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384Y1 - 철재문용 보강문틀 - Google Patents

철재문용 보강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384Y1
KR0133384Y1 KR2019960008426U KR19960008426U KR0133384Y1 KR 0133384 Y1 KR0133384 Y1 KR 0133384Y1 KR 2019960008426 U KR2019960008426 U KR 2019960008426U KR 19960008426 U KR19960008426 U KR 19960008426U KR 0133384 Y1 KR0133384 Y1 KR 0133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frame
door frame
insertion piec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722U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김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태 filed Critical 김종태
Priority to KR2019960008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384Y1/ko
Publication of KR970058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8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specially adapted for sheet metal frame members with an open U-shap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3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for frame members having longitudinal screw receivin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과 같은 철재문의 강도유지(보강)를 위해 설치되는 보강문틀(Frame)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Description

철재문용 보강문틀
제1도는 본 고안 문틀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문틀의 조립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결착부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보강테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보강테가 조립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힌지 설치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문틀 11 : 횡보강테
12 : 종보강테 101 : 삽착편
101a : 결합홈 102 : 삽착홈
2 : 나사 2a : 나사머리부
3 : 힌지 3a : 결착판
3b : 결착공 3c : 체결나사
301 : 힌지결착부 4 : 커버
5 : 앵카
본 고안은 방화문과 같은 철재문의 강도유지(보강)를 위해 설치되는 보강문틀(Frame)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재문 특히, 방화문 등을 건물에 시공하기에 앞서서 철재 보강문틀(Frame)을 먼제 제작한후 여기에 방화문과 같은 철재문을 설치하게 되는 것인바, 종래에는 보강문틀의 제작장소에서 철채보강문틀(Frame)의 연결부 코너를 용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설치현장으로 운반하였으므로 보강문틀의 조립작업에 전문성이 요구되어 전문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따랐고 용착조립된 보강문틀 내에 시멘트, 방음재 등을 충진시키므로서 보강문틀이 중량체가 되어 제작장소에서 설치 장소로의 운반에 힘이 들었고 운반중 보강문틀이 외부 충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어긋나게 되면 복원이 어려웠을 뿐 아니라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어져 철재방화문의 가격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같은 폐단을 해소할 목적으로 본원 고안인이 선출원한 출원 96-3830호에서 철재보강문틀을 조립하여 제작할수 있게하여 보강문틀의 제작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수 있게 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편리성을 한층더 발전시켜 보강문틀(Frame) 조립시 소요되는 부품을 줄여 제작비, 조립시간을 현저히 개선하였으며 또, 문틀의 조립시 발생할수 있는 문틀의 이상을 결착수단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견고하게 수정조립할 수가 있어 조립작업에 전문성을 배제하여 비전문가일지라도 용이하게 조립작업을 행할수 있게하고 또, 시공현장에서 조립설치하므로 운반시에 발생하는 일련의 폐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어 간편하게 조립설치하여 시공할수 있게한 것인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형의 보강테(11)(12)를 용착하여 직사각형의 보강문틀(1)을 형성하되 일측 상·하단에 힌지(3)를 설치하여서된 보강문틀(1)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보강테(11)(12)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보강문틀(1)을 조립설치하는 것으로 제1도에서와 같이 상·하측의 횡보강테(11) 양측단에 돌출된 삽착편(101)에 결합홈(101a)을 형성하고 또 좌·우 양측의 종보강테(12) 상·하측에 삽착편(101)이 조립되는 위치에 삽착홈(102)을 형성하여서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은 삽착편(101)을 삽착홈(102)에 끼워서 삽착편(101)의 결합홈(101a)으로 나사(2)를 강제투입하므로서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나사머리부(2a)가 종보강테(12)에 걸려서 나사(2)가 경사지게 위치되게하고 이 보강테(12)의 표면에는 걸림홈(12a)을 수개 형성하여 나사머리부(2a)가 걸려지게 하므로서 나사(2)가 미끄러져 빠지지 않게한다.
그리고 종보강테(12)의 상·하측에는 힌지(3)가 장착이되고 이는 도면 제7도에사와 같이 종보강테(12) 내측으로 삽입된 힌지결합부(301)와 종보강테(12) 사이에 결합판(3a)을 개입하고 이 결착판(3a)에는 직경이 큰 결착공(3b)을 체결나사(3c)의 설치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수개형성하여 체결나사(3c)를 힌지결합부(301)와 결착시 종보강테(12)가 체결나사(3c)의 머리에 걸려 결착공(3b)으로 어느정도 밀려들어 가게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삽착편(101)이 형성된 상·하단의 횡보강테(11)와 삽착홈(102)이 형성된 좌·우양측의 종보강테(12)를 삽착편(101)이 삽착홈(102)에 끼워지도록 조립설치하여 직사각형의 문틀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횡보강테(11)에 돌설된 삽착편(101)은 사다리 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종보강테(12)의 삽착홈(102)에 끼울 때 조립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완료후 어느정도의 외력에도 보강문틀(1)이 비툴어지거나 어긋나는 것을 막을수가 있고 특히, 삽착편(101)에 결합홈(101a)을 돌출방향으로 길게형성시키므로서 제4도에서처럼 나사머리부(2a)를 종보강테(12)의 표면에 걸려 경사지게 설치시킨후 그 나사(2)를 조아줄 때 나사머리부(2a)가 삽착편(101) 쪽으로 근접하므로 삽착편(101)의 결합홈(101a)에 설치된 나사(2)의 각도가 높아져 삽착편(101)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결합홈(101a)이 삽착편(101)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나사(2)의 설치된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될 뿐 아니라 삽착편(101)을 외측으로 당겨주는 힘에도 항상 변화가 없게되는 것이다.
즉, 다시말해서 나사(2)가 쇄기역활을 하게되어 삽착편(10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 종보강테(12)의 표면 삽착편(101) 근접위치에 걸림홈(12a)을 다단으로 수개형성하여 나사머리부(2a)가 이 걸림홈(12a)에 걸려져 삽착편(101)의 인장력이 나사(2)에 작용하여도 나사머리부(2a)가 밀려나가지 않게 고정이 되는 것이어서 나사(2)로 보강문틀(1)의 결착력을 다단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보강테(1)의 결착력에 변화가 생기면 이를 조절하여 항상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보강문틀(1)의 조립후 외부충격으로 보강문틀의 조립상태가 헐거워 지거나 하여도 나사(2)를 조아주게 되면 조립상태가 복원이 되며 또, 돌출된 삽착편(101)이 삽착홈(102)에 끼워져 있어 뒤틀리거나 비틀림이 어느정도 방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7도에서와 같이 일측의 종보강테(12) 상·하측에 힌지(3)를 설치하여 철재문 즉, 방화문을 조립할수 있게한다.
이는 종보강테(12) 내측으로 투입된 힌지결합부(301)와 종보강테(12) 사이에 결합판(3a)을 개입시켜 체결나사(3c)로 결착시키게 되는데 결합판(3a)에 형성된 결착공(3b)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체결나사(3c)로 결착시 종보강테(12)가 어느정도 결착공(3b) 내측으로 체결나사(3c)에 밀려 유입되게 하므로서 힌지(3)가 움직이지 않고 단단하게 결착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강문틀(1)의 코너 조립부 외측에서 덮여지는 커버(4)를 씌워 콘크리트 등의 조립부 즉, 코너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되고 또, 일측 종보강테(12)의 수개소에 회동가능한 엥카(5)를 장착하여 보강문틀(1)을 시공할 때 그 엥카(5)의 양날개를 90°회동시켜서 종보강테(12)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못등으로 엥카(5)를 콘크리트 벽에 고정후 보강문틀(1)을 시공하므로서 시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삽착편(101)이 보강문틀(1)의 절곡모서리 보분에 형상되어 있어서 보강테(11)(12)간의 조립과 틀림을 최대한 방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보강문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용접으로 제작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결착하여 제작하므로 보강문틀 제작에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아 비전문가일지라도 쉽게 제작할 수가 있어 인력수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또, 보강문틀을 설치현장에서 바로 조립할 수가 있어 보강문틀 내에 시멘트, 방음재 등 충진재의 충진작업이 용이하고 충진재가 충진된 중량체의 보강문틀의 문반에 소요되는 노력을 격감시킬수가 있고 보강문틀의 조립상태가 느슨해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불량을 간단하게 해소하여 원상태로의 복원이 용이하고 보강문틀의 시공시 문틀에 부설된 엥카를 이용하여 설치위치 선정을 용이하게 하여 쉽게 시공할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 짧은 시간에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며 특히, 보강문틀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작업을 바로 보강테에 결착할 수가 있어 간단하게 조립작업을 수행할수 있게하여 보강문틀의 제작과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괴 경비를 대폭 줄이므로서 보강문틀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형의 보강테(11)(12)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보강문틀(1)을 형성하고 일측 보강테(12) 상·하단에 힌지(3)를 설치하여서된 통상의 보강문틀(1)에 있어서, 상·하측의 횡보강테(11) 양측단에 돌출된 삽착편(101)에 결합홈(101a)을 형성하고 좌·우 양측의 종보강테(12) 상·하측에 삽착홈(102)을 형성하여 횡보강테(11)의 삽착편(101)이 끼워지게하고 이 삽착편(101)의 결합홈(101a)을 관통하여 종보강테(12)에 경사지게 나사(2)를 설치하되 종보강테(12) 표면에 형성된 걸림홈(12a)에 나사머리부(2a)가 걸려지게한 철재문용 보강틀.
KR2019960008426U 1996-04-15 1996-04-15 철재문용 보강문틀 KR0133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426U KR0133384Y1 (ko) 1996-04-15 1996-04-15 철재문용 보강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426U KR0133384Y1 (ko) 1996-04-15 1996-04-15 철재문용 보강문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22U KR970058722U (ko) 1997-11-10
KR0133384Y1 true KR0133384Y1 (ko) 1999-02-18

Family

ID=1945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426U KR0133384Y1 (ko) 1996-04-15 1996-04-15 철재문용 보강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3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22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075A (en) Field alterable, glass reinforced plastic door panel
KR100721211B1 (ko)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0133384Y1 (ko) 철재문용 보강문틀
US3755980A (en) Bracing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 frames
IE20190224A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ections
GB2300019A (en) Template or base frame for mounting a window or door frame in a building aperture
KR102180560B1 (ko) 선조립 보 스트립과 고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시공 방법
JP6871808B2 (ja) 補強材、補強構造
KR200196106Y1 (ko) 조립식 문틀
KR102216112B1 (ko) 창틀 수평유지용 브라켓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468132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構築方法とその鉄筋コンクリート梁
KR200215881Y1 (ko) 건축 구조물의 골조 결합용 지지보
KR101878861B1 (ko) 구조물 개구부 밀착형 내진 보강체
KR0133385Y1 (ko) 철재문용 보강문틀
KR102625281B1 (ko) 현장 절곡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제작 방법
JP2516509B2 (ja) 地中連続壁の接合構造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102375506B1 (ko) 전단키를 구비한 pc블록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EP1437460B1 (en) Method of reinforcing a masonry structure
KR960008857Y1 (ko) 문틀 설치를 위한 개구부 공사용 거푸집
US3086326A (en) Window frame mounting construction
JP4191864B2 (ja) サッシ枠組込壁パネル及びサッシ枠組込壁パネルの設置構造
KR200267890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970005543Y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0149614Y1 (ko) 합성수지 조립식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