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887Y1 -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887Y1
KR0133887Y1 KR2019940009525U KR19940009525U KR0133887Y1 KR 0133887 Y1 KR0133887 Y1 KR 0133887Y1 KR 2019940009525 U KR2019940009525 U KR 2019940009525U KR 19940009525 U KR19940009525 U KR 19940009525U KR 0133887 Y1 KR0133887 Y1 KR 0133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light
brightness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076U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40009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887Y1/ko
Publication of KR950030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5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over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에 자동차용 후미등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밝기를 운전자가 눈이 부시지 않는 적당한 광도로 감광시켜주는 표시등으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 후미등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조절해주는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는 구성 소자의 수를 대폭 줄임으로써, 회로 자체가 간단해 질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값싸지며, 그 만큼 샌산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의 회로도.
제2도는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
제3도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의 회로도.
제5도는 발광다이오드 밝기조절회로의 동작설명도.
본 고안은 야간에 자동차용 후미등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밝기를 운전자가 눈이 부시지 않는 적당한 광도로 감광시켜주는 표시등으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 후미등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조절해주는 발광 다이오드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 조절 회로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후미드의 온/오프에 따른 밝기를 알려주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이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감쇠시켜주기 위해 여기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켜주는 통로 구실을 하는 트랜지스터(Q1)와, 이 트랜지스터가 분기 전류의 통로 구실을 할 수 있도록 구동시켜 주는 바이어스 전류를 흘려주는 통로가 되는 후미등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적절하도록 설정된 저항기들(R1, R2, R3)과, 바이어스 전류가 일방으로 만 흐르도록 하여주는 다이오드(D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동작 설명에 앞서, 제2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참조하면, 다이오드는 일단 턴-온되어 발광하기 시작하면 전압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일정한 값(Vf)을 유지하게되는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오드의 특성을 주지할 때, 제1도에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 조절 회로에서, 발광 다이오드가 턴-온되면 이 발광 다이오드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후미등 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Vf로 유지된다.
만약 후미등 스위치가 턴-오프 상태에면 트랜지스터 Q1은 턴-오프되어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므로, R1을 흐르는 전류는 전부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므로, 발광 다이오드는 가장 밝은 상태가 된다. 즉 I1=I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리고, 후미등 스위치가 턴-온 상태에면 트랜지스터 Q1에 바이어스 전류 I3가 공급되어 Q1은 턴-온되어 포화 전류(saturation current) I2를 저항기 R2를 통하여 상기 분기 전류로 흘러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므로 밝기가 감소하도록 되어있다. 즉 I1=1인 관계가 성립한다.
한편, 제3도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 조절 회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 조절 회로는 발광 다이오드와, 전류 분기 통로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Q1)와, 이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저항기들(R1, R2, R3)과, 상기 트랜지스터에 전원 전압을 바로 공급하여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는 후미등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전로를 일정 방향으로 흘려주기 위한 다이오드들(D1, D2, D3)과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해주는 저항기들(R4, R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는 후미등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트랜지스터 Q1은 바이어스 전류 I3가 흐를 수 없게 되므로 턴-오프되어, 발광 다이오드에는 R4를 통하여서만 전류가 흐른다. 즉 I1=1의 관계가 성립된다.
그리고 후미등 스위치가 오프 상태게 되면, 트랜지스터는 바이어스 전류 I3가 흘러 턴-온되면서 포화 전류 I2(sat)가 흐른다. 따라서, I=I1+I2, I1=(VCE(sat)+VD2)/R4의 관계가 성립되어 발광 다이오드는 더욱 밝아지게 된다.
그런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 조절 회로는 소요 부품수가 많아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비싸지고, 그 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는, 소정의 인가 전압 사이에서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용 전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주간 표시중에 밝기 조절을 해주는 제1저항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켜 감쇠량을 결정할 수 있는 분기로를 형성해 주는 제2저항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역전류를 방지해 주는 분기로를 형성해 주는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분기로에 전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후미등 스위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의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정한 전압 사이에서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이 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B+; VCC)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관전류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1저항기(R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감쇠시켜주기 위해, 이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켜 주는 분기로를 형성하는 제2저항기(R2)와, 다이오드(D1)와, 이들을 전원과 연결시켜주는 후미등 스위치가 구비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미등 스위치가 개방된 경우에는 전원 전류가 발광 다이오드 및 제1저항기(R1)를 통하여만 흐르므로 I1=1인 관계가 성립하나,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미등 스위치가 단략되었을 경우는 전원 전류가 다이오드(D1) 및 제2저항기(R2)를 통하여 분기되므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감쇠되어 밝기가 감쇠된다. 즉 I1=I-12가 된다.
그리고 여기서 전압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발광 다이오드가 턴-온되면 이 발광 다이오드 양단에 걸리는 전압 VLED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므로 제1저항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 VR1도 일정한 값(VR1=VCC-VLED이므로)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후미등 스위치의 개폐에 관계없이 제1저항기(R1)에 흐르는 전류 I는 일정한 값이 유지된다. 그러므로 후미등 스위치를 단락시키면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원 전류가 분기되므로 이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는 감쇠된다. 또한 이 밝기의 감쇠 정도는 제2저항기(R2)의 값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조절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는 구성 소자의 수를 대폭 줄임으로써, 회로 자체가 간단해 질 뿐 아니라 제조 단가가 값싸지며, 그 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소정의 인가 전압 이상에서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용 전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주는 제1저항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켜 감시량을 결정할 수 있는 분기로를 형성해 주는 제2저항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역전류를 방지해주는 분기로를 형성해 주는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분기로에 전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후미등 스위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2저항기는 상기 분기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소망하는 정도로 감쇠되도록 조절된 점에 특징이 있는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후미등 스위치는 상기 전기 분기로에 전원 전류를 분기시켜 흘릴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KR2019940009525U 1994-04-30 1994-04-30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KR0133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525U KR0133887Y1 (ko) 1994-04-30 1994-04-30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525U KR0133887Y1 (ko) 1994-04-30 1994-04-30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76U KR950030076U (ko) 1995-11-20
KR0133887Y1 true KR0133887Y1 (ko) 1999-04-15

Family

ID=1938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525U KR0133887Y1 (ko) 1994-04-30 1994-04-30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8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394B1 (ko) * 2006-03-17 2007-02-15 (주)대신엘이디 Led 램프용 전류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76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8662B2 (en) Voltage range extender mechanism
US6870328B2 (en) LED lamp apparatus for vehicles
US7994725B2 (en) Floating switch controlling LED array segment
CN110497838B (zh) 车辆用灯具和灯具系统
JP2003100472A (ja) 発光ダイオード用駆動装置
US20050029961A1 (en) Circuit assembly for operating a luminous signal
US7330107B2 (en) Lighting control circuit for vehicle lighting equipment
KR0133887Y1 (ko) 발광 다이오드 밝기 조절 회로
US5903104A (en) Lighting system for vehicle
WO2023234210A1 (ja) 車両灯具用の点灯回路及びこれを含む車両用灯具
JP3806464B2 (ja)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
JPH0338841Y2 (ko)
KR920003492Y1 (ko) 카스테레오 라디오의 lcd 조명 조절 회로
KR200254561Y1 (ko) 전계발광을 이용한 점멸 반사 안전조끼
JP2711488B2 (ja) 車両用機器のインジケータランプ減光回路
KR100488403B1 (ko) 차량용 백라이트 장치
KR20040089381A (ko) 외부 조도에 따른 백라이트 자동 조절 장치
KR0124992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전원 제어장치
KR19990001823A (ko) 차량 표시램프 제어회로
JPH0130250Y2 (ko)
JP2983880B2 (ja) 自動車用エアコンパネルスイッチ照明回路
KR200144843Y1 (ko) 카오디오의 유도램프 제어회로
JPH0332495B2 (ko)
JP2001315572A (ja) 自動車用灯火制御装置
JP2004286682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