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11B1 - 이동통신기지국관리시스템에서의대화형명령어입력화면자동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기지국관리시스템에서의대화형명령어입력화면자동생성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11B1
KR0133411B1 KR1019940035474A KR19940035474A KR0133411B1 KR 0133411 B1 KR0133411 B1 KR 0133411B1 KR 1019940035474 A KR1019940035474 A KR 1019940035474A KR 19940035474 A KR19940035474 A KR 19940035474A KR 0133411 B1 KR0133411 B1 KR 013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parameter
data
input screen
inte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473A (ko
Inventor
김상기
조은선
조철회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11B1/ko
Publication of KR96002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기지국관리시스템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운용자 정합 기능을 그래픽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형태로 구현함에 있어서 명령어 수행에 필요한 파라미터 입력을 받기 위한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시켜 주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생성 방법의 특징은 화면상에 보여지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에 포함되는 내용에 대한 정보 및 특성등을 기 약속되어진 형태에 맞추어 명령어 데이터 화일(Command Data File)을 작성하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 저장과정과, 상기 명령어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만들어진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데이터를 소스화일로 읽어 X-윈도우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X-라이브러리(Library) 함수를 이용하여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만들어 내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 생성과정으로 이루어짐에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의 대화명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생성 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에서 기초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 시스템 운용자 정합 구조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명령어 데이터 화일에 저장되는 명령어 데이터 블럭 구조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명령어 데이터 화일에 저장되는 파라메터 데이터 블럭 구조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명령어 데이터 화일 저장과정을 수행하는 동작흐름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 생성과정을 수행하는 동작흐름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일실시예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명령어 메뉴 화면의 일실시예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의 일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입출력 디바이스부,1b : 윈도우 매니저부,
1c : 대화형 명령어 화면처리부,1d : 명령어 처리부,
1e : 출력처리부,1f : 응용접속부,
1g : 응용프로그램부,2a : 명령어 이름블럭,
2b : 명령어 번호블럭,2c : 질의번호블럭,
2d : 기능번호블럭,2e : 운용자 등급블럭,
2f : 명령어 형태블럭,2g : 그룹번호블럭,
3a : 파라미터이름블럭,3b : 파라미터형태블럭,
3c : 최대 인자수블럭,3d : 최소값블럭,
3e : 최대값블럭,3f : 기본값플래그블럭,
3g : 기본값블럭,3h : 나열값 목록블럭,
10 : 명령어 데이터 화일 저장과정,
20 :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 생성과정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의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시스템(Basestation subsystem Manager)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운용자 정합기능을 그래픽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형태로 구현함에 있어서 명령어 수행에 필요한 파라미터 입력을 받기 위한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Command Dialog Box)을 자동적으로 생성시켜 주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는 X-윈도우 시스템(Window System)환경하에서 대화 상자를 만들어 화면상에 나타내고자 할 때 직접 각각의 화면을 생성시크는 프로그램을 코딩해야 했으며, 새로운 서식 화면이 추가되거나 서식에 포함되는 내용이 수정되면 소스 프로그램을 전문 프로그래머가 수정해주어야만 하므로 개발 및 유지 보수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형태로 명령어 입력 화면에 나타내야 할 내용을 명령을 데이터 화일내에 데이터 형태로 작성한 후 이를 프로그램에서 읽어 각각의 요소에 맞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구성시켜 줌으로서 소스 프로그램의 수정없이 명령 데이터 화일 수정만으로도 시스템 운용자가 손쉽게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도록하여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운용하게 하는 이동 통신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 생성 방법의 특징은 화면상에 보여지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에 포함되는 내용에 대한 정보 및 특성 등을 기 약속되어진 형태의 맞추어 명령어 데이터 화일(Command Data File)을 작성하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 저장과정과, 상기 명령어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만들어진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데이터를 소스화일로 읽어 X-윈도우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X-라이브러리(Library) 함수를 이용하여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만들어 내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 생성과정으로 이루어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생성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시스템에서의 운용자 정합 구조도로서 X-윈도우 시스템으로 그래픽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이를 운용하는 전체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보여 주는데 여기서 입출력 디바이스부(1a)는 터미날, 키보드, 마우스 그리고 프린터 및 테이프 드라이버등으로 구성되며, 윈도우 매니저부(1b)는 이들 디바이스들의 입출력을 관장하며 운용자로부터 입력되어진 이벤트나 화면 처리상의 각각의 윈도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대화형 명령어 화면 처리부(1c)에서는 메뉴 형태로 선택되어진 대화형 명령어 선택 화면을 제어하여 입력되어진 명령어를 명령어 처리부(1d)로 넘겨지게 되며, 텍스트 형태 또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 형태로 입력된 명령어는 명령어 처리 단계에서 문법 및 구문체크를 한 후 응용 접속부(1f)를 거쳐 프로세스간의 통신 절차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부(1g)로 전달되어 지고, 이 응용프로그램부의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해당 명령어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다시 응용 접속부(1f)를 거쳐 출력 처리부(1e)에 보내지고, 출력 처리부(1e)에서는 그 결과를 적당한 출력 형태로 재구성하여 윈도우 매니저부(1b)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윈도우나 프린터 등으로 출력하여 최종적으로 운용자에게 전달시켜 준다.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의 명령어 데이터 블럭 구조도로서 각 명령어별로 작성되는 명령 데이터 화일의 내용중 명령어 데이터의 구성 형태를 정의한 것으로 명령어 데이터와 파라미터 데이터간에는 ','부호로서 구분되어 지고, 데이터 내용중 명령어 이름블럭(2a)은 명령어 고유의 이름을 정의한 것으로서 2개 또는 3개의 약어로 구성되며, 명령어 번호블럭(2b)는 이들 명령어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에 부여하는 고유 번호이며, 질의 번호블럭(2c)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중 현재의 파라미터 값을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얻기 위하여 적용되는 고유 번호이며, 기능 번호블럭(2d)는 명령어의 기능을 정의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하기 위한 주소로서의 의미를 가진 기능별 고유 번호이며, 운용자 등급블럭(2e)은 명령어 수행이 가능한 운용자의 등급을 부여하는 번호이며, 명령어 형태블럭(2f)는 명령어의 수행 시간에 따른 명령어의 형태를 정의하는 번호이며, 그룹 번호블럭(2g)는 질의가 필요한 명령어일 경우 파라미터 그룹을 구분하여 표현하는 번호이다.
제 3 도 파라미터 데이터 블럭 구조도로서 각 명령어 별로 작성되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내용중 파라미터 데이터의 구성 형태를 정의한 것으로 반드시 입력해야만 하는 고정 파라미터와 선택적으로 입력이 가능한 선택 파라미터를 '['와']로 구별하여 작성하고 파라미터 데이터간에는 ',' 부호로서 구별되어지고 최종 파라미터에는 ',' 부호로서 파라미터 데이터의 마지막임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파라미터 이름블럭(3a)는 하나의 명령어 내에서 고유하게 정의된 스트링형태로 구성되는 이름이며, 파라미터 형태블럭(3b)는 정의한 파라미터의 값이 구성 형태를 나타내는 번호이며, 최대 인자수블럭(3c)는 파라미터가 가질 수 있는 총 인자수의 개수이며, 최소값블럭(3d)은 파라미터가 가질 수 있는 최소값이고, 최대값블럭(3e)은 파라미터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을 나타내며, 기본값 플래그블럭(3f)는 기본값이 필요한 경우 기록되어지는 번호이며, 기본값블럭(3g)는 파라미터 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명령어 수행시 전달되어지는 값이며, 나열값 목록블럭(3h)은 앞에서 정의한 파라미터 형태가 나열값일 경우 유효한 나열값들의 목록이 기록되어 진다.
제 4 도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을 읽어 구조적 리스트에 저장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데이터 저장동작의 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계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내용중 명령어 데이터 부분을 정해진 데이터 형태별로 읽는 단계(S11)와, 읽어들인 내용을 미리 정의되어진 형태의 구조적 리스트에 그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S12)로 이루어지고,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는 단계(S13)와, 읽어들인 내용을 체크하는 단계(S14)와, 상기 체크결과 고정적 파라미터인가를 판단하여 고정적 파라미터이면 고정 데이터 구조적 리스트안에 저장한 후 다시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S15)로 이루어지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의 판단결과 고정적 파라미터가 아니면 선택적 파라미터 데이터를 선택 데이터 구조적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S16)와, 화일의 끝인가를 판단하여 끝이 아니면 다시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는 단계로 복귀하고, 끝이면 기능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S17)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 5도는 구조적 리스트에 저장된 명령어 및 파라미터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생성 기능 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단계는 명령어 이름으로 명령어 입력 화면 제목의 이름을 부여하는 단계(S21)이며, 제 5단계는 각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파라미터 레이블 위지트를 구현하는 단계(S22)와, 상기 파라미터 형태가 문자 형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23)로 이루어지고, 제 6단계는 상기 제5단계의 체크결과 문자 형태이면 문자 필드 위지트를 구현하고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태그 레이블 위지트를 구현하는 단계(S24~S25)와, 상기 제 5단계의 체크결과 문자형태가 아니면 선택 위지트를 구현하는 단계(S26)로 이루어지며, 제7단계는 상기 제6단계를 수행한 후 구조적 리스트에 데이터가 남아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7)와, 구조적 리스트에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다음 파라미터 위지트들을 구현하는 단계로 다시 돌아가며, 모든 파라미터 위지트 구현이 끝나면 버튼 위지트들을 구현하고 총 파라미터의 개수에 따라 명령어 입력 화면의 크기를 설정한 후 기능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S28~S29)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 6도는 본 발명에서 작성되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고 제 7 도는 상기 명령어 데이터 화일을 작성한 후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응용 기능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메뉴 화면에 다른 명령어 데이터 화일들과 함께 버튼 형태로 명령어 이름이 보여지는 일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제 8도는 상기 화면중에서 원하는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이 생성되어 나타나게 되는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생성방법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면상에 보여지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에 포함되는 내용에 대한 정보 및 특성 등을 기 약속되어진 형태에 맞추어 명령어 데이터 화일을 작성하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저장과정(10)으로서 제 4도는 각각의 명령어별로 작성된 명령어 데이터 화일을 운용자가 로그인(Login)할 때 읽어 분석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우선 첫단계로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내용중 명령어 데이터 부분을 정해진 데이터 형태별로 읽어(S11) 미리 정의되어진 구조 형태의 구조적 리스트에 그 내용을 저장하고(S12), 다음에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은 후(S13), 고정적 파라미터 인가를 판단하여(S14), 고정적 파라미터이면(S14의 Y분기) 고정 데이터 구조적 리스트안에 저장하고(S15) 다시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는 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S14의 N분기) 선택적 파라미터 데이터를 선택 데이터 구조적 리스트에 저장(S16)한 후, 화일의 끝인가를 판단하여(S17) 끝이 아니면(S17의 N분기) 다시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는 단계를 수행하고, 끝이면(S17의 Y분기) 기능 수행을 종료하게 되는데, 이들 저장된 데이터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 구성시에 참조되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명령어 데이터 저장과정에서 만들어진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데이터를 소스화일로 읽어 X-윈도우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X-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여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만들어 내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화면 생성과정(20)으로서 제 5도는 구조적 리스트에 저장된 명령어 및 파라미터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생성 동작의 흐름을 보여 주는데, 그 상세 동작은 명령어 이름으로 명령어 입력 화면 제목의 이름을 부여하고(S21), 각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파라미터 레이블 위지트(Label Widget)를 구현하고(S22), 파라미터 형태가 문자형태인가를 판단하여(S23), 문자 형태이면(S23의 Y분기) 문자 필드 위지트을 구현하고(S24),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태그 레이블 위지트을 구현하고(S25), 파라미터 형태가 아니면(S23의 N분기) 선택 위지트를 구현하고(S26), 구조적 리스트에 데이터가 남아있는가를 판단하여(S27), 남아 있으면(S27의 N분기) 다음 파라미터 위지트들을 구현하는 단계로 다시 돌아가며, 모든 파라미터 위지트 구션이 끝나면(S27의 Y분기) 버튼 위지트들을 구현하고(S28), 총 파라미터의 개수에 따라 명령어 입력 화면의 크기를 설정한 후(S29), 기능 수행을 종료하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는 명령어 문법 및 파라미터 범위 검색 등의 다른 기능에 적용되어 진다.
즉, 운용자가 제 6도와 같은 명령어 데이터 화일을 작성한 후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응용 기능 버튼을 선택하면 제 7도와 같이 메뉴 화면에 다른 명령어 데이터 화일들과 함께 버튼 형태로 명령어 이름이 보여지고, 그 중 원하는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제 8도와 같은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이 생성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파라미터의 형태에 따라 텍스트 필드와 선택 버튼 형태로 값을 입력하도록 위지트들이 구현되며, 각 파라미터의 값을 입력하거나 선택한 후 원하는 기능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명령어의 수행 기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 개발중 또는 개발 완료후에도 서식의 내용이 변경될 때 전문 C언어 프로그래머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서식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 작성된 소스 프로그램의 수정없이 하나의 데이터 화일만 작성하여도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이 자동적으로 생성됨으로서 소스 프로그램을 재 컴파일하는 불편함도 개선하였고, 향후 시스템 기능 확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운용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용 가치와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시스템에서 운용 명령어 데이터 화일로부터 추출되어 운용 명령어의 명령어 데이터 부분과 파라미터 데이터 부분으로 각각 나뉘어 만들어진 구조적 리스트를 가지고, X-윈도우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X-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여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명령어 데이터 화일의 내용중 명령어 데이터 부분을 정해진 데이터 형태별로 읽어 미리 정의되어진 형태의 구조적 리스트에 그 내용을 저장하는 제1단계(S11∼S12)와,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어 고정적 파라미터 인지를 판단하여 고정적 파라미터이면 고정 데이터 구조적 리스트에 저장한 후 다시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는 단계로 복귀하는 제2단계(S13∼S15)와, 그리고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고정적 파라미터가 아니면 선택적 파라미터 데이터를 선택 데이터 구조적 리스트에 저장한 후, 화일의 끝인가를 판단하여 끝이 아니면 다시 파라미터 데이터를 읽는 단계로 복귀하고, 끝이면 종료하는 제3단계(S16∼S17)를 포함하는 명령어 데이터 화일 저장과정과; 상기 명령어 데이터 화일 저장과정 후, 상기 저장된 명령어 데이터 내용중 명령어 이름으로 명령어 입력 화면 제목의 이름을 부여하는 제4단계(S21)와, 상기 저장된 각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파라미터 레이블 위지트(widget)를 구현하고 파라미터 형태가 문자 형태인가를 판단하는 제5단계(S22∼S23)와, 이 판단 결과 문자 형태이면 문자 필드 위지트를 구현하고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태그 레이블 위지트를 구현하고 문자형태가 아니면 선택 위지트를 구현하는 제6단계(S24~S26)와, 상기 제6단계 수행후, 구조적 리스트에 데이터가 남아 있는가를 판단하여 남아 있으면 다음 파라미터 위지트들을 구현하는 단계로 다시 복귀하고, 모든 파라미터 위지트 구현이 끝나면 버튼 위지트들을 구현하고 총 파라미터의 갯수에 따라 명령어 입력 화면의 크기를 설정한 후 종료하는 제7단계(S27~S29)를 포함하는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생성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명령어 입력 화면 자동 생성 방법.
KR1019940035474A 1994-12-21 1994-12-21 이동통신기지국관리시스템에서의대화형명령어입력화면자동생성방법 KR013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474A KR0133411B1 (ko) 1994-12-21 1994-12-21 이동통신기지국관리시스템에서의대화형명령어입력화면자동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474A KR0133411B1 (ko) 1994-12-21 1994-12-21 이동통신기지국관리시스템에서의대화형명령어입력화면자동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73A KR960027473A (ko) 1996-07-22
KR0133411B1 true KR0133411B1 (ko) 1998-04-27

Family

ID=1940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474A KR0133411B1 (ko) 1994-12-21 1994-12-21 이동통신기지국관리시스템에서의대화형명령어입력화면자동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157A (ko) * 1998-11-27 2000-06-15 서평원 교환기에서 셸 명령 처리 방법
KR20000060234A (ko) * 1999-03-12 2000-10-16 김영환 기지국관리부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명령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73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8294B2 (en) Modal-less interface enhancements
US7681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editing a mapping of a first structural description to a second structural description
JP4058118B2 (ja) プログラム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US5721912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database integration specifications
US504196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menu generation in a menu driven computer system
EP1922604B1 (en) Comman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electable functionality controls in a database application
JP2645430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自動的にカスタム化するための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6651240B1 (en) 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support apparatus and development support method
JPH08137646A (ja) ダイアログ・ボックスの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EP2136292A1 (en) Service program generation technology
US20090006154A1 (en) Declarative workflow designer
US8108829B2 (en) Method for automating variables in end-user programming system
CN112631591A (zh) 表元素联动方法、装置、设备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0133411B1 (ko) 이동통신기지국관리시스템에서의대화형명령어입력화면자동생성방법
US20090228678A1 (en) Mapping definition creation system and mapping definition creation program
US20040194022A1 (en) Kernel configuration tool
CN116909563B (zh) 页面的生成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US20230082639A1 (en) Plugin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active system or platform
JP3624447B2 (ja) 部品生成ソースプログラム生成装置
JP2534433B2 (ja) メッセ―ジ検証方法
CA2279091C (en) Interactive library of text strings in an edit system
JPS63138430A (ja) オブジエクト管理処理方式
CN117170654A (zh) 图形用户界面应用程序的开发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3126497B2 (ja) ソフトウェア部品編集装置
JPH1069381A (ja) プログラム説明書作成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