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397B1 - 회전식 압축기 및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기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압축기 및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397B1
KR0132397B1 KR1019930025053A KR930025053A KR0132397B1 KR 0132397 B1 KR0132397 B1 KR 0132397B1 KR 1019930025053 A KR1019930025053 A KR 1019930025053A KR 930025053 A KR930025053 A KR 930025053A KR 0132397 B1 KR0132397 B1 KR 013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rankshaft
cylinder
rotary compressor
compression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287A (ko
Inventor
가즈히사 이찌모또
히데끼 야자와
아끼히꼬 이시야마
히로까쓰 고소까베
Original Assignee
가나이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210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672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43210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6728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쯔또무
Publication of KR94001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3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회전식 압축기 및 이것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회전식 압축기의 로울러와 블레이드간의 유막을 적정한 상태로 확보하여 양자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 (100) 및 이 압축기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102)를 구비하고, 압축기 (100)은 밀폐용기(16)을 갖고 밀폐용기내에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전동기구부가 마련되고, 압축기구부는 실린더(3),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7) 및 로울러의 바깥둘레면에 접해서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따라서 왕복운동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있으며, 냉각기(102)와 압축기(100)은 압축실내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기로 인도하는 라디에이터행 파이프(32)와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매가스를 압축기의 밀페용기(16)내로 인도하는 라디에이터복귀 파이프(32a)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기와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로울러와 블레이드간의 유막을 적정하게 확보하여 이들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압축기 및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기기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냉장고의 기계실내의 평면도,
도3은 도 2에 있어서의 A-A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계통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냉장고의 기계실내의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예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계통도,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예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계통도,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5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제6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6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파이프부의 종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7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파이프부의 종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제8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내 및 베인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제9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내 및 베인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제10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베인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제10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내 및 베인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18은 본 발명에 관한 제11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로울러의 측면도,
도19는 본 발명에 관한 제12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로울러 및 크랭크축을 도시한 설명도,
도20은 흡입가스와 토출가스의 압력차와 로울러의 자전수의 관계 및 흡입가스와 토출가스의 압력차와 로울러-베인사이의 유막두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21은 종래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22는 종래의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파이프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전동기 C : 압축기구부
1a : 회전자 2 : 크랭크축
2a : 편심부 3 : 실린더
3a :압축실 4 : 주축받이
4a : 유체다이오드 5 : 부축받이
7 : 로울러 7a : 오일저장부
8 : 토출밸브 12 : 펌프실
16 : 케이스 19 : 흡입파이프
20 : 윤활류 21 : 연통파이프
22 : 차압밸브 23,24,25 : 급유홈
26 : 연삭흔적 27 : 키부재
31 : 토출파이프 32 : 라디에이터행 파이프
32a : 라디에이터복귀 파이프 35 : 오일쿨러 파이프
36 : 분사파이프 100 : 회전식 압축기
102 : 제1응축기(냉각기) 103 : 제2 응축기
128 : 캐필러리튜브 129 : 증발기
본 발명은 회전식 압축기 및 이것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 등의 냉동기기나 공기조화기기에 사용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냉동기중에서도 특히 냉장고에 사용되고 있는 압축기로서는 회전식 압축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식 압축기에 대해서 도 21, 2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종래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2는 종래의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파이프부의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회전식 압축기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기를 구성하는 케이스(16)내에 전동기부M과 이 전동기부M에 크랭크축(2)를 거쳐서 연결되는 압축기구부C가 수납되고, 케이스(16)내의 하부에는 윤활유(20)이 저장되어 있다.
전동기부M은 회전자(1a) 및 고정자(1b)로 이루어지고, 회전자(1a)에는 크랭크축(2)의 한쪽끝부가 연결되고 다른쪽끝부가 압축기구부C로 연장하고 있다.
압축기구부C는 원통형상의 실린더(3)과 이 실린더(3)내의 실린더보어(실린더내 공간)의 양끝을 밀폐하는 주축받이(4) 및 부축받이(5)를 갖고 있다, 이 주축받이(4) 및 부축받이(5)는 크랭크축(2)를 지지하고 있다. 주축받이(4)와 부축받이(5)사이에 위치하는 크랭크축(2)부분이 편심부(2a)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편심부(2a)에 로울러(7)이 틈새끼워맞춤에 의해 끼워맞춰져 있다. 베인(6)은 실린더(3)내의 베인홈(6a)내에 동일도면중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그의 상단가장자리가 로울러(7)의 외주면에 미끄럼접합되어 있다. 로울러(7)은 실린더(3)의 내주면과 거의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고, 실린더보어와 협렵해서 초승달형태의 공간을 형성한다.
베인(6)은 이초승달형태의 공간 즉 압축실(3a)를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간막이하며, 또한 로을러(7)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을 실행한다.
즉, 로울러(7)의 편심회전에 의해서 압축실(3a)의 흡입측 및 토출측의 용적이 변화하고, 이 용적변화에 의해 냉매가스가 흡입파이프(19)를 통과해서 압축실내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한, 이 운전시에 로울러(7)은 크랭크축(2)의 편심부의 편심회전에 의해서 공전함과 동시에 자전한다. 이 로울러(7)의 자전은 로울러(7)과 크랭크축(2)의 편심부와의 접촉력(마찰력)에 의한 구동력의 크기와 로울러(7)로의 베인(6)의 누름력에 의 한 정지력의 크기의 균형(차)에 의해 부여된다. 이 구동력의 크기와 정지력의 크기의 균형(차)에 의해, 로울러(7)의 자전수(즉, 로울러(7)의 자전하는 단위시간당 회전하는 수) 가 결정되고, 상기 구동력이 정지력보다 클수록 로울러(7)의 자전수는 커지고, 구동력이 정지력보다 작아지면 로울러(7)은 자전하지 않게 된다. 부축받이(5)의 외주부의 리브(9)에 의해서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가 소음실(消音室) 커버판(10)에 의해 덮여져서 소음실(11)과 하부에 토출밸브(8)을 장비한 토출밸브실(15)를 구성하고 있다. 또, 소음실(11)과 토출밸브실(15)는 연통되어 있다. 결합용 볼트(17)은 상기 압축기의 조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축받이(5)에는 압축실(3a)와 토출밸브실(15)를 연통하는 토출구멍(5a)가 구성되어 있고, 압축실(3a)내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는 토출구멍(5a)를 거쳐서 토출밸브실(15)내로 토출되고, 소음실(11)을 통과해서 연통구멍(18)을 통해 전동기M이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내 공간(16a)에서 케이스(16)의 외부로 도시하지 않은 토출포트를 거쳐서 배출된다. 따라서, 케이스내 공간(16a)는 압축기구부의 토출압력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3)의 하부에는 펌프실(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펌프실(12)내에는 베인(6)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다. 또, 주축받이(4)의 하부에는 도21에 화살표로 나타낸 α방향으로 저항이 적은 즉 α방향으로 유체를 흐르게 하는 유체다이오드(4a)를 장비하고 있다. 이 펌프실(12)의 용적은 베인(6)의 왕복운동에 의해 변화하고, 이에 따라서 케이스(16) 하부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20)이 유체다이오드(4a)를 통과해서 펌프실(12) 내로 들어가고 그 후 펌프실(12)에서 압출된다.
이 압출된 오일은 소음실커버판(10)과 이 소음실커버판(10)에 부착된 급유로(14)를 거쳐서 크랭크축(2)의 편심부(2a)로 공급되어, 크랭크축의 편심부(2a)와 로울러(7)의 내경으로 구성되는 오일저장부(7a)에 모인다. 이 오일저장부(7a)에서 로울러(7)과 주축받이(4) 및 부축받이(5)의 틈새(클리어런스)를 통해서 압축실(3a)로 오일을 공급하고 있다. 또, 이 오일이 로울러(7)과 베인(6)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로울러(7) 및 베인(6)의 마모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울러(7)과 베인(6) 사이의 유막은 로울러(7)의 자전수, 베인의 누름력, 냉매의 성질 및 유량에 기인한다.
도 20은 흡입가스와 토출가스의 압력차와 로울러자전수 및 로울러와 베인 사이의 유막두께의 관계를 도시한 선도이다. 도면중에 있어서 실선은 종래기술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로울러자전수와 로울러-베인 사이의 유막두께를 도시한 것이다. 또, 유막두께는 탄성유체 윤활의 식에서 구한 값이다.
통상의 압축기의 운전시의 흡입가스 및 토출가스의 압력차(이하, 단지 차압이라고 한다)에서는 유막의 두께는 문제없다. 그런데, 토출압력이 증대하면 베인(6)의 느름력이 증대하여 로울러(7)의 자전수가 저하한다. 이 때문에, 주위 온도가 높고 응축기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이나 사이클의 막힘 등에 의해 압축기내의 차압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도 20의 b의 차압으로 되면 종래의 압축기의 로울러(7)과 베인(6)사이의 유막두께가 도 20에 도시한 필요최소한의 유막두께보다 얇게 되고 로울러(7)과 베인(6)의 마모가 진행해서 내구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로울러자전수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로울러(7)을크랭크축(2)의 편심부(2a)에 고정시키는 구조가 고려된다. 그러나, 축받이의 스러스트부의 신뢰성이 저하하는 것이나 베인(6)에 대한 로울러(7)의 상대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해서 저항이 증가해서 통상운전시의 압축기의 부하를 증가시켜 버리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는 피해야만 한다.
또, 현재 지구규모로 환경오염이 문제로 되어 오존층을 파괴하는 프론계냉매CFC-12에 대한 대체냉매로서 HFC-134a가 채용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이HFC-134a에는 염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냉매자체의 윤활성이 낮아 로울러-베인 사이의 유막이 끊어진 경우 로울러(7)과 베인(6)의 마모가 더욱더 진행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흡입가스와 토출가스 사이에 이상한 차압이 발생한 경우나 윤활성이 낮은 냉매가 사용된 겨우에도 압축기구부의 미끄럼부 특히 로울러와 베인사이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압축기 및 이것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식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식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를 갖고, 상기 밀폐용기내에는 그의 한쪽끝부에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부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상기 회전식 압축기내에서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냉각기로 인도하는 배관 및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밀폐용기내로 인도하는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회전식 압축장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식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을 갖고, 이 밀폐용기내에는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밀폐용기의 외측 표면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식 압축기를 냉각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회전식 압축장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식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를 갖고, 이 밀폐용기내에는 윤활유가 봉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및 상기 윤활유내를 통과하는 오일쿨러 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및 이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매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오일쿨러 파이프내로 인도하는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회전식 압축장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을 구비하고 있는 회전식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를 갖고, 이 밀폐용기내에는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돠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냉각기 및 이 냉각기에 의 해 응축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압축실내로 분무하는 분사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를 갖고, 이 밀폐용기내에는 윤활유가 봉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 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전동기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고정해서 마련되어 있는 회전자 및 이 회전자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밀폐용기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자를 갖고 있는 회전식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식 압축기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탑재했을 때 상기 전동기부의 상기 회전자의 최하부 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기 윤화유가 채워지도록 상기 윤활유가 상기 밀폐용기내에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를 갖고, 이 밀폐용기내에는 윤활유가 봉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있는 회전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토출압력과 흡입압력의 차압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의 윤활유를 상기 압축실내로 인도하는 급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를 갖고, 이 밀폐용기내에는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있는 회전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로울러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상기 크랭크축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와 상기 로울러 사이에 양자의 각각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회전식 압축기내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상기 냉각기로 인도하는 배관 및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매가스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밀폐용기내로 인도하는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하면, 냉매가스를 압축기구부에서 압축한 후 이 냉매가스를 밀폐용기 외부에 마련된 냉각기로 송출하여 그곳에서 냉각하고 그 후 밀폐용기내로 방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밀폐용기내의 압축기구부의 온도를 대폭으로 냉각할 수가 있다.
로울러와 베인의 접촉부가 냉각되면 오일 점도가 증대하여 유막이 유지되므로, 로울러와 베인의 마모를 억제할 수가 있다.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하면, 이 송풍기에 의해 밀폐용기의 외측표면에 바람이 닿아 그곳의 온도가 저하한다. 그 결과, 압축기구부의 온도도 저하하므로, 상기와 마찬가지 효과가 있다.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와 이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매를 회전식 압축기의 오일쿨러 파이프내로 인도하는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하면, 냉각된 냉매가 내부를 통과하는 오일쿨러 파이프에 의해서 밀폐용기내의 윤활유가 냉각된다. 이 결과, 압축기구부내의 온도를 저하시켜서 상기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분사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도 압축기구부내의 온도가 저하하므로, 상기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압축기내의 윤활유의 유면의 높이가 전동기부의 회전자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높아지는 위치까지 윤활유를 봉입하는 것에서는 회전자가 회전할 때 밀폐용기내에서 윤활유를 교반하고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압축기구부내의 온도냉각에 효과가 있다. 또, 이것에 의해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중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비율이 증대하므로, 다시 압축기구부내로 흡입된는 냉매중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비율도 증대하여 로울러와 베인사이의 유막유지에도 효과가 있다.
급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하면, 밀폐용기내의 윤활유를 압축실내로 강제적으로 급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압축실내의 유량이 증가하면 로울러의 자전수가 증가하여 미끄럼부 특히 로울러와 베인 사이의 유막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부재의 열팽창계수를 고려한 것에 의하면, 로울러와 베인 사이의 유막이 끊어지는 온도조건 및 압력조건의 경우에 로울러와 크랭크축 사이의 접촉력이 높아져 로울러의 자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미끄럼부 특히 로울러와 베인사이의 유막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실시예1]
먼저, 제1 실시예를 도 1∼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회전식 압축기를 탑재한 냉장고의 하부기계실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계통도이다. 도면중 상술한 도 21과 동일한 부호는 종래기술과 동등부품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6)은 밀폐용기,(1b)는 모터부M의 고정자로서 수축끼워 맞춤에 의해 밀폐용기(16)에 고정되어 있다. (1a)는 회전자로서, 크랭크축(2)와 연결되어 있다. (7)은 크랭크축(2)의 편심부(2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넣어진 로울러이며, (3)은 실린더, (5)는 부축받이, (4)는 주축받이로서 밀폐용기(16)에 용접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들 주축받이(4) 및 부축받이(5)는 실린더(3)의 양끝을 밀폐해서 압축기구부C를 형성함과동시에 크랭크축(2)를 지지하고 있다.
압축기구부C에는 로울러(7)의 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도시하지 않음) 이 마련되어 있고, 이 베인이 압축실(3a)를 흡입측과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토출측으로 간막이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31)은 토출파이프, (10)은 소음실 커버판, (15)는 부축받이(5)에 형성된 토출벨브실, (11)은 마찬가지로 부축받이(5)에 형성된 소음실, (32)는 소음실(11)에 접속된 라디에이터행 파이프, (32a)는 라디에이터복귀 파이프이다.
모터부M에 의해 회전자(1a가 회전하면 크랭크축(2)가 회전하고 압축기구부C에 의해 로울러(7)이 편심회전운동하므로, 흡입파이프(19)(도 3 참조)에서 압축실(3a)내로 냉매가스가 흡입되어 압축된다. 압축된 냉매가스는 부축받이(5)와 커버판(10)으로 형성된 토출밸브실(15) 및 소음실(11)을 통과한 후 라디에이터행 파이프(32)에서 밀폐용기(16)의 외부에 설치된 냉매 냉각기(102)에 도달하여 냉각된 후, 복귀파이프(32a)를 거쳐서 압축기(100)의 모터측에서 밀폐용기(16)내로 복귀하여 모터부M, 압축기구부C를 냉각하고 토출파이프(31)에서 목적지로 보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압축기(100)이 적용되고 있는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에 대해서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동일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은 압축기(100),압축기(100)으로부터의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액체상태로 하는 응축기(102),(103), 응축기(103)으로부터의 액상 냉매를 증발하기 쉬운 상태로 하기 위해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128) 및 감압된 액상 냉매를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로 하는 증발기(129)를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129)로부터의 냉매가스는 냉장고내를 경유해서 따뜻해진 후 압축기(100)으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100)의 압축실(3a)내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라디에이터행 파이프(32)를 거쳐서 제1응축기(냉각기)(102)로 인도하고, 제1 응축기(102)에서 냉각된 냉매가스를 라디에이터복귀 파이프(32a)에 의해 다시 압축기(100)으로 복귀하도록 한 것이다. 압축기(100)의 토출파이프(31)에서 나온 냉매가스는 제2 응축기(103)으로 보내진다.
도 2 및 도 3은 회전식 압축기(100)을 냉장고에 탑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100)은 상기한 구조의 회전식 압축기로서, 냉장고의 기계실(110)의 하부에 있는 베이스(101)상에 탑재되어 있다. 회전식 압축기(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102)는 라디에이터 파이프(102a)와 그것에 고정된 플레이트(102b)로 이루어지고, 이 플레이트(102b)는 베이스(10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응축기(102)상에는 냉장고내에서 증발기(129)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한 후에 괴는 수분의 증발접시(104)가 탑재되어 있다.
냉매가스는 냉장고내를 냉각한 후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파이프(19)에서 회전식 압축기(100)내로 흡입되어 압축된 후, 라디에이터행 파이프(32)에서 제1 응축기(냉각기)(102)에 도달하여 그곳에서 냉각된 후, 복귀파이프(32a)에서 다시 회전식 압축기(100)으로 복귀하여 상기 압축기(100)내를 냉각하고, 토출파이프(31)에서 제2 응축기(103)(도 2 및 도 3에 있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향한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가는 화살표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응축기(102)에서 회전식 압축기(100)을 향해 흐르고 기계실(110)의 뒤커버(105)에 마련된 공기구멍(105a)를 통과해서 냉장고밖으로 흐른다. 이것은 공기가 따뜻해지면서 상승해 가는 통풍(draft)효과에 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용기(16)내의 압축기구부C의 온도를 대폭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로울러(7)과 베인의 접촉부가 냉각되어 로울러(7)의 자전속도가 저하한 상황에서도 유막이 유지되므로, 로울러(7)과 베인의 마모를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예2]
다음에, 제2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하부기계실의 평면도이다. 도면중 도 2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등부분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토출파이프(31)로부터의 냉매가스는 제1 응축기(102)로 인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식 압축기(100)은 모터(106)에의해 구동되는 팬( fan)(107)에 의해서 냉각된다.
회전식 압축기(100)과 응축기(102) 사이에 차폐판(10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응축기측의 공기는 도면중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흘러 기계실의 뒤커버(105)에 마련된 팬측의 공기구멍(105b)에서 유입한 공기와 합류해서 회전식 압축기(100)의 회전축방향으로 흐르고 반대측의 공기구멍(105a)에서 냉장고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강제대류에 의해서 압축기(100)의 외표면에서 열을 빼앗아 압축기(100)내부의 온도를 저감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3]
다음에, 제3 실시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계통도이다. 도면중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35)는 오일쿨러 파이프로서, 제1 응축기(102)에서 냉각된 냉매가 흐르는 관로의 일부를 밀폐용기(16) 내의 윤활유 저장부에 위치시킨 것이다. 또,여기에서의 윤활유 저장부라는 것은 밀폐용기(16)내이고 또한 모터부M 및 압축기구부C 이외에서 윤활유(20)이 고여 있는 부분이다.
밀폐용기(16)의 펌프부내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 밀폐용기(16)밖으로 방출되어 토출파이프(31)에서 냉동사이클중의 제1 응축기(102)에서 냉각된다.
제1 응축기(102)에서 냉각된 냉매는 압축기(100)내의 오일쿨러 파이프(35)로 인도되고 그곳에서 압축기(100)의 윤활유저장부에 있어서의 윤활유(20)을 냉각한다. 오일쿨러 파이프(35)에서 나온 냉매는 제2 응축기(103)으로 흐르고, 그곳에서 액체 냉매로 된 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캐필러리튜브(128)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100)내의 윤화유(20)이 냉각되므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울러(7)의 자전속도가 저하한 상황에서도 로울러(7)과 베인 사이의 유막두께를 목적하는 두께로 유지할 수 있어 로울러(7)과 베인의 마모를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예4]
다음에, 제4 실시예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계통도이다. 도면중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있어서 (36)은 분사파이프로서, 응축한 액상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구부C내의 압축실(3a)내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식 압축기(100)에서 압축한 냉매가스를 사이클중의 응축기(102), (103)에서 냉각하고, 응축한 액상 냉매를 캐필러리튜브(128)에서 감압하여 기화하기 쉽게 된 액상 냉매의 일부를 분사파이프(36)에 의해서 압축실(3a)내로 직접 분무하는 것이다. 이때, 압축실(3a)내로 분사된 액상 냉매는 순식간에 증발하므로, 로울러(7) 및 베인부에서 열을 직접 빼앗아 높은 냉각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5]
다음에, 제5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100)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중 도 1과 동일부호인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부분이기 때문에, 그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있어서 (20)은 압축기내에 봉입한 윤활유로서, 윤활유(20)의 유면의 높이가 전동기부의 회전자(1b)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만큼 높아지는 위치까지 윤활유(20)을 봉입하고 있다.
회전식 압축기(100)이 기동하면 회전자(1b)가 회전하므로, 회전자(1b)가 접촉하고 있는 윤활유(20)은 교반되어 밀폐용기(16)내에서 미스트상태로 된다. 따라서, 압축기내에서의 열전달을 촉진하므로, 가장 온도가 높은 압축기구부내를 냉각하는 효과가 있다. 또, 미스트상태의 오일이 냉동사이클내로 운반되므로, 재차 압축실(3a)내로 흡입되는 냉매중의 윤활유(20)의 비율도 증대하여 로울러와 베인 사이의 유막유지에도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회전자가 유면과 접촉하게 되면, 압축기는 횡형, 종형중 어느쪽이라도 좋다.
[실시예6]
도 11은 본 실시예의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파이프부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중 도 21 및 도 22와 동일한 부호인 것은 종래기술과 동등부분이기 때문에, 그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21)은 케이스(16)의 바닥부의 윤활유 저장부와 흡입파이프(19)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6)내의 압력(토출압력)과 흡입파이프(19)내의 압력(흡입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케이스(16)내의 윤활유(20)을 연결파이프(21)에 의해 흡입파이프(19)내로 공급한다. 즉, 토출압력의 크기에 맞춘 기름의 양을 흡입파이프(19)를 통해서 압축실(3a)내로 공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20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압력과 토출압력의 차압이 커져 차압이 b로 되어도 필요최소한의 유막두께를 유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7]
도 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파이프부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중 도 12와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등부분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있어서 (22)는 연결파이프(21)에 구비한 차압벨브로서, 이 차압밸브(22)는 로울러(7)과 베인(6) 사이의 유막이 끊어지는 차압으로 되었을 때 밸브를 여는 기능을 갖고 있다. 차압벨브(22)는 밸브케이스(22a), 밸브시트(22b) 및 벨브시트(22b)에 밸브가 닫힌 상태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22c)를 갖고 있다. 스프링(22c)로서는 도면에 도시한 로울러와 베인 사이의 유막두께가 위험하게 되는 차압b의 압력이상으로 되면, 밸브가 열린상태로 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문제로 되는 차압 b이상에서는 로울러의 자전수를 촉진하는 구조로 되어 로울러(7)과 베인(6) 사이의 유막이 확보된다.
[실시예8]
다음에, 도 14는 도 11의 A-A단면도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 (b), (c), (d)는 각각 크랭크축의 회전각 θ가 0°, 90°, 180°, 270°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도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동등부분을 나타낸다.
도 14에 있어서 (23)은 부축받이(5)에 마련한 급유홈이고,(23a)는 펌프실(12)와의 연통부, (23b)는 압축실(3a)와의 연통부이다.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도 14 (a)에 도시한 크랭크축(2)의 회전각 θ=0°인 경우에는 베인(6)이 로울러(7)에 눌려 최하점에 도달해 있으므로, 베인(6) 하부의 오일을 갖는 펌프실(12)와 압축실(3a)가 연통하여 압축실(3a)내로 오일이 공급된다. 그러나, 도 14(b), (c), (d)에 도시한 다른 각도에서는 급유홈(23)은 베인(6)에 가려지고 펌프부(12)와 압축실(3a)가 연통되지 않아 급유할 수가 없다.
이것에 의해, 압축실(3a)에는 간헐적으로 급유가 실행되어 오일의 과대유입에 의한 압축기의 성능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이 급유홈(23)의 단면적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압축실(3a)내로의 유량을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이 급유홈은 주축받이측에 마련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9]
도 15는 도 11의 A-A단면도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 (b), (c), (d)는 각각 크랭크축의 회전각 θ가 0°, 90°, 180°, 270°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도 1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동등부분을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24)는 부축받이(5)의 끝면에 마련한 급유홈이다. 이 급유홈(24)는 로울러(7), 크랭크축의 편심부(2a)사이에 형성되는 오일저장부(7a)(도 11 참조)와 압축실(3a)를 연결시켜 오일저장부(7a)와 압축실(3a)내의 차압에 의해 압축실(3a)내로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다.
크랭크축(2)의 1회전중에 도 15(b)에 도시한 θ=90°일 때 오일을 공급하고, 그밖의 도 15 (a), (b), (c), (d)에 도시한 각도에서는 오일을 공급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가스의 흡입과정 종료후에 급유하기 때문에, 압축기의 용적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압축실(3a)내로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10]
도 16은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에 사용하는 베인의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도 17은 도 11의 A-A단면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a), (b), (c), (d)는 각각 크랭크축의회전각 θ가 0°, 90°, 180°, 270°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도 1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동등부분을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25)는 베인(6)의 끝면에 마련한 급유홈이다. 이 급유홈(25)는 베인(6) 하부의 오일을 갖는 펌프실(12)와 압축실(3a)를 연통시켜 펌프실(12)와 압축실(3a)내의 차압으로 압축실(3a)내로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다.
크랭크축(2)의 1회전중에 도 17(c)에 도시한 θ=180° (90° θ 270°)일 때 오일을 공급하고, 그밖의 도 17(a), (c), (d)에 도시한 각도에서는 오일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해, 가스의 흡입과정 종료후에 급유하기 때문에, 압축기의 용적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압축실(3a)내로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11]
도 18은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에 사용하는 로울러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7)의 끝면에 도면과 같은 여러개의 연삭흔적(26)을 형성한다, 이 연삭흔적(26)은 크랭크축(2)를 중심으로 한 인벌류트곡선을 이루는 홈으로서, 원심펌프의 작용을 하고 크랭크축의 편심부(2a)와 로울러(7)의 내경으로 구성되는 오일저장부(7a)(도 11 참조)로부터의 압축실(3a)내로의 급유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도 11에 있어서의 로울러(7)과 축받이의 틈새로부터의 압축실(3a)내로의 급유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크랭크축(2)의 편심부(2a)와 로울러(7)의 내경으로 구성되는 오일저장부(7a)의 유압을 크게 하면 좋다.
이 방법으로서는 오일공급부의 펌프의 용량을 상승시키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래서, 제 6∼제 11 실시예의 유체다이오드(4a)에 있어서 입구의 구경과 출구의 구경의 비를 크게 하여 펌프용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면 좋다.
이상, 제6∼제 11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스(16)내의 윤활유(20)을 압축실(3a)내로 강제적으로 급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압축실(3a)내의 유량이 증가하는 결과, 로울러(7)의 자전수가 증가하여 미끄럼부 특히 로울러(7)과 베인(6) 사이의 유먁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따라서, 로울러(7)과 베인(6)의 마모가 억제되어 신뢰성이 있는 회전식 압축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실시예12]
다음에, 로울러의 자전수를 증가시키는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의 로울러(7)과 베인(6) 사이의 유막을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베인(6)에 대한 로울러(7)의 상대속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필요한 유막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그 이상 회전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그래서, 토출압력이 증가하여 펌프부의 온도가 높아졌을 때에만 로울러(7)의 자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12 실시예에서는 크랭크축(2)로서 그의 열팽창계수가 로울러(7)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재질의 것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크랭크축(2)를 주물로 형성하고, 로울러(7)을 질화물계 세라믹스로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랭크죽(2)와 로울러(7)사이의 틈새는 작게 되어 크랭크축(2)의 로울러(7)로의 접촉력은 커진다. 따라서, 로울러(7)의 자전수가 증가하여 미끄럼부 특히 로울러(7)과 베인(6) 사이의 유막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실시예13]
도 19는 본 실시에에 관한 회전식 압축기의 로울러, 크랭크축부의 확대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축 편심부(2a)에 홈(2b)를 마련하고, 로울러(7)과 크랭크축(2)사이에 로울러(7) 및 크랭크축(2)보다 열팽창계수가 높은 물질(예를 들면 수지)을 키부재(스페이서부재)(27)로서 삽입시킨다.
이 구조에 의해, 실시예12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이것에 의해 로울러(7)이나 크랭크축(2)의 소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이상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냉매로서 프론규제의 대체냉매이고 윤활성이 부족한 HFC-134a(1, 1, 1, 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채용해 본 결과, 로울러(7)과 베인(6) 사이의 유막이 적정하게 확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가스와 토출가스 사이에 이상한 차압이 발생한 경우에도 또 윤활성이 낮은 냉매가 사용된 경우에도 압축기구부의 미끄럼부 특히 로울러와 베인 사이의 유막두께를 적정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1.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장치,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고, 이들에 의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
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이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추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
축의 상기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
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
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
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응축기와는
별도로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상기 회전식 압축기내에서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냉각기로
인도하는 배관 및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밀폐용기내로 인도하
는 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밀폐용기의 외측 표면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식 압축기를 냉각하는 송풍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3.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장치,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고, 이들에 의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 상기 밀페용기내에 봉입된 윤활유, 그의 한
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
는 전동기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및 상기 윤활유내를 통과하
는 오일쿨러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
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
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부면
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
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및 이 냉각기에
서 냉각된 냉매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오일쿨러 파이프내로 인도하는 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4.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장치,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고, 이들에 의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
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
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
크축의 상기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
특허 제132397호 13/20
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
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
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냉각기 및 이 냉각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압축실내
로 분무하는 분사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5. 밀폐용기, 이 밀폐용기내에 봉입된 윤활유,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
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상기 가스의 토출압력의 차압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의 윤활유를 상기 압축실내로 인도하는 급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차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
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상기 로울
러의 내주면 및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의 외주면과 상기 주축받이부의 끝면 및 상기 부축받이부의 끝면으로
둘러싸인 오일저장실, 상기 베인의 상기 선단부와 반대측의 끝부가 들어가고 상기 베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
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에 고여 있는 상기 윤활유를 내부에 페치해서 가압하는 펌프
실 및 이 펌프실내에서 가압된 상기 윤활유를 상기 오일저장실로 인도하는 윤활유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
실의 상기 흡입실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실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
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에 의해 상기 오일저장실과 상기 압축실이 연통되고, 상기 급유수단은
상기크랭크축의 회전각이 45°∼ 270° 일때에 상기 오일저장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축받이 또는 상기 부축받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압축기.
6. 밀폐용기, 이 밀폐용기내에 봉입된 윤활유,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
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도기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
축하는 압축기구부, 상기 가스의 토출압력과 흡입압력의 차압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의 윤활유를 상기 압축실
내로 인도하는 급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
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
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
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
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이
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구성되며,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의 상기 흡입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며,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
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은 상기 흡입파이프와 상기 밀폐용기내
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인 상기 윤활유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을 연통시키는 연통파이프인 것을 특
특허 제132397호 14/20
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파이프는 상기 토출압력과 사익 흡입압력의 차압이 미리 정해진 차압으로 되면
열리는 차압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9. 제6항에 잇어서, 상기 압축기구부에는 상기 로울러의 내주면 및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의 외주면과 상기
주축받이의 끝면 및 상기 부축받이의 끝면으로 둘러싸인 오일저장실, 상기 베인의 상기 선단부와 반대측의 끝
부가 들어가고 상기 베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에 고여 있는
상기 윤활유를 내부에 페치해서 가압하는 펌프실 및 이 펌프실내에서 가압된 상기 윤활유를 상기 오일저장실
로 인도하는 윤활유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흡입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
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상기 밀폐용기내
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을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급유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이 0°일 때에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축받이 또는 상기 부축받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이 90°∼ 270°일 때에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부에는 상기 로울러의 내주면 및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의 외주면과 상
기 주축받이부의 끝면 및 상기 부축받이부의 끝면으로 둘러싸인 오일 저장실, 상기 베인의 상기 선단부와 반대
측의 끝부가 들어가고 상기 베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에 고
여 있는 상기 윤활유를 내부에 페치해서 가압하는 펌프실 및 이 펌프실내에서 가압된 상기 윤활유를 상기 오
일저장실로 인도하는 윤활유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흡입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상기 밀
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은 상기 오일저
장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급유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이 45°∼ 270°일 때에 상기 오일 저장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축받이 또는 상기 부축받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로울러와 그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5.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
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
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
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
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
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로울러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압축기.
16.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특허 제132397호 15/20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비하
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
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
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
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
을 갖고,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로울러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고 냉매가스를 압축하
는 회전식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구성되며,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
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7.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
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
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
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
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
을 갖고,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와 상기 로울러 사이에 양자의 각각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가
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구성되며,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Claims (17)

  1.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장치,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이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추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응축기와는 별도로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상기 회전식 압축기내에서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냉각기로 인도하는 배관 및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상기 냉매가스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밀폐용기내로 인도하는 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밀폐용기의 외측 표면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식 압축기를 냉각하는 송풍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3.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장치,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 상기 밀페용기내에 봉입된 윤활유,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및 상기 윤활유내를 통과하는 오일쿨러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부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및 이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매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오일쿨러 파이프내로 인도하는 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4.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장치,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회전식 압축장치는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냉각기 및 이 냉각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회전식 압축기의 상기 압축실내로 분무하는 분사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5. 밀폐용기, 이 밀폐용기내에 봉입된 윤활유,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기로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상기 가스의 토출압력의 차압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의 윤활유를 상기 압축실내로 인도하는 급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차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상기 로울러의 내주면 및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의 외주면과 상기 주축받이부의 끝면 및 상기 부축받이부의 끝면으로 둘러싸인 오일저장실, 상기 베인의 상기 선단부와 반대측의 끝부가 들어가고 상기 베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에 고여 있는 상기 윤활유를 내부에 페치해서 가압하는 펌프실 및 이 펌프실내에서 가압된 상기 윤활유를 상기 오일저장실로 인도하는 윤활유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흡입실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실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에 의해 상기 오일저장실과 상기 압축실이 연통되고, 상기 급유수단은 상기크랭크축의 회전각이 45°∼ 270° 일때에 상기 오일저장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축받이 또는 상기 부축받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압축기.
  6. 밀폐용기, 이 밀폐용기내에 봉입된 윤활유,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도기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상기 가스의 토출압력과 흡입압력의 차압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의 윤활유를 상기 압축실내로 인도하는 급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구성되며,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의 상기 흡입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며,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은 상기 흡입파이프와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인 상기 윤활유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을 연통시키는 연통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파이프는 상기 토출압력과 사익 흡입압력의 차압이 미리 정해진 차압으로 되면 열리는 차압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9. 제6항에 잇어서, 상기 압축기구부에는 상기 로울러의 내주면 및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의 외주면과 상기 주축받이의 끝면 및 상기 부축받이의 끝면으로 둘러싸인 오일저장실, 상기 베인의 상기 선단부와 반대측의 끝부가 들어가고 상기 베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에 고여 있는 상기 윤활유를 내부에 페치해서 가압하는 펌프실 및 이 펌프실내에서 가압된 상기 윤활유를 상기 오일저장실로 인도하는 윤활유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흡입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을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급유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이 0°일 때에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축받이 또는 상기 부축받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이 90°∼ 270°일 때에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부에는 상기 로울러의 내주면 및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의 외주면과 상기 주축받이부의 끝면 및 상기 부축받이부의 끝면으로 둘러싸인 오일 저장실, 상기 베인의 상기 선단부와 반대측의 끝부가 들어가고 상기 베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에 고여 있는 상기 윤활유를 내부에 페치해서 가압하는 펌프실 및 이 펌프실내에서 가압된 상기 윤활유를 상기 오일저장실로 인도하는 윤활유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흡입측에는 상기 밀폐용기 밖에서 이 안으로 상기 가스를 인도하는 흡입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기 토출측에는 이곳에서 상기 가스를 상기 밀폐용기내로서 상기 압축기구부 이외의 부분으로 인도하는 토출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수단은 상기 오일저장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급유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이 45°∼ 270°일 때에 상기 오일 저장실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축받이 또는 상기 부축받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경로는 상기 로울러와 그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5.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로울러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압축기.
  16.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의 다른쪽 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로울러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고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구성되며,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17. 밀폐용기, 그의 한쪽끝부에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축,이 크랭크축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부 및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크랭크축의 한쪽끝부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를 편심회전하는 로울러, 상기 실린더의 양끝을 막고 상기 실린더내에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압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축받이와 부축받이 및 그의 선단부가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과 접해서 상기 압축실을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추종해서 왕복운동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크랭크축의 상기 편심부와 상기 로울러 사이에 양자의 각각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가스를 냉각해서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한 냉매를 감압하는 캐필러리튜브 및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구성되며, 상기 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기.
KR1019930025053A 1992-12-01 1993-11-24 회전식 압축기 및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0132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21050 1992-12-01
JP4321051A JPH06167287A (ja) 1992-12-01 1992-12-01 ロータリ圧縮機
JP4321050A JPH06167289A (ja) 1992-12-01 1992-12-01 ロータリ式圧縮機の冷却装置
JP92-321051 1992-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287A KR940015287A (ko) 1994-07-20
KR0132397B1 true KR0132397B1 (ko) 1998-04-20

Family

ID=2657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053A Expired - Fee Related KR0132397B1 (ko) 1992-12-01 1993-11-24 회전식 압축기 및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3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287A (ko) 199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1544A (en) Refrigerant compressor
JP2004027969A (ja) 密閉型圧縮機
WO2016152126A1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3728399B2 (ja) 遠心式冷却機のための油/冷媒ポンプ
KR0169970B1 (ko) 로터리압축기
JPH10253177A (ja) 遷臨界冷凍サイクル用圧縮機
KR0132397B1 (ko) 회전식 압축기 및 회전식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기기
JP4384368B2 (ja) 密閉型回転圧縮機及び冷凍・空調装置
JPH06167287A (ja) ロータリ圧縮機
JP3580365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H10148193A (ja) ロータリ圧縮機
US20100158711A1 (en) Compressor
JP2005264780A (ja) 多段回転圧縮機
KR100299589B1 (ko) 유체기계
KR200153999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각장치
CN1431403A (zh) 封闭式旋转压缩机以及冷冻、空调装置
KR200159710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장치
KR200154001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매충진파이프
JP2002106989A (ja) 二段圧縮機、冷凍サイクル装置、冷蔵庫
KR200146153Y1 (ko) 압축기의 냉각장치
KR19980086223A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150835Y1 (ko) 회전압축기
KR930008488B1 (ko) 저압식스크롤 압축기
KR19990015504U (ko) 밀폐형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JPH07103143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12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12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