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344Y1 - 소잉커터장치 - Google Patents

소잉커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344Y1
KR0132344Y1 KR2019950027765U KR19950027765U KR0132344Y1 KR 0132344 Y1 KR0132344 Y1 KR 0132344Y1 KR 2019950027765 U KR2019950027765 U KR 2019950027765U KR 19950027765 U KR19950027765 U KR 19950027765U KR 0132344 Y1 KR0132344 Y1 KR 0132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e
cutting
circular saw
motor
curve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525U (ko
Inventor
유지영
Original Assignee
유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영 filed Critical 유지영
Priority to KR2019950027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344Y1/ko
Publication of KR970016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5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23D45/04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with the saw blade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목적]
조작에 힘이 들지 않고 절단 중에 발생되는 불꽃의 방향이 상방으로 되게 하여 작업자에게 퉁겨 오는 일이 없게 함과 동시에 커팅라인을 경계로 하여 피절단물의 양측을 모두 척킹시킬 수 있게 한 새로운 구조의 소잉커터장치를 제공함.
[구성]
작업대(8)의 일측에 일정 높이의 지주(18)를 기립 배치하고, 이 지주(18)의 종단부에 곡형아암(12)을 힌지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한 곡형아암(12)의 경사부(12A)로 통상의 모터(4)를 지지하는 마운팅 플레이트(14)를 연결 부착하고, 또 상기한 곡형아암(12)의 자유단부에 원형톱(2)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해서 통상의 벨트(16)에 의해 상기한 모터(4)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어 있고, 상기한 작업대(8)의 상면에 배치되는 바이스(28)는 그 측면에 스페이서(32)를 개재하여 일체로 장착된 보조판(34)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소잉커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실시 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팅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묘사하는 부분 측면도.
제5도는 종래의 소잉커터장치에 관련된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원형톱 4 : 모터
8 : 작업대 12 : 곡형아암
12A : 경사부 14 : 마운팅 플레이트
16 : 벨트 18 : 지주
20 : 축 22 : 원반
28 : 바이스 30 : 손잡이
32 : 스페이서 34 : 보조판
40 : 공압실린더 42 : 블래킷
W : 피절단물
본 고안은 소잉커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잉커터장치는 고속도강 또는 초경 합금으로 된 원형톱의 고속 회전운동에 의해 강파이프, 앵글 등을 절단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제5도는 종래 소잉커터장치를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원형톱(2)은 모터(4)의 출력축에 직결되고, 모터(4)는 레버(6)의 대략 중간부에 착설되어 있다.
상기한 레버(6)는 작업대(8)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승강 조작될 수 있으며, 또 작업대(8)의 상면에는 바이스(10)가 설치되어 피절단물(W)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작업자가 레버(6)를 밑으로 눌러 조작하면 고속 회전되는 원형톱(2)의 외주면이 피절단물(W)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접촉하여 절단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소잉커터장치는 다음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원형톱(2)은 피절단물(W)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촉을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있어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바이스의 척킹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어긋나게 되어 작업중 진동, 소음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절단 중에 발생되는 불꽃의 방향도 수평적으로 되어 피절단물에 부딪혀 작업자에게 튀는 등 안전사고의 염려가 높다.
둘째, 레버가 원형톱을 구동시키는 모터와 일체로 구성되고 있어 레버 조작시 작업자는 모터의 하중까지 함께 부담해야 하므로 상당히 힘이 들게 된다.
셋째, 피절단물은 커팅라인을 경계로 하여 한쪽만 척킹되기 때문에 절단작업시 비척킹부위가 흔들려 정밀한 절단을 행할 수 없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에 힘이 들지 않고 절단 중에 발생되는 불꽃의 방향이 상방으로 향하게하여 작업자에게 퉁겨 오는 일이 없게 함과 동시에 커팅라인을 경계로 하여 피절단물의 양측을 모두 척킹시키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소잉커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작업대의 일측에 일정 높이의 지주를 기립 배치하고, 이 지주의 종단부에 곡형(曲形)아암을 힌지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한 곡형아암의 경사부로 통상의 모터를 지지하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연결 부착하고, 또 상기한 곡형아암의 자유단부에 원형톱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해서 통상의 벨트에 의해 상기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하였다.
그리고 작업대 상면에 배치되는 바이스의 일측에 스페이서가 개재된 보조판을 고정되게 설치하여 상기한 바이스와 보조판 사이로 형성되는 간격(공간)으로 원형톱이 출입하도록 되고, 피절단물은 커팅라인을 경계로 양측이 모두 바이스와 보조판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곡형아암의 측방에는 경사부를 따라 레버가 일체로 장착되어 원형톱을 하강 연동시킬 수 있게 된다.
레버에 의한 원형톱의 하강은 궁극적으로 곡형아암이 지주의 종단부를 축으로 하는 선회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곡형아암은 그 자유단에 설치된 원형톱의 하사점 궤적이 피절단물에 대하여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게하여 커팅시의 진동, 소음을 줄이도록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에서 바이스에 공압실린더를 부가하여 피절단물의 척킹이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게하되, 피절단물의 견고한 척킹력을 위해 최종적으로 바이스를 수동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수동용 핸들이 병설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소잉커터장치의 사시도로서, 원형톱(2)은 측면 ^ 자상으로 절곡된 곡형아암(12)의 자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곡형아암(12)의 경사부(12A)에는 모터(4)가 안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4)가 일체로 접합 연결되어 있고, 또 그 측방으로 레버(6)가 비스듬히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원형톱(2)은 통상의 벨트(16)를 통해 모터(4)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하게 되고, 상기한 벨트(16) 전동부는 커버(17)로 씌워져 보호되고 있다.
자유단부에 원형톱(2)이 장착된 곡형아암(12)은 작업대(8)의 일측에 기립 설치된 지주(18)의 상단에서 축(20)으로 힌지 연결되어 곡형아암(12)이 축(20)을 기점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지주(18)는 작업대(8)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원반(22)에 고정구(180)로 체결되어 원판(22)과 함께 선회하도록 되어 있고, 작업대(8)와 일체로 되어 원반(22)의 상부측에 피절단물의 한쪽면을 지지하도록 된 가이더(24)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더(24)에는 그 중앙 배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블록(26)에 45°부채꼴 모양으로 되는 통공(38)을 설치하여 절단시 발생되는 칩이 상기 통공(38)을 통해 원반(22)과 작업대(8)의 하부측으로 빠져나가도록 되고 있다.
작업대(8)에는 상기한 가이더(24)와 대향되게 바이스(28)가 배치되어 수동핸들(30)에 의해 바이스(28)가 전후로 이송되어지며 피절삭물을 척킹하도록 되고, 바이스(28)의 일측방에는 스페이서(32)가 구비된 보조판(34)을 고정되게 설치하여 바이스(28)와 보조판(32) 사이에 스페이서(32)에 의한 공간(L)을 마련하여 상기 공간(L)으로 레버(6)에 의해 하강되는 원형톱(2)이 출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작업대(8)의 측면에는 피절단물의 길이를 정의하기 위한 통상의 게이지(36)가 설치된다. 상기 게이지(36)는 작업대(8)의 일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바(360) 및 상기 가이드바(360)에 조립된 채 일측 선단은 피절단물과 접촉하도록 된 지지간(362)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간(362)은 가이드바(360)을 따라 좌ㆍ우(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지지간(362)에는 고정구(364)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364)에 의해 피절단물의 길이에 따라 임의로 조정된 지지간(362)의 위치를 세팅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로서, 원반(22)이 작업대(8)의 상면에서 베어링(4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임을 묘사하고 있다.
원반(22)는 가이더(24)의 안내블록(26)이 보유하는 만곡면을 타고 45°회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이 회동되면 그 상방에 지지된 지주(18)를 포함한 곡형아암(12) 등도 같이 회동하여 자세가 피절단물(W)에 대해 45°를 이루게 되는 것이므로 피절단물을 일정한 각도(45°)범위내에서 경사진 커팅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바이스(28)의 위치는 불변이므로 피절단물(W)의 비척킹부위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본 고안이 의도하는 정밀 커팅은 보장받지 못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있어서, 작업자는 가이더(24)에 따라 피절단물(W)을 설치하여 놓고 핸들(30)을 조작하여 바이스(28)로 척킹되게 한다. 이때 피절단물(W)을 척킹하는 바이스(28)의 보조판(34)은 커팅라인을 경계로 양쪽 모두가 척킹되어지게 한다. 피절단물(W)을 척킹시킨 다음 작업자가 레버(6)를 조작하여 곡형아암(12)의 자유단부를 하강시킴에 따라 모터(4)와 연결되어 고속 회전하는 원형톱(2)은 피절단물(W)을 절단시킨다. 이때 원형톱(2)은 커팅라인이 피절단물(W)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경우에는 공간(L)으로 출입하면서 피절단물(W)을 절단하게 된다. 피절단물(W)은 공간(L)을 경계로 하여 양측방이 척킹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커팅부위에 버르(BURR)가 없이 정밀하게 커팅되게 된다. 또 커팅 시에 원형톱(2)은 제3도의 도시와 같이 피절단물(W)에 대하여 거의 수평방향으로 접근하여 커팅하게 되고, 이 방향은 바이스(28)와 보조판(32)에 의해 피절단물(W)이 억압되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게 되어 커팅 시의 진동이나 소음이 대폭 감소하게 된다.
게다가 원형톱(2)이 피절단물(W)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접근함에 따라 커팅시에 발생되는 칩의 비산각도는 제3도 도면의 화살표 Y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한 상향 방향이 되기 때문에 칩이 피절단물(W)에 부딪쳐 작업자에게 퉁겨지는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칩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1회의 절단이 종료되었을 때 작업자는 레버(6)를 다시 들어 올려서 원형톱(2)이 피절단물(W)로부터 떨어져 상승되게 한다.
이러한 조작은 마운팅 플레이트(14)가 곡형아암(12)의 경사부(12A)에 접촉하여 정지될 때까지 속행되는 것이고, 이 과정에서 원형톱(2)과 마운팅 플레이트(14)의 모터(4)는 상호 무게 균형을 이루게 배치되어 있어서 레버(6)의 조작은 대단히 가볍고 간편하다.
상술한 실시 예는 바이스(28)를 수동 조작하는 예를 보여 주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4도는 피절단물(W)의 척킹을 위한 다른 예를 보여 주는 도면으로서, 작업대(8)의 상면 소정위치에는 공압실린더(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공압실린더(40)의 피스톤로드 종단측에는 블래킷(42)을 개재하여 바이스(28)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바이스(28)는 손잡이(30)에 의해 진퇴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공압실린더(40)는 바이스(28)를 주스트로크(X1)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이송시켜 주게 되고, 또 바이스(28)는 주스트로크(X1)의 종점에서 손잡이(30)에 의해 미세 조작되어 부스크로크(X2)만큼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작업의 초기에 부스트로크(X2)의 조절만 수행하여 놓으면, 그 후부터는 단지 공압실린더(40)를 전 후진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피절단물(W)의 척킹을 반복하여 행할 수 있어서 대단히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측면 ^ 자상의 곡형아암을 작업대의 상방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배치하여 일측단을 축(20)으로 결합시켜 놓고, 또 곡형아암의 양측단으로 각각 원형톱과 모터를 무게 배분시켜 설치한 구조이므로 조작이 가볍고 간편하고, 또 피절단물에 대한 원형톱의 접근방향이 거의 수평방향으로 됨에 따라 절단 시에 발생하는 진동,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피절단물을 척킹하기 위한 바이스는 측방에 보조핀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절단물은 커팅라인을 경계로 하여 양측이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는 관계로 버르가 없는 정밀 커팅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스가 공압실린더에 의해 일정 스트로크 전 후진 연동되는 구조에서는 바이스에 의한 피절단물의 척킹-해제를 신속히 할 수 있어서 능률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작업대, 바이스, 모터, 원형톱 및 레버가 구비되도 하되, 상기 작업대(8) 위에 부원반(22)이 부설되고 상기 원반(22)의 일측에 일정높이로 기립되는 지주(18)를 설치하여 원반(22)과 함께 선회 하도록 되고, 상기 지주(18)에는 ^로 절곡된 곡형아암(12)의 축(20)으로 조립되어 일측으로 부설되는 레버(6)에 의해 곡형아암(12)이 회동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곡형아암(12)의 경사부(12A)에는 모터(4)가 구비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4)가 안착되고, 곡형아암(12)의 자유단에 부설되는 원형톱(2)은 모터(4)와 연결되는 벨트(16)에 의해 회전운동하도록 되고, 상기 작업대(8)의 가이더(24)와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되는 바이스(28)의 일측방에는 통상의 스페이서(32)로써 간격히 벌어진 보조판(34)을 설치하여 핸들(30)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바이스(28)와 보조판(32)이 피절단물의 커팅라인을 경계로 양쪽 모두를 척킹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잉커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28)에는 핸들(30)과 함께 병설되는 공압실린더(40)에 의해 작업대(8)에 장착되는 피절단물을 척킹/해지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잉커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이스(28)의 보조판(34)과의 사이에 개입시킨 통상의 스페이서(32)에 의해 공간(L)이 구비되어 상기 공간(L)으로 원형톱(2)의 톱날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잉커터장치.
KR2019950027765U 1995-10-04 1995-10-04 소잉커터장치 KR0132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765U KR0132344Y1 (ko) 1995-10-04 1995-10-04 소잉커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765U KR0132344Y1 (ko) 1995-10-04 1995-10-04 소잉커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525U KR970016525U (ko) 1997-05-23
KR0132344Y1 true KR0132344Y1 (ko) 1998-12-15

Family

ID=1942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765U KR0132344Y1 (ko) 1995-10-04 1995-10-04 소잉커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3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07B1 (ko) * 2006-12-12 2007-07-09 최이구 절단기
KR100912619B1 (ko) * 2007-06-29 2009-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07B1 (ko) * 2006-12-12 2007-07-09 최이구 절단기
KR100912619B1 (ko) * 2007-06-29 2009-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525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1696A (en) Power tool apparatus and method
CA1328597C (en) Adjustable support for cutting apparatus
KR940003666A (ko) 피봇작동테이블을 갖는 전동공구
JP2002011702A (ja) 卓上丸鋸のバイス装置
JPH07148701A (ja) パワーソー
KR0132344Y1 (ko) 소잉커터장치
US4384502A (en) Motorized circular miter chop saw
JPH10296606A (ja) 自動研削装置
KR200424350Y1 (ko) 탁상 드릴머신
CN217860308U (zh) 一种金属材料加工用切割装置
JPH08132307A (ja) 姿勢調整機構付旋回架台
JPH0444321Y2 (ko)
JP2006110691A (ja) 丸鋸切削装置
JPH0713872Y2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加工物排出装置
JP2002001624A (ja) マシニングセンタにおけるワーク組付テーブル
KR200310192Y1 (ko) 판재절단장치
JPS5810637B2 (ja) 重量物芯出.取付方法
JPH0691512A (ja) 切断機
CN218053085U (zh) 可摆角加工台装置
JPH08168992A (ja) グラスウールダクト切断機
CN221110120U (zh) 一种大型铁质物件切割装置
JPS5841077Y2 (ja) クランプ装置
JPS6234725Y2 (ko)
KR200330854Y1 (ko) 외각 면취장치
JPS63164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