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51B1 -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51B1
KR0132751B1 KR1019940010451A KR19940010451A KR0132751B1 KR 0132751 B1 KR0132751 B1 KR 0132751B1 KR 1019940010451 A KR1019940010451 A KR 1019940010451A KR 19940010451 A KR19940010451 A KR 19940010451A KR 0132751 B1 KR0132751 B1 KR 013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
key
main body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미 다무라
데쯔오 다니하따
사또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130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12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277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65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53108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5372B2/ja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5Display device with hous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키 입력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 아암과, 연결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펜 입력 가능한 입력 표시부를 갖고 있다. 이 정보 처리 장치는 수납 상태,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입력 표시부와 연결아암의 회전점은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존재한다. 연결 아암이 입력 표시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톱퍼로서 역할을 하고,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입력 표시부의 회전 범위를 180°이하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여 본체의 키 조작부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가 연결 아암에 지지되고, 그들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수납 상태에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 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3 도는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4 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
제 5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로크 기구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면 단면도.
제 6 도는 상기 로크 기구의 사시도.
제 7 도는 상기 로크 기구의 고정 해제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 8(a)도 내지 제8(c)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연결 아암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 9(a)도 내지 제9(c)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연결 아암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 10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연결 아암을 수납 상태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킨 때의 제 1° 힌지 기구의 세 개의 축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11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연결 아암을 개방 방향으로 105°회전시킨 때의 제 1 힌지 기구의 세 개의 축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12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연결 아암을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킨 때의 제 1 힌지 기구의 세 개의 축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13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연결 아암을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본체와 연결 아암이 이루는 각도가 45°로 될 때까지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킨 때의 제 1 힌지 기구의 세 개의 축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14 도는 상기 연결 아암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아암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15 도는 상기 연결 아암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아암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16 도는 상기 연결 아암의 회전 방향과 회전 각도와 브레이크 공률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17 도는 조작자에 의해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18 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 도중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19 도는 간극 규제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단면도.
제 20 도는 간극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단면도.
제 21(a)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21(b)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21(c)도는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22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선 처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3 도는 상기 선 처리 기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24(a)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선 처리 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 24(b)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선 처리 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 24(c)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선 처리 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 25 도는 회전 오버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를 약 180°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6 도는 회전 오버 장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키 입력 조작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
제 27 도는 회전 오버 장지 기구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의 키 입력 조작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
제 28 도는 회전 오버 장지 기구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연결 아암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
제 29 도는 상기 오전 오버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연결 아암을 본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
제 30 도는 상기 연결 아암을 회전시킨 때 상기 회전 오버 방지 기구의 상태변화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 31 도는 상기 제 30 도에 있어서의 Y2상태를 R 방향에서 본 도면.
제 32 도는 상기 제 30 도에 있어서의 Y4상태를 Q 방향에서 본 도면.
제 3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제 34(a)도 내지 제 34(c)도는 입력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측면도.
제 35(a)도는 입력 표시부와 아암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35(b)도는 아암에 설치된 스위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 36(a)도 내지 제 36(c)도는 입력 표시면과 시선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27 도는 입력 표시부의 각면의 좌표의 변화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38(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 1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38(b)도는 제 1 키 입력 조사 상태로부터 제 2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39 도는 수납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40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제 1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로크 기구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제 40(a)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표시 회전 기구부의 평면도.
제 41(b)도는 상기 표시 회전 기구부의 정면도.
제 41(c)도는 상기 표시 회전 기구부의 정면도.
제 42 도는 제 2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 43 도는 제 2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 44 도는 후방 표시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45 도는 제 1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 46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회전각 규제 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 47(a)도는 고정 상태에 있는 상기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7(b)도는 해제한 상태에 있는 상기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8 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로크 안내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 49 도는 상기 로크 안내 기구에 안내되는 로그 기구의 로크 갈고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2 : 입력 표시부,
3 : 연결 아암,4 : 키 입력 조작부,
5 : 입력 표시면,6 : 펜,
7 : 로크 기구,8 : 로크 스프링,
9 : 로크 앵글,10 : 제 1 힌지 기구,
11 : 제 2 힌지 기구,12 : 주축,
19 : 선 처리 기구,21 : FPC케이블,
22 : 안내축,23 : 안내 부재,
24 : 커버 안내,26 : 카버 필름,
31 : 캠,32 : 각도 검지 봉,
33 : 스톱 레버,34 : 크랭크 축,
35 : 레버 구동부,41 : 제어부,
43 : 태블릿 제어부,44 : 좌표 보정부,
45 : 전원 공급부,46 : 표시 전압 제어부,
47 :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8 : 표시 위치 검출부.
본 발명은 키보드 등의 키 조작부와 펜 입력이 가능한 입력 표시부를 구비한 워드 프로세서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이형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방법으로서는 키보드를 이용한 키 입력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또 근래에는 표시면과 일체화된 태블릿을 이용한 펜 입력 기술이 발달하고 펜에 의한 수기(손으로 기입한) 문자 입력, 수기 편집 등도 실현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키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경우는 표시부를 눈앞에 배치하고 그 바로 앞에 키보드를 배치하여 터치 타이밍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상태가 키 입력 조작을 행할 때의 표준 자세가 되고 있다.
한편 펜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표시면인 태블릿 면을 상방을 향해 배치하고 책상 위에 종이에 문자를 쓰는 것과 같이 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상태가 펜 입력 조작을 행할 때의 표준 자세가 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은 간이형 정보 처리 장치에는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에 설치된 키보드와 대향하도록 접은 수납 상태와 상기 표준 자세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에 대면하고 있는 각도 이상 열린 키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표준 자세에서 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본체의 키보드 상방에서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가 요구된다.
여기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4-188213호, 특허 공개 평4-188214호, 특허 공개 평4-218820호 및 특허 공개 평4-221989호의 각 공보에는 상기 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간이형 정보 처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공개 평4-1882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는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카버와, 이 상부 카버를 외부 프레임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표시부를 구비한 구성이다. 외부 프레임에 대해 표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기구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측벽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 카버의 회전축과 표시부의 회전축은 평행하다.
특허 공개 평4-18821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는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계 상부 카버의 일단부에 상부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다. 상부 카버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 상부 카버에 대해 상부 카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기구는 상부 카버의 하측의 측벽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 카버의 회전축은 상기 중계 상부 카버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이다. 이 경우, 키 입력 조작 상태와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표시면의 상하가 반전하기 때문에 표시 어드레스의 변환이 필요하다.
특허 공개 평4-21882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부의 측벽 전단부에 일단부가 부착된 제 1 아암과, 표시부의 측벽 중앙부에 일단부가 부착된 제 2 아암을 이용하여 표시부를 본체에 연결한 구성이다. 이 경우 제 1 아암의 타단부는 본체의 측벽부에 따라 형성된 긴 홈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2 아암의 타단부는 본체의 측벽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표시부는 제 1 아암의 타단부가 상기 긴 홈을 이동함으로써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혹은 그 역으로 이행한다.
특허 공개 평4-22198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는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부재에 표시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지지 부재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측벽면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공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기구를 이용하여 표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수납 상태,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부가 가동이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표시부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힌지 기구, 혹은 지지부재 등은 모두 표시부의 측벽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표시부의 지지점이 측벽면부에 있으면, 표시부가 360°회전하게 되며,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안정성이 없다. 또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도 입력 표시부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여 본체의 키보드에 닿아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표시부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다른 기구가 필요해진다.
또 종래에는 표시부를 열고 즉 표시부와 본체를 연결하고 있는 부재를 회전하여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하는 경우와 표시부와 본체를 연결하고 있는 부재를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 또는 수납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회전시에 동일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통상, 마찰 힌지 등에 의해 표시부를 임의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있으므로 표시부를 열 때는 무겁게 느껴진다. 만일 표시부를 가볍게 열 수 있도록 개폐시(회전시)의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면 표시부를 닫을 때 급격하게 닫히게 되고 충격에 의해 표시부나 본체의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
또 펜 입력과 키 입력에서는 표시부에 대한 조작자의 시선의 가고 등이 다르기 때문에 표시 품위 및 태블릿 입력의 정밀도가 손상된다. 또,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표시부가 키에 닿으면 오입력이 생길 우려도 있다.
또 상기 종래와 같이 표시부가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부는 모두 가로로 긴 화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A4사이즈의 용지를 세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가로로 긴 화면에서는 용지의 한장 분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동시에 표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의 가동에 수반하는 조작성의 악화를 개선하고, 적어도 수납 상태,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터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입력 표시부의 배면을 지지시키고,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어느 각도 이상 개방한 제 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입력 표시부의 배면을 지지시키고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으로 배치한 제 2 입력 조작 상태와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력 표시부와 연결 부재와의 회전점(지지점)이 입력표시부의 배면부에 존재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가 입력 표시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톱퍼로서의 역할을 하고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입력 표시부의 연결 부재에 대한 회전 범위를 180°이하로 규제할 수 있다. 즉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가 연결 부재에 맞닿고, 입력 표시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 180°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여 본체의 키 조작부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제 1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가 연결 부재에 맞닿아 지지되고, 덜걱거림이 없고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 제 2 입력 조작 상태에서도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가 연결 부재에 맞닿아서 지지되고,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 상기 구성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연결 부재에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는 로크 수단을 가하면 수납 상태와 제 1 입력 조작 상태 사이의 상태 이행시에 연결 부재와 입력 표시부를 고정하여 일체적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이 도모된다.
또 상기 구성에다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조작성의 향상 이외에 본체와 입력 표시부와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연결 부재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굴곡성의 신호선과, 상기 제 2 힌지 수단과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내축 부재와, 이 안내축 부재를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연결하는 안내축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축 부재에는 상기 신호선을 관통하기 위해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넓어지는 제 1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축 연결 부재에는 상기 신호선을 관통하기 위해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연통하는 제 2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굴곡성의 상기 신호선은 안내축 부재의 제 1 관통 구멍과 안내축 연결 부재의 제 2 관통 구멍을 거쳐서 입력 표시부의 내부 및 연결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안내축 부재는 안내축 연결 부재에 의해 입력 표시부의 배면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힌지 수단과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입력 표시부의 연결 부재에 대한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상기 입력 표시부는 연결 부재에 대해 대략 180°의 범위에서 회전하므로 그에 수반하여 안내 축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그 내부에 제 1 관통 구멍을 통하는 굴곡성의 신호선도 약 90°로 굴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관통 구멍은 연결 부재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넓어져 있으므로 원호형의 제 1 관통 구멍의 표면에 따라 굴곡하고, 급격히 굴곡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용해도 단선이 생기기 어렵고 신호선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안내 축 부재의 제 1 관통 구멍을 덮는 피복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신호선이 노출되는 일이 없고 외관을 향상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적어도 이하의 수단을 구비함으로써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힌지 수단과 본체에 대한 연결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 부재의 회전 동작에 대해 작용시키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가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어느 각도 이상 개방한 제 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으로 배치한 제 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브레이크 가변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연결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시와 상기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입력 조작 상태 또는 수납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상기 연결 부재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회전 조작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연결 부재의 개방 방향의 회전시 쪽이 폐쇄 방향 회전시보다 브레이크력이 작아지도록 설정하면 수납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를 개방할 때는 개방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폐쇄할 때는 입력 표시부가 본체에 격돌하지 않고 서서히 닫힌다. 이로써 입력 표시부나 본체에 걸리는 충격을 작게 할 수 있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표시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개방한 제 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 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입력 표시부와 상기 키 조작부와의 간격을 규제하는 간격 규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 간격 규제 수단에 의해 입력 표시부와 상기 키 조작부와의 사이에 소정 이상의 간격이 유지된다. 따라서 입력 표시부가 상기 키 조작부에 접촉하여 쓸데 없는 키 입력이 발생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 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 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연결 부재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 표시부의 배면에 맞닿음으로써 연결 부재에 대한 입력 표시부의 호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범위 규제 부재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입력 조작 상태 이행할 때의 상기 연결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회전 궤도 내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회전 궤도 내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 되면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입력 표시부의 회전 궤도 내로 이동한다. 즉 제 1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맞닿음으로써 연결 부재에 대한 입력 표시부의 호전 범위가 규제된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 상태 또는 제 2 입력 조작 상태가 되면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회전 궤도로부터 벗어나고, 연결 부재에 대한 입력 표시부의 회전 범위가 규제되는 일이 없고 정상적인 수납 상태나 제 2 입력 조작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의 회전이 규제되고 입력 표시부가 본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입력 표시부 단부와 본체가 충돌하여 파손 또는 고장을 일으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 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 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입력 표시부의 위치가 제 1 입력 조작 상태 및 제 2 입력 조작 상태의 어느 쪽인지를 검출하는 표시 위치 검출 수단과 이 표시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제 2 입력 조작 상태가 검출된 때에는 키 입력이 있어도 이를 무효로 판정하는 키 입력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력 표시부의 위치는 표시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키 입력 판정 수단은 표시 위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제 2 입력 조작 상태일 때 키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을 무효로 한다. 따라서, 제 2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키 조작부로부터의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표시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 1 입력 조작 상태와 제 2 입력 조작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표시 전압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도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 경우에는 각각의 상태에서 고품위의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표시 전압이 제어되므로 상기 두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의 각도가 달라져도 양호한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표시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데이타 입력 수단의 좌표 데이타 보정을 행하는 좌표 보정 수단을 설치함으로써도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두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의 각도가 달라져도 그 각도에 따라 입력된 좌표가 보정되므로 좌표 오차가 생기는 일이 없고 입력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종횡의 길이가 다른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표시면의 종횡의 관계가 역으로 되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표시 회전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상태 가로로 긴 상태에 있는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 1 입력 조작 상태,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 2 입력 조작 상태 및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해 입력 표시부를 90°회전시킨 세로로 긴 표시면을 보면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 3 입력 조작 상태의 네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입력 표시부는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해 표시면의 종횡의 관계가 역으로 되도록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면을 세로로 긴 상태로 배치한 제 3 입력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로로 긴 상태에서 표시면을 사용하는 것보다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행 수가 증가하고 예를 들면 A4사이즈의 용지를 세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에 맞추어 문서를 작성할 때 한 페이지 분량의 데이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한 페이지 분량의 행 수가 많은 데이타에 대해 키 조작부를 이용한 입력을 행하는 경우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데이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도 세로로 긴 표시면에서의 조작이 가능해지는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의 배면에 제 2 힌지 수단에 의해 연결 부재를 부착하고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해 제 2 힌지 수단에 의한 입력 표시부의 회전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입력 표시 수단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 상태에의 이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 3 입력 조작 상태로, 제 2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 4 입력 조작 상태로의 이행, 혹은 그 역의 이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제 2 힌지 수단에서 입력 표시부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는 동시에 표시 회전 수단에서 입력 표시부를 상하 반전시킴으로써 본체의 후방으로도 표시면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또 표시 형태가 증가하고 더 한층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한 입력 표시부의 회전동작을 90°마다 규제하는 회전각 회전가 규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입력 표시부가 어중간한 각도를 취할 수 없고 표시면이 가로로 된 제 1 입력 조작 상태는 물론 표시면이 세로로 된 상태에서도 입력 표시부가 정확하게 횡·종으로 똑바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이 어중간하게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 2 입력 조작 상태로의 상태 이행 및 제 3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 4 입력 조작 상태로의 이행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입력 표시부의 종·횡의 기준선이 본체의 전후 방향의 기준선에 평행한 움직임을 하게 된다. 이로써 입력 표시부가 흔들리는 일이 없고 상태 이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로크 수단을 설치하여 입력 표시부와 연결 부재의 고정을 행함으로써 수납 상태로부터 제 1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에는 회전 조작을 행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 이 로크 수단에서 제 1 입력 조작 상태 및 제 3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입력 표시부의 회전도 규제되므로 이에 의해서도 제 1 입력 조작 상태 및 제 3 입력 조작 상태에서의 입력 표시부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덜걱거릴 우려가 없으며,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구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로크 수단의 고정부를 입력 표시부의 회전에 수반하여 안내하는 로크 안내 수단을 설치하면 로크 수단에 의한 입력 표시부와 연결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지 않고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해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상태로 이행할 때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어중간한 각도로 고정이 해제되는 일이 없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로크 안내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입력 표시부의 회전 조작이 안정된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 표시부의 회전 중심이 제 1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입력 표시면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3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입력 표시부의 하단까지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입력 표시부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입력 표시부의 회전 중심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킨 후의 본체와 입력 표시부의 하단과의 위치적 관계가 같아지게 되며, 상기 로크 수단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표시부와 연결 부재의 고정 처리 등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 입력 표시부를 상기 제 3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 혹은 입력 표시부를 상기 제 4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입력 표시부의 케이스와 본체의 케이스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기술하는 내용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제 1 도 내지 제32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입력 조작부(키 조작부)(4)를 갖는 본체(1)과, 펜 입력 가능한 입력 표시면(5)를 갖는 입력 표시부(2)와 상기 입력 표시부(2)를 상기 본체(1)에 연결하는 연결 아암(연결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 표시부(2)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평면형 디스플레이와 이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겹쳐진 투명 태블릿(데이타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에 있어서의 입력 표시면(5)의 측면에는 요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2a)에는 펜(6)이 수납되어 있다. 이 펜(6)과 상기 투명 태블릿을 이용하여 펜 입력이 행해진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아암(3)의 일단부는 제 1 힌지 기구(제 1 힌지 수단)(10)에 의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연결 아암(3)의 타단부는 입력 표시부(2)의 배면(입력 표시면(5)와는 반대쪽 면)의 대략 중앙부위에 제 2 힌지 기구(제 2 힌지 수단)(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아암(3)은 회전 중심 A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1)에 대해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입력 표시부(2)는 회전 중심(B)를 중심으로 하여 연결 아암(3)에 대해 회전한다.
이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수납 상태, 키 입력 조작 상태(제 1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제 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수납 상태에서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표시부(2)의 입력 표시면(5)를 상기 본체(1)의 키 입력 조작부(4)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또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표시면(5)를 보면서 키 입력 조작부(4)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2)의 입력 표시면(5)를 본체(1)의 키 입력 조작부(4)에 대해 어느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위치에 배치한다. 또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 위에 종이 등에 기입할 때와 같은 자세로 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키 입력 조작부(4) 상에 상기 입력 표시부(2)의 입력 표시면(5)를 상향으로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제 2 힌지 기구(11)에 의해 연결 아암(3)의 일단부와 입력 표시부(2)의 대략 중앙부를 결합하면 입력 표시부(2)의 회전 중심(지지점)이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에 존재한다. 이에 의해 연결 아암(3)이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동작에 대해 스톱퍼로서 역할을 하고, 입력 표시부(2)의 연결 아암(3)에 대한 회전 범위가 180°이하로 규제된다. 즉 입력 표시부(2)를 회전시킨 경우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가 연결 아암(3)에 맞닿고,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3)에 대해 180°이상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다.
예를 들면 제 2 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가 연결 아암(3)에 맞닿아서 지지되고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입력 표시부(2)가 불안정해지는 일은 없고 연결 아암(3)에 의해 이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만일 종래와 같이 입력 표시부의 회전점(지지점)이 입력 표시부의 측벽면부에 있으면 입력 표시부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다른 기구가 필요하고 키입력 조작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려 하면 입력 표시부를 고정하는 수단도 필요해진다.
또 제 3 도에 도시한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도,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가 연결 아암(3)에 맞닿아서 지지되고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입력 표시부(2)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은 없고 이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만일 종래와 같이 입력 표시부의 회전점(지지점)이 입력 표시부의 측벽면부에 있으면 입력 표시부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여 본체의 키 입력 조작부에 닿을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의 연결 아암(3)에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가능한 로크 기구(로크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7)은 입력 표시부(2)의 본체측의 단부에 설치된 로크 스프링(8)과 상기 로크 스프링(8)과 대응하여 연결 아암(3)에 설치된 로크 앵글(9)로 이루어져 있다. 또 로크 스프링(8)을 연결 아암(3)측에 로크 앵글(9)를 입력 표시부(2) 측에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로크 스프링(8)은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는 입력 표시부(2)에 로크 스프링(8)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8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 타단부에는 대략 수직으로 굴곡한 걸림부(8b)와 걸림부(8b)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굴곡된 경사 안내부(8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앵글(9)는 연결 아암(3)에 로크 앵글(9)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9a)와 상기 로크 스프링(8)의 걸림부(8b)와 결합하는 걸림축(9b)와 상기 걸림축(9b)를 지지하는 지지부(9c)로 구성되어 있다.
제 4 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입력 표시부(2)의 하단부를 앞으로 당기면(즉 회전 중심(B)를 중심으로 하여 입력 표시부(2)를 도면 중 B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스프링(8)이 휘어서 걸림부(8b)가 로크 앵글(9)의 걸림축(9b)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의해 입력 표시부(2)의 연결 아암(3)에의 고정이 해제된다. 역으로 입력 표시부(2)를 연결 아암(3)으로 밀어 붙이면 로크 스프링(8)의 경사 안내부(8c)가 로크 앵글(9)의 걸림 축(9b)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로크 스프링(8)이 휘고, 입력 표시부(2)의 배면이 연결 아암(3)과 맞닿는 위치에서 로크 스프링(8)의 걸림부(8b)와 로크 앵글(9)의 걸림 축(9b)가 결합한다. 이로써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3)에 고정된다.
정보 처리 장치가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에는 상기 로크 기구(7)에 의해 연결 아암(3)과 입력 표시부(2)가 고정 상태에 있으며, 회전 조작을 행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는 입력 표시부(2)의 하단부를 앞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의 고정이 용이하게 해제되므로 상태 이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기구(7)을 설치하여 입력 표시부(2)의 고정 및 그 해제를 행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 이행을 행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로크 수단으로서 로크 스프링(8)과 로크 앵글(9)로 이루어지는 로크 기구(7)이 채용되고 있으나 그 구성으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입력 표시부(2)에 설치된 슬라이드 손잡이에 의해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만일 로크 수단으로서 슬라이드 손잡이를 채용하는 경우 그 슬라이드 방향은 조작방향(입력 표시부(2)를 앞으로 끌어 당기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로크 수단으로서는 기계적인 것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것 이외의 것, 예를 들면 자석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아암(3)을 본체(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힌지 기구(10)에 후술하는 일방 클러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일방 클러치를 채용함으로써 연결 아암(3)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연결 아암(3)의 본체(1)에 대한 회전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 8(a)도 내지 제8(c)는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의(즉, 연결 아암(3)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킨 때)의 연결 아암(3)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 제 9(a)도 내지 제 9(c)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즉, 연결 아암(3)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킨 때)의 연결 아암(3)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그 기구(7)에 의해 연결 아암(3)에 고정되어 있는 입력 표시부(2)를 제 8(a)도에 도시한 수납 상태로부터 제 8(c)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로 되도록 개방하는 경우 즉 연결 아암(3)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 8(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아암(3)이 본체(1)에 대해 105°개방된 상태로 되기까지는 30 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한편 연결 아암(3)이 본체에 대해 105°이상 개방되는 경우(제8(b)도의 상태로부터 제8(c)도의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7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상기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또 본체(1)에 있어서의 제 1 힌지 기구(10)이 설치된 위치의 근방에는 연결 아암(3)이 수납 상태로부터 145°회전한 때에 맞닿는 경사 규제부(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 규제부(1a)에 의해 연결 아암(3)은 본체(1)에 대해 145°를 넘는 각도로 개방되지 않도록 규제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9(a)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9(c)도에 도시한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즉 연결 아암(3)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본체(1)과 연결 아암(3)이 이루는 각도가 145°인 상태(제9(a)도 참조)로부터 45°(제9(b)도 참조)로 될 때까지는 3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한편 본체(1)과 연결 아암(3)이 이루는 각도가 45°보다도 작아지는 경우(제9(b)도의 상태로부터 제9(c)도의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7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상기 브레이크력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 연결 아암(3)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상기 브레이크력의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제 1 힌지 기구(10)에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상기 제 1 힌지 기구(10)은 연결 아암(3)에 고정되어 회전축이 되는 주축(120와 이·주축(12) 이외에 두 개의 축(13·14)를 갖고 있다. 상기 주축(12)의 외주부에는 0°내지 180°의 범위에서 부분 치차(1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주축(12)의 회전시에는 3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축(13)의 외주부에는 주축(12)의 부분 치차(12a)와 치합 가능한 치차(1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13)의 회전시에는 거의 브레이크력이 작용하지 않고 축(13)은 원활히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축(14)의 외주부에는 주축(12)의 부분 치차(12a) 및 축(13)의 치차(13a)의 양방과 치합 가능한 치차(14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축(14)에는 도시하지 않은 일방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14)가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일방 클러치가 끊겨서 자유 상태가 되어 거의 브레이크력이 작용되지 않고 원활히 회전한다. 한편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방향으로는 역의 b방향으로 축(14)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일방 클러치가 결합되어 4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또 부분 치차(12a)를 갖는 주축(12) 및 치차(13a·14a)를 갖는 축(13·14)에 의해 브레이크력 가변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제10도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8(a)도에 도시한 수납 상태일 때의 상기 세 개의 축(12·13·14)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주축(12)의 부분 치차(12a)의 일단부가 축(13)의 치차(13a)에 맞물려 있다. 이 상태로부터 연결 아암(3)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면 주축(12)가 c방향으로 회전하면 주축(12)가 c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주축(12)의 부분 치차(12a)가 축(13)의 치차(13a)에 맞물리고 있는 동안에는 축(13d)가 d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축(13)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14a)가 a방향으로 회전한다. 축(14)가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방 클러치가 끊겨서 축(14)가 자유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동안에 행해지는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는 주축(12)가 갖는 브레이크력, 즉 3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그 다음에 연결 아암(3)이 c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면 주축(12)의 부분 치차(12a)와 축(13)의 치차(13a)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부분 치차(12a)와 치차(13a)의 맞물림이 해제되어도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는 역시 주축(12)가 갖는 브레이크력, 즉 30kgf·mm·s-1이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아암(3)을 본체(1)에 대해 105° 개방된 상태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세 개의 축(12·13·14)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주축(12)의 부분 치차(12a)의 타단부가 축(14)의 치차(14a)와 맞물리고, 그 이후에는 제8(c)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이르기까지 주축(12)의 c방향으로 종동하여 축(14)는 b방향으로 회전한다. 축(14)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일방 클러치가 결합되어 4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는 주축(12) 및 축(14)가 각각 브레이크력의 합려인 7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또 여기서는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브레이크 변화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펜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에 있어서도 연결 아암(3)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의 이행시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력이 변화한다.
제14도에 연결 아암(3)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연결 아암(3)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연결 아암(3)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 아암(3)이 수납 상태로부터 105°회전하는 동안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이 작으므로(30kgf·mm·s-1), 입력 표시부(2)를 개방할 때의 부담이 가벼워진다. 한편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각도 미세 조정이 필요한 범위(105°내지 145°)에서는 회전 동작에 대한 브레이크력이 커지므로(70kgf·mm·s-1), 각도 미세 조정을 행하기 쉽다. 또 이 범위에서는 입력 표시부(2)의 흔들림이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제9(a)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연결 아암(3)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12)가 e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종동하여 축(14)가 a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는 축(14)가 자유 상태로 되므로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는 주축(12)이 갖는 브레이크력, 즉 3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그 다음 연결 아암(3)이 더욱 e방향으로 회전하면 주축(12)의 부분 치차(12a)와 축(14)의 치차(14a)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연결 아암(3)의 회전시에 역시 주축(12)이 갖는 브레이크력, 즉 3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연결 아암(3)과의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는 위치까지 연결 아암(3)을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12)의 부분 치차(12a)의 일단부가 축(13)의 치차(13a)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제9(c)도에 도시한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사이는 주축(12)의 회전에 종동하여 축(13)이 f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축(13)의 회전에 종동하여 축(14)가 b방향으로 회전한다. 축(14)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일방 클러치가 결합되고 또 4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동안에 행해지는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는 주축(12) 및 축(14)가 각각 갖는 브레이크력의 합력인 70kgf·mm·s-1의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여기서는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의 이행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의 이행시에도 연결 아암(3)은 폐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같은 브레이크 공률로 브레이크력이 작용한다.
제15도에 연결 아암(3)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아암(3)의 회전 범위와 브레이크 공률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연결 아암(3)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본체(1)과 연결 아암(3)이 이루는 각도가 45°로 되기까지는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대해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이 작으므로(30kgf·mm·s-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 또는 수납 상태로 이행할 때의 부담이 가벼워진다. 또 본체(1)와 연결 아암(3)이 이루는 각도가 45°보다 작아지면, 회전시의 브레이크력이 커지므로(70kgf·mm·s-1),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격돌하는 일이 없으며, 입력 표시부(20나 본체(1)에 걸리는 충격은 적다.
또 제16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아암(3)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연결 아암(3)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하는 브레이크 공률의 변화를 정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아암(3)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의해 복잡하게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키고 있으나,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키는 타이밍 및 그 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연결 아암(3)의 회전 방향에 의해 회전시의 브레이크력이 변화하도록 예를 들면 연결 아암(3)의 개방 방향의 회전시 쪽이 폐쇄 방향의 회전시보다도 브레이크력이 작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수납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를 개방할 때는 브레이크력이 커지므로 조작이 간단하다. 또 입력 표시부(2)를 폐쇄할 때는 브레이크력이 커지므로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격돌하는 일은 없고 입력 표시부(2)나 본체(1)에 걸리는 충격은 작다.
그런데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통상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 조작부(4)의 높이는 본체 캐비넷(1b)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설정되어 있다. 즉 입력 키(4a…)의 상단부는 본체 캐비넷(1b)의 상단면 보다도 도면중 h로 도시한 만큼만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에 입력 표시부(2)를 이동시키면 입력 표시부(2)의 단부가 입력 키(4a…)와 접촉하고 키 입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제17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 조작자에 의한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입력 표시부(2)가 경사져서 입력 표시부(2)의 단부(2b)가 우선 본체(1)에 접촉한다. 예를 들면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입력 표시부(2)의 연부가 대략 동시에 본체(1)에 접촉하므로, 입력 키(4a…)의 상단부가 본체 캐비넷(1b)에 의해 돌출되어 있어도 문제는 없다. 그러나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의 단부(2b)가 입력 키(4a…)와 접촉하여 키 입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넷(1b)에 있어서의 키 입력 조작부(4)양측에 키 입력 조작부(4)의 입력 키(4a…)보다도 높이가 높은 날밑부(간격 규제 수단)(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날밑부(1c)는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 입력 표시부(2)와 키 입력 조작부(4)가 소정 이상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입력 표시부(2)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로써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 쓸데 없는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본체 캐비넷(1b)에 말밑부(1c)를 형성하는 댄에 입력 표시부(2)의 배면의 양측 단부(적어도 단두(2b)의 양측)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의 입력 표시부(2)와 키 입력 조작부(4)의 간극을 규제해도 좋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1(a)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21(b)도에 도시한 형태를 거쳐 제21(c)도의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이행을 행하는 경우 입력 표시부(2)는 연결 아암(3)에 대해 대략 180°회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입력 표시부(2)와 본체(1)을 연결 아암(3)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 처리 기구로서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성을 갖는 신호선으로서의 FPC(Flexibe Printed Circuit) 케이블(21)을 이용한 선 처리 기구(19)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선 처리 기구(19)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아암(3)에 있어서의 입력 표시부(2)측의 설치되어 있다. 이 선 처리 기구(19)는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2 힌지 기구(11)과 회전 중심이 일치하는 안내 축(안내 축 부재)(22)를 갖고 있다. 이 안내 축(22)에는 입력 표시부(2)측에 안내 부재(안내 축 연갤 부재)(2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23)의 단부는 제24(a)도 내지 제2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 축(22)는 지지 부재(25)에 의해 연결 아암(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 아암(3)이 단부에는 안내 축(22)가 180°회전할 수 있을 만한 구멍(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축(22) 및 안내 부재(23)에는 FPC케이블(21)을 관통하기 위한 제 1 관통 구멍(22a) 및 제 2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23a)가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FPC케이블(21)은 상기 관통 구멍(22a·23a)를 관통하여 입력 표시부(2)의 내부 및 연결 아암(3)의 캐비넷 내(내부 공간)로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 축(22)에 형성된 관통 구멍(22a)는 관통 구멍(23a)와의 연통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연결 아암(3)이 내부 공간 방향), 원효형으로 넓어지고 있다.
또 연결 아암(3)의 캐비넷 내에는 횡단면 장방형의 통형 카버 안내(24)가 설치되어 있으며, FPC케이블(21)은 카버 안내(24)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선 처리 기구(19)에는 상기 관통 구멍(22a)를 덮어 가리는 피복 부재로서의 카버 필름(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버 필름(26)을 설치함으로써, 연결 아암(3)이 구멍(3a) 및 상기 안내 축(22)의 관통 구멍(22a)로부터 FPC케이블(21)이 노출되고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버 필름(26)은 연결 아암(3)이나 입력 표시부(2)와 같은 색의 가요성을 갖는 필름이며, 안내 축(22)와 안내 부재(23)의 사이에 끼워져서 연결 아암(3)과 일체화 되어 있다. 이 카버 필름(26)은 연결 아암(3)의 캐비넷과 카버 안내(24)이 외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연결 아암(3)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공간 내를 미끄럼 이동한다.
또 제24(a)도 내지 제24(c)도는 정보 처리 장치가 각각 제21(a)도 내지 제21(c)도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선 처리 기구(19)에 의해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이 어떤 각도가 되어도 입력 표시부(2) 내부와 연결 아암(3) 내부와의 사이에 FPC 케이블(21)의 통로는 확보된다.
제2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인 경우 제2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케이블(21)은 대략 90°로 굴곡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FPC케이블(21)의 굴곡부는 안내 축(22)에 있어서의 원호형의 관통 구멍(22a)를 따라 굴곡되므로 급격히 굴곡하는 일은 없다. 제21(a)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3)에 대해 회전하고 제2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가 수직으로 된 경우 제2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의 회전에 수반하여 안내축(22)가 회전하므로 FPC케이블(21)은 거의 굴곡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또 제21(b)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3)에 대해 회전하고 제2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펜 입력 조작 상태로 된 경우 제24(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FPC케이블(21)은 키 입력 조작 상태일 때는 역방향으로 대략 90°굴곡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도 FPC케이블(21)은 굴곡부는 안내 축(22)의 원호형 관통 구멍(22a)를 따라서 굴곡하고 급격히 굴곡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혹은 그 역으로 상태가 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180°씩이나 변화하고 그에 수반하여 FPC케이블(21)의 굴곡이 행해져도 FPC케이블(21)은 급격히 굴곡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사용해도 단선이 생기기 어렵고 FPC케이블(2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카버 필름(26)에 의해 관통 구멍(22a)가 덮여 가려져 있으므로 상기 선 처리 기구(19)의 간극으로부터 FPC케이블(21)이 보이게 되는 일도 없고 외관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또 신호선으로서는 굴곡성을 구비한 것이라면 FPC케이블(21) 이외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FPC케이블(21)을 이용하는 쪽이 신호선을 통하기 위한 연결 아암(3)의 내부 공간이 작아지면 연결 아암(3)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로크 기구(7)에 의한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의 고정을 해제한 경우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3)에 대해 약 180°회전하면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에는 상기와 같은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입력 표시부(2)의 회전 오버를 방지하기 위한 회전 오버 장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오버 방지 기구는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아암(3)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스톱 레버(회전 범위 규제 부재)(33)과 이 스톱 레버(33)을 구동하는 레버 구동부(구동 수단)(35)를 갖고 있다. 스톱 레버(33)의 일단부는 연결 아암(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연결 아암(3)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 구동부(35)에 의해 스톱 레버(33)이 회전하고 스톱 레버의 타단부는 연결 아암(3)의 수납부로부터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2)가 도면중 B1방향으로 회전해도 연결 아암(3)이 돌출한 스톱 레버(33)의 타단부에 입력 표시부(2)의 배면이 맞닿는 곳까지만 입력 표시부(2)가 회전하게 된다. 이리하여 스톱 레버(33)은 입력 표시부의 회전 범위를 규제한다.
또 연결 아암(3)이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 레버(33)은 연결 아암(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던 타단부를 연결 아암(3)의 수납부에 수납하도록 레버 구동부(35)를 구동한다.
상기 레버 구동부(35)는 캠(31)과 각도 검지 봉(32)와 크랭크 축(34)를 구비하고 있다. 캠(31)은 본체(1)과 연결 아암(3)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기구(10)의 회전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각도 검지 봉(32)는 그 일단부를 상기 캠(31)의 표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연결 아암(3)의 캐비넷 내에 설치되어 있다. 각도 검지 봉(32)는 연결 아암(3)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그 일단부가 상기 캠(31)이 표면을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연결 아암(3)의 회전 각도를 검지한다. 크랭크 축(34)는 상기 각도 검지 봉(3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 축(34)는 상기 캠(31)의 회전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각도 검지 봉(32)이 길이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스톱 레버(33)을 회전시킨다.
상기 크랭크 축(34)에는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톱 레버(33, 33)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 축(34)의 양단부(34a, 34a)는 연결 아암(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1도는 연결 아암(3)을 회전시킨 때의 캠(31)과 각도 검지 봉(32)와 스톱 레버(33)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캠(31)은 연결 아암(3)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 아암(3) 내에 있는 각도 검지 봉(32)는 연결 아암(3)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각도 검지 봉(32)는 연결 아암(3)의 회전에 수반하여 캠(31)의 표면을 미끄럼 이동하고 제26도 내지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아암(3)내를 왕복 운동(요동)한다. 상기 크랭크 축(34)는 상기 각도 검지 봉(32)의 왕복 운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을 행하고 스톱 레버(33)을 대략 90°의 범위에서 회전 구동한다.
제30도는 연결 아암(3)의 동작에 따라서 변화하는 스톱 레버(33) 및 레버 구동부(35)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30도에 있어서 Y1상태는 제27도에 도시한 펜 입력 조작 상태, Y3의 상태는 제28도에 도시한 상태, Y5는 제26도에 도시한 키 입력 조작 상태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 Y2의 상태에 있어서 도면중 R방향으로 본 도면이 제31도이며, Y4상태에 있어서 도면 중 Q방향으로 본 도면이 제32도이다.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스톱 레버(33)은 연결 아암(3)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은 스톱 레버(33)에 의해 규제되는 일은 없다. 또 제28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아암(3)의 회전 각도가 커져서 키 입력 조작 상태에 가깝게 되고 스톱 레버(33)이 연결 아암(3)으로부터 돌출한다. 이에 의해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범위는 스톱 레버에 의해 규제되고 입력 표시부(2)는 필요 이상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2)를 B1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연결 아암(3)으로부터 돌출한 스톱 레버(33)에 입력 표시부(2)이 배면부가 맞닿아서 그 이상은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은 스톱 레버(33)에 의해 규제되고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입력 표시부(2)의 단부와 본체(1)이 충돌하여 파손 또는 고장을 일으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캠(31)과 각도 검지 봉(32)와 크랭크 축(34)를 구비한 구동부(35)에 의해 스톱 레버(33)를 구동하는 회전 오버 방지 기구가 이용되고 있으나 회전 오버 방지 기구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결 아암(3)의 회전에 수반하여 동작하는 기어나 밸트를 이용하여 상기 스톱 레버(33)을 구동하게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조작부(4)를 갖는 본체(1)과 입력 표시면(5)에 펜 입력 가능한 투명 태블릿을 갖는 입력 표시부(2)와, 상기 입력 표시부(2)를 본체(1)에 연결하는 연결 아암(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 아암(3)의 일단부는 제 1 힌지 기구(10)에 의해 본체(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입력 표시부(2)의 배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는 제 2 힌지 기구(11)에 의해 상기 연결 아암(3)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입력 표시부(2)의 입력 표시면(5)를 상기 본체(1)의 키 조작부(4)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수납 상태(제 1 도)와, 상기 입력 표시부(2)이 입력 표시면(5)를 보면서 키 조작부(4)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2)의 표시면(5)를 본체(1)의 키 조작부(4)에 대해 어느 정도 이상 개방하여 이루어지는 키 입력 조작 상태(제 2 도)와, 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키 조작부(4)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2)의 입력 표시면(5)를 상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펜 입력 조작 상태(제3도)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아암(3)의 단부는 제 2 힌지 기구(11)에 의해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일 때 입력 표시부(2)이 배면부는 연결 아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아암(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입력 표시부(2)의 회전점(지지점)이 그 배면부에 존재함으로 연결 아암(3)이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톱퍼로서 역할을 하고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범위를 180°이하로 규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2)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여 본체(1)의 키 조작부(4)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제21(a)도 및 제2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가 연결 부재에 맞닿아서 지지되므로 입력 표시부(2)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고 그들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입력 표시부(2)의 연결 아암(3)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는 로크 스프링(8)과 로크 앵글(9)로 이루어지는 로크 기구(7)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수납 사태와 키 입력 조작 상태 사이를 이행할 때는 연결 아암(3)과 입력 표시부(2)를 고정하에 일체적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으므로 회전 조작을 행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특히 상기 로크 기구(7)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2)의 하단부를 앞으로 끌어 당기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로크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즉 특별한 로크 해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 방향으로 입력 표시부(2)를 인장하는 것만으로(제17도 및 제21도 참조),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 치차(12a)를 갖는 주축(12), 치차(13a, 14a)를 갖는 축(13, 14)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력 가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력 가변 기구에 의해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연결 아암(3)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시와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 또는 수납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연결 아암(3)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회전동작에 대해 작용되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수납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를 개방할 때는 연결 아암(3)의 회전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이 작으므로 조작시의 부담이 가벼워진다. 한편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 또는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는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맞닿기 직전부터 연결 아암(3)의 회전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이 커진다. 따라서 연결 아암(3)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입력 표시부(2)나 본체(1)에 걸리는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 아암(3)의 개방 방향과 폐쇄 방향의 회전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개방 방향이 회전중 및 폐쇄 방향의 회전중에 있어서도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개방 방향의 회전 중에는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각도 미세 조정이 필요한 범위(105°내지 145°)에서는 각도 미세 조정을 행하기 쉽도록 브레이크력을 크게 하고 있다. 또 폐쇄 방향의 회전 중에는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접근하기까지는 조작시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브레이크력을 작게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 있어서의 키 입력 조작부(4)의 양측에 키 입력 조작부(4)의 입력 키(4a…)보다도 높이가 높은 날밑부(1c)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날밑부가 설치됨으로써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 입력 표시부(2)와 상기 키 조작부(4)와의 간격이 항상 소정 간격 이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 입력 표시부(2)가 상기 키 입력 조작부(4)에 접촉하여 쓸데 없는 키 입력이 발생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 연결 아암(3)에는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과 입력 표시부(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FPC케이블(21)을 관통시키기 위한 내부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 2 힌지 기구(11)과 회전 중심이 일치하는 안내 축(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축(22)에는 사이 FPC케이블(21)을 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22a)와 이 안내 축(22)를 입력 표시부(2)이 배면부에 연결하는 안내 부재(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부재(23)에도 FPC케이블(21)을 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22a)는 연결 아암(3)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넓어져 있다.
제24(a)도 내지 제2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표시부(2)는 연결 아암(3)에 대해 약 180°범위에서 회전하므로 그에 수반하여 안내 축(22)도 회전한다. 이때 관통 구멍(22a, 23a)를 통하는 FPC케이블(21)은 약 90°로 굴곡하게 되지만 관통 구멍(22a)는 연결 아암(3)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넓어져 있으므로 FPC케이블(21)은 관통 구멍(22a)의 원호형 표면에 따라 굴곡하고 급격히 굴곡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용해도 FPC케이블(21)의 단선이 생기기 어렵고 장치의 장기적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또 안내 축(22)의 관통 구멍(22a)를 덮어 가리는 카버 필름(26)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22a)를 통하여 FPC케이블(21)이 보이는 일이 없고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 제26도 내지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에 맞닿음으로써 연결 아암(3)에 대한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톱 레버(33)과 스톱 레버(33)을 구동하는 레버 구동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동할 때의 연결 아암(3)의 개방 방향 회전시에 스톱 레버(33)은 연결 아암(3)의 수납부로부터 상기 입력 표시부(2)의 회전 궤도 내로 돌출한다. 한편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동할 때의 연결 아암(3)의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스톱 레버(33)은 상기 입력 표시부(2)의 회전 궤도 내로부터 물러나서 연결 아암(3)에 수납부에 수납된다.
이로써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는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이 스톱 레버(33)에 의해 규제되고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입력 표시부(2)의 단부와 본체(1)이 충돌하여 파손 또는 고장을 일으키는 사태가 회피한다.
또 펜 입력 조작 상태나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스톱 레버(33)이 연결 아암(3)의 수납부에 수납되므로 연결 아암(3)에 대한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범위가 규제되는 일은 없고, 정상적인 펜 입력 조작 상태나 수납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33도 내지 제37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실시예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대략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 표시부가 이동함으로써 수납 상태,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제34(a)도 내지 제3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정보 처리 장치의 본체(1)과 입력 표시부(2)는 연결 아암(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아암(3)은 본체(1) 및 표시부(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본체에는 키 입력 조작부(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키 입력 조작부(4)는 제34(a)도에 도시한 수납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2)에 의해 덮이도록 되어 있다.
이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제34(a)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가 수납 상태, 제34(b)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가 키 입력 조작 상태 제34(c)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가 펜 입력 조작 상태이다.
그런데 상기 키 입력 조작 상태와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2)의 위치가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각 상태에 따라 각각 최적의 표시 전압이 있다. 또 펜 입력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두개의 상태에서는 태블릿 상에서의 좌표 오차가 생긴다. 또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키 입력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키 입력 조작부로부터의 신호가 발생하는 일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그 상태에 따라 키 입력 유효/무효의 제어 표시 전압의 제어 및 테블릿의 좌표 보정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 제어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계는 제어부(41)과 테블릿 제어부(43)과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과 전원 공급부(45)와 표시 전압 제어부(46)과 좌표 보정부(44)와 표시 위치 검출부(48)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1)은 그 안에 CPU, ROM, RAM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기억부, 인쇄부 등을 포함하는 제어 중핵부이다. 키 입력 조작부(4)는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을 거쳐서 제어부(4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1)은 입력 표시부(2)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45)는 장치 전체의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제어부(41)에는 이 전원 공급부(45)로부터 전압 S4가 공급된다. 표시 전압 제어부(46)에는 이 전원 공급부(45)로부터 전압 S5가 공급된다.
위치 표시 검출부(48)은 입력 표시부(2)의 위치에 따라 ON/OFF가 전환되는 스위치를 갖고 있다. 이 스위치는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일 때 ON으로 되며, 정보 처리 장치가 펜 입력 조작 상태일 때 OFF로 된다. 표시 위치 검출부(48)은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 표시 전압 제어부(46) 및 좌표 보정부(44)에 이 스위치의 ON/OFF를 표시하는 신호 S1을 입력한다.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은 이 신호 S1에 따라 키 입력 조작부(4)로부터 신호 S2가 유효인지 혹은 무효인지를 판정한다. 즉 S1이 ON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키 입력 조작부(4)로부터의 신호 S2를 유효로 하여 신호 S3을 제어부(41)에 입력한다. 한편 S1이 OFF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S2를 무효로 하여 신호 S3를 제어부(41)에 입력한다.
표시 전압 제어부(46)은 상기 표시 위치 검출부(48)로부터의 신호 S1이 ON인지 혹은 OFF인지에 의해 각 상태에 따른 최적의 표시 상태가 얻어지도록 입력 표시부(2)에 인가하는 표시 전압 S6를 제어한다.
태블릿(5a)와 펜(6)을 이용한 입력을 행할 때 정보 처리 장치의 상태가 다르면 인식되는 좌표가 달라지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펜 입력을 행하는 경우에는 좌표 보정이 필요하다. 좌표 보정을 행하기 위한 데이타에는 키 입력 조작 상태일 때 사용하는 좌표 보정 데이타 A와 펜 입력 조작 상태일 때 사용하는 좌표 보정 데이타 B가 있다. 좌표 보정부(44)는 표시 위치 검출부(48)로부터의 신호 S1이 ON인지 혹은 OFF인지에 따라서 좌표 보정 데이타 A인 신호 S11 혹은 좌표 보정 데이타 B인 신호 S12 어느 쪽을 선택할지를 결정한다.
또 이 좌표 보정부(44)에는 태블릿 기능의 제어를 행하는 태블릿 제어부(43)이 접속되어 있다. 이 태블릿 제어부(43)에는 태블릿(5a)로부터의 신호 S8과 펜(6)으로부터의 신호 S9이 입력되어 있다. 태블릿 제어부(43)은 이들 신호 S8, S9를 기초로 하여 좌표 보정부(44)에 신호 S10을 입력한다. 상기 좌표 보정부(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S1을 기초로 하여 S11 혹은 S12의 어느 것을 선택하고 신호 S10의 보정을 행하여 제어부(41)에 신호 S13을 입력한다. 이 신호 S13을 기초로 하여 제어부(41)은 신호 S7을 입력 표시부(2)에 입력하고 정보 처리 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의 보정을 행한다.
다시 말해서 정보 처리 장치의 상태가 키 입력 상태인 경우 표시 위치 검출부(48)에 설치된 스위치는 ON으로 되어 있으며, 그 신호 S1은 좌표 보정부(44)와 표시 전압 제어부(46)과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좌표 보정부(44)는 키 입력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좌표 보정 데이타 A인 신호 S11을 선택하여 태블릿 제어부(43)으로부터의 신호 S10을 보정하고 신호 S13으로서 제어부(41)에 입력한다. 표시 전압 제어부(46)에서는 키 입력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전압 S6를 입력 표시부(2)에 인가한다.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에서는 키 입력 조작부(4)로부터의 신호 S2를 유효로 하여 신호 S3을 제어부(41)에 입력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의 상태가 펜 입력인 경우,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스위치는 OFF로 되어 있으며 그 신호 S1은 좌표 보정부(44)와 표시 전압 제어부(46)과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좌표 보정부(44)는 펜 입력 조작 상태에 대응한 좌표 보정 데이타 B인 신호 S12를 선택하여 태블릿 제어부(43)으로부터의 신호 S10을 보정하고 신호 S13으로서 제어부(41)에 입력한다. 표시 전압 제어부(46)은 펜 입력 조작 상태에 대응한 표시 전압 S6를 입력 표시부(2)에 인가한다.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은 키 입력 조작부(4)로부터의 신호 S2를 무효로 하여 신호 S3을 제어부(41)에 입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키 입력, 펜 입력 상태에 적응한 조건에서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얻어진다.
또 좌표 보정 데이타 A와 좌표 보정 데이타 B는 본 실시예에서는 독립한 테이블을 표시하고 있으나 신호 S1에서 개개의 데이타를 계산하도록 계산식으로 차별화할 수도 있다. 또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조건에 따라서는 단일 신호 S1이 아니라 복수의 신호에 의해 개개의 상태에 맞춘 선택 조건을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4(a)도는 수납 상태로부터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입력 표시부(2)가 이동하는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즉 입력 표시부(2)는 수납 상태인 X1으로부터 X2를 거쳐 X3으로 이동하고 키 입력 조작 상태로 된다.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의 입력 표시부(2)의 이동은 제34(b)도 내지 제34(c)도에 도시된다. 우선 입력 표시부(2)를 입력 조작 상태인 X3로부터 X4그리고 X5로 서서히 키 입력 조작부(4)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X6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가 키 입력 조작부(4)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또 입력 표시면(5)가 상방을 향하도록 X7로 표시한 입력 조작 상태로 입력 표시부(2)를 이동시킨다.
제35(a)도는 제34(a)도 내지 제34(c)도에 도시한 입력 표시부(2)의 각 상태 X1내지 X7에 대응시켜서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 아암(3)은 입력 표시부(2)에 대해 약 180°의 회전 궤적을 갖고 변화한다. 이 때문에 상기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스위치로서 제3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에 접한 때 ON으로 되도록 연결 아암(3)의 내에 스위치 SW를 설치한다. 이 스위치 SW는 연결 아암(3)이 X1내지 X3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ON으로 된다. 한편 연결 아암(3)이 X4내지 X7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스위치 SW가 OFF로 된다.
이 스위치 SW의 ON/OFF를 기초로 하여 표시 위치 검출부(48)은 신호 S1을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 표시 전압 제어부(48) 및 좌표 보정부(44)에 입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스위치 SW를 연결 아암(3)의 내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체(1)의 키 입력 조작부(4)의 옆에 설치하거나 입력 표시부(2) 주위에 설치하거나 혹은 입력 표시부(2)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입력 표시부(2)이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부위의 상태를 검지하거나 혹은 입력 표시부(2)의 경사 방향을 검지하는 등으로 입력 표시부(2)의 상태를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불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키 입력 또는 펜 입력의 각각의 경우에 가동부 또는 고정부의 어느 것에 설치한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수광 소자에 의해 수광하여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
다음에 표시 전압 제어부(46)에 대해 설명한다.
제36(a)도 내지 제36(c)도는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 및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입력 표시면(5)과 사각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키 입력 조작 상태를 도시한 제36(a)도에 있어서 입력 표시면(5)의 상하 양단부에 도달하는 시선과 입력 표시면(5)가 이루는 각은 각각 『θu1』과 『θd1』이다. 한편 펜 입력 조작 상태를 도시한 제36(b)도에 있어서 입력 표시면(5)의 상하 양단부에 달하는 시선과 입력 표시면(5)가 이루는 각은 각각 『θu2』와 『θd2』이다. 제36(c)도는 이들의 각도 관계를 정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표시 위치를 변화시키면 입력 표시면(5)에 대한 시선이 각도가 크게 변화한다. 즉 키 입력 조작 상태와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조작자의 시각과 입력 표시면(5)와의 관계가 다르다. 이 때문에 입력 표시부(2)로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 어떤 상태에 있어서도 최적의 콘트라스트를 얻으려 하면 각 상태에 따라 표시 전압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표시 전압의 제어에는 상술한 연결 아암(3) 내에 설치된 스위치 SW(제35(b)도 참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스위치 SW가 ON이기 때문에 상기 표시 전압 제어부(46)으로부터 입력 표시부(2)에 대해 이에 맞춘 표시 전압 S6를 인가한다. 한편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스위치 SW가 OFF이기 때문에 표시 전압 제어부(46)으로부터 입력 표시부(2)에 대해 이에 맞춘 표시 전압 S6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입력 표시부(2)에 있어서 각각이 조작 상태에 최적의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고 어떤 상태에 있어서도 표시 품위를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좌표 보정부(44)에 대해 설명한다.
제37도는 태블릿(5a)를 갖는 입력 표시부(2)에 펜(6)을 댄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투명한 태블릿(5a)는 입력 표시면(5)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태블릿(5a)의 표면에는 또 보호판(5b)가 적층되어 있다.
펜(6)의 선단부가 상기 보호판(5b) 상의 점 P1에 접촉한 경우, 이 점 P1을 통과하는 시선 α의 연장선은 점 P22를 통과하여 태블릿(5a)과 교차하고 점 P32를 통과하여 입력 표시면(5)와 교차한다. 한편 점 P1을 통과하는 시선 β의 연장선은 점 P21을 통하여 태블릿(5a)와 교차하고 점 P31을 통과하여 입력 표시면(5)와 교차한다. 즉 펜(6)이 보호판(5b) 상에서 같은 위치에 접촉했다 해도 시선의 각도가 바뀌면 조작자가 의도하는 입력 표시면(5) 상의 위치는 달라지게 된다.
또 입력 표시부(2)이 구조에 따라서는 태블릿과 입력 표시면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있으나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시선의 각도가 다르면 보호판(5b) 상에서 펜(6)이 접촉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표시면(5) 상의 좌표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입력 표시부(2)에 표시된 내용을 보면서 펜 입력을 행하는 경우 실제로 펜(6)이 보호판(5b)에 닿은 점 P1과 목적하는 좌표가 다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태블릿(5a)와 펜(6)을 이용한 입력을 행하는 경우 조작자와 입력 표시부(2)의 위치 관계가 같아도 입력 표시면(5) 상의 위치에 따라서 시선이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좌표의 위치에 따라서 물리적 좌표 오차에 맞춘 보정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키 입력 조작 상태와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양 쪽의 상태에서 각각 펜 입력을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발행하는 좌표 오차가 각 조작 상태에서 다르다. 따라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각 조작 상태에 대응시켜서 좌표 보정 데이타 A와 좌표 보정 데이타 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데이타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는 상기 좌표 위치 검출부(4)의 스위치(48)로부터의 스위치 SW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즉 좌표 보정부(44)는 표시 위치 검출부(48)로부터의 신호 S1이 키 입력 조작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좌표 보정 데이타 A를 선택하여 입력된 좌표를 보정하고 제어부(41)에 입력한다. 한편 표시 위치 검출부(48)로부터 신호 S1이 펜 입력 조작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좌표 보정부(44)는 좌표 보정 데이타 B를 선택하여 입력된 좌표를 보정한다.
이와 같이 표시 위의 검출부(48)에서 검출한 조작 상태를 이용해서 각각의 조작 상태에 대응한 좌표 오차가 간단하게 계산가능하게 하고 태블릿 입력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키 입력 조작부(4)는 입력 표시부(2)에 덮여 있으며 통상 키 입력 조작부(4)로부터의 입력은 행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입력 표시부(2)와 키 입력 조작부(4)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든 경우에는 이 물질에 의해 키 입력이 행해지고 에러 발생 등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에는 상기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이 설치되어 있다.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에서 행해지는 입력 유효/무효 판정에도 상기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스위치 SW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 SW에 의해 펜 입력 조작 상태임이 검출된 경우에는 키 입력이 있어도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에 의해 그 키 입력을 무효로 하면 키 입력의 오동작을 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에는 표시 위치 검출부(4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정보 처리 장치가 키 입력 조작 상태 혹은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정보 처리 장치에는 표시 전압 제어부(46)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각 조작 상태에 따라서 입력 표시부(2)에 인가하는 표시 전압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어떤 조작 상태에 있어서도 양호한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정보 처리 장치에는 좌표 보정부(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좌표 보정부(44)는 상기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각 조작 상태에 대응한 좌표 보정 데이타를 이용하여 태블릿(5a)로부터 입력된 좌표를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키 입력 조작 상태 혹은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어느 상태로부터 펜 입력을 행해도 정확한 좌표가 인식되고 태블릿 입력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정보 처리 장치에는 키 입력 유효/무효 판정부(4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시 위치 검출부(48)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정보 처리 장치가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키 입력을 무효로 한다. 이에 의해 오입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되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 2 도, 제 3 도, 제20도, 제38도 내지 제49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제38(a)도 및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를 가로로 긴 상태(이하, 이 상태의 도면을 가로 화면이라 칭한다)로부터 세로로 긴 상태(이하 이 상태의 화면을 세로 화면이라 칭한다)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본체(1)와 입력 표시부(2)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이용되고 있던 연결 아암(3)과는 형상이 다른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 아암(51)을 이용하고 있다. 또 연결 아암(51)과 입력 표시부(2)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도 상기 실시예 1과는 다른 것이다.
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본체(1), 입력 표시부(2), 키 입력 조작부(4) 및 본체(1)과 연결 아암(51)을 연결하는 제1 힌지 기구(10)은 상기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구성이다.
상기 연결 아암(51)이 일단부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힌지 기구(10)에 의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인 연결 아암(51)은 회전 중심 A를 중심으로 본체(1)에 대해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결 아암(51)의 타단부는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힌지 기구(52) 및 표시 회전 기구(표시 회전 수단)(53)에 의해 입력 표시부(2)에 있어서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입력 표시부(2)에 대한 연결 아암(51)의 부착 위치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표시 회전 기구(53)은 제41(a)도 내지 제4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54)와베이스부(55)와 원판부(5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암부(54)는 연결 아암(51)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부(55)는 입력 표시부(2)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판부(56)은 상기 베이스부(55)와 아암부(5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원판부(56)과 아암부(54)는 제2 힌지 기구(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암부(54)는 원판부(56)에 대해 회전 중심 B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원판부(56)에는 베이스부(55)가 회전축(5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베이스부(55)는 원판부(56)에 대해 회전 중심 C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아암부(54)이 회전축과 베이스부(55)의 회전축은 수직인 관계에 있다.
이와같이 베이스부(55)가 고정되어 있는 입력 표시부(2)는 아암부(54)가 고정되어 있는 연결 아암(51)에 대해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 B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동시에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 C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 본 발명의 이동 수단은 제1 힌지 기구(10)과 제2힌지 기구(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이하에 도시한 ① 내지 ⑥의 여섯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①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의 입력 표시면(5)를 본체(1)의 키 입력 조작부(4)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수납 상태.
②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화면으로 한 입력 표시면(5)를 보면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제1키 입력 조작 상태(제1 입력 조작 상태)
③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면(5)를 가로 화면으로 하여 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제1펜 입력 조작 상태(제2입력 조작 상태)
④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화면으로 한 입력 표시면(5)를 보면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제3 입력 조작 상태)
⑤ 제4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면(5)를 세로 화면으로 하여 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제2펜 입력 조작 상태(제4 입력 조작 상태)
⑥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면(5)를 본체(1)의 후방으로 향한 후방 표시 상태.
상기 ① 내지 ⑥에 제시한 각 상태로의 상태 이행을 설명한다.
우선 수납 상태인 ①의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의 전방단축으로 하여금 본체(1)에 대해 입력 표시부(2)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인 ②의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또 ②의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의 하단부를 앞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제1 펜 입력조작 상태인 ③의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또 ②의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를 C1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인 ④의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그리고 ②의 상태로부터 ③의 상태로 이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인 ④이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의 하단부를 앞으로 당김으로써 제2 펜 입력 조작 상태인 ⑤의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또 ③의 제1펜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를 C1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⑤의 제2펜 입력 조작 상태로도 이행할 수 있다.
또 ②의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회전 중심 C를 중심으로 하여 180˚ 입력 표시부(2)를 회전시킴으로써 입력 표시면(5)의 상하를 반전시키고 또 입력 표시부(2)를 회전 중심 B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입력 표시면(5)를 장치 후방을 향하여 후방 표시 상태인 ⑥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입력 표시부(2)의 배면을 제2 힌지 기구(52)와 표시 회전 기구(53)에 의해 연결 아암(51)의 일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입력 표시부(2)를 연결 아암(51)에 대해 회전 중심 B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뿐 아니라 회전 중심 C를 중심으로 하여 입력 표시부(2)를 C1방향 및 C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한 실시예 1에 있어서도 실행 가능하였던 가로 화면을 보면서 행하는 키 입력 조작 및 펜 입력 조작에다가 세로 화면을 보면서 행하는 키 입력 조작 및 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화면에서는 A4사이즈의 용지를 세로로 길게 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1페이지 분에 해당하는 전체 데이타를 표시할 수 없었으나 세로 화면으로는 상기 전체 데이타가 동시에 표시 가능해지므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회전 기구(53)을 이용함으로써 입력 표시부(2)가 세로 화면으로 되어있는 상태에서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펜 입력 조작 상태의 양방의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나 키 입력 조작 상태의 경우만 세로 화면으로 되고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가로 화면 밖에 사용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입력 표시부(2)를 연결 아암(51)이 선단부에 회전축(57)에 의해 직접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별도의 기구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1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입력 표시부(2)를 표시 회전 기구(53)을 이용하여 연결 아암(51)에 부착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한 후방 표시 상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입력 표시면(5)를 본체(1)의 후방으로 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입력 표시면(5)를 보는 위치는 본체(1)의 정면측에 한하지 않고 본체(1)의 후방으로부터도 입력 표시면(5)를 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연결 아암(51)이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가 회전 중심 B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 연결 아암(51)이 스톱퍼로서 작용한다. 즉 입력 표시부(2)가 상기 회전을 행할 때 배면부가 연결 아암(51)에 맞닿으므로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범위가 180˚이하로 규제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제42도에 도시한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가 연결 아암(51)에 맞닿아서 지지되고 제40도에 도시한 B2방향으로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입력 표시부(2)이 배면부가 연결 아암(51)에 지지되므로 입력 표시부(2)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없고 이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제3도에 도시한 제1 펜 입력 조작 상태 및 제43도에 도시한 제2 펜 입력 조작 상태에서도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가 연결 아암(51)에 맞닿아서 지지되고 제40도에 도시한 B2방향의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경우도 입력 표시부(2)의 배면부가 연결 아암(51)에 지지되므로 입력 표시부(2)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고 이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런데 본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입력 표시부(2)의 회전 중심 C는 제3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를 가로 화면으로 한 때 회전 중심 C로부터 입력 표시부(2)의 하단까지는 L과 회전 중심 C로부터 입력 표시부(2)의 상단까지의 거리 M 같아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를 세로 화면으로 한 때 상기 회전 중심 C는 회전 중심 C로부터 입력 표시부(2)의 하단까지의 거리 N과 상기 거리 L·M이 같아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가로 화면으로 한 경우에는 제3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 C는 입력 표시부(2)의 중심보다도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서술한 회전 중심 C의 위치는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의 설정이며, 입력 표시부(2)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에는 가로 화면의 상태에서 회전 중심 C는 입력 표시부(2)의 중심보다도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L=N이 되도록 회전 중심 C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입력 표시부(2)에 대해 연결 아암(51)을 고정하는 위치가 가로 화면 및 세로 화면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해진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를 연결 아암(51)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51)이 사이에 로크 기구(61)(제40도 참조)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로 화면 및 세로 화면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이 로크 기구(61)을 공용할 수 있다. 또 본체(1)의 캐비넷으로 입력 표시부(2)의 캐비넷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고정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도 그들의 위치 맞추기가 용이해진다.
또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 C로부터 본체(1)까지의 거리를 H라 하면 이 거리 H는 입력 표시부(2)가 어떤 상태(가로 화면, 세로 화면, 혹은 회전 중)에 있어도 항상 일정하다. 입력 표시부(2)의 단부가 본체(1)에 가장 접근하는 것은 가로 화면의 상태로부터 입력 표시부(2)를 45˚ 회전시킨 때이므로 HL가 되는 위치에 회전 중심 C을 설정하면 입력 표시부(2)를 회전시킬 때 입력 표시부(2)가 본체(1)이 캐비넷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체(1)의 좌우 양단부에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밑부(1c)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L=M=N이 되도록 회전 중심 C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1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시킬 때 뿐만 아니라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2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시킬 때에 있어서도 입력 표시부(2)의 단부는 우선 상기 날밑부(1c)에 맞닿는다. 즉 상기 말밑부(1c)에 의해 입력부(2)와 키 조작부(4) 사이의 간극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 이행을 행할 때 입력 표시부(2)의 단부가 입력 조작부(4)에 접촉하기 키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회전 중심 C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펜 입력 조작상태에서는 본체(1)의 캐비넷의 전방단 부분에 의해 입력 표시부(2)의 일단부가 안정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키 입력 조작부(4)에의 입력 표시부(2)의 접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도 입력 표시부(2)의 일단부는 본체(1)의 캐비넷의 전단 부분에 의해 지지되므로 키 입력 표시부(4)에의 입력 표시부(2)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통상 이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는 본체(1)의 후방측에 프린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제2 펜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도 본체(1)의 후방측의 프린터의 인자 부분(60)이 조작자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중심 C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자시에 인자 개시 위치의 위치 결정 등을 행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인자 상황, 인자 결과 등을 확인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정보 처리 장치에는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표시부(2)의 회전 각도를 90˚마다 규제하는 회전각 규제 기구(회전각 규제 수단)(5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각 규제 기구(58)은 상기 표시 회전 기구(53)에 있어서의 원팡부(56)과 입력 표시부(2)의 배면에 설치된 고정 기구(59)로 구성되어 있다. 원판부(56)에는 90˚ 간격으로 절결부(56a, 56c, 56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 기구(59)는 고정 갈고리(59a), 코일 스프링(59b)와 안내(59c)와 슬라이드 손잡이(59d)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갈고리(59)는 코일 스프링(59b)에 의해 원판부(56)을 향해 가압하고 있으며 입력 표시부(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절결부(56a, 56b, 56c, 56d)의 어느것인가와 결합한다. 고정 갈고리(59a) 및 코일 스프링(59b)는 안내(59c)에 의해 이동 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슬라이드 손잡이(59d), 고정 갈고리(59a)를 코일 스프링(59b)의 방향으로 밀어 내려서 고정 갈고리(59a)와 절결부(56a, 56b, 56c, 56d)의 결합을 해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고정 갈고리(59a)와 상기 원판부(56)의 절결부(56a, 56b, 56c, 56d)의 어느 것인가와 결합하게 됨으로써 입력 표시부(2)의 연결 아암(51)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고 양자가 고정된다.
제46도에 있어서 실선은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의 입력 표시부(2)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고정 갈고리(59a)가 원판부(56)의 절결(56a)와 결합하고 있으며 이 위치에서 입력 표시부(2)는 회전각 규제 기구(58)을 거쳐서 연결 아암(5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하려면 우선 슬라이드 손잡이(59d)를 일단 밀어 내려서 고정 갈고리(59a)와 절결(56a)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로써 입력 표시부(2)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 표시부(2)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90˚회전시키면 고정 기구(59)가 절결부(56b)의 위치에 도달하고 코일 스프링(59b)으로 가압된 고정 갈고리(59a)가 절결부(56b)에 결합한다. 이로써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로 되며 입력 표시부(2)는 이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회전각 규제 기구(58)을 설치하여 입력 표시부(2)가 어중간한 상태에서 연결 아암(51)에 고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입력 표시면(5)가 가로 화면으로 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도 입력 표시면(5)가 세로 화면으로 된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에서도 입력 표시부(2)가 똑바로 위치하고 표시면(5)가 어중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 부터 제1 펜 입력 조작 상태로의 상태 이행, 및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2 키 펜 입력 조작 상태로의 상태 이행을 행할 때 입력 표시부(2)의 종횡의 기준선이 본체(1)의 전후 방향의 기준선에 대해 항상 평행한 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이행 중에 입력 표시부(2)가 흔들리는 일이 없고 상태 이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2)의 연결 아암(51)에의 고정 및 고정의 해제가 가능한 로크 기구(로크 수단)(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61)은 입력 표시부(2)에 설치된 로크 스프링(62)와 연결 아암(51)에 설치된 로크 갈고리(고정부)(63)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40도는 입력 표시부(2)이 연결 아암(51)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4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스프링(62)에는 입력 표시부(2)로 로크 스프링(6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로크 스프링(62)에는 이 고정부(62a)로부터 두 개의 스프링부(62b, 62b)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부(62b, 62b)에 의해 걸림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갈고리(63)은 연결 아암(51)에 로크 갈고리(6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3a)와 상기 로크 스프링(62)의 걸림부(62c)가 결합되는 걸림 받침부(63b)를 갖고 있다. 걸림 받침부(63b)는 나사머리형의 선단부를 갖고 있으며, 이 선단부가 상기 걸림부(62c)에 결합한다.
본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연결 아암(51)의 하단측에 로크 갈고리(63)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입력 표시부(2)의 배면측에는 입력 표시부(2)가 가로 화면의 상태에서 상기 로크 갈고리(63)에 대응하는 위치와 세로 화면의 상태에서 각 로크 갈고리(63)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크 스프링(62)가 부착되어 있다. 즉 하나의 로크 갈고리(63)을 가로 화면 및 세로 화면의 어느 표시 상태에 있어서도 공용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연결 아암(51)에 로크 갈고리(63)이 두 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아울러 입력 표시부(2)에는 가로 화면 및 세로 화면에 대해서 각각 두개씩 합계 네 개의 로크 스프링(62)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도에 도시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 또는 제42도에 도시한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입력 표시부(2)의 하단부를 앞으로 끌어 당기면(즉, 회전 중심 B를 중심으로 하여 입력 표시부(2)를 연결 아암(51)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47(a)도에 도시한 고정 상태로부터 로크 스프링(62)가 휘어져서 걸림부(62c)가 로크 갈고리(63)의 걸림 받침부(63b)로부터 벗어나고 입력 표시부(2)의 연결 아암(51)에의 고정이 해제된다. 반대로 제47(b)에 도시한 해제 상태로 부터 입력 표시부(2)를 연결 아암(51)로 밀어 붙이면 로크 스프링(62)가 휘어져서 걸림부(62c)에 걸림 받침부(63b)가 들어간다. 이로써 걸림부(62c)와 걸림 받침부(63b)가 결합하여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5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입력 표시부(2)를 연결 아암(51)에 고정시키는 로크 기구(61)을 설치하면 수납 상태로부터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 이행할 때는 연결 아암(51)과 입력 표시부(2)가 고정 상태에 있으며, 매우 회전 조작을 행하기가 쉽다. 또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는 이 로크 기구(61)에 의해 입력 표시부(2)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 및 제2 키 입력조작 상태에서의 입력 표시부(2)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 로크 기구(61)의 해제는 입력 표시부(2)의 하단부를 앞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으므로 원활히 상태 이행을 행할 수 있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 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하나의 로크 갈고리(63)을 입력 표시부(2)의 가로 화면 및 세로화면에 있어서 공용하고 있으므로 각각에 다른 로크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간단한 구성으로 된다.
또 본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로크 기구(61)에 의한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51)의 고정을 해제하지 않아도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제4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크 안내 기구(로크 수단)(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안내 기구(64)는 상기 로크 기구(61)의 로크 갈고리(63)과 이 로크 갈고리(63)의 걸림 반침부(63b)의 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해 입력 표시부(2)에 설치된 로크 안내 홈(2c)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 표시부(2)가 회전할 때에는 이 로크 홈(2b)에 따라 상기 로크 갈고리(63)의 선단부가 안내된다. 상기 로그 기구(61)에 있어서의 로크 스프링(62)는 이 로크 안내 홈(2c)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입력 표시부(2)에 설치된 합계 네 개의 로크 스프링(62)를 구별하기 위해 이들 로크 스프링에 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62e, 62f, 62g, 62h를 부호를 부기하고 있다.
이로써 로크 기구(61)에 의한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5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도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도에 도시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51)에 밀어 붙여지면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스프링(62)에 의해 로크 갈고리(63)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4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갈고리(63, 63)은 로크 스프링(62e, 62f)에 의해 각각 걸리고 입력 표시부(2)가 연결 아암(51)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 표시부(2)를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세로 화면으로 하면 입력 표시부(2)의 로크 안내 홈(2c)에 상기 로크 갈고리(63)의 선단부가 안내되고 이 로크 기구(6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도 제42도에 도시한 제2 키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는 제48도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스프링(62g, 62h)(가로 화면에서의 로크 스프링(62e, 62f)의 위치와 일치)에 로크 갈고리(63, 62)이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는 입력 표시부(2)를 끌어 당김으로써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51)이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크 안내 기구(64)를 설치함으로써 입력 표시부(2)의 고정 상태를 의식하지 않고 입력 표시부(2)의 가로 화면으로부터 세로 화면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입력 표시부(2)의 고정의 해제는 어중간한 각도에서 행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이에 의해서는 조작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로크 안내 기구(64)를 설치함으로써 입력 표시부(2)의 회전 조작이 안정되고 전술한 회전 각도 규제 기구(14)의 기능이 보다 유효해진다.
또 이와 같이 로크 갈고리(63)을 공용하고 로크 안내 기구(64)를 설치하는 데는 상술한 바와 같이 L=M=N으로 되도록 입력 표시부(2)의 회전 중심 C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는 처리하고 있는 데이타의 용지 사이즈에 따라서 입력 표시부(2)를 세로 화면으로 하거나 가로 화면으로 하거나를 선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A4사이즈의 용지를 가로로 길게 이용하는 경우 등 한 페이지의 행수가 많은 경우에는 입력 표시면(5)가 가로 화면인 상태에서는 한 페이지 분량의 데이타를 한번에 표시할 수 없었다. 그러나 입력 표시면(5)를 세로 화면으로 하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행수가 증가하고 표시 가능한 범위라면 한 페이지 분량의 데이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페이지의 행수가 많은 데이타를 취급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입력 표시부(2)을 세로 화면으로부터 다시 90˚ 회전시키면 입력 표시부(2)는 상하 반전하게 되며, 이대로 입력 표시부(2)를 본체(1)의 후방측으로 향하면 본체(1)의 후방으로부터도 입력 표시부(2)를 볼 수 있게 된다.
또 본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어느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도 안정되게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입력 표시부(2)와 연결 아암(3)을 로크 기구(61)로 고정할 수 있다. 또 키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펜 입력 조작 상태로 이행할 때는 이 로크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할 필요는 없고 로크 안내 기구(64)에 의해 로크 기구를 고정 상태로 한 채 상기 상태 이행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기구를 설치함으로써도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 있어서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며 그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9)

  1.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터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입력 표시부의 배면을 지지시키고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입력 표시부의 배면을 지지시키고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으로 하여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세가지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표시부의 연결 부재에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는 로크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걸림 축과 이 걸림 축에 결합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입력 표시부 및 연결 부재의 어느 한 쪽에 걸림 쪽에 걸림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입력 조작 상태에서 본체에 대한 연결 부재의 경사 상태를 규제하는 경사규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본체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굴곡성 신호선과 상기 제2 힌지 수단과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안내 축 부재와 이 안내 축 부재를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연결하는 안내 축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 축 부재에는 상기 신호선을 관통하기 위해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넓어지는 제 1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축 연결 부재에는 상기 신호선을 관통하기 위해 상기 제1 관통 구멍과 옅통하는 제2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축 부재의 제1 관통 구멍을 덮어 가리는 피복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터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힌지 수단과, 본체에 대한 연결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 부재의 회전 동작에 대해 작용시키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가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어느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키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으로 배치한 제2 입력 조작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가변 수단은 연결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 동작에 대해 작용시키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키는 브레이크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력 가변 수단은 일방 클러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동 개방한 제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제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입력 조작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입력 표시부와 상기 키 조작부와의 간격을 규제하는 간격 규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규제 수단은 본체에 있어서의 입력 조작부의 양측에 키 입력 조작부보다 높이가 높아지도록 설치된 날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터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입력 조작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입력 표시부의 배면에 맞닿음으로써 연결 부재에 대한 입력 표시부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범위 규제 부재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입력 조작 상태 이행할 때의 상기 연결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회전 궤도 내로 이동하면 한편, 상기 제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입력 조작 상태 또는 수납 상태로 상태 이행할 때의 상기 연결 부재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회전 궤도 내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회전 범위 규제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입력 표시부의 회전 각도를 검지하는 각도 검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각도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입력 표시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 범위 규제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입력 표시부의 위치가 제1 입력 조작 상태 및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어느 쪽인지를 검출하는 표시 위치 검출 수단과 이 표시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제2 입력 조작 상태가 검출된 때에는 키 입력이 있어도 이를 무효로 판정하는 키 입력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본체와 입력 표시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연결 부재의 일단부는 입력 표시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표시 위치 검출수단은 연결 부재와 입력 표시부와 접촉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터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붕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입력 표시부의 위치가 제1 입력 조작 상태 및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어느 쪽인지를 검출하는 표시 위치 검출 수단과 이 표시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제1 입력 조작 상태와 제2 입력 조작 상태에서는 입력 표시부에 인가하는 표시 전압을 제어하는 표시 전압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본체와 입력 표시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연결 부재의 일단부는 입력 표시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표시 위치 검출 수단은 연결 부재와 입력 표시부와 접촉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세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입력 표시부의 위치가 제1 입력 조작 상태 및 제2 입력 조작 상태의 어느 쪽인지를 검출하는 표시 위치 검출 수단과 이 표시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데이타 입력 수단의 좌표 데이타 보정을 행하는 좌표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본체와 입력 표시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연결 부재의 일단부는 입력 표시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표시 위치 검출 수단은 연결 부재와 입력표시부가 접촉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0.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종횡의 길이가 다른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표시면의 종횡의 관계가 역으로 되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표시 회전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가로로 긴 상태에 있는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입력 조작 상태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 및 제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해 입력 표시부를 90˚ 회전시킨 세로로 긴 표시면을 보면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이상 개방한 제3 입력 조작 상태의 네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표시 회전 수단은 제2 힌지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 표시부의 회전측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2.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와 종횡의 길이가 다른 표시면에 데이타 입력 수단을 갖는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표시면의 종횡의 관계가 역으로 되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표시 회전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수납 상태와 가로로 긴 상태에 있는 표시면을 보면서 키 조작부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1 입력 조작 상태와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의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 배치한 제2 입력 조작 상태와 제1 입력 조작 상태로부터 상기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해 입력 표시부를 90˚ 회전시킨 세로로 긴 표시면을 보면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본체의 키 조작부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한 제3 입력 조작 상태 및 상기 제2 입력 조작 상태로 부터 상기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해 입력 표시부를 90˚ 회전시킨 세로로 긴 표시면을 보면서 상기 데이타 입력 수단에 의한 데이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키 조작부 상방에 상기 입력 표시부의 표시면을 상향으로 배치한 제4 입력 조작 상태의 다섯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표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 수단과 상기 입력 표시부의 배면부에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표시 회전 수단은 제2 힌지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 표시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입력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한 상기 입력 표시부의 회전 동작을 90˚마다 규제하는 회전각 규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입력 표시부에는 90˚마다 홈이 네 곳에 형성된 지지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 이 홈에 결합하여 입력 표시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표시부와 연결 부재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는 로크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제1 입력 조작 상태 및 제3 입력 조작 상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공용할 수 있도록 입력 표시부의 배면 및 연결 부재의 각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로크 수단에 의해 입력 표시부와 연결 부재를 고정한 채 입력 표시부가 가로로 긴 상태와 세로로 긴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로크 수단의 고정부를 입력 표시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안내하는 로크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표시 회전 수단에 의한 입력 표시부의 회전 중심에는 제1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입력 표시면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3 입력 조작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입력 표시부의 하단까지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입력 표시부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19940010451A 1993-05-14 1994-05-13 정보 처리 장치 KR0132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13025A JP2971286B2 (ja) 1993-05-14 1993-05-14 情報処理装置
JP93-113025 1993-05-14
JP18277993A JPH0736568A (ja) 1993-07-23 1993-07-23 情報処理装置
JP93-182779 1993-07-23
JP5310872A JP2895372B2 (ja) 1993-12-10 1993-12-10 情報処理装置
JP93-310872 1993-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751B1 true KR0132751B1 (ko) 1998-04-24

Family

ID=2731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451A KR0132751B1 (ko) 1993-05-14 1994-05-13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44543A (ko)
EP (1) EP0626632B1 (ko)
KR (1) KR0132751B1 (ko)
CN (1) CN1047672C (ko)
DE (1) DE6942560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518B (fi) * 1995-09-28 2004-04-30 Nokia Corp Päätelaite
US6151012A (en) * 1995-11-16 2000-11-21 Bullister; Edward Multifuncti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special housing
JP3222764B2 (ja) * 1996-05-17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971148A (en) * 1997-01-27 1999-10-26 Jackson; W. Shaun Luggage for nomadic computing
US6464195B1 (en) * 1997-12-04 2002-10-15 Raymond Hildebrandt Ergonomic mounting for computer screen displays
US6269948B1 (en) 1998-01-26 2001-08-07 W. Shaun Jackson Luggage for nomadic computing
EP0887724A1 (en) * 1998-03-17 1998-12-30 Hewlett-Packard Company Display apparatus
GB9904837D0 (en) * 1999-03-03 1999-04-28 Psion Computers Plc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lid
US7224373B1 (en) 2000-04-07 2007-05-29 Danger, Inc. Adjustable data processing display
US6653919B2 (en) * 2001-02-02 2003-11-25 Wistron Corp Magnetic closure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s
CA2371983A1 (en) * 2001-02-15 2002-08-15 Julian Bowron Flip display screen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354567B1 (ko) * 2001-04-24 2002-10-04 주식회사 에이터치 데이터 송수신 단말기 프로텍터
KR100907989B1 (ko) 2002-08-29 2009-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TW576537U (en) * 2002-10-04 2004-02-11 Quanta Comp Inc An open and close test apparatus for panel
US6903927B2 (en) 2002-12-17 2005-06-07 Nokia Corporation Conver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US7206196B2 (en) * 2003-09-15 2007-04-17 Intel Corporation Computer system with detachable display
US6980423B2 (en) * 2003-11-18 2005-12-27 Kabushiki Kaisha Toshiba Tablet interlocking mechanism
KR100630098B1 (ko) * 2004-02-20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FR2868651B1 (fr) * 2004-04-02 2006-06-30 Sagem Terminal multifonction avec articulation integrant un dispositif de prise de vue
KR100630956B1 (ko) 2004-08-1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JP2006157769A (ja) * 2004-12-01 2006-06-1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
TWI285305B (en) * 2005-11-07 2007-08-11 High Tech Comp Corp Auto-aligning and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JP2008078471A (ja) * 2006-09-22 2008-04-03 Fujitsu Ltd ケーブル配線構造、電子機器、その製造方法及びケーブル
TWI358737B (en) * 2007-11-02 2012-02-2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I385694B (zh) * 2007-11-07 2013-02-11 Htc Corp 可攜式電子裝置
TWI398753B (zh) * 2007-12-06 2013-06-11 Htc Corp 手持電子裝置
TWI454967B (zh) * 2008-07-16 2014-10-01 Htc Corp 電子裝置及其鍵盤模組
US8023256B2 (en) 2009-03-10 2011-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folding electronic device
EP2228972B1 (en) 2009-03-10 2012-08-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foldable electronic terminal
US20120011460A1 (en) * 2010-07-12 2012-01-12 Action Star Enterprise Co., Ltd. System capable of simulating variety of output/input devices
JP2011222025A (ja) * 2011-04-27 2011-11-04 Toshiba Tec Corp ハンディーターミナル
JP5342035B1 (ja) 2012-04-27 2013-11-1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9207712B1 (en) 2012-07-13 2015-12-08 Google Inc. Notebook computer with improved display positioning
TWI528883B (zh) * 2012-08-13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腦
JP6015268B2 (ja) * 2012-09-13 2016-10-26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電子情報ボードおよび電子機器
TWI510722B (zh) * 2012-12-10 2015-12-01 Acer Inc 連接機構
US9383777B1 (en) 2013-09-27 2016-07-05 Google Inc. Notebook computer with lid mounting for translational movement
US9372513B1 (en) 2013-09-27 2016-06-21 Google Inc. Coupling element for hinged electronic device
US9823631B1 (en) 2013-10-01 2017-11-21 Google Llc Notebook computer with motorized display positioning
JP6901342B2 (ja) * 2017-07-21 2021-07-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2438108B1 (ko) * 2017-11-10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13858B (zh) * 2020-09-30 2022-06-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轴机构及眼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5206A (en) * 1939-02-16 1940-08-23 John James Driscol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tches for the doors of cabinets, cupboards and forlike purposes
US2526539A (en) * 1949-02-08 1950-10-17 Stanley Works Door catch
US4267555A (en) * 1979-06-29 1981-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able raster scan display
US4542377A (en) * 1982-12-27 1985-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able display work station
JPS59169656U (ja) * 1983-04-26 1984-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用情報処理装置
JPH0827604B2 (ja) * 1986-06-18 1996-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システム
JPH066391Y2 (ja) * 1988-11-30 1994-02-16 株式会社東芝 表示部開閉検出機構
AU623762B2 (en) * 1989-04-24 1992-05-21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information equipment
US5238421A (en) * 1989-06-23 1993-08-24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apparatus having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display unit and base unit
EP0413607A3 (en) * 1989-08-18 1991-04-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en-type computer input device
JPH0390329U (ko) * 1989-12-29 1991-09-13
EP0454120A3 (en) * 1990-04-27 1992-12-30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comprising keyboard and coordinate input tablet
JPH04188213A (ja) * 1990-11-21 1992-07-0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H04188214A (ja) * 1990-11-21 1992-07-0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5202844A (en) * 1990-05-22 1993-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uter having integral type hand writing input/display device and keyboard
JP3102036B2 (ja) * 1990-12-19 2000-10-23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の支持機構
JPH04221989A (ja) * 1990-12-21 1992-08-12 Canon Inc 電子機器
US5329289A (en) * 1991-04-26 1994-07-12 Sharp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or with rotatable display
JP2680205B2 (ja) * 1991-04-26 1997-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206790A (en) * 1991-07-11 1993-04-27 Zeos International, Ltd. Pivot and swivel mechanism for lap top display
JPH0719186B2 (ja) * 1991-12-18 1995-03-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及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US5262759A (en) * 1992-07-27 1993-11-16 Cordata Incorporated Removable computer display interface
US5255214A (en) * 1992-09-11 1993-10-19 Ma Hsi Kuang Portable computer with a level and angular position adjustable LCD assembly
US5581440A (en) * 1992-09-18 1996-12-03 Ast Research, Inc. Rotatable bushing for reducing bending stress in electrical cable
JP2566732B2 (ja) * 1993-01-04 1996-12-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電子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44543A (en) 1998-12-01
EP0626632B1 (en) 2000-08-23
CN1047672C (zh) 1999-12-22
DE69425608D1 (de) 2000-09-28
DE69425608T2 (de) 2001-04-19
CN1098797A (zh) 1995-02-15
EP0626632A1 (en) 199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751B1 (ko) 정보 처리 장치
US20200264672A1 (en) Electronic apparatus
US564446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pport system with support arms which are capable of closing toward a keyboard unit or away from a keyboard unit
US6492974B1 (en) Small-size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199777B1 (ko) 패널유닛의 회전기구
EP1696303B1 (en) Data processing device
US5873554A (en) Information processor
US7366436B2 (en) Processing unit having a panel supported movably with respect to a unit main body
KR20040020151A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키보드 탈착 장치
US7728824B2 (en) Display device, input device, printing device, and electric device
US7554062B2 (en) Retractable display unit
JP2971286B2 (ja) 情報処理装置
JP2895372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9265222A (ja) 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装置
JPH0749725A (ja) 情報処理装置
JP2001152726A (ja) インターロック機構
US2014036240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11240B2 (en) Operation panel structure
JPH06230852A (ja) 情報処理装置
JP20122341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90432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33958A (ja) 情報処理装置
US20230195175A1 (en) Foldable electronic deivce with multi-step adjusting bracket
US20230406016A1 (en) Printer
US20210213763A1 (en) Arrangement with a receipt printer arranged in a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