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747Y1 - 각도분할용 치구 - Google Patents

각도분할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747Y1
KR0133747Y1 KR2019930006809U KR930006809U KR0133747Y1 KR 0133747 Y1 KR0133747 Y1 KR 0133747Y1 KR 2019930006809 U KR2019930006809 U KR 2019930006809U KR 930006809 U KR930006809 U KR 930006809U KR 0133747 Y1 KR0133747 Y1 KR 0133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jig
workpiece
cylindrical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302U (ko
Inventor
이춘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6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747Y1/ko
Publication of KR940025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도분할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소량 단품의 각도분할 작업에 적합한 각도분할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바이스에 고정되는 분할면이 소정각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일측에는 가공물을 척킹하는 척킹부가 마련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각도분할용 치구
제1도는 종래의 만능분할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분할용 치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분할용 치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각도분할용 치구 11 : 원통형몸체
13 : 분할면 14 : 척킹부
본 고안은 각도분할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 및 사용이 간단하고, 경량이며, 수량이 적은 단품의 각도분할 작업에 적합한 각도분할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공물에 소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홈을 가공하거나, 볼트와 너트등과 같이 다각면을 가지는 부품의 다각면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공위치가 표시된 형판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가공물에 가공위치를 마킹(marking)한 다음 마킹의 부위를 따라서 가공물에 홈이나 다각면을 가공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가공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에 가공물이 척킹되는 척킹부(2)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척킹부(2)를 소정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손잡이(3)를 구비하는 만능분할대(1)가 제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만능분할대(1)는 각도를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며, 중량이어서 밀링 등의 이동테이블에 설치 및 해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소량 단품의 각도분할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량 단품의 각도분할 작업에는 적합한 각도분할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바이스에 고정되는 분할면이 소정각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일측에는 가공물을 척킹하는 콜릿척이 설치되어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분할용 치구(10)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부(12)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11)의 외주면에 그 중심으로부터 소정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분할면(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11)의 일측에는 가공물을 척킹하는 척킹부(14)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각도분할용 치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도분할용 치구(10)의 척킹부(14)에 가공물을 척킹하고, 각도분할용 치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할면(13)을 밀링등과 같은 장치의 이동테이블(16)에 설치된 바이스(17)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척킹부(14)에 척킹된 가공물(15)에 하나의 홈 또는 면을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홈 또는 면의 가공이 완료되면 바이스(17)를 풀고 각도분할용 치구(10)를 소정각도 만큼 회전시킨 다음 각도분할용 치구(10)의 다른 분할면(13)을 바이스(17)로 고정시키고 다음 홈 또는 면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할면(13)이 소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초에 바이스(17)와 접촉된 하나의 분할면을 기준으로 이동된 분할면의 수를 계산함으로써 가공물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가공물에 소정각도 간격으로 다수개의 홈 또는 면을 가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도분할용 치구에 의하면, 경량이어서 취급이 용이하고, 밀링에 설치된 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밀링에의 설치 및 해체가 신속하고 용이하여 소량 단품의 각도분할 작업에 적합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이며, 원통형가공물의 클램핑지그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원통형 몸체(11)의 외주면에, 바이스에 고정되는 분할면(13)이 소정각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11)의 일측에는 가공물(15)을 척킹하는 척킹부(14)가 마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분할용 치구.
KR2019930006809U 1993-04-27 1993-04-27 각도분할용 치구 KR0133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809U KR0133747Y1 (ko) 1993-04-27 1993-04-27 각도분할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809U KR0133747Y1 (ko) 1993-04-27 1993-04-27 각도분할용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302U KR940025302U (ko) 1994-11-18
KR0133747Y1 true KR0133747Y1 (ko) 1999-05-01

Family

ID=1935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809U KR0133747Y1 (ko) 1993-04-27 1993-04-27 각도분할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7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302U (ko) 199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5598B2 (ja) 回転式パレツトシステム
US5212857A (en) Modular multi-fixturing system for a machine tool
JPH059204B2 (ko)
JPH081417A (ja) テーパ拡張マンドレル
KR0133747Y1 (ko) 각도분할용 치구
US4922074A (en) V-block holder for EDM electrode
US3408885A (en) Tool support
JPH11170135A (ja) ワークバイスのワーク位置決め治具
US3240485A (en) Workpiece positioning devices and systems
US3867763A (en) Setting fixture for machine tools
US49967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ur and helical gear manufacture
GB2078563A (en) Work Holding Fixture
EP0068825A1 (en) Jaw assembly having a jaw usable with a chuck
FR2292553A1 (fr) Machine-outil pour executer diverses operations mecaniques sur des pieces a usiner
JPH11226827A (ja) センタ穴加工方法および軸状物加工装置
US3643937A (en) Precision vise
JP2568728Y2 (ja) 円筒加工用vブロック
US4306384A (en) Precision machine tool workpiece positioning apparatus
SU403509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зажима корпусных деталей на карусельном станке
JPH06106440A (ja) 割出し治具
JPH052297Y2 (ko)
US2868552A (en) Adjustable chuck work stops
SU1177060A1 (ru) Многошпинд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 токарному станку
GB2094206A (en) Machining of cylindrical surfaces by cutting and rolling
JPS63169203A (ja) 工作物の回転対称形の外面を精密加工する方法および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