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450Y1 - 서보 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서보 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450Y1
KR0132450Y1 KR2019930032116U KR930032116U KR0132450Y1 KR 0132450 Y1 KR0132450 Y1 KR 0132450Y1 KR 2019930032116 U KR2019930032116 U KR 2019930032116U KR 930032116 U KR930032116 U KR 930032116U KR 0132450 Y1 KR0132450 Y1 KR 0132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charging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2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668U (ko
Inventor
임윤택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2019930032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450Y1/ko
Publication of KR950021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Abstract

본 고안은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회로는 초기 충전시 충전부의 충전저항의 선정이 어렵고, 릴레이의 경우 전류용량이 큰 릴레이를 선정해야 하는데, 이와같이 하면 릴레이를 통해 돌발전류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분압부와; 상기 분압부의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충전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량을 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어 충전부의 충전속도를 제어하는 충전속도제어부로 구성한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의 작용을 통해 즉, 초기 충전저항이나 릴레이를 선정하는 어려움을 제거할 수 있고, 초기 충전용트랜지스터를 점차적으로 도통시키기 때문에 돌발 유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릴레이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 릴레이구동 파형도와 직류링크전압 파형도.
제4도는 본 고안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 파형도와 직류링크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정류부 12 : 분압부
13 : 제1비교부 14 : 오실레이터부
15 : 삼각파발생부 16 : 제2비교부
17 : 펄스폭조절부 18 : 충전용트랜지스터구동부
20 : 제어부 CS : 충전용콘덴서
Qs : 충전용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서보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 전원투입시 정류부의 평활콘덴서에 돌발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1-D4)로 이루어져 입력 교류전원(AC)을 정류하는 정류부(1)와; 저항(RS) 및 콘덴서(CS)로 이루어져 상기 정류부(1)의 출력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2)와; 상기 충전부(2)의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분압부(3)와; 상기 분압부(3)의 전압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그에 따라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제어부(4)와; 상기 릴레이제어부(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정류부(1)의 전원을 충전부(2)의 콘덴서(CS)에 직접 공급하는 릴레이(5)로 구성된다.
상기 릴레이제어부(4)는 저항(R1-R4), 콘덴서(C1), 다이오드(D5,D6) 및 비교기(CP1)로 이루어져 상기 분압부(3)의 출력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6)와; 저항(R5-R8), 다이오드(D7,D8), 포토커플러(PC1) 및 트랜지스터(Q1,Q2)로 이루어져 상기 비교부(6)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5)를 구동하는 릴레이구동부(7)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회로의 작용에 관하여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용교류전원(AC)이 입력되면 이는 정류부(1)에 의해 전파정류되어 맥류파로 출력한다. 이 맥류파는 초기에 저항(RS) 및 콘덴서(CS)의 시정수에 따라 콘덴서(CS)에 충전된다.
상기 콘덴서(CS)에 충전된 전압은 저항(RS1,RS2)에 의해 소정전압(Vs)으로 분압되어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CP1)는 이를 전원전압(VCC)이 저항(R2,R3)에 의해 소정전압으로 분압된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CP1)는 출력은 다이오드(D7)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데, 그 비교기(CP1)의 출력이 '하이'일 때는 그 다이오드(D7)가 턴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의 전위는 저전위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그 트랜지스터(Q1)는 오프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포토커플러(PC1)도 구동되지 않아, 그 포토커플러(PC1)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2) 역시 오프상태가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됨에 따라 릴레이(5)에 전류가 흐르지 못해 그 릴레이(5)도 구동되지 못한다. 즉 오프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이 '로우'일 때는 다이오드(D7)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저전위가 되어 그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된다.
이로 인해 포토커플러(PC1)가 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2) 역시 온되어 릴레이(5)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릴레이(5)가 온된다.
이에 따라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충전되던 충전전압이 릴레이(5)가 구동되는 시점인 시간(t1)에서부터는 충전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회로는 초기 충전시 충전부의 충전 저항의 선정이 어렵고, 릴레이의 경우 전류용량이 큰 릴레이를 선정해야 하는데, 이와같이 하면 릴레이를 통해 돌발전류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기 충전저항과 릴레이 선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돌발전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는 입력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분압하는 분압부와; 상기 분압부의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충전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량을 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어 충전부의 충전속도를 제어하는 충전속도제어부로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D1-D4)로 이루어져 입력된 교류전원(AC)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11)와; 상기 정류부(11)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이를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CS)와; 상기 충전용콘덴서(CS)의 충전전압을 소정전압(Vs)으로 분압하는 분압부(12)와; 상기 분압부(12)의 출력전압(Vs)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충전용콘덴서(CS)의 충전속도를 제어하는 충전용트랜지스터(Qs)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D3), 콘덴서(C4), 저항(R14-R16), 비교기(CP4) 및 포토커플러(PC2)로 이루어져 상기 분압부(12)의 출력전압(Vs)을 기 설정된 기준전압(VR1)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13)와; 저항(R8-R12), 콘덴서(C3) 및 비교기(CP3)로 이루어져 상기 제1비교부(13)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형파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부(14)와; 저항(R13) 및 콘덴서(C2)로 이루어져 상기 오실레이터부(14)에서 출력된 구형파신호를 삼각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삼각파발생부(15)와; 저항(R1,R2) 및 비교기(CP1)로 이루어져 상기 오실레이터부(14)의 출력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VR2)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16)와; 다이오드(D1,D2), 저항(R3,R4)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져 상기 제2비교부(16)의 출력신호에 따라 충방전을 하여 펄스폭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조절부(17)와; 상기 펄스폭조졸부(17)의 출력신호와 상기 삼각파발생부(15)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CP2)와;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어 충전용트랜지스터(Qs)를 턴온시키는 충전용트랜지스터구동부(18)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첨부한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AC)이 입력되면 정류부(11)는 이를 정류하여 출력된다. 상기 정류부(11)를 통해 전파정류된 맥류파는 충전용콘덴서(CS)에 인가되어 충전되는데, 그러면 분압부(12)는 상기 충전용콘덴서(CS)의 충전전압을 소정전압(Vs)으로 분압하여 출력한다.
상기 분압부(12)를 통해 분압된 전압(Vs)은 비교기(CP4)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기 설정된 기준전압(VR1)은 그 비교기(CP4)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초기에는 상기 분압전압(Vs)이 기준전압(VR1)보다 작기 때문에 비교기(CP4)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인해 포토커플러(PC2)는 오프상태가 되어 전원전압(VCC)은 저항(R16,R10)을 통해 비교기(CP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로인해 상기 비교기(CP3)는 오실레이터로 작용하는데, 그 비교기(CP3)의 출력은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저항(R13)과 콘덴서(C2)를 통해 삼각파신호로 만들어져 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기(CP3)의 출력신호를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받은 비교기(CP1)는 이를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 전원전압(VCC)이 저항(R1,R2)을 통해 분압된 기준전압(VR2)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비교기(CP3)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비교기(CP1)의 출력신호는 '로우'가 되고, 비교기(CP3)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비교기(CP1)의 출력신호는 '하이'가 된다.
만약,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다이오드(D1)가 턴온되어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방전되고, 비교기(CP1)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다이오드(D1)가 오프되어 저항(R3,R4)을 통한 전원전압(VCC)에 의해 콘덴서(C1)는 충전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콘덴서(C1)는 시정수에 의한 속도로 충전하는데, 이는 비교기(CP2)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CP2)는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 상기 삼각파 신호와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 상기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초기에는 콘덴서(C1)의 충전전압 레벨이 저전위이므로 비교기(CP2)는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 삼각파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포토커플러(PC1)가 턴온되어 충전용트랜지스터(Qs)의 베이스전위는 저전위가 된다. 이로인해 상기 충전용트랜지스터(Qs)가 턴온되어 충전용콘덴서(CS)의 충전속도가 빨라진다.
반대로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포토커플러(PC1)가 오프되어 충전용트랜지스터(Qs)의 베이스전위는 고전위가 된다. 이로인해 충전용콘덴서(CS)는 시정수에 따른 속도로 충전작용을 한다.
만약, 분압부(12)의 분압전압(Vs)이 기준전압(VR1)보다 크면 비교기(CP4)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로인해 포토커플러(PC2)가 턴온되어 비교기(CP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로우'신호가 인가된다.
이로인해 비교기(CP3)는 구형파신호의 발생을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비교기(CP1)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이 '하이'이면 다이오드(D1)가 오프되어 충전용콘덴서(CS)는 충전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비교기(CP2)의 출력신호는 '로우'가 되어 포토커플러(PC1)는 턴온된다. 이로인해 충전용트랜지스터(Qs)의 베이스전위가 저전위가 되어 그 충전용트랜지스터(Qs)는 항상 턴온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한 충전용트랜지스터(Qs)의 베이스측 파형과 직류링크전압파형을 도시하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초기 충전저항이나 릴레이를 선정하는 어려움을 제거할 수 있고, 초기 충전용트랜지스터를 점차적으로 도통시키기 때문에 돌발 유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분압하는 분압부와; 상기 분압부의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충전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량을 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어 충전부의 충전속도를 제어하는 충전속도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부의 출력전압을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와; 상기 제1비교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형파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와; 상기 오실레이터부에서 출력된 구형파신호를 삼각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삼각파발생부와; 상기 오실레이터부의 출력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와; 상기 제2비교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충방전을 하여 펄스폭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조절부와; 상기 펄스폭조절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삼각파발생부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3비교부와; 상기 제3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어 충전속도제어부를 구동시키는 충전구동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KR2019930032116U 1993-12-31 1993-12-31 서보 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KR0132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2116U KR0132450Y1 (ko) 1993-12-31 1993-12-31 서보 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2116U KR0132450Y1 (ko) 1993-12-31 1993-12-31 서보 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668U KR950021668U (ko) 1995-07-28
KR0132450Y1 true KR0132450Y1 (ko) 1999-04-15

Family

ID=1937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2116U KR0132450Y1 (ko) 1993-12-31 1993-12-31 서보 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4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668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235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068016B2 (en) One cycle control PFC boost converter integrated circuit with inrush current limiting, fan motor speed control and housekeeping power supply controller
US7447601B2 (en) Power supply controller method and structure
EP0795230A1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transformer and feedback via primary winding
US5218523A (en) Driver circuit for an inverter device with output voltage stabilization during start-up period
JP7123712B2 (ja) 電源制御装置
KR100822515B1 (ko) 전원 장치
CA1163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sonant power module
EP0129181A2 (en) DC-DC converter
US4546304A (en) Electronic device with choke inverter
EP0854563B1 (en) Low power and wide input voltage range DC to DC switching converter
CA2197322A1 (en) High efficiency voltage converter and regulator circuit
JPH10323028A (ja) Dc−dcコンバータ
KR0132450Y1 (ko) 서보 모터의 초기 충전전압 제어회로
JP7123733B2 (ja) 電源制御装置
JP3196554B2 (ja) 電流モード型スイッチング安定化電源装置
US5650924A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a monitor
EP0339576B1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338727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回路
JP3303014B2 (ja) 磁石式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JP343646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820000415Y1 (ko) 상용 입력전원의 자동변환 전원장치
KR940003346B1 (ko) 인버터의 출력전압 자동 보상장치
JPS5840202B2 (ja)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タ
JP2566289B2 (ja) 充電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