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63Y1 -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 Google Patents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63Y1
KR0133963Y1 KR2019960004509U KR19960004509U KR0133963Y1 KR 0133963 Y1 KR0133963 Y1 KR 0133963Y1 KR 2019960004509 U KR2019960004509 U KR 2019960004509U KR 19960004509 U KR19960004509 U KR 19960004509U KR 0133963 Y1 KR0133963 Y1 KR 0133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ssuary
doors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943U (ko
Inventor
김헌재
Original Assignee
김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재 filed Critical 김헌재
Priority to KR2019960004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63Y1/ko
Publication of KR970054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납골단지 안치단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납골당(納骨堂)내에 설치하여 다수의 납골단지를 개별적으로 각각 안치, 보관하는 납골단지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납골단지를 안치, 보관하는 안치단의 각 안치실 개폐문의 조립구조를 개량함과 동시에, 개폐문상에 고인의 사진을 모실 수 있도록 하고 방습,탈취 효과를 부여하며, 개폐문 전면에는 조화(弔花)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기능성을 부가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기대(1) 상부에 수평, 수직 후레임(2)(3)이 교호로 설치되어 안치실(4,4')이 구성되며, 안치실(4,4')에는 전방으로 개폐문(5,5')을 가지는 통상의 납골단지 안치단(A)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치실(4,4') 수평후레임(3) 일측 상하 내측면에 끼움축공(6)을 형성하여 개폐문(5,5')의 일측 상하단의 끼움축봉(7)이 끼움축설되게 하며, 개폐문(5,5') 전면상에는 삽입공(9)을 갖는 화병(8)을 취부하고, 배면에는 방습,탈취제(16)를 수납보관할 수 있는 유통공(11)을 가지는 수납구(10)를 각각 취부하되, 상기 화병(8)과 수납구(10)에는 플랜지(8a,10a)를 각각 형성하여 동일한 설치선상에서 하나의 결합수단(15)으로 개폐문(5,5')상에 고정결합토록 하고, 개폐문(5,5')의 배면에는 끼움절개부(13)를 가지고 고인의 사진(19)을 끼움, 부착할 수 있는 사진철(12,12')을 구비하여서 된 것임.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납골당의 압골단지 안치단

Description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개폐문의 발췌 배면 사시도.
(a)는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수직후레임
3 : 수평후레임 4,4' : 안치실
5,5' : 개폐문 6 : 끼움축공
7 : 끼움축봉 8 : 화병
8a : 플랜지 9 : 삽입공
10 : 수납구 10a : 플랜지
11 : 유통공 12,12' : 사진철
13 : 끼움절개부 14 : 록커부
15 : 결합수단 16 : 방습,탈취제
19 : 사진
본 고안은 납골당(納骨堂)내에 설치하여 다수의 납골단지를 개별적으로 각각 안치,보관하는 납골단지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납골단지를 안치,보관하는 안치단의 각 안치실 개폐문의 조립구조를 개량함과 동시에, 개폐문상에 고인의 사진을 모실 수 있도록 하고 방습, 탈취효과를 부여하며, 개폐문 전면에는 조화(弔花)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기능성을 부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골당은 고인의 유해나 유품을 납골단지에 내입하여 안치, 보관하는 것으로, 이러한 납골당에는 비교적 협소하고 제한된 공간내에서 여러 납골단지를 안치,보관하기 위하여 다수의 납골단지를 각각 개별적으로 안치,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단지 안치단이 마련되어 있는 바,
상기 납골단지를 안치,보관하는 안치단의 안치실 개폐문은 단순히 안치실의 개폐기능성만을 갖는 것이었으며,
각 안치실에 설치된 개폐문은 상하로 하나의 장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작동상태가 불량하고, 또한 하나의 개폐문을 보수, 교체하기 위하여 상하 일렬로 설치된 각 개폐문을 전부 분리시켜야 하였으므로 여러가지 불편한 폐단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안치실의 개폐기능성만을 수행하게 되어 조문객이 준비한 조화(弔花)를 꽂아둘 만한 공간이 마련되지 못하였고 이와 함께 탈취,방취성이 부재하여 고안의 유해를 효과적으로 장기간 보관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았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납골단지 안치단이 갖는 문제점을 일소하고 조문객이 준비한 조화를 개폐문 전면에 헌화를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개폐문 배면에는 고인의 사진을 보관할 수 있는 사진보관철을 구성하며 방습, 탈취제등을 수납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보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키 위한 일부 발췌 확대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기대(1) 상부로 수직, 수평 후레임(2)(3)이 교호로 설치되어 격자상의 안치실(4,4')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안치실(4,4')에는 개폐문(5,5')을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납골단지 안치단(A) 구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안치실(4,4')을 개폐하는 개폐문(5.5')의 구성을 개량한 것으로, 이하에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치실(4,4')의 전방 수평 후레임(3) 일 내측면 상하로 끼움축공(6)을 각각 형성하고, 개폐문(5,5')의 일측 상하단에는 상기 안치실(4,4') 수평 후레임(3)의 끼움축공(6)에 끼움되는 끼움축봉(7)을 돌출형성하여 상호 끼움결합시키므로서 개폐문(5,5')이 끼움축봉(7)을 중심으로 개폐자재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5,5')의 전면 일측 하방, 즉 록커부(14) 하측에는 삽입공(9)을 가지는 화병(8)을 설치하여 조문객이 준비한 조화(弔花)를 꽂아둘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화병(8) 양단에는 플랜지(8a)를 형성하여 피스등 결합수단(15)으로서 개폐문(5,,5')상에 취부토록 하며, 상기 화병(8)은 대략 록커부(14) 하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나 화병(8)의 설치위치와 디자인은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개폐문(5,5') 배면측에는 끼움절개부(13)를 가지는 사진철(12,12')을 대략 사각상으로 분할, 부착하여 고인의 사진(19)을 끼움시켜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일측으로는 방습,탈취제(16)등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수납구(10)를 설치하되, 상기 수납구(10)에는 다수의 유통공(11)을 형성하여 충분한 방습, 탈취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납구(10)는 양단에 역시 플랜지(10a)를 형성하여 상기 화병(8)의 플랜지(8a)와 동일 위치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하나의 결합수단(15)으로 화병(8)과 수납구(10)를 동시에 개폐문(5,5')의 전,배면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병(8) 및 수납구(10)는 그 재질을 비교적 내산성이 우수한 주로 알루미늄등으로 제작하여 쉽게 훼손되지 않고, 장기간 장식성과 품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7, 18은 개폐문(5,5') 전면의 장식문양 및 기록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납골당 안치단(A)의 각 안치실(4,4')에 고인의 유해나 유품이 수납된 납골단지를 안치, 보관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납골단지 안치단(A)의 안치실(4,4')을 개폐하는 개폐문(5,5')이 개폐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개폐문(5,5')의 일측 상하단에 형성된 끼움축봉(7)이 안치실(4,4')의 수평 후레임(3) 끼움축봉(7)상에 각각 축설지지되어 있으므로, 개폐문(5,5')이 안치실(4,4')의 끼움축공(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기능을 달성하게 되어 상하 일렬로 단일축봉에 의해 축설된 종래 구조와 같이 단일축봉의 휨등에 의한 변형으로 단일축봉상에 연결,설치된 안치실(4,4') 전체의 개폐구조가 영향을 받는 폐단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에는 만약 개폐문(5,5')의 개폐작용에 이상이 있는지에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보수, 교체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개폐문(5,5')의 끼움축봉(7)이 각각 별개로 끼움축공(6)상에 끼움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서 원만한 개폐작동과 함께 개폐기능 수행에 따른 고장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개폐문(5,5')의 전면에 화병(8)이 설치되어 조문객이 준비한 조화를 항시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서 납골당 내부를 보다 아름답고 품위있게 꾸밀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더욱 고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개폐문(5,5') 배면에는 각종의 방습,탈취제(16)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구(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납구(10)상에 방습,탈취제(16)를 수납하여 주게 되면, 안치실(4,4') 내부의 곰팡이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유골의 변색등을 방지하여 고인의 유해를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이의 보존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됨과 함께 탈취효과가 부여되고 당연히 안치단(A) 내부 냄새제거에도 일조하게 되고, 납골당 내부 환경을 쾌적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병(8)과 수납구(10)는 각 플랜지(8a(10a)를 동일위치에 설치하여 하나의 결합수단(15)으로 개폐문(5,5')상에 고정취부할 수 있게 되므로서 이의 조립성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는다.
한편, 개폐문(5,5') 배면측 사진철(12,12')의 끼움절개부(13)에 고인의 사진(19)을 간단히 끼움하여 부착시켜 놓게 되면, 별도의 사진틀을 제작하지 않고서도 고인의 사진(19)을 손쉽게 보관할 수 있게 되고, 개폐문(5,5')의 개방시에는 고인의 사진(19)을 바로 볼 수 있게 되어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더욱 돈독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납골단지 안치단(A)의 안치실(4,4') 개폐문(5,5')의 조립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방습,방취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구(10)를 설치하여 유골의 보존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고인의 사진(19)을 부착할 수 있는 사진철(12,12')과, 조화를 꽂아 둘 수 있는 화병(8)이 설치되어 납골당의 추모 분위기를 보다 엄숙하고 품위있게 조성할 수 있는 등 여러 잇점이 기대되는 것으로 그 효과가 지극히 우수한 것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특히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범위가 기재될 것이지만 화병(8)이나 수납구(10)의 설치수단을 달리하거나 재질 및 형상을 달리하는 것등의 실시예일지라도 본 고안과 기본적인 문제해결수단을 같이 하는 한 본 고안과 동일한 기술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기대(1) 상부에 수평, 수직 후레임(2)(3)이 교호로 설치되어 안치실(4,4')이 구성되며, 안치실(4,4')에는 전방으로 개폐문(5,5')을 가지는 통상의 납골단지 안치단(A)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치실(4,4') 수평후레임(3) 일측 상하 내측면에 끼움축공(6)을 형성하여 개폐문(5,5')의 일측 상하단의 끼움축봉(7)이 끼움축설되게 하며; 개폐문(5,5') 전면상에는 삽입공(9)을 갖는 화병(8)을 취부하고, 배면에는 방습,탈취제(16)를 수납보관할 수 있는 유통공(11)을 가지는 수납구(10)를 각각 취부하되, 상기 화병(8)과 수납구(10)에는 플랜지(8a,10a)를 각각 형성하여 동일한 설치선상에서 하나의 결합수단(15)으로 개폐문(5,5')상에 고정결합토록 하고, 개폐문(5,5')의 배면에는 끼움절개부(13)를 가지고 고인의 사진(19)을 끼움, 부착할 수 있는 사진철(12,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KR2019960004509U 1996-03-07 1996-03-07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KR0133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509U KR0133963Y1 (ko) 1996-03-07 1996-03-07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509U KR0133963Y1 (ko) 1996-03-07 1996-03-07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43U KR970054943U (ko) 1997-10-13
KR0133963Y1 true KR0133963Y1 (ko) 1999-02-18

Family

ID=1945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509U KR0133963Y1 (ko) 1996-03-07 1996-03-07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824A (ko) * 2014-03-06 2015-09-16 오응철 납골당용 화병
KR20170009662A (ko) * 2015-07-17 2017-01-25 조현미 납골당용 꽃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21B1 (ko) * 2012-07-20 2014-09-12 김영진 유골함 안치단의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골함 안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824A (ko) * 2014-03-06 2015-09-16 오응철 납골당용 화병
KR20170009662A (ko) * 2015-07-17 2017-01-25 조현미 납골당용 꽃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43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963Y1 (ko)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US10577821B2 (en) Illuminated niches for strong cinerary urns
KR100651136B1 (ko) 봉안함 안치단의 전면마감 도어장치
KR200278491Y1 (ko) 납골안치단
KR200214920Y1 (ko) 납골안치단
KR200146075Y1 (ko) 납골묘
KR200163430Y1 (ko)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JP3174680U (ja) 納骨壇
KR200316127Y1 (ko) 유골함 봉안용 조립식 캐비닛
KR102132775B1 (ko)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 납골 안치단
KR200172541Y1 (ko) 조립식 납골당
KR200393985Y1 (ko) 납골당의 안치실 조명장치
KR100292947B1 (ko) 조립식 납골함단
JPH11206536A (ja) 園芸鉢用折畳式装飾枠
KR100337374B1 (ko) 터널식 납골묘
KR200411753Y1 (ko)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102242046B1 (ko) 이중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 납골 안치단
JP3225590U (ja) 納骨壇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200146897Y1 (ko) 납골안치단
KR100438196B1 (ko)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200243147Y1 (ko) 붙박이장롱식 드레스룸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JP3067864U (ja) 墓における納骨室構造
KR200335516Y1 (ko)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110

Effective date: 200108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