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700Y1 - 포탄 적치 장치 - Google Patents

포탄 적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700Y1
KR0133700Y1 KR2019960012023U KR19960012023U KR0133700Y1 KR 0133700 Y1 KR0133700 Y1 KR 0133700Y1 KR 2019960012023 U KR2019960012023 U KR 2019960012023U KR 19960012023 U KR19960012023 U KR 19960012023U KR 0133700 Y1 KR0133700 Y1 KR 0133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in
fixing
driven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522U (ko
Inventor
이강일
김희선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60012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700Y1/ko
Publication of KR970063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7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4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endless-chain belts carrying a plurality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 및 후방 프레임(12',12)과; 포탄을 안내하는 안내레일(22)과; 상기 안내 레일(22)상의 포탄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와; 상기 포탄을 구름 운동 시키는 롤러 체인 조립체(13);를 구비한 포탄 적치장치에 있어서, 구동 수단(52), 상기 구동수단(52)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일측에 제 1핀(61)과 제 2핀(62)이 형성된 구동 부재(53),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2핀(61,6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홈을 지니며 상기 롤러 체인 조립체(13)와 연계되는 제 1피동 부재(54) 및,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핀(61,6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홈을 지니며 상기 고정기구와 연계되는 제 2 피동 부재(5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적치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탄 적치 장치는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포탄의 고정 및 이송 작용을 상호 연동시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Description

포탄 적치장치
제1도는 포탄 적치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포탄 적치 장치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포탄 적치 장치의 롤러 체인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4(a)도 내지 제4(b)도는 포탄 적치 장치 고정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탄 고정 및 이송 기구에 대한 평면도.
제6(a)도 내지 제6(e)도는 포탄 고정 및 이송 기구의 작동 상태에 따른 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탄 고정 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8(a)도 내지 제8(e)도는 포탄 고정 기구의 작동 상태에 따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2' : 프레임 13 : 롤러체인조립체
16 : 포탄 22 : 포탄 안내 레일
25 : 감속 모터 조립체 31 : 슬롯
32 : 체인몸체 33 : 34.35. 롤러
41 : 고정블록 42 : 중공형 블록
43 : 압력 바아 45 : 서브 프레임
47 : 슬라이더 52 : 감속 모터 조립체
53 : 구동부 54 : 제1 피동부
55 : 제 2 피3동부 56 : 기어열
본 고안은 포탄 적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네바 기구를 이용하여 포탄의 고정, 적치 및 이송 기능이 동시에 제어 가능하게 수행될 수 있는 포탄 적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 필수적인 전투 장비로서 사용되는 자주포는 각종 포탄을 적재한 상태로 목표물에 포탄을 발사한 후 신속하게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전투 지원을 위해 운행되는 포탄 적재 차량은 다수의 포탄을 적재하고 전투 지역을 운행한다. 이러한 전투용 차량에 적재되는 포탄등은 항상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승무원이 이를 취급함에 있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포탄 적치 장치 자체가 승무원의 안전을 도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전투라는 특수한 상황에 적합하도록 적치 장치에 구비된 기구의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만 하며, 승무원의 기구 조작에 최대한의 편의성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전투용 차량에 적용된 포탄 적치 장치는 차량이 운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포탄을 보호하기 위한 포탄 고정 기구와, 포탄 추출 위치로 포탄을 이송하기 위한 포탄 이송기구와, 승무원이나 자동화된 송탄 장치가 포탄을 집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포탄 추출 기구를 구비한다.
제1도는 종래의 포탄 적치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포탄 적치 장치(10)는 수직의 컬럼(11)에 전후방 프레임(12',12)을 평면상으로 연결하고, 다시 평면 프레임(12',12)을 한층 이상 적층시켜 구성된다. 제1도에서는 전후방프레임(12',12)을 두 개층으로 적층함으로써, 3개층의 선반형 공간이 형성되었다. 선반형 공간중에 1층과 2층 공간에는 포탄(16)이 고정 또는 이송 되고, 3층에는 장약통(14)이 케이블(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3으로 지시된 것은 포탄이 구름 운동을 발생시키는 롤러 체인 기구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포탄 적치 장치의 일부를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후방 프레임(12)의 상부에는 플레이트(21)가 고정되며, 그 상부에는 포탄 안내 레일(22)이 배치된다. 상기 안내 레일(22)과 평행하게 가이드(23)가 전부방 프레임(12',12)의 상호 연결부 상부의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포탄의 원통형 몸체는 상기 안내 레일(22) 위에 고정되거나 그 위를 굴러서 이동하며, 탄두는 가이드(23)의 상부에서 안내된다. 추출기(24)는 추출기 레일(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여 포탄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전방 프레임(12')의 전면에는 포탄 이송용 롤러 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감속 모터 조립체(25)가 설치되며, 포탄 고정 기구를 작동시키는 수동 핸들(26)이 설치된다.
제3도는 롤러 체인 조립체(13)의 사시도이다. 롤러 체인 조립체(13)는 통상의 체인에 슬롯 및 롤러를 조립하여 형성딘다. 슬롯(31)의 상부 내측에는 체인의 몸체(32)가 조립되며, 상부 외측에는 상부 롤러(33)가, 하부 내측에는 하부롤러(35)가 조립된다. 슬롯(31)이 설치되지 아니한 부분에도 롤러(34)가 조립될 수 있다. 하부 롤러(35)는 상기 후방 프레임(12)의 저면을 통해 돌출되어 그 밑에 배치된 포탄의 원주면에 접촉하며, 롤러 체인 조립체(13)가 회전하면 하부 롤러(35)가 포탄의 원주면에 마찰력을 일으켜 포탄을 제2도에 도시된 포탄 안내 레일(22)상에서 굴러갈 수 있게 한다. 체인에 연계되는 스프로킷이 프레임(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롤러 체인 조립체(13)를 회전시킨다.
제4(a)도는 프레임(12)의 내측에 설치되는 포탄 고정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개별의 포탄은 고정 블록(41)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공형 블록(42)을 통과하는 압력 바아(43)를 통해 고정 블록(41)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정된다. 평행한 2개의 하부 체인 가이드(44) 사이에 압력 바아(43)가 통과한다. 하부 체인 가이드(44)는 서브 프레임(45)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 체인 가이드(44')는 서브 프레임(45)의 상부에 고정된다. 슬라이더(47)는 다수의 압력 바아(43)에 동시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동시에 압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제2도에 도시된 수동 핸들(26)과 랙크/피니언 기구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 부재(47)에는 저단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돌출부(47')가 제공되며, 이것은 이후에 설명되는 경사 블록과 연계된다. 안내 브래킷(48)은 슬라이드 부재(28)와 압력 바아(43)를 안내한다.
제4(b)도는 제4(a)도에 도시된 포탄 고정 기구의 고정 블록(41) 관련 부분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압력축(49)은 중공형 블록(42)내에서 압력 바아(43)와 고정 블록(41)사이에 설치된다. 고정 블록(41)은 압력축(49)에 볼트체결되며, 압력 바아(43)와 압력축(49)사이에는 접시 스프링(50)이 설치되고 중공형 블록(42)과 압력축(49)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1)이 설치된다. 경사 블록(46)은 상단부가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에 압력 바아(43)의 샤프트가 삽입된다. 경사 블록(46)의 상부 경사면은 제4(a)도에 도시된 슬라이드 부재(47)의 경사면(47')과 상호간에 쐐기 접촉을 유지하며,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47)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압력 바아(43)의 높이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고정 블록(41)이 포탄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포탄 적치 장치에서는 포탄의 고정이 수동적으로 수행되는 반면에, 포탄의 이송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행되었다. 즉, 포탄을 이송시키려면 먼저 수동으로 고정 장치를 해제하고, 이후에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롤러 체인 조립체가 포탄을 구름 운동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2단계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신속한 작동을 필요로 하는 전투 상황에 부적합한 것이다. 또한 항상 서로 연계되어 수행되는 포탄의 고정 및 이송 작업이 상호 독립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오동작에 의한 기구이 파손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더군다나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포탄의 고정 및 이송작업이 수행하므로 동력 효율면에 있어서도 비경제적이었다. 수동식 고정 기구는 사용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격시 충격에 의한 포탄 파지 기능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포탄과의 충돌로 인해 주변 장치의 내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탄의 고정 및 이송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포탄 적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탄의 고정 및 이송이 상호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는 포탄 적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네바 기구를 이용하여 포탄의 고정 및 이송이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포탄 적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 및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프레임의 상부 표면에서 포탄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상의 포탄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와; 상기 포탄을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 시키는 롤러 체인 조립체;를 구비한 포탄 적치 장치에 있엇,
구동수단,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일측에 제 1핀과 제 2 핀이 형성된 구동 부재,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핀 및 제 2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홈을 지니며 상기 롤러 체인 조립체와 연계되는 제 1 피동 부재 및,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핀 및 제 2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홈을 지니며 상기 고정 기구와 연계되는 제 2피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적치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의 제 1핀 및 제 2핀은 구동 부재의 회전 중심에 대해 90도 의 각도를 이루어 배치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제 2피동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단부에 디스크 및 핀이 형성된 구동축 부재,
상기 구동축 부재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 단부에 핀이 형성되고 타 단부가 힌지 고정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를 힌지 고정시키는 힌지 블록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핀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에는 본 고안에 따라서 제네바 기구를 이용하는 포탄 적치 장치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프레임(12',12)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탄의 이송에 필요한 체인-스프로킷 기구 및, 포탄의 고정에 필요한 포탄 고정 기구가 설치된다. 도면 번호 57로 지시된 이송 체인 구동축은 체인-스프로킷 기구이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며, 도면 번호 58은 고정 기구 구동축으로서 포탄 고정 기구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다.
이송 체인 구동축(57)과 고정 기구 구동축(58)은 기어열(56)을 통해 제내바 기구에 연결된다. 제네바 기구는 구동부(53), 제 1피동부(54) 및 제 2 피동부(55)를 포함한다. 제네바 기구의 제 1피동부(54)는 이송 체인 구동축(57)과 기어열을 통해 연결되고, 제 이 피동부(55)는 고정 기구 구동축(58)과 기어열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네바 기구의 제1피동부(54)가 회전하면 이송 체인 구동축(57)이 회전하고, 제네바 기구의 제 2 피동부(55)가 회전하면 고정 기구 구동축(58)이 회전한다.
제6(a)도 내지 제6(e)도에는 제5도에 도시된 제네바 기구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53)의 단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중심부(63)와, 제 1 및 제 2 핀(61,6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핀(61)과 제 2핀(62)으로부터 구동부(53)의 중심에 대해 각가 연장된 선은 9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피동부(54,55)에는 각각 상기 구동부(53)의 제 1 및 제 2 핀(61,62)에 연계될 수 있는 4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별의 홈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53)의 표면에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중심부(63) 원호에 대응하는 오목한 원호가 형성된다. 제네바 기의 기본적인 원리는 구동부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구동부의 핀이 피동부의 홈에 연계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간격에서는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피동부도 회전하게 되고, 핀과 홈이 서로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시간 간격에서는 구동부가 회전하더라도 피동부가 회전을 중지하는 것이다.
제6(가)도를 참고하면, 구동부(53)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개시하기 직전의 상태이며, 이때 제 1핀(61)과 제 2핀(62)은 제 2피동부(55)의 홈에 연계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피동부(55)는 포탄 고정 기구의 구동축(58)과 기어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부(53)의 회전은 포탄 고정 기구의 구동축(58)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6(a)도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포탄 고정 기구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즉 제4(b)도에 도시된 고정 블록(41)이 포탄의 원주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제6(b)도는 제네바 기구의 구동부(53)가 제6(a)도의 초기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구동부(53)가 90도 회전하면 제 1핀(61)은 제 2피동부(55)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에 제 2 피동부(55)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직전의 상태이며, 제 2핀(62)은 제 1 피동부(54)의 홈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에 도달한다. 제 2 피동부(55)의 회전은 링크를 통해 포탄 고정 기구의 고정 작용을 해제시키며, 따라서 포탄은 프레임상의 안내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링크의 작용에 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6(c)도는 구동부(53)가 제6(b)도의 위치로부터 다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제 1핀(61)은 제 1 피동부(54)의 홈과 연계된 후에 그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직전의 상태이며, 제 2핀(62)은 제 1피동부(54)의 홈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구동부(53)가 회전하는 동안 제 2피동부(55)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제 1피동부(54)는 핀(61)의 작용에 의해 시계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제 1피동부(54)의 회전은 기어열을 통해 이송체인 구동축(57)을 회전시킨다. 이송 체인 구동축(57)은 위에서 설명된 롤러 체인 조립체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이 안내 레일을 따라 포탄의 이송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6(d)도는 제6(c)도로부터 구동부(53)가 시계 방향으로 다시 90도의 각도로 회전한 것이다. 제 1핀(61)는 제 1피동부(54)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와 제 2 피동부(55)의 홈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이며, 제 2핀(62)은 제 1 피동부(54)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직전의 상태이다. 제6(c)도로부터 제6(d)도에 이르는 간격 동안에 제 1피동부(54)는 그 홈에 연계된 제 2핀(62)의 작용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며, 따라서 포탄 이송 작용이 계속 진행된다. 즉, 포탄 이송작용을 일으키는 제 1피동부(54)의 회전은 제6(b)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6(d)도에 도시된 상태에 이르기까지 제 1피동부(54)가 180도로 회전하는 동안 발생한다.
제6(e)도는 제6(d)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구동부(53)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것은 제6(a)도와 동일하다. 제 1핀(61)은 제 2피동부(55)의 홈에 연계되어 이것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에 그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직전의 상태이며, 제 2핀(62)은 제 2 피동부(55)의 홈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제6(a)도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6(e)도는 포탄의 고정 기구가 포탄을 고정시키는 잠금 상태로서, 제6(d)도로부터 제6(e)도에 이르는 간격 동안에는 제4(b)도에 도시된 고정 블록(41)이 포탄의 원주면을 가압하는 포탄의 고정 작용이 이루어진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탄 적치 장치에서 고정 기구의 포탄 고정 작용을 설명할 수 있도록 고정 기구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7도에 도시된 주요 부품들 중 일부는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와 유사한 형태 및 기능을 지닌다.
즉, 중공형 블록(78)에 압력 바아(79)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아래에 배치된 포탄을 가압 고정하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다(도시의 편의상 생략된 제4(a)도 및 제4(b)도의 일부 구성 부품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상이한 점으로서, 슬라이딩 바(81)에는 핀 홈(82)이 형성되고, 상기 핀 홈(82)에는 링크(74)의 일 단부에 형성된 링크 핀(74)이 삽입된다. 링크(74)의 몸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장공(75)이 형성되며, 링크 핀(74)이 형성된 반대편 단부는 힌지 블록(7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점은 도면 부호 P 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링크(74)의 장공(75)에는 고정 기구구동축(58)의 구동축 핀(73)이 삽입된다. 구동축 핀(73)은 고정 기구 구동축(58)의 단부에 부착된 디스크(72)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지닌 고정 기구에서 고정 기구 구동축(58)이 회전 운동을 할 때, 링크(74)는 힌지점(P)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주기적인 회전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링크핀(76)은 슬라이딩 부재(81)를 소정의 주기로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즉, 고정 기구 구동축(71)이 회전 운동을 할 때 구동축 핀(73)이 형성하는 수평 방향의 궤적은 힌지점(P)을 중심으로 하는 링크(74)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며, 구동축 핀(73)의 수직 방향 궤적은 장공(75)을 따른 운동이 된다.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81)의 왕복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81)의 경사면(83)은 제4(b)도에 도시된 경사 블록(46)의 경사면과 연계하여 포탄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제8(a)도 내지 제8(e)도는 슬라이딩 부재(81)의 왕복 운동에 따라서 포탄 고정 기구가 포탄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작용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며, 이것은 제 6(a)도 내지 제6(e)도에 도시된 제네바 기구의 운동과 관련지어서 설명될 수 있다.
제8(a)도를 참조하면, 이것은 제6(a)도에 도시된 상태에 해당하는 포탄 고정 기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힌지 블록(77)의 힌지점(P)에 결합된 링크(74)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따라서 링크 핀(76)은 슬라이딩 부재(81)를 우측으로 편향시킨다. 슬라이딩 부재(81)의 경사면(83)은 경사 블록(46)의 경사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포탄 고정용 블록(41)은 하향 편향되어서 포탄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제8(b)도는 제6(b)도에 해당하는 포탄 고정 기구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제6(a)도로부터 제6(b)도에 이르기까지 제 2피동부(55)가 90도로 회전하면, 기어열을 통해 제 2피동부(55)에 연결된 고정 기구 구동축(58)은 180도로 회전하며, 그에 따라 구동축 핀(73)은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에 대하여 좌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링크(74)는 힌지점(P)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81)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81)의 좌측 이동은 경사면(83)이 경사 블록(46)의 경사면과 상호 작용하게 한다. 즉, 경사 블록(46)이 코일 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상승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상기 양 경사면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고정 블록(41)의 가압 작용이 해제될 수 있다.
고정 블록(41)의 가압이 해제되면 포탄은 프레임상의 안내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 포탄의 구름 운동을 일으키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인-롤러 조립체이며, 그 구동은 제5도에 도시된 제네바 기구의 제1피동부(54), 기어열 및 이송 체인 구동축(57)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네바 기구의 제 1피동부(54) 운동이 수행되는 동안에 제 2 피동부(55)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6(b)도로부터 제6(d)도에 이르는 제 1피동부(54)의 작동중에는 고정 블록(41)이 포탄을 가압하지 않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며, 이것은 제8(b)도로부터 제8(d)도에 이르기까지의 상태에 해당한다. 제8(b)도 내지 제8(d)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는 고정 기구 구동축(58)의 회전이 전혀일어나고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잠금 장치 해제 상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 1피동부(54)가 롤러 체인 조립체를 구동시켜서 포탄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8(e)도는 제8(d)도의 상태로부터 고정 기구 구동축(58)의 핀(73)이 18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것은 제6(d)도에 도시된 것에 해당한다. 링크(74)는 수직선에 대하여 힌지점(P)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며, 그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81)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제8(e)도는 실질적으로 제8(a)도와 동일히다. 즉, 고정 블록(41)이 포탄을 가압 고정하는 잠금 상태가 된다. 제8(d)도로부터 제8(e)도에 도달하는 동안 슬라이딩 부재(81)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81)의 경사면(83)과 경사 블록(46)의 경사면이 상호 접하던 것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경사 블록은 다시 압력 바아(43)를 통해 고정 블록(41)이 포탄을 가압 고정하게 한다.
포탄의 고정작용과 이송 작용은 하나의 주기를 형성하여 상호 연동되어 발생한다. 즉, 제네바 기구의 구동부(53)가 1회전할때마다 포탄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해제-이송-고정이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포탄은 하나의 고정 장치에 의해 가압 고정되다가 인접한 다른 포탄 고정 장치의 하부로 이송된 후에 다시 고정되는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추출기등에 이를 수 있다. 포탄을 이송할때뿐만 아니라, 포탄을 적치 장치에 적치시킬때에도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포탄을 차례로 적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탄 적치 장치는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포탄의 고정 및 이송 작용을 상호 연동시켜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포탄의 고정 및 이송 작용이 수동 및 자동으로 이원화되었던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단일의 자동 작용으로 포탄의 고정 및 이송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적업이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전방 및 후방 프레임(12',12)의 상부 표면에서 포탄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22)과; 상기 안내 레일(22)상의 포탄을 고정하도록, 단부에 포탄 고정용 블록(41)이 고정된 다수의 압력 바아(43)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81)를 구비하는 포탄 고정기구와; 포탄을 상기 안내 레일(22)을 따라 구름 운동 시키도록 포탄에 접촉하는 롤러(35) 및 체인(32)을 다수의 슬롯(31)을 통해 결합시킨 롤러 체인 조립체(13);를 구비한 포탄 적치 장치에 있어서, 구동 수단(52), 상기 구동 수단(52)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일측에 제 1핀(61)과 제 2핀(62)이 형성된 구동 부재(53),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핀(61,6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소정 형상의 홈을 지니며 상기 롤러 체인 조립체(13)와 연계되는 제1피동 부재(54) 및,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절으로 상기 제 1 및 제 2핀(61,6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소정 형상의 홈을 지니며 상기 고정기구와 연계되는 제 2피동 부재(55)를 구비하고, 상기 포탄 고정 기구는, 상기 제2피동 부재(55)와 기어열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단부에 디스크(7 디스크(72)로부터 돌출된 핀(73)이 형성된 구동축 부재(58), 상기 구동축 부재(58)의 핀(73)이 삽입될 수 있는 장공(7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 단부에 핀(76)이 형성되고 타 단부가 힌지 고정되는 링크 부재(74) 및, 상기 링크 부재(74)를 힌지 고정시키는 힌지 블록 부재(7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81)에 상기 링크 부재(74)의 핀(76)이 삽입될 수 있는 핀 홈(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적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58)의 제 1핀(61) 및 제 2핀(62)은 구동 부재(58)의 회전 중심에 대해 90도의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적치 장치.
KR2019960012023U 1996-05-15 1996-05-15 포탄 적치 장치 KR0133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023U KR0133700Y1 (ko) 1996-05-15 1996-05-15 포탄 적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023U KR0133700Y1 (ko) 1996-05-15 1996-05-15 포탄 적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522U KR970063522U (ko) 1997-12-11
KR0133700Y1 true KR0133700Y1 (ko) 1999-01-15

Family

ID=1945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023U KR0133700Y1 (ko) 1996-05-15 1996-05-15 포탄 적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7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522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831A (ko) 소형화기 총열과 방아쇠 제어 매카니즘을 포함하는 소형화기프레임
FI79986B (fi) Skyddsanordning foer innertransportorgan.
CA2567774C (en) Device for feeding propellant charges to a heavy weapon
CN107850409B (zh) 武器驱动器以及具有武器紧急停止装置的武器驱动器
KR0133700Y1 (ko) 포탄 적치 장치
US7520203B2 (en) Apparatus for removing dud
KR100430055B1 (ko) 포탄 적재, 공급장치
US6414929B1 (en) Disk device with improved loading mechanism
US4585911A (en) Spring charged operating device for switch
KR100257395B1 (ko) 포탄 적치 장치
US5353679A (en) Circulating ammunition magazine
KR890000455B1 (ko) 속사 연발식 총
JPH05215493A (ja) 自動弾薬装填装置
US11667020B2 (en) Driving tool
KR100241868B1 (ko) 포탄 이송 장치
US4031805A (en) Apparatus for ejecting a transport and launching container from a missile launcher
US4656922A (en) Monitoring apparatus for monitoring delayed firing cartridges in an externally driven firing weapon
KR0170232B1 (ko) 포탄 적치 장치
KR101815266B1 (ko) 총기 잠금장치
KR0133676Y1 (ko) 포탄 적치장치
FR2493977A1 (fr) Dispositif destine au transport et a la charge automatiques de munitions sous forme de cartouches de gros calibre
US4384509A (en) Device for guiding a rammer head in its transversal direction
US5178382A (en) Tray transferring apparatus of sorter for copy machine
JP2500076B2 (ja) 薬きょう排出機構
KR102353819B1 (ko) 탄약 낙하 방지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