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52Y1 -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052Y1
KR0132052Y1 KR2019950024176U KR19950024176U KR0132052Y1 KR 0132052 Y1 KR0132052 Y1 KR 0132052Y1 KR 2019950024176 U KR2019950024176 U KR 2019950024176U KR 19950024176 U KR19950024176 U KR 19950024176U KR 0132052 Y1 KR0132052 Y1 KR 0132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limit switch
steering
solenoid valv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4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56U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50024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052Y1/ko
Publication of KR970013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Control of steering, e.g. for hydraulic motors driving the vehi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가 서로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앞차체(1)와 뒷차체(2)로 이루어진 중장비에서 조향 또는 주행시에 차체를 충격으로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뒷차체(2)의 측벽에 스토퍼(3)가 돌출설치되고, 상기 앞차체(1)의 측벽에는 리미트스위치(4)가 돌출설치되며, 중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5)에서 부터 조향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는 오일라인(7)에 솔레노이드밸브(8)가 설치되는 한편, 이 솔레노이드밸브(8)에 상기 리미트스위치(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최대 각도로 조향핸들을 조향작동시켜도, 조향실린더(9)에 압유가 더 이상 공급되어지지 않게 하므로써, 앞차체(1)가 뒷차체(2)에 강한 충격력으로 부딪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휠로더에 적용시킨 경우에 이 휠로더의 앞차체를 최대각도로 조향시킨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압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휠로더를 제1도와 동일한 형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앞차체 2 : 뒷차체
3 : 스토퍼 4 : 리미트스위치
5 : 오일펌프 6 : 유압실린더
7 : 오일라인 8 : 솔레노이드밸브
9 : 조향실린더 10 : 조향밸브
본 고안은 중장비의 차체가 앞차체와 뒷차체로 구분되면서 앞차체가 뒷차체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중장비의 차체를 충격으로 부터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앞차체를 최대각도로 조향시킨 경우에 상기 앞차체가 뒷차체에 부딪혀 뒷차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 휠로더의 차체충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등에서 사용되는 중장비중에서 차체가 앞차체와 뒷차체로 구분지워지면서, 상기 앞차체가 뒷차체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차량을 조향시키거나 작업을 하는 경우에 상기 앞차체가 뒷차체로 부터 소정의 각도범위이내에서 좌우로 선회하도록 된 것이 있다.
예컨대, 부피가 일정하기 않은 흙이나 살물등을 차량에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휠로더의 중장비는, 그 작동상의 편의와 작업의 편의를 위해 차체가 작업기가 설치된 앞차체와 본체를 이루는 뒷차체로 구분되어지면서, 이들 앞차체와 뒷차체가 선회축으로 연결되어져, 차량이 주행을 하거나 작업을 하는 경우에 상기 뒷차체에 대해 앞차체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로더와 같은 중장비는 그 몸체가 커고 무게가 무거운 큰 철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앞차체가 뒷차체에 대해 최대각도록 선회작동한 경우에, 앞차체의 프레임이 뒷차체에 닿게 되어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써 뒷차체가 손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더를 주행하면서 조향하거나 작업을 하면서 상기 앞차체(101)가 뒷차체(102)에 대해 최대각도로 조향선회하는 경우에, 이 앞차체(101)이 프레임이 뒷차체(102)에 부딪혀 강한 충격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뒷차체(102)가 무거운 하중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 상기 뒷차체(102)의 측벽에 스토퍼(103)를 설치해 두고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앞차체(101)가 최대각도로 조향하는 경우에 앞차체(101)가 뒷차체(102)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103)에 부딪히게 하므로써, 뒷차체(102)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선시킨 구조에서도 상기 스토퍼(103)가 앞차체(101)의 충격을 완전히 흡수해 주지 못하고, 단지 앞차체(101)가 뒷차체(102)에 직접 부딛히지 않게 하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스토퍼(103)에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스토퍼(103)자체가 망가지게 되고, 이 스토퍼(103)가 망가지게 되면 결국 앞차체(101)가 뒷차체(102)에 직접 부딪히게 되는 현상이 그대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앞차체와 뒷차체로 구분되어지면서 상기 앞차체가 뒷차체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중장비에서, 앞차체를 최대각도로 조향작동시킨 경우에도 이 앞차체가 뒷차체에 큰 충격력으로 부딪히지 않도록 한 중장비의 차체 충격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앞차체의 측벽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뒷차체의 측벽에 스토퍼를 설치하는 한편, 중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이 오일펌프에서 부터 구동모우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조향 밸브사이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이 솔레노이드밸브를 상기 리미트스위치와 연결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앞차체를 최대 각도로 조향시킨 경우에, 이 앞차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가 뒷차체의 스토퍼에 부딪히면서 작동하게 되어 전원을 통전시키게 되고, 이 리미트스위치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어져, 오일펌프에서 부터 조향밸브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차단시키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조향핸들을 계속하여 돌려도 앞차체가 더 이상 선회되지 않도록 하여, 앞차체가 뒷차체에 강한 충격력으로 부딪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휠로더의 앞차체를 뒷차체에 대해 최대각도로 선회시킨 경우를 평면상태로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압제어회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중장비의 차체가 앞차체(1)와 뒷차체(2)로 구분지워지면서, 상기 앞차체(1)가 뒷차체(2)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뒷차체(2)의 측벽에 스토퍼(3)가 돌출설치되며, 상기 앞차체(3)의 측벽에는 리미트스위치(4)가 돌출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중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5)에서 부터 유압모우터(6)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오일라인(7)에 솔레노이드밸브(8)가 설치되고, 이 솔레노이드밸브(8)에 상기 리미트스위치(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는 압유를 공급하는 오일펌프(5)와 상기 유압모우터(6)로 공급되는 압유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조향 밸브(1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에 의해 제어된 압유이 흐름이 상기 조향밸브(10)를 통해 유압모우터(6)와 조향실린더(9)를 동시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중장비를 제1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작동시키면, 앞차체(1)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4)가 뒷차체(2)에 설치된 스토퍼(3)에 닿게 되고, 이에 따라 밧데리와 연결된 리미트스위치(4)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가 절환작동되면서 오일펌프(5)에서 부터 토출되어 조향밸브(10)쪽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조향핸들을 계속하여 조작하여도, 오일펌프(5)에서 토출된 압유가 조향밸브(10)를 통해서 유압모우터(6)와 조향실린더(10)로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중장비가 더 이상의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앞차체(1)가 뒷차체(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선회하고 나면 더 이상 선회작동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앞차체(1)가 뒷차체(2)에 강한 충격력으로 부딪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앞차체와 뒷차체가 분리되어 있는 중장비에서 앞차체를 최대 각도록 조향작동시켜, 앞차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가 뒷차체에 설치된 스토퍼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오일펌프에서 토출되어 조향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계속하여 조향핸들을 조작하여도, 더 이상 앞차체가 조향되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앞차체가 뒷차체에 강한 충격력으로 부딪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차체를 보호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가 앞차체(1)와 뒷차체(2)로 구분지워져, 상기 앞차체(1)가 뒷차체(2)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뒤차체(2)의 측벽에 스토퍼(3)가 돌출설치되고, 상기 앞차체(1)의 측벽에는 리미트스위치(4)가 돌출설치되며, 중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5)에서 부터 조향실린더(10)로 압유를 공급하는 오일라인(7)에 솔레노이드밸브(8)가 설치되는 한편, 이 솔레노이드밸브(8)에 상기 리미트스위치(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KR2019950024176U 1995-09-06 1995-09-06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KR0132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176U KR0132052Y1 (ko) 1995-09-06 1995-09-06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176U KR0132052Y1 (ko) 1995-09-06 1995-09-06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56U KR970013856U (ko) 1997-04-28
KR0132052Y1 true KR0132052Y1 (ko) 1998-12-15

Family

ID=1942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4176U KR0132052Y1 (ko) 1995-09-06 1995-09-06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0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834A (ko) * 1998-06-15 2000-01-15 토니헬샴 휠로우더의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43B1 (ko) * 1996-12-30 2004-07-07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휠로더의차체충격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834A (ko) * 1998-06-15 2000-01-15 토니헬샴 휠로우더의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56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0899A (ko) 유압 제어 장치
CA2323119C (en) Inertia load dampening hydraulic system
US6308973B1 (en) Suspension system with axle oscillation circuit
JP2018115461A (ja) 建設機械
US20060163508A1 (en) Hydraulic circuit of working truck
KR0132052Y1 (ko) 중장비의 차체충격방지장치
US4900093A (en) Impact ripper and control
EP4122802A1 (en) Work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 machine
KR100230051B1 (ko) 자동 조향장치
JP7034010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
KR0139115Y1 (ko) 휠타입 로다의 과도한 조향 방지장치
KR200389672Y1 (ko) 휠로더의 붐상하반동방지장치
KR20090069659A (ko) 건설기계의 버켓 충격완화장치
KR0133179Y1 (ko) 휠로더의 조향충격 방지장치
KR100227577B1 (ko) 휠로더의 조향시 충격 방지장치
KR100198058B1 (ko) 중장비의 주행 피칭 현상 완화장치
KR100188510B1 (ko) 주행시 피칭 완화기능을 구비한 스키드 로더
KR950003827Y1 (ko) 휠타입 중장비의 과도한 조향 방지장치
KR20000021940A (ko) 건설기계의 작업장치용 승압장치
KR100387146B1 (ko) 건설중장비의주행진동감쇄시스템
KR100428243B1 (ko) 휠로더의차체충격방지장치
JP2006161498A (ja) 建設車両
JP2022033096A (ja) 作業機
JPH11333757A (ja) 油圧作業機の破砕機制御装置
KR970003522Y1 (ko) 휠로우더 프레임 및 조향실린더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