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138B1 - 프레임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138B1
KR0132138B1 KR1019930000708A KR930000708A KR0132138B1 KR 0132138 B1 KR0132138 B1 KR 0132138B1 KR 1019930000708 A KR1019930000708 A KR 1019930000708A KR 930000708 A KR930000708 A KR 930000708A KR 0132138 B1 KR0132138 B1 KR 0132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frame member
side walls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620A (ko
Inventor
스틸링 죠한
Original Assignee
스틸링 죠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틸링 죠한 filed Critical 스틸링 죠한
Publication of KR93001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21Frameless fly screens; Tension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33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 flexible canopy material to the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Blinds (AREA)

Abstract

프레임에 장착하는 커버부재의 재단, 재봉, 제조를 불필요로 한 구조가 간단한 프레임부재 및 프레임부재를 사용한 차양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프레임에 커버부재를 인장 설치하여 구성하는 해가리 등의 차양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로서, 한쌍의 대향측벽(30,32)과 이 측별(30,32)을 연결하는 저벽(38)과 저벽의 중간부에서 측벽과 대략 평행으로 뻗은 중간벽(34)과 그것들 측벽 및 저벽에 따라 구획 형성하는 대략 U 자형의 홈(36)의 개방구부근방에서 측벽, 중간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한쌍의 브리지벽(46,48)등을 구비한 것을 제공하게 되었다. 양 브리지벽에 각기 커버부재(14)를 고정하므로서 차양구조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
본 발명은 차양이나 간판등의 차양구조, 특히 프레임에 커버부재를 팽팽하게 설치하여 구성하는 차양구조에 사용되는 프레임부재 및 그와 같은 프레임부재를 사용한 차양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을 사용한 차양구조는 옥내, 옥외의 가게 앞이나 쇼핑보드에 면하는 점포, 커다란 공공 건축물 등의 정면에 사용되며, 또한 가정용 상업용, 공업용의 구별없이 차양용, 장식용 혹은 단순히 표식으로서 광범위하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프레임부재를 사용한 차양구조를 가게앞의 간판으로서 또 가게창의 장식용으로서 사용한다거나, 장식 및 차광의 두가지를 목적으로 하여 개인의 주거나 상업용 및 공업용 건축물에 사용하는 것은 일반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양구조의 설계에는 수많은 상이한 사항을 고려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따라서 해가리등의 차양은 사람들의 눈을 즐기게 하는 외관을 지님과 동시에 대부분의 경우에 바람이나 그밖의 격심한 기후 조건에 견딜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아니되며, 내용 연수도 길지 않으면 아니된다.
한편 차양구조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도록 수공예 공구의 가장 간단한 것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 요소의 종류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지 않으면 아니된다.
실제에는 이러한 종류의 차양구조의 대부분은 캔버스(canvas)지, 비닐지 혹은 나일론으로 피복한 천등의 직물제의 커버부재를 통상 알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얻은 어떤 형상의 프레임에 지지한다고 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로서 여러 가지의 것을 입수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여러 가지의 이유에 따라 어느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소비자의 희망이나 예산에 따라서 가급적 넓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요망하고 있다.
차양등의 커버 구조의 설계에서 소비자의 대부분이 희망하는 일반적인 요소의 하나로서 철면 형상으로 만곡한 혹은 윤곽이 짜인 외형을 구비한 경우가 있다. 통상, 커버구조는 건물의 수직벽면상에 대개는 창이나 출입구의 바로 위에 대략 수직으로 부착되는 평탄한 면을 갖고 있다.
가게앞에 사용되는 이러한 종류의 차양은 그 차양으로부터 건물의 정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전기의 콘센트 및 형광등을 통상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차양구조의 프레임은 통상 저부 프레임을 갖고 있으며, 그 저부 프레임은 경우에 따라서는 저벽을 구비한다. 저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대략 수평으로 설치하지만, 필요하면 어떤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저부 프레임 혹은 저벽은 조명이 부착된 차양에 사용하는 경우, 형광등등의 조명수단의 빛을 통과시키는 어떤 종류의 렌즈 구조를 통상 구비하고 있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렌즈 구조는 계란 케이스와 같은 많은 구멍이 열린, 예컨대 반투명의 합성 수지제의 간단한 격자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밖에도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들어진 수많은 다른 형태의 렌즈 구조를 입수할 수 있다.
간판이외의 형태로서 여러 가지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조명수단의 부착구를 희망하는 각도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구조로 바꾸어서 그 자체가 조명 수단의 부착구를 구비한 패널을 사용하여도 좋다.
차양구조에 있어서 수직부의 정상부로부터 수평부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가장 자리부분에 뻗은 부분은 통상 만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만곡부분은 어떤 경우에는 평활한 곡선으로 또 경우에 따라서는 곡선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각 단부는 둥글게 형상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으면 평탄한 패널을 구비하여도 좋다.
차양구조를 구성하는 직물의 재료를 이러한 만곡한 프레임 위에 밀착하게 인장 설치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단부에도 완전하게 로울링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차양은 그 각 단부가 협동하여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수직한 측연부 및 수평한 측연부와, L자형상의 그것들 단부의 자유단부 사이에 뻗은 만곡부 등을 지닌 대략 수직한 단부 패널을 구획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차양구조의 각 단부의 직물은 대체로 4반원형 혹은 원호를 연이은 형상을 이루도록 재단되어 희망하는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같은 직물의 커버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 자체의 설계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고 하는 실제상 생각할 수 없으나, 직물을 프레임 위에 밀착하게 긴장 설치하도록 재봉하여 부착할때에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직물재료를 적어도 3개부분, 예컨대 차양구조의 앞쪽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을 차양하는 장방형의 부분과, 양단을 차양하는 2개의 4반원형의 부분으로 재단할 필요가 있었다. 이어서 이것들 3개 부분은 일체로 봉제되어 프레임위에 밀착하게 커버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재단이나 봉제에 필요한 숙련이나 기술은 가구의 커버나 의자 인장재료의 정확한 장착에 필요한 숙력이나 기술과 얼마만큼 닮은데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려면 오랜동안의 훈련을 필요로 하므로 누구에게도 용이하게 성취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직물재료의 재봉이 필요하다는 것은 차양이나 간판, 표지를 제조하는 공장이 재봉의 설비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아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재봉설비로 견고한 직물재료를 재봉할 필요가 있고, 적절하게 훈련되어 기술을 몸에 익힌 인원을 배치하고 있지 않으면 아니된다. 간판이나 차양등에 사용하는 직물재료는 비교적 비싸다. 또, 간판의 전면에는 어떤 형식의 메시지(message)를 예컨대 실크스크리인 등으로 인쇄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또한 숙련을 요하며 간판의 비용을 인상하게 된다.
간판의 재단 혹은 봉제 공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경우, 직물 재료를 전부 버리고, 작업을 재차 다시 고쳐야 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이것은 재료비의 낭비가 될 뿐 아니라 간판의 실크스크리인 인쇄에 관한 작업등도 낭비가 된다. 이러한 모든 이유에 따라 종래의 차양이나 간판등의 제조에서 필요로 하는 재봉, 장착, 제조 기술의 사용은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상당히 불편한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제까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예컨대 1987년 9월 1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No.4,690,192(Replaceable Awning 「교환이 자유로운 차양」의 발명, 발명자 : Johann Stilling)는, 차양용의 프레임의 하나의 형태를 설명하고 있고, 그 차양의 직물부를 압출 성형한 한 개의 연속하는 열가소성 플러그(plug) 부재 혹은 쐐기부재로 적당한 곳에 지지하고, 이에 따라 직물의 가장자리를 압출하여 성형재의 홈에 입력으로 끼워 넣어서 일정 위치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봉제를 불필요로 한다.
이 기술의 다른 변형으로서 압출 성형재에 수용체(受容體)를 고정하고, 직물 부분의 가장 자리를 잡아쥐어 그것을 합성수지재의 압출 성형재 위에 밀착하게 걸쳐 붙이고, 그런 다음 합성 수지제의 압출 성형재의 수용체에 그 직물을 간단히 고정쇠붙이로 고정한다.
이 시스템은 과거에 사용된 봉제·운침기술의 일종의 개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프레임의 설계에는 고유의 결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양의 전부는 이를테면 「보닛(bannet)」 혹은 「갓」모양으로 보이도록 윤곽 잡기 혹은 만곡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간판 혹은 차양의 윤곽을 그 길이 방향으로 잇따라서 균일하게 하도록 수많은 프레임부재를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만곡한 프레임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특허가 설명하는 프레임의 압출 성형재의 횡단면은 조금 복잡하며, 이것은 그 성형재의 휨가공시에 더할 나이없는 평활한 곡선을 수득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말하면 조금 어려운 점이 된다. 실제로 이 압출성형재로 만족할 수 있는 곡선을 반복 생산하기 위하여는 특수한 휨가공용의 기계를 개발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부재 및 프레임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프레임 커버 부재를 긴장 설치하여 구성되는 차양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에 사용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과, 그것들 측벽을 연결하여 일단에 개방구부를 구비한 대략 U자형의 홈을 구획 형성하는 저벽과, 이 저벽의 중간부에서 양측벽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뻗는 중간벽과, U자형의 홈의 개방구부 근방에서 측벽 및 중간벽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차양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의 한쌍의 브리지벽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프레임부재는 기본적으로 폐단면을 갖게 되어, 그 강성이 증대하여 강풍등의 격심한 기후 조건하에서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차양구조의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휨가공도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또, U자형홈의 개방구부 부근에 중간벽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브리지벽 수단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부재의 폭이 비교적 작아져서 작은 치수의 차양구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제1특징에 대하여 프레임부재에 힌지부를 연속 설치하면, 이 프레임부재를 사용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구조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 브리지벽을 측벽보다도 얕게 형성하면 고정수단을 이 브리지벽에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고 이 프레임부재를 사용한 차양구조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중간벽에 지지수단을 형성하고 홈의 개방구부를 폐쇄하는 프레임 컵부재를 지지수단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하면 그 홈의 개방구부에 쓰레기나 먼지 등이 괴어서 모이는 일도 없다. 또, 이 프레임부재를 커버구조의 프레임에 사용하였을때에 커버부재의 절단부나 고정부가 프레임컵 부재로 외부로부터 덮게되어, 차양구조 전체의 외관을 아름답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길이가 다른 여러개의 프레임부재로 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 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커버구조로서, 프레임부재의 적어도 몇 개는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었고, 프레임은 대략 수직한 부착부와, 이 수직한 부착부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는 내다지부를 적어도 구획 형성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몇 개의 프레임부재는 수직한 부착부와 내다지부 사이에 뻗어 배설되었고, 프레임부재는 같은 횡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프레임부재를 여러개 포함하여 그것들 횡단면 형상의 같은 프레임부재는 각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과, 이 측벽을 연결하는 저벽등을 구비하였고, 그것들 측벽 및 저벽은 협동하여 대략 U 자형의홈을 구획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은 저벽으로부터 격리하는 쪽으로 개방구부를 구획형성하였으며, 횡단면 형상의 같은 프레임부재는 다시금 측벽사이에서 저벽으로부터 뻗는 중간벽과, 이 중간벽 및 각 측벽과의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브리지벽을 구비하였으며, 측벽 및 중간벽은 서로 격리하고 또한 평행으로 뻗는 평면상에 배설되었으며, 브리지벽은 개방구부로부터 안쪽으로 간격을 두어서 설치됨과 동시에 대개 원호형의 단면을 구비하여서 되는 차양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입체적인 형상을 지닌 프레임에의 커버부재의 장착, 고정을 프레임부재의 한상의 브리지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종래의 직물 재료를 미리 프레임 형상에 맞추어서 봉제하여, 만들고 나서 장착한다고 하는 번잡한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대략 수직한 부착부 및 하부의 사이에 뻗는 일정한 형상의 여러개의 프레임부재위에 이완됨이 없이 또한 용이하게 커버 부재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러한 부착 작업이 크게 간략화 되었다.
상기의 제2특징에 더하여 중간벽에 지지수단을 다시금 설치하면 커버부재와 브리지벽 수단의 고정부분을 외부로부터 커버하는 수단을 이 지지수단에 부착할 수 있고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재를 프레임부재 사이에 각기 펼치게 된다. 가요성이 있는 여러개의 직물재료로 구성하여, 2장의 직물재료의 인접하는 가장 자리부분의 한편을 중간벽의 한쪽에서 프레임부재에 또 다른 직물재료의 가장자리 부분을 중간벽의 다른쪽에서 동일한 프레임부재에 각기 따로따로의 작업을 고정하여, 중간벽에 프레임컵 부재를 고정하여 각 직물재료의 고정 가장 자리부분을 외부로부터 덮도록 하면, 프레임부재의 배치 및 개수를 적당히 설정함에 따라, 희망하는 입체형상으로 형성한 프레임에 여러장의 직물재료를 좋은 효율로 간단히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차양부재를 구성하는 직물재료의 일부가 손상하여도 그 부분의 직물재료만을 교환하면 된다.
또한, 프레임부재로 프레임의 하부를 형성하고, 이 프레임부재에 패널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벽수단을 형성하면, 프레임의 저벽을 형성하는 패널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프레임부재를 겸용할 수 있고, 프레임의 구성 요소의 수를 저감하여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몇 가지인가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양구조를 참조부호(10)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양구조는 가정용, 상업용, 공업용 또는 소매점용의 건축물의 외부에 부설하는 차양등의 장식물로서 자주 보았던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차양구조는 가게앞의 표지, 간판으로서의 임무를 다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그러한 경우, 이 차양구조는 통상, 형광등의 조명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에는 명칭 혹은 표상을 통상, 실크스크리인 혹은 프린트인쇄로 표시하였다. 제11도는 이 차양구조(10)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 가게의 창이나 거기에 전시된 상품을 밝히는 광선을 차양에서 가게앞에서 밑으로 향하게 닿도록 렌즈등의 구조를 부설하여도 좋다. 이것은 모두 본 기술 분야에서는 당연히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서는 간단히 예비지식으로서 설명함에 머물렀다.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차양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차양구조(10)는 전체를 부호(12)로 나타낸 프레임에 직물제의 커버부재(14)를 창작하여서 된 것이다. 프레임(12)내에 조명수단(16)을 설치하였고, 또 하방으로 빛을 비추기 위하여 렌즈(18)를 지지할 수도 있다.
프레임(12)은 가게등의 건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수직한 부착부(12a)와 이 부착부(12a)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뻗는 내다지부(12b)와, 부착부(12a)의 상단 및 내다지부(12b)의 전단을 연결하는 아아치형의 곡면부(12c)로 되어 있다. 차양구조(10)는 부착부(12a)에 설치한 도면에 없는 수단에 따라 건물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2, 3 및 4도로부터 한층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은 여러개의 제1프레임부재(20), 중앙의 여러개의 제2프레임부재(22), 여러개의 제3프레임부재(24) 및 제4프레임부재(26)로 되어 있다.
이것들 프레임부재(20,22,24,26)는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재를 압출 성형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부재는 알루미늄 용접기술에 따라 혹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접합장치(도면에 없음)에 따라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여기에서 기재되는 목적을 위하여 중간의 프레임부재(26)가 함께 사용되고 있고,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재를 압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제1프레임부재(20)는 평행한 2중의 홈을 구비한 구조로 대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30) 및 (32)와 그 중간의 2개의 홈을 격리하는 중간벽(34)과, 저벽(38)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30,32,34)은 서로 평행이고, 또한 서로 간격을 벌려서 설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측벽(30,32)과 저벽(38)에 따라 일단이 개구하였다. 즉 개방구부로 된 횡단면이 대략 U 자형의 홈이 구획 형성된 것으로, 이 U 자형 홈은 다시금, 중간벽(34)에 따라 횡단면이 대략 장방향의 한쌍의 연속한 가늘고 긴 홈(36,36)으로 분할되어 있다.
홈(36,36)의 저벽(38)은 측벽(30,32,34)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한다. 측벽(30,32)의 상방으로 뻗은 자유단으로서의 각기 홈벽립(lip)부(40,42)를 각각 형성하여 개방구부를 구획 형성한다. 중간벽(34)은 양쪽홈벽립부(40) 및 (42)사이에 뻗는 지지수단으로서의 맞물리는 연출부(44)를 선단에 구비하고 있다. 패널로서의 커버부재(14)의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한쪽의 측벽(30)과 중간벽(34)의 사이 및 중간벽(34)과 다른쪽의 측벽(32)사이에 브리지벽(46) 및 (48)이 각기 일체적으로 가설되어 있다.
제4도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것들 한쌍의 브리지벽(46) 및 (48)은 각기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었고, 중앙의 원호형부(54)와 양측의 굴곡된 출연부(50) 및 (52)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30) 및 (32)는 일정한 제1의 두께를 지녔고, 중간벽(34)은 그보다도 약간 엷은 제2의 두께를 구비하고 있다. 브리지벽(46) 및 (48)의 두께는 측벽(30) 및 (32)보다도 상당히 엷다.
이와같이 이것들 브리지벽(48)은 비교적 엷게 형성되어서 금속제의 고정구 혹은 스테이플(staple)(56)(제4도)등의 고정수단을 삽통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구(56)는 바람직하기는 예리한 선단을 구비한 경화강철제로 되었고, 이것들 고정구(56)는 커버부재(14)를 구성하는 직물 및 단면의 원호형의 브리지벽(46,48)을 관통시킴에 충분한 힘을 지닌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동력식 스테이플링 장치에 의하여 삽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1프레임부재(20)는 2개의 원호형의 브리지벽(46,48)에 따라 서로 간격을 설치한 2개의 고정수단을 제공하였다. 이것들 브리지벽(46,48)은 중앙에 위치하는 중간벽(34)의 곧게선 지지수단으로서의 맞무는 연출부(44)에 의하여 서로 격리된다. 이에 따라 2개의 고정수단을 구비하면서 제1프레임부재(20)는 비교적 작은 폭을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직물제의 커버부재(14)의 전면 패널부분(17)의 가장자리부분(17a) 및 단부패널부분(15)의 가장자리(15a)를 같은 프레임부재(20)에 고정할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차양구조(10)를 전형예로한다면, 커버부재(14)의 전면 패널부분(17)은 간단히 장방형으로 재단하는 것이 좋고, 이어서 이 전면 패널부분(17)의 가장자리(17a)를 붙잡아서 끌어당기면서 프레임(12)의 각 단부의 제1프레임부재(20)의 브리지벽(46,48)의 한쪽앞으로 고정구(56)를 직접 박아 넣음으로서 용이하게 프레임(12)위에 공정할 수 있다. 또, 고정한 다음 가장 자리부분(17a)의 홈(36)에서 상방으로 밀려서 나온 부분을 절단하게 되는데 그 절단작업은 극히 간단하다.
예컨대, 절단기의 칼끝을 브리지벽(46,48)의 측연부(52) 근방에서 가장자리(17a)에 닿게 함과 동시에 그 절단기 중앙부분을 중간벽(34)의 맞무는 연출부(44)의 선단측면에 밀어 붙이고, 그 선단측면을 추적하는 것처럼 제1프레임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 여분의 차양부재(14)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부재(20)에 연이어 설치된 2개의 홈에 색상이나 재질의 서로 다른 2장의 직물을 부착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차양구조(10) 전체의 배색이나 디자인의 선택의 자유도도 향상된다.
커버부재(14)의 단부패널부분(15)은 프레임(12)의 단부의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대개 4반원형이고 90°인 모서리를 하고 있다)으로 대략 대응하도록 재단할 수 있다.
이 형상은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변화한다. 이것들 단부 패널부분(15)의 가장 자리(15a)는 상기의 전면 패널부분(17)의 가장자리(17a)가 고정되는 같은 제1프레임부재(20)의 브리지벽(46,48)의 다른쪽에 고정구(56)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제나 심중한 재봉을 포함하는 숙력을 필요로 하는 노동의 필요성을 최소한으로까지 저감할 수 있다.
홈벽립부(40,42)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개방구부를 폐쇄하도록 띠형상의 프레임컵부재(60)는 열가소성재, 전형적으로는 압출성형한 열가소성재로 형성한 연속하는 가늘고 긴 띠형상의 연속부재(62)로 되어 있다.
이 연속부재(62)는 안쪽으로 향한 2개의 측벽 혹은 핑거수단(64,64)으로서 형성된 맞무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64,64)은 사이에 한 개의 연속하는 홈(66)을 구획 형성한다. 홈(66)은 중간벽(34)의 단부의 맞무는 연출부(44)에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의 제2프레임부재(22)는 본 실시예에서는 안쪽의 버팀목 지지부로서의 임무를 다하여 거의 대부분의 경우 커버부재(44) 자체에 공정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제2 프레임부재(22)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70,70) 저벽(72) 및 버팀금속판으로서의 상벽(74)을 구비한 단하나의 홈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측벽(70,70)의 자유단부(76,76)는 상벽(74)으로부터 떨어져서 더욱 뻗어서 홈을 양자 사이에 형성한다. 이 홈은 프레임(12)을 일체적으로 굳게 부착시키기 위한 보조의 임무를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으면 그밖의 유효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제5도에서는 고정구(56)로 전면의 패널 부분(17)을 버팀금속판(74)으로 고정하여 프레임컵부재(78)로 고정부분을 덮은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고정구(56) 및 프레임컵부재(78)를 생략하여 패널부분(17)의 이면쪽을 제2프레임부재(22)위에 지지시키는 것만으로도 좋다.
프레임(12)의 하부의 내다지부(12b)를 구성하는 제3프레임부재(24)의 구조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레임부재(20)와 대략 같지만, 제1프레임부재(20)에 대하여 제3, 4도에 관련하여 기재한 모든 특징의 외에 내장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즉, 한쪽의 측벽(3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설(演設)된 지지벽수단으로서의 플랜지형 렌즈 지지벽(80)을 구비한 점이 다르다.
이 제3프레임부재(24)는 한쪽의 측벽(32)을 하방으로 다른쪽으로 측벽(30)을 상방으로 위치시켜서 90°넘어진 자세로 이용되었고, 상방측에 위치하는 브리지벽부(46)에 패널부분(15,17)의 가장자리(15a,17a)가 적당히 고정구(56)로 고정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제4프레임부재(26)는 제3프레임부재(24)와 함께 프레임(12)의 내다지부(12b)를 구성하여 차양구조(10)의 치수 혹은 길이에 따라 항상 필요하다고는 한정된 것이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는 곧게 선 한쌍의 홈벽(90,90)과, 그 양측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뻗은 지지벽(92,92)등으로 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프레임부재(26)의 양쪽에는 프레임(12)의 패널수단으로서의 렌즈(18)를 지지하는 플랜지부(92,92)를 설치하게 된다.
이 지지플랜지부는 제조상의 이유 혹은 추가 지지를 실행할 필요성 때문에 렌즈(18)의 단편(斷片)의 길이를 제한한다거나, 또 고려하도록 그 밖의 요인등에 따라서 특정한 환경하에서는 필요하게 될 것이다.
형광등(16) 및 렌즈(18)는 렌즈(18)가 빛의 분산수단으로서 기능함에 따라 루우버(louver)조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원으로서 예컨대 도면에 없는 낱낱의 스포틀라이트(spotlight)를 그 지지패널내에 혹은 패널위에 부착하게 될 것이다.
제6∼7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간판(101)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프레임부재(20)가 본 실시예의 간판에도 응용되어 있다. 간판(101)은 전면을 개방한 상자형의 프레임(102)과, 그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도록 프레임(102)에 부착된 차양부재(107)로 되어 있다. 이 간판(101)은 저부에 다리를 설치하여 노상에 세운다거나, 상방으로부터 드리운다거나, 혹은 수직한 벽면에 부착한다거나하여 임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102)은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임의의 재료, 예컨대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되었고(도시예에서는 합성수지제의 본체(103)를 구비한 구조로 하였다). 그 내부에는 표시부로서 기능하는 차양부재(107)에 배면으로부터 빚을 조사하는 조명수단(104)이 적당히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여러개의 형광등이 상하로 연이어 배설되어 있다. 프레임(102)의 개방된 전면은 4방의 측연부를 프레임부재(105)로 형성하고 있다.
협동하여 4각형을 이루는 각 프레임부재(105)의 전면측의 한쪽의 브리지벽부(48)에는 직물로 형성된 커버부재(107)가 가장자리(107a)를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고정구(56)로 부착되어 있다. 상하의 프레임부재(105)는 그것들 두 프레임부재(105)사이에 가설된 지지브래킷수단(106)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지지브래킷 수단(106)은 간판(101)의 치수에 맞추어서 적당수 사용되었고, 또한 조명수단(104)의 빛에 의하여 커버부재(107)위에 그림자를 지지게 하는 위치, 예컨대 좌우 한쌍이 프레임(102)의 좌우양벽부의 각내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프레임부재(105)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제1프레임부재(20)와 기본적으로 같은 횡단면을 하고 있으나, 그에 더하여 한쪽측벽(30)의 측벽립부(40)의 상단으로부터 가로방향(프레임(102)후방)으로 일체로 연장설치된 부착플랜부(105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착플랜지부(105a)를 프레임(102)의 본체(103)의 측벽의 앞 가장자리 부분 바깥면에 겹쳐서 나사등의 고착수단(109)으로 일체가 되도록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부재(105)는 본체(103)의 전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이 간판(101)에 있어서도 표시면으로서의 커버부재(107)의 부착, 교환등은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제8-9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버부재(107)를 프레임본체(103)에 대하여 상하 좌우의 적어도 하나의 측연부 둘레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부착하게 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판(110)의 커버부재(107)는 상자형의 프레임(111)의 본체(113)에 대하여 상하의 측연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재(112)의 적어도 한쪽둘레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8, 9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프레임부재(112)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1 , 제2실시예의 프레임부재(20,105)와 같은 횡단면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한 프레임부재(112)의 한쪽측벽(30)의 홈벽립부(40)의 상단에서 가로방향(프레임(111)의 후방)으로 향하여 돌기부(112a)가 연장설치됨과 동시에 같은 측벽(30)과 저벽(38)의 연결부에서 돌기부(112a)가 대략 평행되게 가로 방향으로 힌지기부(112b)가 뻗어있고, 이 힌지기부(112b)의 선단에 단면이 대략 L 자형의 힌지부(112c)가 단부(段部)를 개재하여 연속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자형의 프레임본체(113)의 상하의 측벽부(116)는 프레임부재(112)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을 압출가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3)의 후벽부(115) 및 좌우측벽부에 나사등의 고정부착수단(118)으로 굳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측벽부(116)의 앞 가장자리부분에는 프레임부재(112)의 힌지부(112c)와 협동하여 본체(113)에 대한 커버부재(107)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힌지지지부(11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9도에 있어서 힌지지지부(117)은 측벽부(116)의 전단(116a)으로부터 대략 직각을 이루어 뻗은 저면부(117a)와, 이 저면부(117a)의 좌우방향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뻗은 중간지지벽부(117b)와, 저면부(117a)의 선단부에서 중간지지벽부(117b)와 평행하게 전방으로 뻗은 가이드벽부(117c)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부(117a), 중간지지벽부(117b) 및 가이드벽부(117c)는 서로 협동하여 전방 즉, 프레임부재(112)측으로 개방된 단면이 U 자형의 홈(119)을 구획 형성하였으며, 내장상태에서 이 홈(119)에 프레임부재(112)의 L 자형 힌지부(112c)가 수용되어 있다. 이 홈(119)으로부터의 힌지부(112c)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나사등의 지지수단(114)이 중간지지벽부(117b)에 고정되어, 지지수단(114)의 선단은 그 고정상태에서 홈(119)안으로 돌입하고 있다. 상하한쪽의 힌지지지부(117)의 둘레에서의 프레임부재(112)의 회전운동을 수용하도록, 다른쪽의 프레임부재(112)의 지지수단(114)을 없애거나 그렇지 않으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착탈이 자유로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판(110)을 관리할 때, 예컨대 조명수단(104)의 교환할 때 등에는 커버부재(107)를 고정된 프레임부재(112)를 한쪽의 힌지지지부(117)의 둘레에서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프레임(111)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시킬 수 있다. 회전운동을 함에 있어서는 예컨대 제8도에 있어서의 하방의 힌지지부(117)의 중간벽부(117b)에 부착한 지지수단(114)을 떼어내고, 힌지지지부(117)와 맞무는 프레임부재(112)의 돌기부(112a)를 붙잡아서 전방(제8도)의 오른쪽)으로 끌어당기면, 차양부재(107)는 제8도에 있어서의 상방의 프레임부재(112)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112c)를 중심으로 하여 우측 상방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러한 경우 홈(119)안으로 돌입하고 있는 지지수단(114)의 선단에 따라 상방의 프레임부재(112)의 힌지부(112c)는 홈(119)에서 바깥으로 이동하여 탈락하는 일이 없이 힌지지지부(117)와의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에서 저면부(117a) 및 가이드벽부(117c)의 내면상을 슬라이딩 하도록 회전운동한다.
대략 45°회전 운동하면 상방의 프레임부재(112)의 돌기부(112a)의 굴곡부가 힌지지지부(117)에 연속 설치되는 측벽부(116)의 전단(116a)에 맞닿음에 따라 그 이상의 차양부재(107)의 회전운동은 저지된다. 커버부재(107)를 재차 프레임(111)의 전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제8도 하방의 프레임 부재(112)의 힌지부(112c)가 대응하는 힌지지지부(117)의 홈(119)내에 수용되기까지 프레임부재(112)에 부착된 커버부재(107)를 회전운동시킨 다음, 지지수단(114)을 그 선단이 홈(119)내에 돌입하는 고정 위치까지 중간지지벽부(117b)에 나사 맞춤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버부재(107)를 프레임(111)의 좌우의 측벽부에 고정하는 프레임 부재에는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프레임부재(20,22)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부(112c)를 구비한 프레임부재(112)를 간판(110)의 좌우에 배설하고, 대응하여 힌지지지부(117)를 프레임(111)의 좌우의 측벽부의 전단부에 부착하면, 차양부재(107)가 수직한 축선둘레에서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0도는 전후 양면이 표시부로서 사용되는 상자형의 간판(120)에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재를 적용한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인 구조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같다. 전후의 표시부로서 기능하는 커버부재(107,107)는 각기 상하의 프레임부재(112)에 따라 프레임(122)의 상하의 측벽부(123,123)에 고정되어 프레임(122)의 전후의 개방면을 폐쇄한다. 조명수단(124)은 프레임(122)의 좌우벽부의 한쪽 혹은 양쪽에 적당히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힌지지지부(117)가 상하의 측벽부(123,123)의 전후 양단에 각기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후의 표시부를 좌우로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힌지구조를 각 표시부의 좌우가장자리에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차양구조에 사용되는 프레임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과 그것들 측벽을 연결하여 일단에 개방구부를 구비한 대략 U 자형의 홈을 구획 형성하는 저벽과, 이 저벽의 중간부에서 측벽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뻗은 중간벽과, U 자형홈의 개방구부 부근에서 저벽에 대략 평행으로 뻗어서 측벽 및 중간벽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차양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의 한쌍의 브리지벽 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재는 기본적으로 폐단면을 구비하게 되고, 그 강성이 증대하며, 따라서 강풍등의 격심한 기호 조건하에서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차양구조의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휨가공도 비교적 용이하게 되어 평활한 곡선을 얻을 수 있다. 또 U 자형홈의 개방구부 부근에 중간벽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브리지벽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2장의 커버부재를 동일한 프레임 부재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프레임 부재에 병행하여 설치된 2 개의 브리지벽 수단으로 색상이나 재질이 다른 2장의 직물재료를 서로 근접시켜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이러한 프레임 부재를 사용한 차양구조전체의배색이나 디자인의 선택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프레임부재의 넓이를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소형의 차양구조에서도 희망하는 평활한 외형을 확보하면서 부자유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레임부재를 사용하므로서 차양구조 전체의외관을 종래보다 한층 아름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부재에 힌지부가 연속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프레임 부재를 사용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구조부재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 부재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차양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제11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브리지벽은 측벽보다도 엷게 형성되므로 고정수단을 이 브리지벽에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으며, 이 프레임부재를 사용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이 고정수단의 관통의 경우에 브리지벽에 무리한 하중이 가하여져도 측벽을 변형시키는 일은 없으므로 프레임부재를 살이 두껍게 형성함에 의한 중량화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3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중간벽에 지지수단이 형성되었고, 브리지벽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프레임컵 부재가 지지수단에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프레임 부재의 개방구부에 쓰레기나 먼지등이 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프레임부재를 차양구조의 프레임에 사용하였을때에 프레임부재의 브리지벽부에 커버부재를 부착한 부분이 프레임컵 부재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양되어 차양구조 전체의 외관을 고정구나 절취된 커버부재의 가장자리에 따라 손상될 염려도 없다.
청구항 제14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길이가 다른 여러개의 프레임 부재로 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 위에 밀착하게 고정되는 차양부재를 구비하여, 프레임부재의 적어도 몇가지는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었고, 프레임은 대략 수직한 부착부와, 이 수직한 부착부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내다지등을 적어도 구획형성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몇 개의 프레임 부재는 수직한 부착부와 내다지 사이에 뻗어 배설되었고, 프레임부재는 같은 횡단면 형상을 구비한 프레임 부재를 여러개를 포함하여, 그것들 횡단면 형상의 같은 프레임 부재는 각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과, 이 측벽을 연결하는 저벽을 구비하였으며, 그것들 측벽 및 저벽은 협동하여 대략 U 자형의 홈을 구획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은 저벽에서 격리하는 쪽으로 개방구부를 구획 형성하였고, 횡단면 형상의 같은 프레임부재는 다시금 측벽 사이에서 저벽으로부터 뻗은 중간벽과, 중간벽 및 각 측벽과의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브리지벽을 구비하였고, 측벽 및 중간벽은 서로 격리하고 또한 평행으로 뻗은 평면상에 배설되었으며,브리지벽은 개방구로부터 안쪽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동시에 개략 원호형의 단면을 구획 형성하여서 되는 차양구조가 제공되므로 입체적인 형상을 지닌 프레임에의 커버부재의 장착, 고정을 프레임 부재의 한쌍의 브리지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직물 재료를 미리 프레임 형상에 맞추어서 봉제하여 제조하고 나서 장착한다고 하는 번잡한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대략 수직한 부착부 및 하부의 사이에 뻗은 일정한 형상의 여러개의 프레임 부재위에 느슨하지 않게 또한 용이하게 커버부재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이러한 부착 작업은 크게 간략화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양구조의 제조 코스트가 저감됨과 동시에 차양구조 전체의 형상을 소비자의 호감에 맞추어서 한층 변화에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제21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커버부재는 프레임 부재사이에 각기 펼쳐보일 수 있는 가요성이 있는 여러개의 직물재료로 구성되었고, 2장의 직물재료의 인접하는 가장자리의 한쪽을 중간벽의 한쪽에서 프레임 부재에 또 다른쪽의 직물재료의 가장자리를 중간벽의 다른쪽에서 동일한 프레임 부재에 각기 다른 작업으로 고정하여 중간벽에 프레임컵 부재를 고정하여 각 직물재료의 고정 가장자리를 외부로부터 덮으므로, 프레임부재의 배치 및 수를 적당히 설치함에 따라 희망하는 입체형상으로 형성한 프레임에 여러장의 직물재료를 좋은 효율로 간단히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차양구조 전체의 외관은 프레임컵 부재에 따라 아름답게 유지되므로 외과전체의 동일성을 손감하지 않고 남의 눈에 보이는 개소에서 커버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할 수도 있고, 구조 전체의 설계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또, 커버부재를 구성하는 직물재료의 일부가 손상하여도, 그 부분의 직물재료만을 교환하는 것이 좋다.
청구항 제23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재는 프레임의 하부를 형성하여 프레임부재에 패널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벽 수단이 형성되므로 프레임의 저벽을 형성하는 패널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프레임부재를 겸용할 수 있으며, 프레임 구성요소의 수를 저감하여, 구조의 간략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형적인 차양구조의 사시도로서, 그 내부를 나타내도록 일부를 노치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잇따른 차양구조의 프레임부재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에 잇따른 프레임부재의 일부를 노치한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3-3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5-5선에 잇따른 프레임부재의 일부를 노치한 사시도.
제6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간판의 종단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화살표(7)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제8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간판의 종단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화살표(9)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제10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간판의 종단측면도.
제11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1, 110, 120 : 차양구조 12, 102, 111, 122 : 프레임
14, 107 : 커버부재 20, 24, 105, 112 : 프레임부재
30, 32 : 프레임부재의 측벽 24 : 프레임부재의 중간벽
36: U자형홈 38 : 프레임부재의 저벽
46, 48 : 브리지벽 수단

Claims (23)

  1. 프레임(12,102,111,122)에 커버부재(14,107)를 팽팽하게 설치하여 구성하는 차양구조(10,101,110,120)에 사용되는 프레임부재(20,24,105,11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30,32)과, 그 측벽(30,32)을 연결하여 일단에 개방구부를 구비한 대략 U 자형홈(36)을 구획 형성하는 저벽(38)과, 이 저벽(38)의 중간부에서 양측벽(30,32)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뻗은 중간벽(34)과, 상기 U 자형홈(36)의 개방구부 근방에서 측벽(30,32) 및 중간벽(34)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커버부재(14,107)를 고정할 수 있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의 한쌍의 브리지벽(46,48)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측벽(30,32)의 한쪽에는 저벽(38)과의 연결부에서 뻗은 지지벽수단(80)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벽수단(80)은 차양구조(10,101,110,120)의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패널수단(18)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12)에는 힌지부(112c)가 연속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힌지부(112c)는 단면이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재(20)는 길이 방향으로 아아치형이 되게 만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프레임부재(112)의 힌지부(112c)는 프레임(111,112)에 설치된 힌지지지부(117)에 부설되는 홈(119)에 수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지지벽수단(80)은 차양구조(10)의 하부에 설치하는 렌즈(18)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9. 제1항∼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부재(20,24)는 해가림으로서 구성된 차양구조(10)의 프레임(12)으로 사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10. 제1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05,112)는 간판으로서 구성된 차양구조(101,110,120)의 프레임(102,111,122)으로 사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11. 제1항∼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리지벽(46,48)은 측벽(30,32)보다도 엷게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12. 제1항∼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프레임부재(20)는 차양구조(10)의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여러개의 길이가 다른 프레임부재(20,22,24,26)의 적어도 일부이며, 프레임(12)은 대략 수직으로 뻗은 부착부(12a)와, 이 부착부(12a)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내다지부(12b)와, 그것들 부착부(12a)와 내다지부(12b) 사이에 걸쳐서 뻗은 곡면부(12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13. 제1항∼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벽(34)에는 지지수단(44)이 형성되었고, 이 지지수단(44)에는 U 자형홈(36)의 개방구부를 폐쇄하는 프레임컵 부재(60)가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부재.
  14. 길이가 다른 여러개의 프레임부재(20,24,26,105,112)로 된 프레임(12,102,111,122)과, 이 프레임(12,102,111,122)위에 밀착되게 고정된 커버 부재(14,107)를 구비한 차양구조(10,101,110,12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적어도 몇 개인가는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었고, 상기 프레임은 대략 수직한 부착부(12a)와, 이 부착부(12a)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뻗는 내다지부(12b)를 적어도 구획 형성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몇가지인가의 프레임 부재는 수직한 부착부(12a)와 내다지부(12b)사이에 연장하여 배설되었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같은 횡단면 형상을 구비한 프레임부재(20,24,105,112)를 여러개 포함하였으며, 그것들 횡단면 형상의 같은 프레임부재(20,24,105,112)는 각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30,32)과, 이 측벽(30,32)을 연결하는 저벽(38)을 구비하였고, 그것들 측벽(30,32) 및 저벽(38)은 협동하여 대략 U 자형의 홈(36)을 구획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30,32)은 저벽(38)에서 격리하는 쪽으로 개방구두를 구획 형성하여 횡단면 형상의 같은 프레임부재(20,24,105,112)는 다시금 측벽(30,32)사이에서 저벽(38)으로부터 뻗은 중간벽(34)과, 이 중간벽(34) 및 각 측벽(30,32)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브리지벽(46,48)을 구비하여, 측벽(30,32) 및 중간벽(34)은 서로 격리하고 또한 평행으로 뻗은 평면상에 배설되었으며, 브리지벽(46,48)은 개방구부에서 안쪽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동시에 대체로 원호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중간벽(34)에 형성된 지지수단(44)을 새로이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지지수단(44)은 U 자형홈(36)의 개방구부 근방에서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17. 제14항에 있어서, 프레임(12)은 제2프레임부재(22)를 새로이 포함하였고, 제2프레임부재(22)는 서로 간격을 둔 평행한 평면상에 배설되는 한쌍의 대향측벽(70,70)과, 이 측벽(70,70) 사이에 뻗은 저벽(72)을 지니고 홈을 구획 형상하였으며, 측벽(70,70)은 그것들 자유단부(76,76)에서 개방구부를 구획 형성하였고, 제2프레임부재(22)는 또한 개방구부에 근접하지만 안쪽으로 격리하는 위치에서 측벽(70,70) 사이에 뻗은 지지웨브(7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18. 제14항에 있어서, 측벽(30,32)은 일정한 두께를 지녔고, 브리지벽(46,48)은 이 일정한 트께보다도 엷은 두께를 지녔으며, 이에 따라 고정수단(56)이 측벽(30,32)을 변형시키지 않고 브리지벽(46,48)을 관통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19. 제14항에 있어서, 프레임컵 부재(60)를 새로이 지니고, 이 프레임컵 부재는 프레임부재(20,24,105,112)의 측벽(30,32) 사이에 가설되어서 개방구부를 커버하여 이것을 막는 연속벽부(62)와, 이 연속벽부(62)로부터 서로 간격을 두고 안쪽으로 뻗은 여러개의 핀거수단(64,64)을 구비하였으며, 이 핀거수단(64,64)은 프레임부재(20,24,105,112)의 중간벽(34)의 자유단과 맞물수 있고, 그것들 핀거수단(64,64) 및 중간벽(34)의 자유단의 맞물림에 따라 프레임컵 부재(60)는 프레임부재(20,24,105,112) 위의 적당한 곳에 고정 지지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20. 제19항에 있어서, 프레임컵 부재(60)는 새로이 한쌍의 측벽(30,32)의 각 자유단(40,42)과 맞물릴 수 있는 리브(ri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21. 제14항에 있어서,커버부재(14)는 프레임부재 사이에 각기 펼쳐붙여지는 가요성이 있는 여러개의 직물 재료로 되었고, 이 직물 재료는 각기 고정수단(56)이 이 직물 재료 및 브리지벽(46,48)을 관통하여 직물 재료의 가장자리를 측벽(30,32) 및 중간벽(34) 사이에 고정함에 따라 프레임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2장의 직물 재료의 인접부는 중간벽(34)에 따라서 서로 격리되면서 동일한 프레임부재(20)에 고정하여 인접하는 2장의 직물 재료의 한쪽 가장자리를 중간벽(34)의 한쪽에서 프레임부재(20)에 또 다른쪽의 직물재료의 가장 자리를 중간벽(34)의 다른쪽에서 동일한 프레임부재(20)에 각기 따로 따로의 작업으로 고정하여, 중간벽(34)에 프레임컵 부재(60)를 고정함에 따라 프레임컵부재(20)에 고정된 각 직물 재료의 가장 자리를 커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22. 제14항에 있어서, 커버부재(14)는 프레임부재 사이에 각기 펼쳐 붙이는 여러장의 직물 재료로 되었고, 서로 인접하는 2장의 직물 재료의 한쪽의 가장 자리를 중간벽(34)을 이간한 한쪽의 브리지벽(46,48)위에 겹쳐서 이 직물 재료 및 브리지벽 수단의 양쪽을 고정수단(56)으로 관통하고, 인접하는 직물 재료의 다른쪽의 가장자리를 중간벽을 경계로 다른쪽의 브리지벽(46,48)에 겹쳐서 별도의 고정수단(56)으로 관통함에 따라, 이것들 인접하는 2장의 직물 재료를 동일한 프레임부재에 고정하여 프레임컵 부재(60)가 개방구부를 막도록 프레임 부재에 고정하여서 인접하는 2장의 직물재료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23. 제14항에 있어서, 프레임부재(24)는 프레임(12)의 하부를 형성하였고, 이 프레임부재(24)에 패널수단(18)을 지지하는 지지벽 수단(80)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조.
KR1019930000708A 1992-01-21 1993-01-20 프레임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 KR0132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22,737 US5242004A (en) 1992-01-21 1992-01-21 Awning structures
US07/822,7370 1992-01-21
US07/822,737 1992-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620A KR930016620A (ko) 1993-08-26
KR0132138B1 true KR0132138B1 (ko) 1998-04-18

Family

ID=2523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708A KR0132138B1 (ko) 1992-01-21 1993-01-20 프레임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42004A (ko)
JP (1) JPH076266B2 (ko)
KR (1) KR0132138B1 (ko)
CA (1) CA2087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695A (en) * 1989-06-05 1996-09-17 Patsy, Jr.; Glorio J. Extrusions providing for low deformability
US5545488A (en) * 1994-02-14 1996-08-13 Awnex, Incorporated Self-stabilizing extrusion for closure assemblies
US5613544A (en) * 1995-01-10 1997-03-25 Schaefer; Jerry E. Molding system
US5577352A (en) * 1995-05-17 1996-11-26 Fisher; Larry M. Composite frame member
US6112444A (en) * 1996-06-27 2000-09-05 Milliken; Les Framing member for use in assembling a bleed sign face construction
US5794400A (en) * 1996-10-22 1998-08-18 Larry M. Fisher Composite frame member
ES2251062T3 (es) * 1997-03-12 2006-04-16 Juan Moreno Jumilla Disposicion para union de telas a miembros estructurales de soporte y parasol realizado conforme a la misma.
US6088942A (en) 1997-04-11 2000-07-18 Abc Sign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flexible material in a sign system
US5934349A (en) * 1997-11-26 1999-08-10 Carefree/Scott Fetzer Company Retractable awning with cooling fan
CA2306307C (en) * 1999-09-16 2007-01-02 Toto Kogyo Kabushiki Kaisha Sheet fixing device
CA2374434C (en) * 2000-03-20 2008-05-20 Marc Fontaine Elements of stretched false ceiling, use of same for producing false walls and false ceilings
KR100455604B1 (ko) * 2001-09-04 2004-11-08 (주)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차양장치
US6938389B2 (en) 2001-10-03 2005-09-06 Steel Stitch Corporation Roll formed staple-in awning frame and method
US6976330B2 (en) * 2002-04-04 2005-12-20 Milliken & Milliken Hinge assembly for sign box face
KR100458264B1 (ko) * 2002-04-30 2004-12-03 윤상인 차양장치
NL1021101C2 (nl) * 2002-07-18 2004-01-20 Pooltechnics B V Afdekconstructie, en steunbalk daarvoor.
US6758014B2 (en) * 2002-10-15 2004-07-06 Tai-Shan Chen Trellis structure
AU2003903146A0 (en) * 2003-06-20 2003-07-03 Williams, Kaye Adelle A structural assembly
WO2005019660A1 (fr) * 2003-07-22 2005-03-03 Isermatic Systemes Profile pour la fixation d'une toile tendue
US7699091B2 (en) 2003-08-11 2010-04-20 Steel Stitch Corporation Awning system with snap-on functional components
US20080142064A1 (en) * 2004-05-14 2008-06-19 Chrisi Maraki Aluminum Frame For the Construction of a Sunshade With Double Layer of Fabric and Adjustable to Any Kind of Sunshade
CN1295997C (zh) * 2004-10-21 2007-01-24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拼装式方柱组件
DE102005035174B4 (de) * 2005-07-27 2008-10-30 Greiner, Switbert, Dr.-Ing. Verkleidung einer, insbesondere ebenen, Fläche mit einem flexiblen Abdeckmaterial, insbesondere Textilmaterial, sowie Verfahren zur Verkleidung
US8051868B2 (en) * 2008-03-17 2011-11-08 Johnson Outdoors Inc. Tent rafter end cap and tent incorporating same
US7938134B2 (en) * 2008-03-28 2011-05-10 Paul Adams Protective shelter
US7814727B2 (en) * 2008-11-17 2010-10-19 Jake & Elwood Holding Company Wall structure assembly
US8739473B2 (en) 2008-11-21 2014-06-03 Division 8 Products, Inc. Trellis and accent band
US8037645B2 (en) * 2008-11-21 2011-10-18 Tim Michel Trellis and accent band
US8056602B1 (en) * 2009-01-20 2011-11-15 Marhaygue, Llc Screen cover retainer strip assembly
FR2948390B1 (fr) * 2009-07-22 2016-09-02 Normalu Lisse a double enclenchement
BE1019069A5 (nl) * 2009-12-09 2012-02-07 Kestelyn Nv Bevestiging van een scherm bij een schermconstructie.
DE102010060082A1 (de) * 2010-01-26 2011-07-28 Rittal GmbH & Co. KG, 35745 Tragprofil für ein Tragarmsystem
KR200458190Y1 (ko) * 2010-02-23 2012-01-25 권구중 엘이디 파이프 결합형 어닝장치
JP5462129B2 (ja) * 2010-10-27 2014-04-02 株式会社オーティス 遮熱シートの取付構造
US9546486B2 (en) * 2010-11-09 2017-01-17 Tara L. Desjardins Patio extrusion beam cap
US8959854B1 (en) * 2011-05-25 2015-02-24 Management Resources Group, LLC Weatherproof fabric-covered building system
US20140077540A1 (en) * 2012-09-20 2014-03-20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US9759008B2 (en) * 2012-12-06 2017-09-12 Hunter Douglas Inc. End cap for a rail for a window covering
US9340238B2 (en) * 2013-03-14 2016-05-17 Glorio J. Patsy, Jr. Extrusion
PL2997563T3 (pl) * 2013-05-14 2017-10-31 Trotter Properties B V Znak transportowalny
US9328516B2 (en) 2013-10-14 2016-05-03 Division 8 Products, Inc. Trellis with internal drainage system
US10285337B2 (en) * 2016-05-31 2019-05-14 Christopher Garrison Wark Compact plant enclosure
US11008805B2 (en) * 2018-01-08 2021-05-18 Pgt Innovations, Inc. Roll-up screen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6409A (en) * 1958-04-02 1961-10-31 Biltwell Accessories Proprieta Foldable doors or partitions
FI34703A (fi) * 1960-01-19 1964-12-10 Ramkonstruktion med en därpå utspänd folie
US4189880A (en) * 1978-06-16 1980-02-26 Gene Ballin Combination mounting frame and film for a window
US4516343A (en) * 1983-01-18 1985-05-14 Johann Stilling Sign structure
US4547987A (en) * 1983-01-18 1985-10-22 Johann Stilling Sign structure
GB8323006D0 (en) * 1983-08-26 1983-09-28 Serac Ltd Clip fixing for retaining thin film
US4566236A (en) * 1984-02-09 1986-01-28 Pound John A Greenhouse structure element
US4554754A (en) * 1984-07-06 1985-11-26 Johann Stilling Sign with flexible face
US4682433A (en) * 1985-03-28 1987-07-28 Johann Stilling Fabric sign panel
US4920714A (en) * 1986-03-20 1990-05-01 Sease R Gregg Assembly of molding strips adapted to mount flexible coverings on support surfaces
US4690192A (en) * 1986-04-29 1987-09-01 Johann Stilling Replaceable awning
US4817655A (en) * 1986-12-16 1989-04-04 Abc Extrusion Company Canopy assembly
CA1288591C (en) * 1987-12-07 1991-09-10 Johann Stilling Illuminated display
FR2639879B2 (fr) * 1988-01-26 1995-01-06 Lefebvre Pascal Perfectionnement a un chassis pour toile d'artiste peintre
US4860778A (en) * 1988-03-04 1989-08-29 Venderbush Industrial Corporation Contaminant shield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5076033A (en) * 1990-04-03 1991-12-31 Patsy Jr Glorio J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fabric frame structure elements
US5044131A (en) * 1990-05-18 1991-09-03 Fisher Larry M Fabric awning assembly and divider bead for us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87365A1 (en) 1993-07-22
US5242004A (en) 1993-09-07
KR930016620A (ko) 1993-08-26
JPH076266B2 (ja) 1995-01-30
JPH05248049A (ja)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138B1 (ko) 프레임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
US4817655A (en) Canopy assembly
US4865066A (en) Canopy assembly
DK2923009T3 (en) LIGHT SHINE FOR A STRAIGHT FALSE WALL AND STRAIGHT FALSE WALL EQUIPPED WITH SUCH A
CA1255569A (en) Illuminated awning assembly
US7699091B2 (en) Awning system with snap-on functional components
US3391481A (en) Structure for signs, decorative panels and the like and preformed interfitting elements for forming the structure
KR20170127867A (ko)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AU2016426946A2 (en) A support arrangement
US4516343A (en) Sign structure
US6112444A (en) Framing member for use in assembling a bleed sign face construction
US6789596B1 (en) Curtain device
CN211037431U (zh) 一种带隐藏式灯具的幕墙系统
JP3121560B2 (ja) 外壁の化粧構造
CN210710260U (zh) 一种电梯用轿厢吊顶
WO2021214677A1 (en) Terrace canopy
KR0138284Y1 (ko) 조립식 간판
FR2752372B1 (fr) Lambrequin lumineux pour store a rouleau
CN210214505U (zh) 一种便于更换透光板的电梯吊顶
CN2656592Y (zh) 一种百叶窗帘
GB2561201A (en) A pelmet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pelmet for a blind
KR200439126Y1 (ko) 차일 구조체 고정장치
KR970001799Y1 (ko) 후렉스 천을 이용하는 간판의 프레임 구조
JPH0425453Y2 (ko)
KR920000899Y1 (ko) 광고용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