리회로(125), 특수재생용 데이터복호화회로(126)는 본 발명의 기록 재생장치의 블록도(제1도)에 표시한 회로와 동일하다.구성에서 스위치(120)를 A로 했을 때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스위치(120)를 B로 했을 때에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므로서,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와 디지탈 VCR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고, 장치의 코스트, 크기등에서 다대한 매릿이 있다.
또, 디지탈데이터의 재생장치의 블록도를 제6도에 표시한다. 자기 테이프(114), 재생헤드(115), 복조회로(116),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117),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8),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119), 데이터처리회로(125), 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126)는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제1도)에 표시한 회로와 동일하다. 이 구성에서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므로서,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와 디지탈 VCR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고, 장치의 코스트, 크기 등에서 다대하 메릿이 있다.
데이터처리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7도(a)에 표시한다. 데이터기록시에는 데이터(E+F)를 데이터분할회로(201)에 입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01)는 데이터(E+F)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E와 데이터 F로 분할한다. 데이터분할회로(201)는 데이터 E를 포맷터(202)에, 데이터 F를 포맷터(203)에 출력한다. 포맷터(202)는 데이터 E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 변경하고,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C로서 출력한다. 포멧터(203)는 데이터 F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하고,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D로서 출력한다.
또,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기록할 때, 데이터 D를 데이터처리회로(106)로부터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109)에 출력하고, 음성착오정정부호화회로(108)가 생성하는 패리티가 기록되는 영역에도 데이터 D를 기록하는 일이 가능하다. 이때에는, 보다 많은 데이터 D 즉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보다 화질이 좋은 특수재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수재생시에는 자기테이프의 일부의 데이터밖에 재생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착오정정을 위해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아우터패리티를 기록할 필요는 없고,아우터패리티를 기록하는 영역에 보다 많은 특수재생용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의 특수재생시에는, 음성아우터패리티를 기록할 때와 마찬가지로 재생된 데이터는 이너착오정정회로(117)에서 이너착오정정이 된 후 특수재생용데이터복조회로(126)에 출력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7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맷터(204)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04)는 데이터 C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하고,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E로 한다. 디포맷터(204)는 데이터 E를 데이터혼합회로(206)에 출력한다. 데이터D는 디포맷터(205)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05)는 데이터 D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하고,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F로 한다. 디포맷터(205)는 데이터 D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하고,착오정정등의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F로 한다. 디포맷터(205)는 데이터 F를 데이터혼합회로(206)에 출력한다. 데이터 혼합회로(206)는 데이터 E와 데이터 F를 혼합해서 데이터(E+F)로서 출력한다.
입력한 디지탈데이터중에서, 개서(改書)를 할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 F로 하고, 다른쪽을 데이터E로 한다. 데이터 E와 데이터 F를 갭(134)이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개서하는 일이 가능하며, 뒤에 데이터 E를 남긴 그대로 데이터 F마을 개서할 수 있고, 간단히 일부분의 개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E+F)로서 데이터와 그 보조데이터를 기록할 때, 데이터본체를 데이터 E로 하고, 보조데이터를 데이터 F로서 기록하므로서 보조데이터의 갱신을 간단하게 행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데이터(E+F)를 디지탈영상신호로 했을 때, 데이터 F로서 화면내부호화한 데이터의 직류성분을 선택하여, 데이터 E를 그외의 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F를 음성신호기록영역에, 데이터 E를 영상신호기록 영역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먼저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분리해서 기록하고 특수재생시에는 음성신호기록영역만으로부터 재생하므로서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 데이터 F는 입력된 데이터(E+F)로 부터 분할해서 기록하는 데이터이며, 새로이 데이터를 생성해서 기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테이프에 기록되는 정보량은 증가하지 않고 용장(冗長)이 적다.
자기테이프(114)의 배치예를 제25도에 표시한다. 데이터 E를 영역(501)에, 특수재생용데이터인 데이터 F를 영역(502)에 기록한다. 통상 재생시에는, 영역(501)으로부터 E를 재생하고, 영역(502)으로부터 F를 재생하여, 혼합하므로서 데이터(E+F)를 재생한다. 또, 특수재생시에는 영역(502)으로부터 데이터 F를 재생한다. 또, 특수재생용데이터를 영역(502)에 복수회기록하므로서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용이하게 재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영역속의 데이터의 배치를 화면위의 배치와 대응시켜서 정해두므로서, 특수재생시의 신호생성, 화면표시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화면내부호화된 데이터의 직류성분으로 했으나, 직류성분이외로 직교변환계수의 지역성분 등 화면검색시에 유효한 정보이면 다른 성분을 추출해서 기록해도 된다. 또, 자기테이프(114)의 일예를 제25도에 표시했으나 일예일 뿐 그외의 배치라도 된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8도(a)에 표시한다.데이터(G+H)를 포맷터(212)에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G+H)를 데이터선택회로(211)에 입력한다. 데이터선택회로(21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G+H)로부터 일부의 데이터인 데이터 H를 선택한다. 데이터선택회로(211)는 선택된 데이터 H를 포맷터(213)에 출력한다. 포맷터(212)는 데이터(G+H)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등의 처리를 행하여,데이터 C로서 출력한다. 포맷터(213)는 데이터 H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등의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D로서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8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맷터(214)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14)는 데이터 C를 종별 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G+H)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D는 디포맷터(215)에 입력된다.디포맷터(215)는 데이터 D를 종별 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H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보조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의 일부를 선택해서 데이터본체와는 따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데이터를 데이터 G, 보조데이터를 데이터 H로 기록했을 때에, 기록시에 입력한 데이터로부터 먼저 데이터 H를 선택하므로서, 데이터 H를 재생시에 간단히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록하므로서, 재생시에 데이터 H를 모든 데이속으로부터 검색할 필요가 없어지고 재생장치의 코스트를 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주 데이터와 보조데이터가 분리되므로서, 재생시에 착오가 발생한때에도 착오가 전파되지 않고, 착오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데이터(G+H)를 디지탈영상신호로 하고, 데이터 H를 그속의 특수재생에 사용하는 데이터로 한다. 데이터 H를 복수회기록하므로서 보다 화질이 좋은 특수재생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특수재생용데이터를 복수회기록하므로서, 고속으로 서치했을 때에, 특수재생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회수를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특수재생용의 데이터인 H를 데이터본체와 다른 영역에 기록하므로서 화질이 좋은 특수재생방법이 개발되었을 때 등, 데이터 본체를 개서하는 일없이 특수재생용데이터를 갱신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 중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H로서 선택하여, 복수회기록하므로서, 데이터가 착오된 경우에도 중요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져서, 신뢰성을 올릴 수 있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9도(a)에 표시한다. 입력된 데이터 J를 포맷터(222)에 입력한다. 또, 입력된 데이터 J를 데이터 생성회로(221)에 입력한다. 데이터 생성회로(22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J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K를 생성한다. 데이터 생성회로(221)는 데이터 K를 포맷터(223)에 출력한다. 포맷터(222)는 생성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C로서 출력한다. 포맷터(223)는 입력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부호화, 종별 데이터의 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D로서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4)의 블록도의 예를 제9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멧터(224)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24)는 데이터 C를 종별데이터에 의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J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DS는 대표맷터(225)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25)는 데이터 D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K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한 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를 작성하여 본체와는 따로 기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예로서, 데이터 J를 데이터본체로 하고, 데이터 K를 데이터 J의 보조데이터로 한다. 이와 같은 보조데이터를 입력된 데이토로부터 구성하고, 입력된 데이터와 다른 영역에 기록하므로서, 보조데이터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고, 데이타처리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와 보조데이터가 분리되므로서, 재생시에 착오가 발생해도 착오가 전파되지 않고, 착오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 데이터 J로부터 디지탈영상신호를 입력했을 때,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데이터 K로서 생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특수재생용 데이터를 통상재생용 데이터와는 따로 생성하므로서 화질이 좋은 특수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특수재생용의 데이터인 데이터 K를 데이터본체와 다른 영역에 기록하므로서 화질이 좋은 특수재생방법이 개발되었을 때 등, 데이터본체를 개서하는 일없이 특수재생용데이터를 갱신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 다른 데이터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10도(a)에 표시한다. 입력된 데이터 L을 포맷터(233)에 입력한다. 또, 디지탈데이터 L을 데이터생성회로(231)에 입력한다. 데이터생성회로(23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L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M을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생성회로(231)는 생성한 데이터 M을 데이터 M1 및 M2로 분할한다. 그리고, 데이터분할회로(232)는 생성한 데이터 M1를 포맷터(233)에, 데이터 M2를 포맷터(234)에 출력한다. 포맷터(233)는 데이터 L 및 M1을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 데이터의 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C로서 출력한다. 포맷터(234)는 데이터 M2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D로부터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10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맷터(235)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35)는 데이터 C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L+M1)로서 데이터분할회로(237)에 출력한다. 데이터 D는 디포맷터(236)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36)는 데이터 D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M2로서 데이터 결합회로(238)에 출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37)는 데이터(L+M1)를 데이타 L와 데이터 M1로 분할한다. 데이터분할회로(237)는 데이터 L을 데이터처리회로(125)의 출력으로 하고, 데이터 M1을 데이터 결합회로(238)에 출력한다. 데이터결합회로(238)는 데이터 M1과 데이터 M2를 데이터 M에 결합해서 보조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로서 보조데이터를 생성하고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할 때, 디지탈데이터를 데이터 L로 하고, 생성하는 보조데이터를 데이터 M로 한다. 데이터 M이 음성신호기록영역보다큰때에도 보조데이터를 기록하는 일이 가능하며, 음성신호기록영역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효율이 좋은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 M중에서 개서할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 M2로서 분할해서 기록하므로서, 데이터 M2를 갱신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11도(a)에 표시한다. 입력된 데이터 N을 데이터분할회로(241)에 입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4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N을 데이터 N1 및 N2로 분할한다. 그리고, 데이터분할회로(241)는 생성된 데이터 N1을 포맷터(243)에, 데이터 N2를 포맷터(244)에 출력한다. 또,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생성회로(242)에 입력한다. 데이터생성회로(242)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N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P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생성회로(242)는 분할한 데이터 P를 포맷터(244)에 출력한다. 포맷터(243)는 데이터 N1을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C로서 출력한다. 포맷터(244)는 데이터 N2 및 데이터 P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D로서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11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맷터(245)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45)는 데이터 C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N1로서 데이터결합회로(247)에 출력한다. 데이터 D는 디포맷터(246)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46)는 데이터 D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N2+P)로서데이터분할회로(248)에 출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48)는 데이터(N2+P)를 데이터 N2와 데이터 P로 분할한다. 데이터 분할회로(248)는 데이터 N2를 데이터 결합회로(247)에 출력하여, 데이터 P를 보조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결합회로(247)는 데이터 N1와 N2를 데이터 N에 결합해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할 때, 입력되는 디지탈데이터를 데이터 N로 하고, 데이터 N로부터 보조데이터를 생성해서 데이터 P로 한다. 이때 데이터 N가 많을 때에도, 영상신호기록영역과 음성 신호기록영역의 양쪽으로 분할해서 기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예를 들면, 데이터 N을 디지탈영상신호로 할 때, 데이터 N가 많을 때에도 영상신호영역과 음성신호 기록영역의 양쪽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 데이타 P로서 특수재생의 데이터를 생성해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12도(a)에 표시한다. 입력된 데이터 Q를 데이터분할회로(251)에 입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5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Q를 데이터 Q1 및 Q2로 분할한다. 그리고, 데이터분할회로(251)는 분할한 데이터 Q1을 포맷터(254)에, 데이터 Q2를 포맷터(255)에 출력한다. 또, ㅣㅇㅂ력된 데이터를 데이터생성회로(252)에 입력한다. 데이터생성회로(252)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Q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R을 생성한다.그리고, 데이터생성회로(252)는 생성한 데이터 R을 데이터분할회로(253)에 출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53)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R을 데이터 R1 및 R2로 분할한다. 그리고, 데이터분할회로(253)는 분할한 데이터 R1 및 R2로 분할한다. 그리고, 데이터분할회로(253)는 분할한 데이터 R1을 포맷터(254)에, 데이터 Q2를 포맷터(255)에 출력한다. 포맷터(254)는 데이터 Q1 및 데이터 R1을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C로서 출력한다. 포맷터(255)는 데이터 Q2 및 데이터 R2을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D로서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12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맷터(256)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56)는 데이터 C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Q1+R1)로서 데이터분할회로(258)에 출력한다. 데이터 D는 디포맷터(257)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57)는 데이터 D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Q2+R2)로서 데이터분할회로(259)에 출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58)는 데이터(Q1+R1)를 데이터 Q1과 데이터 R2로 분할한다. 데이터분할회로(258)는 데이터 Q1을 데이터결합회로(260)에 출력하고, 데이터 Q2를 데이터결합회로(261)에 출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59)는 데이터 Q2를 데이터결합회로(260)에 출력하고, 데이터 R2를 데이터결합회로(261)에 출력한다. 데이터결합회로(260)는 데이터 Q1과 데이터Q2를 결합해서 데이터 Q로 한다. 데이터결합회로(260)는 데이터 Q를 디지탈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데이터결합회로(261)는 데이터 R1과 R2를 결합해서 데이터 R로 한다. 데이터결합회로(261)는 데이터 R을 보조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입력된 디지탈데이터의 기록데이터나, 생성한 데이터 R의 기록데이터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지탈데이터를 데이터 Q로서, 데이터 Q로부터 생성한 보조데이터를 데이터 R로 한다. 데이터 Q의 입력데이터 및 데이터 R의 생성레이트가 가변일때, 데이터 R의 기록레이트가 높은 때에는 데이터R을 분할하고, 데이터 Q의 기록레이트가 높은때에는 데이터Q를 분할하고,영상신호기록영역과 음성신호 기록영역에 기록하므로서, 트랙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디지탈영상신호를 기록할 때, 입벽된 디지탈영상신호를 데이터 Q로하고, 데이터 Q로부터 생성된 특수재생용데이터를 데이터 R로 한다. 이때, 데이터 R을 특수재생시의 헤드패스의 위치동, 트랙의 소망의 위치에 기록하므로서, 특수재생시의 화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13(a)에 표시한다. 입력된 데이터(S+T)를 포맷터(272)에 입력한다. 또,입력된 데이터(S+T)를 데이터선색회로(271)에 입력한다.데이터선택회로(27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S+T)로부터 데이터 T를 선택한다. 그리고, 데이터선택회로(271)는 선택한 데이터T를 포맷터(272)에 출력한다. 더미데이터생성회로(273)에서는 더미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더미데이터는 포맷터(2745)에 출력된다. 포맷터(272)는 데이터(S+T) 및 데이터 T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로서 출력한다.포맷터(274)는 더미데이터를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해하여, 데이터 D로서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13(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대포맷터(275)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75)는 데이터 C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S+T)로서 출력한다.
데이터(S+T)로서 디지탈영상신호를 기록했을 ㄸㅒ, 일부늬 데이터T를 특수재생용 데이터로서 기록하므로서 활질이 좋은 특수재생을 실현하는 일이 가능하다. 이것은,특수재생용데이터를 복수회기록하므로서, 고속으로 서치했을때에, 특수 재생에서 사용하는 데이터T를 재생할 수 있는 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데이터T를 데이터(S+T)중에서 중요한 데이터로 하고, 데이터(S+T)를 전체의 데이터로 한다. 통상의 재생시에는, 데이터(S+T)를 이용하고, 예를들면 자기테이프위의 데이터가 파괴되었을때 등에 데이터T를 재생하므로서, 중요한 데이터를 데이터파괴로부터 보호하느 일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복수회기록하므로서 더욱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영상신호기록영역에만 기록하므로서,데이터처리회로(106), (125)의 회로규모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106)의 블록도의 예를 제14도(a)에 표시한다. 입력된 데이터U를 포맷터(282)에 입력한다. 또, 입력된 데이터U를 데이터생성회로(281)에 입력한다. 데이터생성회로(28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U로부터 새로운 데이터V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생성회로(281)는 생성한 데이터V를 포맷터(282)에 출력한다. 더미데이터생성회로(283)에서는 더미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더미데이터는 포맷터(284)에 기록된다. 포맷터(282)는 데이터 U 및 데이터V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C로서 출력한다.포맷터(284)는 더미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생성 드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D로서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14도(b)에 표시하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맷터(285)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85)는 데이터 C를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U+V)로서 데이터분할회로(286)에 출력한다. 데이터분할회로(286)는 데이터(U+V)를 데이터U와 데이터V로 분할한다. 데이터분할회로(286)는 데이터U를 디지탈데이터로서 출력하고,데이터V를 보조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데이터U를 데이터본체로 하고, 데이터V를 데이터U의 보조데이토러 한다. 이때, 데이터V와 데이터U의 크기에 관계없이 기록할 수있기 때문에, 데이터V 및 데이터U의 크기가 가변인때에도 효율좋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타U를 디지탈영상신호로 하고,데이터V를 특수재생용ㅇ데이터로서 생성할 수있다. 이때에는 데이터U와 데이터V의 크기가 가변인때에도 효율좋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데이틀 ㄹ 영상신호기록영역에만 기록하므로서, 데이터처리회로(106)의 회로규모를 심감할 수 있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106)의블록도의 예를 제15(a)에 표시한다. 입력된 데이터W를 데이터 분해회로(293)에 입력한다. 또 데이터W를 데이터선택회로(291)에 입력한다. 데이터선택회로(29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W로부터 데이터X를 인출한다. 그리고, 데이터선택회로(291)는 선택한 데이터X를 데이터분해회로(293)에 출력한다. 또, 데이터W를 데이터생성회로(292)에 입력한다.데이터생성회로(202)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W로부터 새로운 데이터Y를 생성한다. 그리고,데이터생성회로(293)는 데이터W, 데이터X 및 데이터 Y중에서 ㅕㅇ상신호기록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터를 데이터Z1로서 포맷터(294)에 출력하고, 음성신호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터를 데이터Z2로서 포맷터(295)에 출력한다. 포맷터(294)는 데이터Z1을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착오정정부호화,종별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여,데이터C로서 출력한다. 포맷터(295)는 데이터Z2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종별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D로서 출력한다.
이때에 데이터처리회로(125)의 블록도의 예를 제15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C는 디포맷터(296)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96)는 데이터 C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Z1로서 데이터분배회로(298)에 출력한다. 데이터 D는 디포맷터(297)에 입력된다. 디포맷터(297)는 데이터 D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Z2로서 데이터분배회로(298)에 출력한다. 데이터분배회로(298)는 데이터Z1과 데이터Z2로부터 데이터W를 구성해서 디지탈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또,데이터분배회로(298)는 데이터Z1과 데이터Z2로부터 데이터Y를 구성해서 보조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입력된 데이터W부터 데이터의보조데이터를 데이터X로서 선택하고, 또 다른 보조 데이터를 데이터Y로서 생성하여, 영상신호기록영역 및 음성신호에 기록하느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들면, 데이터W로서 디지탈영상신호를 입력할때에,디지탈영상신호의 헤더 등의 보조데이터를 데이터X로서 선택하고, 또한, 데이터W로부터 특수재생용데이터를 데이터Y로서 생성하므로서, 고속의 검색이 가능하고 또한 특수재생이 실현가능하다.
또, 데이터W로서 디지탈데이터를 입력할때에, 데이터W의 구획정보나 크기 등의 보조데이터를 데이터X로서 선택하고, 또한 데이터W를 기록하는 위치 등의 보조데이터를 더 생성하여, 기록하므로서, 고속의 검색이 용이한 기록장치가 실현가능하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제2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기록장치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할때에는, 영상 A/D회로(301)에 입력한다. 영상A/D회로(301)는 영상신호에 샘플링·량자화 등의 처리를 해서 디지탈영상신호로 한다. 그리고, 디지탈영상신호를 영상신호처리회로(302)에 출력한다. 영상신호처리회로(302)는 디지탈영상신호로 배열변경·압축 등의 영상신호 처리를 해서 영상데이터로 한다.그리고, 영상데이터를 영상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303)에 출력한다.영상아우러착오정정부호화회로(303)는 여앙데이터를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하고,영상아우터패리티를 생성한다. 그리고,영상데이터와 영상 아우터패리티를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07)에 출력한다. 음성신호를 음성A/D회로(304)에 입력한다.음성 A/D회로(304)는 음성신호에 샘필링·량자화 등의 처리를 해서 디지탈음성신호로 한다.그리고,디지탈음성신호를 음성신호처리회로(305)에 출력한다.음성신호처리회로(305)에서는 디지탈음성데이터로 배열변경 압축 등의 음성신호처리를 해서 음성 데이터로 한다.그리고, 음성데이터를 음성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306)에 출력한다. 음성아우터착오정저어부호화회로(306)는 음성데이터에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해서, 음성아우터 패리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음성데이터와 음성아우터패리티를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07)에 출력한다. 이너착오저어정부호화회로(307)는 영상데이터·여ㅑㅇ상아우터래피티·음성데이터 및 음성아웃터패리티를 소정의 블록으로 구획짓는다. 그리고,블록에 대해서 ㅣ너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여 이너패리티를 생성해서 블록의 뒤에 접속한다. 그리고,블록 및 이너패리티를 변조회로(308)에 출력한다.변조회로(308)는 블록의 앞에 싱크패턴 및 블록어드레스를 접속해서 싱크블록으로 한다.싱크패턴 및 블록어드레스는 재생시에 블록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싱크블록을 변조해서 변조신호로 한다.그리고,변조신호를 기록헤드(309)에 출력한다. 트래킹정보생성회로(310)는 트래킹서보를 걸기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기록헤드(309)에 출력한다. 갭패턴생성회로(311)는, 각 영역간 및 뒤의 갭패턴을 생성하여, 기록헤드(309)에 출력한다. 기록헤드(309)는 변조신호, 트래킹정보 및 캡패턴을 자기테이프(312)에 기록한다.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재생시에는, 자기테이프(312)로부터 재생헤드(313)에 의해서 신호를 재생한다. 재생헤드(313)는 재생된 신호를 복조회로(314)에 출력한다.복조회로(314)는 재생신호를 복조하고, 싱크패턴을 표적으로 블록마다 구획지어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315)에서는, 블록에 부가된 이너패리티를 기초로 이너착오정정을 행하고, 패리티를 제외한 블록을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16)와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19)에 출력한다. 이때 이너착오정정복호화회로(315)는 블록어드레스를 기초로해서, 영상신호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던 블록을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화화회로(316)에, 음성신호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던 블록을 음성아우터착오정저어복호화회로(319)에 출력한다.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16)에서는, 입력되 블록에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하여 영상데이터로서 영상신호처리회로(317)에 출력한다.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19)에서는, 입력된 블록에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하고 츰성데이터로서 음성신호처리회로(320)에 출력한다. 영상신호처리회로(317)는 영상데이터로 배열변경, 신장등의 처리를 행하여 디지탈영상신호로 한다. 영상 신호처리회로(317)는 영상데이터로 배열변경,신장동의 처리를 행하여 디지탈영상신호로 한다.영상 신호처리신호(317)는 디지탈영상신호를 영상 D/A회로(318)에 출력한다. 영상 D/A회로(318)에서는 입력된 디지탈영상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음성신호처리회로(320)는 음성데이터로 배열변경, 신장 등의 처리를 행하여 디지탈 음성신호로 한다. 음성신호처리회로(320)는 디지탈음성신호를 음성 D/A회로(321)에 출력한다. 음성 D/A회로(321)에서는 입력된 디지탈 음성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출려한다.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재생시에는 제2도는 기록되는 트랙의 패턴이다. 트랙의 선두로부터, 트래킹정보영역(131), 음성신호기록영역(132), 영사어신호기록영역(133)의 순서로 기록되고, 그 영역의 사이 및 뒤에는, 갭(134), (135), (136)이 기록된다.
제3도는 기록되는 데이터의 배치도이다. 영상데이터(151)로부터 영상아우터패리티(152)가 생성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151)와 영상아우터패리티(152)로부터 블록(153)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음성데이터(154)로 부터 음성아우터패리티(155)가 생성된다.그리고 음성데이터(154)와 음성아우터패리티(155)로부터 블록(153)이 구성된다. 블록(153)에 대해서 이너태리티(156)가 생성되어 뒤에 접속된다. 그리고 블록(157)의 앞에 싱크패턴(158)과 블록어드레스(159)가 접속된다. 이, 1조의 싱크패턴(158)·블록어드레서(159)·블록(153) 및 이너패리티(156)가 싱크블록(160)이다. 그리고,이들의 싱크블록을 변조해서기록한다. 영상데이터(151)로부터 구성되는 싱크블록과, 음성데이터(153)로부터 구성되는 싱크블록의 사이에는 갭(135)이기록된다. 갭은, 영상데이터와음성데이터를 각각 개별로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할때에는 디지탈데이터를 데이터처리회로(322)에 입력한다. 데이터처리회로(322)는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 배열변경·데이터생성·데이터선택 등의 처리와 함께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별데이터를 생성한다.그리고,데이터처리회로(322)는 처리한 데이터를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323)에 출력한다.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회로(323)는 입력된 데이터를 아우터착오정정부호화해서,아우터패리티를 생성한다.그리고,데이터와 아우터패리티를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07)에 출력한다. 이너탁오정정부호화회로(307)는 데이터 및 아우터패리티를 소정의 블록으로 구분한다.그리고,블록에 대해서 이너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이너패리티를 생성해서 블록의 뒤에 접속한다. 그리고, 블록 및 이너패리티를 변조회로(308)에 출력한다.변조회로(308)는 블록의 앞에 싱크패턴 및 블록어드레스를 접속해서싱크블록으로 한다.그리고,싱크블록을 변조해서 변조신호로한다.그리고,변조신호를 기록헤드(308)에 출력한다. 트래킹정보생성회로(310)는 트랭킹서보를 걸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기록헤드(309)에 출력한다. 갭패턴 생성회로(311)는, 각 영역간 및 뒤의 갭패턴을 생성하여,기록헤드(309)에 출력한다. 기록헤드(309)는 변조신호, 트래킹정보 및 갭패턴을 자기테이프(321)에 기록한다.
디지탈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자기테이프(312)로 부터 재생헤드(313)에 의해서 신호를 재생한다. 재생헤드(313)는 재생된 신호를 복조회로(314)에 출력한다. 복조회로(314)는 재생신호를 복조하고, 싱크패턴을 표적으로 블록마다 구획하여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15)에 출력한다.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15)에서는, 블록에 부가된 이너패리티를 기초로 이너착오정정을 행하고, 패리티를 제외한 블록을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24)에 출력한다.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24)에서는, 입력된 블록에 아우터착오정정을 행하여 데이터처리회로(325)에 출력한다. 데이터처리회로(325)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데이터C 및 데이터 D로 배열변경 등의 처리를 행하여 기록된 디지탈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시에, 생성 혹은 선택된 보조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디지탈데이터로서 디지탈영상데이터를 기록했을 때의 특수재생시에는,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15)에서 착오정정된 블록은 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326)에 출력된다. 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326)에서는, 입력된 블록으로부터 디지탈영상시호를 복호해서 출력한다. 이것은, 고속서치 등의 특수재생에서는, 모드 ㄴ데이터를 재생할 수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우터착오정저어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특수재생용 데이터복호화회로(326)는 디지탈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경우에만 부가된다. 제17도는 디지탈데이ㅌ를 기록했을때의 트랙의 패턴도이다. 트랙의 선두로부터, 트래킹정보영역(331), 데이터기록영역(332)의 순서로 기록되고, 그 영역사이 및 뒤에는, 갭(333), (334)가 기록된다. 데이터기록영역은, 제2도에 있어서의음성신호기록영역(132), 영상신호기로영역(134), 갭(135)를 종합한 영역이며, 이 영역에 데이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변조하여 기록한다.
제18도는 기록되는 데이터의 배치도이다. 데이터(351)로부터 아우터래피티(352)가 생성된다. 그리고 데이터(351)와 아우터패리티(352)로부터 블록(353)이 구성된다. 블록(353)에 대해서 이너패리티(354)가 생성된다. 그리고 블록(353)이 구성된다. 블록(353)에 대해서 이너패리티(354)가 생성된다. 그리고 블록(353)의 앞에 싱크패턴(355)과 블록어드레ㅡ(356)가 접속된다. 이, 1조의 싱크패턴(355)·블록어드레스(356)·블록(353) 및 이너패리티(354)가 싱크블록(357)이다. 그리고,이들의 싱크블록을 변조해서 기록한다.
이와 같이, 영상신호기록영역, 음성신호기록영역 및 갭을 하나로 종합한 영역에 데이터를 착오정정부호화 및 변조해서기록하므로서, 트랙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을 크게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 디지탈데이터만을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를 제19도에 표시한다. 데이터처리회로(322), 아우러착오정정부호화회로(323),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07), 변조회로(308), 트래킹정보생성회로(310), 갭패턴생성회로(311), (기록헤드(309), 자기테이프(312), 재생헤드(313), 복조회로(314),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15),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24), 데이터처리회로(325), 특수재생용 데이터복호화회로(326)는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제16도)에 표시한 회로와 동일하다. 이 구성에서 디지탈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므로서,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와 디지탈 VCR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고, 장치의 코스트, 크기등에서 다대한 메릿이었다.
또, 영상신호·음성신호 및 디지탈데이터의 재생장치의블록도를 제20도에 표시한다.자기테이프(312), 재생헤드(313), 복조회로(314),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15), 영상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16), 음성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19), 영상신호처리회로(317), 영상 D/A회로(318), 음성신호처리회로(320), 음성 D/A회로(321), 아우터착오정저어복호화회로(324), 데이터처리회로(325), 특수재생용 데이터복호화회로(326)는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제16도)에 표시한 회로와 동일한다. 구성에서 스위치(120)를 A로 했을때에 영상시호 및 음성신호를, 스위치(120)르 B로 했을때에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므로서,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와 디지탈 VCR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고, 장치의 코스트, 크기등에서 다대한 메릿이 있다.
또, 디지탈데이터의 재생장치의 블록도를 제21도에 표시한다. 자기 테이프(312), 재생헤드(313), 복조회로(314), 이너착오정정부호화회로(315),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24), 데이터처리회로(325), 특수재생용데이터복호화회로(326)는 본ㅌ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제16도)에 표시한 회로와 동일하다. 이 구성에서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므로서,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ㅘ 디지탈 VCR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고,장치의 코스트, 크기등에서 다대한 메릿이 있다.
데이터처리회로(322)의 블록도의 예를 제22도(a)에 표시한다. 데이터a를 포맷터(361)에 입력한다. 포맷터(361)는 데이터(a)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한다. 포맷터(361)는 처리한 데이터를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23)에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325)ㅇ늬 블록도의 예를 제22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아우터착오저어정복호화회로(324)로부터 착오정정된 데이터가 디포맷터(362)에 입력된다. 디포맷터(362)는 이별ㄱ된 데이터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a로서 출력한다. 이때, 음성신호 기록영역과 영상신호기록여역과갭을 하나로 종합한 영역에 기록하므로서, 종래에 비교해서많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322)의 블록도의 예를 제23(a)에 표시한다. 데이터b를 포맷터(372)에 입력한다. 마찬ㄷ가지로 데이터b를 데이터생성회로(371)에 입력한다. 데이터생성회로(371)는 소정으이 방법에 의해 데이터b로부터 새로운 데이터인 데이터 D를 생성한다. 데이터생성회로(371)는 생성된 데이터 D를 포맷터(372)에 출력한다. 포맷터(372)는 데이터b와 데이터 D를 필요에 따라서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데이터의 생성 드의 처리를 행하고,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23)에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325)의 블록도의 예를 제23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부터 착오정정된 데이터가 디포맷터(373)에 입력된다. 디포맷터(373)는 입력된 데이터를 종별 데이터에 의거해서 배열변경, 착오정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b+d)로서 데이터분할회로(374)에 출력ㄷ한다. 데이터분할회로(374)는 데이터(b+d)를 데이터 b와 데이터D로 분할한다. 데이터분할회로(374)는 데이터b를 디지탈데이터로서, 데이터 D를 보조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해서 보조데이터를 입력한 데이터로부터 생성하여,기록할 수가 있다. 이때, 음성신호기록영역과 영상신호기록영역과 갭을 하나로 종합한 영역에 기록하므로서,종래에 비교해서 많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데이터로부터, 입려고딘 데이터b의 종별, 이름, 크기 등의 보조데이터를 데이터 D로서 생성하여, 데이터b와 데이터 D를 동시에기록하므로서,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해지고, 검색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데이타b로서 디지탈영상신호를 기록했을때, 데이터 D를 특수재생용데이터로서 데이터b로부터 생성하므로서 화질이 좋은 특수재생을 실현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데이터처리회로(322)의 블록도의 예를 제24도(a)에 표시한다. 데이터(e+f)를 포맷터(382)에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e+f)를 데이터 선택회로(381)에 입력한다. 데이터선택회로(381)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e+f)의 일부의 데이터인 데이터f를 선택한다. 데이터선택회로(381)는 선택된 데이터f를 포맷터(382)에 출력한다. 포맷터(382)는 데이터(e+f)와 데이터f를 필요에 따랏 배열변경, 착오정정부호화, 종별 데이터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고,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23)에 출력한다.
이때의 데이터처리회로(325)의 블록도의 예를 제24도(b)에 표시한다.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아우터착오정정복호화회로(324)로부터 착오정정된 데이터가 디포맷터(383)에 입력된다. 디포맷터(383)는 입력된 데이터를 종별데이터에 의거해서배열변경, 착오정저어 등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e+f)를 디지탈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때, 음성신호기록영역과 영상신호기록영역과 갭을 하나로 종합한 영역에 기록하므로서, 종래에 비교해서 많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데이터에 포함되는 중요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복수회기록하므로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데이터e로서 디지탈영상신호를 기록했을때, 데이터f를 특수재생에 필요한 데이터로하고, 데이터f로서 복수회기록하므로서, 화질이 좋은 특수재생을 실현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입력된 데이터에 데이터의종별,이름, 크기 등의 보조데이터가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들의 데이터를 선택해서 별도 기록하므로서, 재생시에 보조데이터를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고, 검색 등을 고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입력하는 데이터를 디지털영상신호로 했을때, 화면내 부호화한 데이터의 직류성분과 그외의 데이터를 데이터처리회로에 분리해서 기록한다. 이때의 자기테이프(312)의 배치 예를 제26도에 표시한다. 특수재생용데이터를 영역(512)에, 그외의 데이터를 영역(511)에 기록한다. 통상재생시에는, 영역(512)ㅇ과 영역(511)의 양쪽으로부터 재생하고, 특수재생시에는 영역(512)으로부터 화면내부호화한 데이터의 직류성분을 특수재생용데이터로서 재생한다.이와 같이 먼저 특수재생용데이터를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분할해서 기록하는 데이터이며, 새로이 데이터를 생성해서 기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테이프에 기록되는 정보량은 증가하지 않고 용량이 적다.
또, 특수재생용데이터를 영역(512)에 복수회록하므로서 특수재생용데이터를 용이하게 재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영역속의 데이터의 배치를 화면위의 배치와 대응시켜서 정해두므로서, 특수재생시의 신호생성, 화면표시가 용이해진다.
이상, 입력되는 데이터의 예를 디지탈영상신호로 하였으나, 음성과 영상을 디지탈화한 데이터에서도 이상의 효과를 실현가능하다. 또, 그것이 부가해서 텔렉텍스트 등의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기록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별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한다고 했으나, 종별 데이터를 자기테이프가 수납되어있는 카세트에 장착된 반도체메모리 등의 보조기록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Claims (48)

  1.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의 영상신호기록영역에, 음성신호를 기록매체의 음성신호 기록영역에 기록하고, 기록한 영상신호,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할때에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처리해서 제1의 블록과 제2의 블록을 구성하는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과, 제1의 블록을 영상신호기로영역에 기록하여 제2의 블록을 음성신호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영상신호기록영역으로부터 제1의 블록을 재새어해서 ㅡㅁ성신호기록영역으로부터제2의 블록을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제1의 블록과 제2의 블록으로부터 기록한 주데이터와 기로한 데이터에 관한 보조데이터를 구성해서 출력하는 제2의 데이터 처리수단을 구비하ㅡㄴ 거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제2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을 주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2의 블록을 보조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으로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제2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을 제1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제2의 블록을 제2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2의 데이터를 보조데이터와 제3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제1의 데이터ㅘ 제3의 데이터를 혼합해서 주데이터로 하는 데이터혼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을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2의 블록을 제2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대포맷트수단과, 제1의 데이터를 주데이터와 제3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제2의 데이터와 제3의 데이터를 혼합해서 보조데이터로 하는 데이터호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을 제1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2의 블록을 제2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2의 데이터를 제3의 데이터와 보조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제1의 데이터와 제3의 데이터를 혼합해서 주데이터로 하는 데이터혼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
  6. 1항에 있어서, 제2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을 제1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2의 블록을 제2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1의 데이터를 제3의 데이터와 제4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제2의 데이터와 제5의 데이터와 제6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제3의 데이터와 제5의 데이터를 혼합해서 주데이터로 하는 데이터혼합수단과, 제4의 데이터와 제6의 데이터를 혼합해서 보조데이터로하는 데이터혼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을 제1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을 제1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1의 데이터를 주데이터와 보조데이터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혼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음성신호에 대한 착오정정부호의 검사부호의 일부 대신에 제2의 블록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음성신호에 대한 아우터착오정정부호의 검사부호 대신에 제2의 블록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제1의 블록의 종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1의 블록의 일부로서 구성하고, 제2의 블록의 종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2의 블록의 일부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제1의 데이터와 제2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제1의 데이터를 제1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과, 제2의 데이터를 제2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분할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를 중요한 성분과 중요하지 않는 성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분할수단은, 디지탈데이터를 주데이터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관리하는 정보인 보조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제1의 블록을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과,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일부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수단과, 데이터선택수단으로 선택된, 데이터를 제2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데이터선택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중요한 성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데이터선택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화면내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데이터선택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제1의 블록을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과,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수단과, 데이터생성수단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제2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특수재생용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수단과, 데이터생성수단으로 출력을 제1의 데이터와 제2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입력된 디지탈데이터와 제1의 데이터를 제1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과, 제2의 데이터를 제2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숭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데이터분할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를 중요한 성분과 중요하지 않는 성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분할수단은, 디지탈데이터를 주데이터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관리하는 정보인 보조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특수재생용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제1의 데이터와 제2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수단과, 제1의 데이터와 데이터생성수단의 출력을 제1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과, 제2의 데이터를 제2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분할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를 중요한 성분과 중요하지 않는 성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분할수단은, 디지탈데이터를 주데이터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관리하는 정보인 보조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특수재생용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제1으 데이터와 제2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수단과, 데이터생성수단의 출력을 제3의 데이터와 제4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제1의 데이터와 제3의 데이터를 제1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과, 제2의 데이터와 제4의 데이터를 제2의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분할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를 중요한 성분과 중요하지 않는 성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분할수단은, 디지탈데이터를 주데이터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관리하는 정보인 보조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생성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중요한 성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화면내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데이터선택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특수재생용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39. 제32항에 있어서, 데이터선택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보조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0. 영상신호를 영상신호기록영역에 기록재생하고, 음성신호를 음성신호기록영역에 기록재생하고,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어느 한쪽을 재기록하기 위한 완충영역을 형성해서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이어서, 디지탈데이터를 기록할때에 디지탈데이터를 처리하서 블록을 구성하는 제1의 데이터 처리수단과, 블록을 음성신호기록영역과 완충영역 및 영상신호기록영을 하나로 종합한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디지탈데이터를 재생할때에 음성신호기록영역과 완충영역 및 영상신호기록영역을 하나로 종합한 영역으로부터 블록을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블록으로부터 기록한 주데이터와 주데이터에 관한 보조데이터를 구성해서 출력하는 제2의 데이터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1.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일부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수단과, 데이터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데이터선택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3. 제40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수단과, 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와 입력된 디지탈데이터를 블록으로 구성하는 블록구성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서우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특수재생용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데이터생성수단은,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6. 제40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선택수단은, 영상신호인 디지탈데이터로부터 중요한 성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7. 제40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선택수단은, 블록을 제1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디포맷트수단과, 제1의 데이터를 주데이터와 보조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48. 제40항에 있어서, 제1의 데이터처리수단은, 블록의 종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블록의 일부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데이터기록재생장치.
KR1019940010533A 1993-05-14 1994-05-14 디지탈데이터기록 재생장치 KR0134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85293 1993-05-14
JP93-112852 1993-05-14
JP93-210169 1993-08-25
JP5210169A JPH0767075A (ja) 1993-08-25 1993-08-25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
JP93-247908 1993-10-04
JP24790893A JPH07105631A (ja) 1993-10-04 1993-10-04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
JP93-287937 1993-11-17
JP5287937A JPH07143431A (ja) 1993-11-17 1993-11-17 圧縮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05288030A JP3136875B2 (ja) 1993-11-17 1993-11-17 データ処理装置
JP93-288030 1993-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25A KR940026925A (ko) 1994-12-10
KR0134155B1 true KR0134155B1 (ko) 1998-04-22

Family

ID=2752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533A KR0134155B1 (ko) 1993-05-14 1994-05-14 디지탈데이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43937A (ko)
EP (1) EP0624978B1 (ko)
KR (1) KR0134155B1 (ko)
DE (1) DE6942704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935A (en) * 1994-11-11 1997-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rror-correction-code coding & decoding procedures for the recording & reproduction of digital video data
JP3460345B2 (ja) * 1994-12-19 2003-10-27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US5778011A (en) * 1995-06-07 1998-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and protecting against random and cluster errors in image blocks
KR0170298B1 (ko) * 1995-10-10 1999-04-15 김광호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방법
KR100312711B1 (ko) * 1997-09-20 2002-02-28 윤종용 전자기기및그리셋방법
US7020303B2 (en) * 2000-03-18 2006-03-28 Digimarc Corporation Feature-based watermarks and watermark detection strategi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2944A (en) * 1984-06-25 1987-03-24 Kirsch Technologies, Inc. Computer memory back-up
FR2630230B1 (fr) * 1988-04-18 1990-12-07 Falck Francis Interface de pilotage de magnetoscopes/camescopes 8 mm par ordinateur
US4949187A (en) * 1988-12-16 1990-08-14 Cohen Jason M Video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remotely controlled central source of video and audio data
JPH02179188A (ja) * 1988-12-29 1990-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93809B2 (ja) * 1989-03-17 1997-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記録再生装置
US5159502A (en) * 1989-09-08 1992-10-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ording apparatus
US5504759A (en) * 1991-07-11 1996-04-02 Sony Corporation Digital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common processing device for digital signals having different data configu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25A (ko) 1994-12-10
EP0624978B1 (en) 2001-04-11
DE69427048D1 (de) 2001-05-17
EP0624978A3 (en) 1995-04-05
EP0624978A2 (en) 1994-11-17
US5543937A (en) 1996-08-06
DE69427048T2 (de) 200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9448A (en) Encoding/decoding circuit, and digital video system comprising the circuit
JPS6168776A (ja) 音声信号記録方法
KR930007329B1 (ko) 기록재생장치
KR0157665B1 (ko) 압축텔레비젼신호기록재생장치
JP3111806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
US5311372A (en) Method of recording digital signals in an interleaving array form with enhanced error interpolation
US6438319B1 (en) Recording digital video signals and redundancy signals for error correction
KR0134155B1 (ko) 디지탈데이터기록 재생장치
JPH0646373A (ja) 画像データ復号装置および方法
KR930007938B1 (ko)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US20070043996A1 (en) Error correct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US57905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ignal processing
JPS6022886A (ja) デイ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9213022A (ja) 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0500358B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of digital VTR
US5361178A (en) Digital data recording apparatus
JP3575041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KR100301829B1 (ko) 영상 정보 기록/재생 장치
JP3617124B2 (ja) ビデオ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方法
JP3572651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311855B2 (ja) ディ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JP2956202B2 (ja) 記録装置
JP3981054B2 (ja) 画像信号及び音声信号記録方法及び画像信号及び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768640B2 (ja) 再生装置
JP2708502B2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