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25B1 -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 Google Patents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025B1
KR0132025B1 KR1019930026092A KR930026092A KR0132025B1 KR 0132025 B1 KR0132025 B1 KR 0132025B1 KR 1019930026092 A KR1019930026092 A KR 1019930026092A KR 930026092 A KR930026092 A KR 930026092A KR 0132025 B1 KR0132025 B1 KR 013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weight
component
acrylat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961A (ko
Inventor
이창순
김명환
박주용
조은숙
Original Assignee
최근선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선,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최근선
Priority to KR101993002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025B1/ko
Publication of KR95001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수지 40-80 중량 % , b) 구형 또는 정육면체로서 0.05-1.0㎛ 의 크기와 20-200 Oe 의 항자력을 지니며 정대전성 물질로 표면처리한 자성체 (A)와 자성체 A와 동일하나 표면처리 않은 자성체(B)의 무게비가 자성체(A) : 자상체(B) = 90 : 10 - 10 : 90 인 자성체 18.9-60 중량 % , c) 하전제어제 0.1-5.0 중량 % , d) 폴리올레핀 왁스 1-5 중량 % , e) 카본블랙 5 중량 % 이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1 성분계 정대전성 토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제1도 : 표면처리한 자성체(a), 표면처리하지 않은 자성체(b) 및 자성체를 혼합(c)사용하여 제조한 토너의 Q/d 분포
제2도 : 장기복사후 화상농도가 저하된 토너의 Q/d 분포
본 발명은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장기적으로 안정된 하전 분포도를 지니며 토너간의 응집을 방지함으로써 복사기 및 프린터를 사용하여 화상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초기 화상 농도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높은 화상 농도를 유지하는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에 관한 것이다. 본 토너는 수지, 자성체, 하전 제어제 및 왁스를 내첨하며 또한 소수성 실리카 및 전도성 산화금속 분말을 함유한다. 복사기 및 프린터는 현상방식에 따라 크게 1 성분계와 2 성분계 방식으로 분류되며, 각자의 장점과 단점을 안고 있다. 그 중 현상 장치의 크기 및 유지 측면에서 유리한 1 성분계 현상장치를 사용하는 기종의 수요가 개인용 컴퓨터의 수요증가와 더불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1 성분계 자성토너내에 수지, 자성체, 하전제어제(Charge Control Agent) 및 왁스를 함유한다. 토너 입자들은 현상 장치중의 슬리브와의 마찰에 의하여 대전되며 대전된 토너는 정전기적 힘에 의하여 정전상이 형성된 광전도성 드럼으로 이동하여 토너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상은 종이와 같은 매체로 이동된 후 열과 압력에 의하여 용융 정착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화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들로서 해상도(resolution)와 화상농도( image destiny, ID)를 들 수 있다. 그 중 고해상도의 화상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토너가 높은 마찰 대전량을 지녀야 한다. 미합중국특허 4,299,900에 의하면 토너의 마찰 대전량은 자성체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적정량의 하전제어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한편, 하전제어제를 사용하는 1 성분계 토너에서 관찰되는 큰 문제점의 하나가 복사 및 프린트를 계속함에 따른 화상농도의 저하이며 이 현상은 복사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심화된다. 미합중국특허 5,202,731에 의하면 마찰 대전량이 너무 높을 경우 토너들이 드럼으로 이동하지 않고 슬리브 표면에 남고 이 잔여 토너들이 공급되는 토너들의 마찰 대전을 방해하기 때문에 화상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 현상은 주로 높은 하전량을 지니는 작은 입자들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와같은 화상 농도의 저하현상은 또한 낮은 하전량을 갖는 큰 입자들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하전량이 낮고 입자의 무게가 클 경우 토너를 드럼으로 이동시키는 정전기적 힘이 약하기 때문에 토너가 이동되지 못하고 슬리브에 남아 화상 농도를 저하시킨다. 미합중국특허 5,202,731에 의하면 적절한 입자 분포도를 갖는 토너를 제조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위에 설명한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자분포도 뿐만 아니라 토너의 입자당 하전량의 분포도가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1 성분계 정대전성 토너의 경우 입자분포도에 비하여 하전분포도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너용 수지는 철과의 마찰시 부대전성을 띄므로 정대전성을 띄게 하기 위하여 니그로신계 또는 쿼터너리 암모늄염계의 정대전성 하전제어제를 내첨한다. 내첨되는 하전제어제는 토너의 표면전체를 덮지 못하기 때문에 표면의 대부분은 수지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하전제어제 및 자성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토너의 표면은 마찰 부분에 따라 (+)인 부분과 (-)인 부분이 존재하게 되고 정대전성 토너의 경우 전체적으로 정대전을 띈다. 같은 맥락에서 살펴볼 때, 마찰대전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부대전을 띄는 입자도 또한 존재할 것이라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같은 불균일한 하전분포에 의하여 토너간의 응집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여러 토너입자로 형성된 응집체들은 전체적으로 낮은 하전량을 갖는 큰입자들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 응집 입자들은 드럼으로 이동을 못하고 슬리브 표면에 남아 화상 농도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비화상 부분의 오염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토너간의 응집이 우선 제거되어야 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59-22074에 의하면 항자력이 낮은 자성체를 사용함으로써 토너간의 응집을 낮출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자성체의 자성특성에 의존하는 방법이며 위에서 설명한 토너 표면의 마찰 대전 상태의 불균함으로 인한 응집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적으로 균일하고 안정된 하전 분포도를 지니며 토너간의 응집현상을 최소화한 토너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기적으로 고해상도 및 고화상 농도를 유지시켜 주는 토너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토너는 수지, 자성체, 하전 제어제 및 왁스를 함유한다. 토너중 자성체의 함량은 18.9∼60%이며 정대전성을 띄는 물질로 표면처리한 자성체와 비표면 처리 자성체의 중량비는 90 : 10 ∼ 10 : 90이다. 본 발명의 토너 입자크기는 4∼20㎛ 이며 흐름성 및 마찰 대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수성을 갖도록 표면 처리가 된 정대전성 실리카 및 부대전성 실리카의 비율을 100 : 0 ∼10 : 90 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토너 무게대비 0.1 ∼ 2.0 % 외첨한다. 안정된 마찰 대전 분포도를 주며 드럼 및 슬리브에 대한 마모성을 줄이기 위하여 토너에 전도성 산화 금속 분말을 0.1∼2.0 중량 %를 외첨한다. 이와같이 제조된 토너는 다음의 하전 분포도를 갖는다.
-0.5 Q/d 2.0 상기에서, Q와 d는 각각 토너 입자당 하전량(fC)과 직경(㎛)을 표시한다. 토너제조에 사용되는 수지 및 왁스는 철과의 마찰시 부대전 되므로 10㎛ 정도의 작은 토너입자에 정대전성을 주기위하여 하전제어제 및 자성체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첨가물들의 분산성은 수지의 점도와 용융 혼합 장 치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기계적인 힘 외에 첨가물들과 수지의 상용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열역학적 힘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점도를 결정하는 수지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도는 전단력과 분쇄과정의 분쇄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열역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수지에 산가를 주는 기능기의 도입이 선호된다. 토너중 수지함량은 40∼80 %이며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4∼105 이고 분자량 분포도는 1.1∼50이다. 수지는 일정(unimodal) 또는 이정(bimodal)형태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선형 수지 또는 흐르지 않는 겔을 함유한 수지가 사용된다. 겔을 함유할 경우 그 함량은 10∼60 중량 % 이며 10∼30 중량 % 가 바람직하다. 이정수지중의 고분자량 부분 또는 겔은 비옵셋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착특성은 수지의 점탄성 성질에 의하여 결정되며 본 발명에 사용된 수지는 저장강도와 손실강도의 비율이 160℃ 그리고 0.1Hz 의 속도에서 0.1∼10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 토너에 사용된 수지는 용융혼합시 하전제어제의 분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50 이하의 산가를 가지며 40 이하의 값이 바람직하다. 산가를 주는 말단기는 고분자량 부분의 수지 또는 겔을 구성하는 수지에 선택적으로 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토너는 수지전체에 산가를 주는 기능기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수지로부터 제조된 토너에 비하여 하전제어제의 분산성 면에서 유리하며 결과적으로 마찰 대전 분포도가 좁으므로 더 우수한 화상을 재현한다. 사용가능한 수지들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그리고 비닐수지이다. 비닐수지는 폴리스티렌, 폴리-α-에틸스티렌, 폴리클로로스티렌, 비닐나프탈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소부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도데실아크릴레이트, 폴리옥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에틸에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 부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그리고 스티렌 부틸메타그릴레이트이다. 공중합체중의 스티렌 함량은 60∼9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토너에 이형제로서 사용되는 왁스는 상기 수지들과의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독립적인 영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토너에 사용하기 적합한 왁스는 저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며, 토너 전체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의 양으로 첨가된다. 왁스함량이 1 중량 % 미만일 경우 고온 옵셋현상이 발생하고, 5 중량 % 보다 많으면 배경부 오염을 유발하고 장기 복사시 화상 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왁스중 보다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전제어제의 양은 토너의 중량대비 0.1∼5.0 중량 % 이며 사용되는 하전제어제는 니그로신계 화합물, 쿼터너리 암모늄염계 화합물이며 내첨 및 외첨이 가능하다. 본 발명 토너중 자성체 함량은 18.9∼60 중량 % 이며 자성체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자력의 약화로 인하여 슬리브 표면을 통한 토너의 공급이 감소하고 60 중량% 보다 큰 경우는 마찰 대전량의 감소로 인한 화상 농도의 저하 및 정착불량이 발생한다. 자성체는 Fe, Co, 그리고 Ni을 포함한 산화철로 구성된다. 자기특성에 의한 토너간의 응집방지 및 적절한 슬리브 방향으로서의 자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성체는 20∼200Oe의 항자력, 30∼300 emu/g 의 포화자력, 1∼30 emu/g 의 잔류자력을 지녀야 한다. 자성체는 0.05 ∼1.0㎛ 의 구형 또는 정육각면체가 선호되며 입자 분포도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균일한 마찰 대전 특성을 얻기 위하여 자성체는 정대전성을 띄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 예를 들어 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레인, 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레인,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레인, 트리메톡실-γ-프로필벤질아민, 트리메톡시실릴-γ-프로필피페리딘, 트리메톡시실릴-γ-프로필이미다졸, 아이옥틸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레인 등을 사용하여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토노표면을 균일하게 마찰 대전시킬 목적으로 전도성 카본 블랙을 토너대비 5.0 중량 % 이하 내첨한다. 제1도는 표면처리한 자성체와 표면처리 않은 자성체를 각각 사용하여 제조된 토너들의 Q/d 분포를 보여주며 전자(제1도(a))의 경우 후자(제1도 (b))에 비하여 역극성 토너의 함량이 적고 Q/d 분포가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Q/d 분포도는 에핑(R.H. Epping)의 Q/d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를 제조할 경우 토너표면의 마찰 대전 분포가 균일한 장점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마찰 대전량이 서서히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토너 입자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의 증가로 인하여 토너분말의 외형밀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리브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무게가 감소하여 궁극적으로 화상농도가 저하된다. 그 외에 토너 입자당의 하전량의 증가로 인하여 검은 바탕의 경우 가운데 부분이 외곽에 비하여 흐려지는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느정도 토너간의 응집이 존재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표면처리 않은 자성체의 혼합사용이 필요하며 전체 자성체중 차지하는 비율은 10∼90 중량 %가 바람직하다. 표면처리 자성체의 상대함량이 90 중량 % 보다 큰 경우에는 슬리브 표면 상태의 단위면적당 토너량이 감소하며 10 중량 % 미만일 경우에는 토너간의 응집 현상이 심화된다. 본 발명 토너는 흐름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내첨 또는 외첨된 실리카를 함유한다. 실리카는 흐름성의 증가 외에 마찰 대전 특성에 큰 영향을 주므로 균일한 마찰 대전을 위하여 정대전성 물질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한 실리카가 사용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찰 대전량이 너무 높을 경우 화상농도 및 화질이 저하되므로 적정 마찰 대전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대전성 실리카 외에 부대전성 실리카 또는 전도성 산화 금속 분말을 각각 0.1∼2.0 중량 %로 외첨한다. 상기에서 정대전성 실리카, 즉, 아민계의 물질로 표면처리된 실리카와 표면 처리되지않은 부대전성 실리카는 성분비로 100:0∼10:90 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아민계의 물질 역시 상기의 정대전성 자성체의 정대전성을 띄게하는 표면처리물질인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실리카 및 산화금속분말의 외첨은 5∼50m/s의 선속도에서 2∼6 분 혼합하여 실시한다. 실리카 대용으로 알루미나 또는 타이타니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토너는 일반적인 토너 제조방법에 의거하여 구성 성분들을 헨셀믹서로 혼합한 후 용융혼합, 냉각, 분쇄 및 분급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용융혼합은 140∼180℃에서 실시된다. 각 토너 입자들이 갖는 마찰 대전 분포도는 Q/d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되며 우수한 화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Q/d 값은 다음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0.5 Q/d 2.0 상기에서, Q/d의 단위는 fC/㎛이고, Q와 d는 각각 토너 입자당 전하량(fC)과 직경(㎛)을 표시한다. Q/d 값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역극성 Q/d 값을 갖는(Q/d -0.5) 토너의 양이 증가할 경우 슬리브 표면에 토너들이 응집되어 화상농도를 저하시킨다. Q/d 값이 2.0보다 크고 역극성 토너들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슬리브 표면상에 존재하는 토너들의 양이 부족하여화상농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마찰 대전분포도에 대한 표준편차는 우수한 화상을 재현하기 위해서 0.5fC/㎛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토너는 위의 구성 성분들을 트윈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160℃에 용융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토너는 d(10%)=7.0㎛, d(50%)=9.0㎛, d(90%)=12.0㎛의 입자 분포를 지닌다. 분급된 토너에 정대전성 실리카(BET=300m2/g)를 토너대비 1.0 중량 % 사용하여 5∼50m/s의 선 속도에서 2분 외첨한 후 전도성 산화 금속 분말을 토너 대비 2.0 중량 % 사용하여 5∼50m/s의 선 속도에서 2분간 외첨하였다. 캐논의 NP3000시리즈 복사기를 사용하여 복사 시험한 결과 계조성 및 해상도가 우수하였으며 10,000매 이상까지 화상농도가 1.30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화상농도는 Macbeth 농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슬리브 표면의 토너층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Q/D 미터를 사용하여 마찰 대전량을 측정한 결과 (제1도(c)참고) 평균 Q/d 값이 0.18fC/㎛ 이었으며, 표준편차 0.1fC/㎛ 의 좁은 분포도를 보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을 하되 아민처리 철분말를 사용하지 않고 철분말만을 전체무게대비 45% 사용하여 토너를 제조한 후 복사 시험을 실시하였다. 초기의 해상도 및 화상농도는 1.35 이상으로서 우수하였으나 5,000매 복사 이후 화상농도가 1.30 이하로 저하되었으며 슬리브 표면에 응집된 토너가 관찰 되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을 하되 아민처리 철분말만을 토너무게 대비 45% 사용하여 토너를 제조한 후 복사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과정을 통하여 복사 시험한 결과 8,000 매에서의 화상농도가 1.30 이하로 저하되었다. 비교예 1, 3의 결과와 달리 화상의 모서리 부분은 화상농도(ID)가 높았으나 중앙 부분의 화상농도가 낮았다. 슬리브 표면의 토너층의 두께는 얇았으며 토너의 응집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을 하되 항자력이 250 Oe인 철분말을 사용하여 토너를 제조한 후 복사시험을 실시하였다. 초기에는 1.40의 높은 화상 농도를 보였으나 3,000매 복사시 화상농도가 1.30 이하로 저하되었다. 초기의 Q/d 분포는 좁았으나 화상농도 저하 후 측정 결과 Q/d 분포가 매우 넓어졌으며(제 2도) 토너 응집현상이 심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토너를 제조한 후 전도성 산화 금속 분말을 외첨하지 않고 정대전성 실리카만을 외첨하였다. 초기의 화상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Q/d 분포 또한 매우 좁았으나 5,000 매 이후 화상농도가 1.30 이하로 저하되었다. 슬리브의 토너양이 크게 줄어 들었으며 Q/d 분포가 넓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토너를 제조하되 아민처리 철분말 함량을 줄여 전체 철분말 함량을 40%로 낮추었다. 복사실험 결과 화상농도는 실시예 1에서 얻은 결과와 동일하게 장기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토너를 제조하되 아민처리 철분말 함량을 줄여 전체 철분말 함량을 38% 로 낮추었으며 전도성 카본블랙을 2 중량% 사용하였다. 복사시험 결과 화상농도는 실시예 1에서 얻은 결과와 동일하게 장기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비교예 5]
실시예 2의 토너를 제조 후 비교예 4의 방법을 적용하여 외첨을 실시하였다. 토너 응집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복사를 계속함에 따라 슬리브 표면의 토너양이 감소하였으며 5,000 매 이후 화상농도가 저하되었다. 위의 결과들을 다음의 표 1에서 비교하였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상농도 비교
★ 화상농도가 저하되었기 때문에 복사 중단

Claims (8)

  1. a) 수지 40∼80 중량 %
    b) 구형 또는 정육면체로서 0.05∼1.0 m의 크기와 20∼200Oe 의 항자력을 지니며 정대전성 물질로 표면처리한 자성체(A)와 자성체 A와 동일하나 표면처리 않은 자성체(B)의 무게비가 자성체(A) : 자성체(B) = 90 : 10 ∼ 10 : 90 인 자성체 18.9 ∼60 중량%
    c) 하전제어제 0.1∼5.0 중량%
    d) 폴리올레핀 왁스 1∼5 중량%
    e) 카본블랙 5 중량 % 이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1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2. 제1항에 있어서, 1성분계 정대전성 토너는 마찰대전 분포도가 -0.5≤ Q/d ≤2.0 이고 표준편차가 0.5fC/㎛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1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3. 제1항에 있어서,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스티렌, 폴리-alpha-에틸 스티렌, 폴리클로로스티렌, 비닐나프탈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소부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도데실아크릴레이트, 폴리옥틸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에틸에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 부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 그리고 스티렌 부틸메타그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1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4. 제1항에 있어서, 자성체는 정대전성을 띄게 하는 표면처리 물질이 아미노프로필 트리메특시실레인, 아미노프로필 트리에특시실레인,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레인, 트리메톡실-gamma-프로필벤질아민, 트리메 톡시실릴-gamma-프로필피페리딘, 트리메특실-gamma-프로필이미다졸, 아이옥틸아미노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레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1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5. 제1항에 있어서, 하전제어제가 니그로신계 화합물, 쿼터너리암모늄계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1 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6.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임을 특징으로 하는 1 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7.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의 구성성분에 아민계의 물질로 표면처리된 실리카와 표면처리되지 않은 실리카의 성분비가 100:0∼10:90인 실리카, 전도성 산화금속 분말을 각각 0.1∼2.0 중량%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1 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8. 제7항에 있어서, 실리카 대신에 알루미나, 타이타니아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1 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KR1019930026092A 1993-12-01 1993-12-01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KR013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092A KR0132025B1 (ko) 1993-12-01 1993-12-01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092A KR0132025B1 (ko) 1993-12-01 1993-12-01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961A KR950019961A (ko) 1995-07-24
KR0132025B1 true KR0132025B1 (ko) 1998-04-16

Family

ID=1936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092A KR0132025B1 (ko) 1993-12-01 1993-12-01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100B1 (ko) * 2000-11-22 2003-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온 클리닝 특성이 우수한 토너 조성물
KR100409080B1 (ko) * 2001-01-17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 전사 효율 토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883B1 (ko) * 2006-12-19 2007-11-28 제일모직주식회사 토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100B1 (ko) * 2000-11-22 2003-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온 클리닝 특성이 우수한 토너 조성물
KR100409080B1 (ko) * 2001-01-17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 전사 효율 토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883B1 (ko) * 2006-12-19 2007-11-28 제일모직주식회사 토너 및 그 제조방법
WO2008075807A1 (en) * 2006-12-19 2008-06-26 Cheil Industries Inc.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961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5026A2 (en) Magnetic developer,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1334056C (en) Magnetic toner
JPS6355697B2 (ko)
KR0132025B1 (ko) 일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KR970006283B1 (ko) 전자사진용 정대전성 자성토너의 제조방법
JP3535561B2 (ja) 磁性トナー
JPH08272132A (ja) 静電潜像現像剤
KR0177302B1 (ko) 전자사진용 정대전성 자성 토너
KR20030053023A (ko) 대전균일성이 우수한 자성 토너 조성물
KR20020039858A (ko) 내구성이 우수한 자성 토너 조성물
KR0138600B1 (ko) 전자 사진용 토너
JP3427190B2 (ja) 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
JPS5895748A (ja) 転写型磁性トナ−粒子
KR0138601B1 (ko) 하전 제어제를 함유하는 전자 사진용 토너
JPH06194940A (ja) 現像装置
JPH0264557A (ja) 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
JP3769762B2 (ja) 静電荷像現像剤
JPS6350698B2 (ko)
KR0138583B1 (ko) 고속 복사기용 1성분계 부대전성 토너
KR0177301B1 (ko) 1성분계 정대전성 토너
JPS6366582A (ja) 静電荷像現像法
JP2748163B2 (ja) 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
JPS6350697B2 (ko)
JP3122766B2 (ja) 二成分現像剤
JPH06110247A (ja) 磁性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