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02B1 - 전선 및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선 및 케이블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02B1
KR0131402B1 KR1019890700441A KR890700441A KR0131402B1 KR 0131402 B1 KR0131402 B1 KR 0131402B1 KR 1019890700441 A KR1019890700441 A KR 1019890700441A KR 890700441 A KR890700441 A KR 890700441A KR 0131402 B1 KR0131402 B1 KR 013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ire
binder
conductor
m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221A (ko
Inventor
미첼. 조셉 루딘.
샤운. 미첼 바레트.
Original Assignee
로버트 레너드 홀
레이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레너드 홀, 레이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버트 레너드 홀
Publication of KR89070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ic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1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6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silic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전선 및 케이블
본 발명은 전선 및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선 및 케이블을 사용하는 분야, 예컨대 군사 또는 대량수송분야에서는 화재동안 단락 또는 기타의 장애를 일으킴이 없이 소정기간동안 그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케이블은 사용목적에 따라 회전보전케이블 또는 신호보전케이블이라 한다. 상기 제안된 케이블들은 각 도체들이 화재동안 단락회로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운모테이프, 큰 부피의 패킹재료, 비교적 두꺼운 실리콘 절연체층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원리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화재에 영향을 받는 소정기간동안 그 보전성을 계속 유지하면서도 비교적 작고 가벼우며 제조비용이 적게 드는 케이블이 필요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전선은 금속도체, 이 금속도체상에 화학적으로 박리되어 풍화된 운모로부터 전해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무기물층, 그리고 이 무기물층상의 실리콘 폴리더층으로 구성된다.
몇 개의 2 : 1층의 엽상규산염 무기질은 유기근원 및 무기근원 모두의, 예컨대 알킬암모늄이온, 아미노산과 아미노산 양이온의 광범위의 하전된 그리고 비하전된 핵종으로 층간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거시적 결정질의 층간의 삽입핵종의 함유물은 통상적으로 X선회절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기본간격에 변화를 초래한다. 어떤 상황하에서 부가적인 부풀림이 일어날 수 있고, 다른 삽입이 광범위의 이온화 및 비이온화 솔벤트에 의해 일어난다. 특별한 경우에 팽창의 정도는 겔-형시료를 만들어 낼만큼 너무 광범위하게 될 수 있다. 이 광범위하게 부풀어진 시스템에 가벼운 기계적 작용을 가하는 것은 분산솔벤트에 무기물의 콜로이드분산을 형성할 수 있는바, 이러한 공정은 화학적박리로 공지되어 있다.
이 효과는 특히 분산솔벤트로서의 물과 함께 n-알킬 암모늄이온을 포함하는 운모형 복합체범위에서 명백할 수 있다. 부가적인 중간팽창이 일어나는지 또는 일어나지 않는지는 무기물상의 연속층들을 분리하는 층변화 밀도와 화합된 삽입물의 알킬사슬의 길이에 의존한다.
0.5-0.9의 표면하전밀도를 가지며 어떤 짧은 사슬 n-알킬 암모늄 이온 예컨대, n-프로필, n-부틸 및 이소아밀로 포화된 무기물은 물에서 광범위한 층간 부풀림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대단히 잘 반응을 나타낸다. 그러한 타입의 반응을 나타내는 결정은 원래체적의 30배까지 그리고 때때로 그 이상까지 체적이 증가될 수 있고 부착성 및 겔-형을 그대로 유지한다. 교환가능한 양이온과 교환가능하지 않은 양이온의 혼합층을 포함하는 개재된 무기물은 짧은 사슬 알킬암모늄 이온으로 부분적으로 표화될 수 있고, 계속하여 층으로된 구조부분만을 거시적으로 부풀리기 위해 물로 처리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가벼운 기계적 전단은 층간힘이 최소화되는 곳에서 거시적으로 부풀려진 분열면을 따라 부풀려진 결정을 박리할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얇은 고 종횡 비소판의 콜로이드분산을 만들어낸다. 개시의 무기물이 균일한 성질로 되는 경우에 콜로이드의 혼합물은 변치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때 혼합층의 무기물들이 사용된다면 소판 혼합물 및 특성이 콜로이드 분산을 통해 크게 변화할 것이다. 침강을 포함하나 분별기술을 이용하여 서로로부터 그리고 어미 무기물로부터 상이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분산의 성분들을 고립시킬 수 있다.
풍화된 운모란 여기서 천연운모가 풍화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질석으로 이루어진 무기물 또는 주성분으로 질석층을 함유한 혼합층 타입의 무기물을 포함한다. 그것은 어떤 수성가능하고 성층격자로 되고 팽창가능한 규산염구조를 포함하고, 주로 3층운모를 포함한다. 그 층들은 통상 약 10Å유니트의 두께를 갖는바, 주 원소 성분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콘 및 산소이다. 그것은 운모에서 교환할 수 없는 양이온, 예컨대 칼륨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양이온, 예컨대 소디움 또는 마그네슘 이온으로 교체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교체는 통상적으로 운모의 풍화를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용어는 다른 방법의 양이온교환, 예컨대 열수작용 또는 합성운모에 의해 형성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교환할 수 없는 양이온의 완전한 교체가 있는 질석 및 스멕티트(smectites)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고, 그리고 교환할 수 없는 양이온의 부분교체에 의해 형성한 것과 같은 중간물질을 포함하며, 조건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그 물질로부터 콜로이드 분산을 형성하는 것이 그냥해야 한다. 풍화되지 않은 운모 대신에 풍화된 운모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은 얻어진 무기물층의 응집력이 적층 운모층의 응집력보다 더 크다는 것이며, 그 결과 제조 및 사용중 전선을 좀 더 쉽게 이룰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매우 높은 전해 적층률이 낮은 적층전압으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풍화된 운모는 풍화에 의해 형성되는 다른 층이 분산되어 있는 운모층을 포함하는 혼합층 타입의 무기물이다. 이 풍화된 층은 수성가능하고 성층격자로 되고 팽창가능한 규산염구조, 예컨대 하이드로 바이오티드 및 하이드로플로고피트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층이 대신 존재할 수 있을지라도 바람직하게 하이드로플로고피트 Ⅱ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성 가능한 층은 고유 무기물의 대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바, 물론, 고유무기물의 대부분(무게)은 풍화되지 않은 운모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무기물은 운모모양 또는 주로 운모모양의 내부와 수성화된 규산화염층으로부터 형성되는 표면을 갖는 소판들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바람직하게, 이들 소판은 500Å, 바람직하게 300Å 좀 더 바람직하게 200Å, 가장 바람직하게 100Å 보다 크지 않은 평균두께를 가지나 바람직하게 적어도 20Å, 좀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40Å, 가장 바람직하게 적어도 60Å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전선에는 외부보호층 또는 외피가 제공될 것인바, 이것은 작업시의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풍화된 운모층을 보호하고,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이므로 정규작동시 절연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보호 및 절연층은 통상 중합체층으로 될 것이며, 이 중합체층은 물론 몇몇 경우에는,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 오로에틸렌 또는 어떤 폴리이미드의 경우에 테이프 감지공정에 의해 절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겠지만 압출공정에 의해 코팅된 도체위에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경우, 예컨대 매우 얇은 고온 전선이 요구되는 전동기 전선이나 변성기 전선의 경우에는, 전적으로 중합체절연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은 가늘고 긴 도체를 화학적으로 박리되고 풍화된 운모의 분산을 통하여 통과시키고, 그 도체위에 재구성된 풍화된 운모(이후 간단히 무기물이라 함)을 적층시키기 위해 도체에 전위를 주고, 그리고 그렇게 형성된 도체 및 무기물층을 건조시킴으로서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무기물층이 건조된 후, 코팅된 도체위에 어떤 적당한 방법, 예컨대 압축 또는 디프코팅에 의해 실리콘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다음 그렇게 형성된 실리콘층을 경화시킨다.
풍화된 운모분산은 예컨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삽입된 영국특허 제 1,065,385호의 내용에 기술되어있는 바와같이 풍화된 운모광석을 부풀리기 위해 그 풍화된 운모광석을 알칼리금속, 예컨대 소다움염, 특별하게는 염화소디움의 수용액과 그 이상의 염, 예컨대 n-부틸 암모늄염과 같은 유기물질로 치환된 암모늄염의 수용액으로 계속해서 처리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 운모광석은 물에서 원래의 크기의 몇배로 부풀려진 후, 예컨대 분쇄기, 믹서, 초음파교반기 또는 기타의 장치에 의해 박리되어 대부분의 팽창된 무기물을 콜로이드분산으로 형성한다. 그렇게 형성된 콜로이드 분산은 침전에 의해 여러개의 컷(cut)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질석 또는 그밖의 매우 높게 풍화된 계통과 같은 무기물의 경우, 그것은 미세한 단편으로부터 매우 거칠은 단편으로 변하기 때문에 수화정도는 연속적인 층을 통해 감소하고, K2O함량은 증가하며 X선 회전패턴은 모체무기물을 닮도록 좀 더 가깝게 변한다. 부분적으로 풍화된 운모를 사용할 경우 독특한 증가하는 운모성분이 쉽게 확인될 수 있고, 그것은 거칠고 처리곤란한 무기물의 단편으로 변하기 때문에 그것의 X선 회전패턴, TGA자국, 원소적 조성물은 독특하게 그것을 순수운모로 판단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콜로이드의 적당한 단편을 선택함으로서, 즉 거칠은 운모단편과 크게 수화되고 질석화된 미세단편을 버림으로서 운모박막의 분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분적으로 풍화되고 개재되는 층으로된 무기물에서 질석인터레이어의 화학적 교환을 이용함으로서 XRD, TGA 및 원소 분석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운모와 같은 소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공정에서, 분산액은 1-60분, 바람직하게는 5-20분간 방치된 후, 그 상부분획은 작업용 콜로이드를 공급하도록 경사분리된다. 부분적으로 풍화된 운모가 이용되는 많은 경우에, 풍화공정이 무기물을 통해 균일하게 일어나지는 않기 때문에 모든 무기물은 현탁액으로 되기는 불가능할 것이고, 풍화 또는 양이온 치환의 정도가 클수록 분산될 수 있는 무기물의 비율이 커진다. 경사분리된 분획의 분자크기 범위는 통상적으로 1-250㎛, 바람직하게는 1-100㎛이다. 바람직하게 현탄액은, 더 낮은 농도가 응집을 일으킬만큼 낮지 않다면 그 농도가 사용될 수는 있지만 최소한 0.5 특히 최소한 1중량%의 농도를 갖는다. 최대농도는 바람직하게 8 특히 4중량% 인바, 그 이상에서는 현탁액의 점성도가 비교적 높아서 코팅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현탁액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조건은 무엇보다도 이용되는 무기물의 특별한 타입에 의존할 것이다. 풍화된 운모분산액을 형성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영국 특허출원 제 8813574호에 의해 우선권이 주장되며 본 출원과 같은 날짜에 출원된 무기물이라는 명칭의 우리의 특허출원서에 기술되어 있다.
도체를 코팅하기 위해서, 현탁액에 잠기는 캐소드에 대해 도체를 애노드로 하여 그 도체를 무기물 현탁액을 함유한 배쓰로 통과시킴으로서 풍화된 운모소판이 전해에 의해 젤라틴 코팅으로 도체상에 재구성된다. 그 코팅이 젤라틴 상태로 되며 따라서 전기적으로 도전적이라는 사실은 코팅 두께가 자체되지 못해 비교적 두꺼운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금전압은 배쓰내에서의 도체의 전류시간, 요구되는 코팅두께, 전극기하구조, 배쓰농도, 그리고 배쓰내에서의 다른 종(specie) 특히 이온 종의 존재 또는 부재를 포함한 다수의 요소에 의존한다. 도금전압은 통상 최소한 5v,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0v,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20v이어야 하는바, 그것은 그보다 더 낮은 전압에서는 받아들일 수 있는 코팅두께를 성취하기 위해 너무 긴 잔류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사용전압은 보통 200v 특히 100v보다 크지 않은바, 그 이유는 그것보다 더 높은 전압이 이용된다면 불규칙한 코팅과 코팅층의 집중성 불량이 일어나며, 애노드의 산화 또는 배쓰내의 물의 전해를 유도하므로 코팅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그러한 도금전압은 통상 0.1-6㎃ ㎜-2의 전류밀도에 해당할 것이다.
코팅된 전선을 배쓰에서 꺼내 장비의 어떤 로울러나 기타의 부품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코팅은 겔로부터의 남아 있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된다. 이것은 코팅된 전선을 고온공기컬럼이나 적외선 공급원 또는 고온필라멘트에 의해 가열되는 칼럼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서 성취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다른 칼럼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그다음, 전선은 최종의 사용을 위해 끌어내지거나 외부 보호절연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밑에 있는 도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소판들의 방위가 이루어진다는 것의 의미는 필요한, 자기지지무기물층을 남기기 위한 겔을 붕괴하는데 비교적 빠른 건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리콘 중합체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실리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이고 압출 또는 침지코팅에 의해 도체코팅에 적합하다. 수지는 전선이 제조동안 통상 오랜 건조기간을 필요로 할 무기물층을 적어도 다소 함침할 것이기 때문에 솔벤트에 기초한 수지보다 탄성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실리콘 중합체층을 사용하면 후술되는 바와같이 전선의 불에 대한 성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유도할 수 있는 실리콘 중합체의 적당한 형태에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반복단위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일칼실록산, 예컨대 디메틸실록산, 메틸에틸실록산, 메틸비닐실록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메틸실록산, 폴리더메틸실록산, 디세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공중합체, 플로오로실리콘, 예컨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들로부터 유도되는 중합체가 포함된다. 이 실리콘 중합체는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실록산의 단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율히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5중량% 이하의 메틸비닐실록산을 가지는 디메틸론산의 공중합체이다. Rpyaltherm(Uniroyal로부터 입수가능)과 실리콘 개질된 FPDM, 및 실온 경화되는 실리콘도 또한 적절한 재료이다.
이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만일 필요하다면 충진제, 예컨대 강화 충진제, 난연제, 연장충진제,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적절한 충진제에는 규조토 및 산화철이다. 이런 충진제는 실리콘 중합체에 부가되어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형성하는 실리카와 같은 강화충진제에 부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황산화제, UV안정화제, 열안정화제, 연장실리콘오일, 가소제 및 가교제와 같은 다른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우리는 무기물이 도포된 도체의 처리능을 개선할 수 있는 무기물 코팅에 결합제가 함유된 경우 전선의 기계적 성능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결합제가 무기물 분산액에 삽입되어 무기물 도포도체의 처리능을 개선하기 위해 무기물과 함께 도체상에 적층된다. 결합제로 선택된 재료는 비활성이어야 한다. 즉, 도체금속을 침식하거나 무기물 코팅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되며, 바람직하게는 무기물층과 도체금속의 결합을 개선한다. 그것은 또한 전기영동적으로 이동되어야 하며 솜처럼 뭉쳐지지 않아야 한다. 결합제는 무기물 현탁액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매개물(물)에서 분산가능하다. 예컨대, 그것은 물분산라텍스,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카르복실산 라텍스, 비닐피리딘스/스티렌/부타시엔라텍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제가 건조탑에서 단지 수초의 체류시간만에 급속히 건조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제를 에멀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면 수용액으로는 훨씬 더 긴 건조시간이 필요하고 건조가 강제되었을 경우 얻어진 건조층에 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기포가 무기물층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친유성인 적어도 몇몇 결합재들은 건조된 후 무기물층에 의해 흡수성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풍화된 운모가 비교적 고도의 양이온 대체물을 갖는 경우, 즉 비교적 고도의 질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유용함으로, 화재를 당했을 때 무기물층의 기대치 않은 박락이 제거될 수 있다. 결합제는 경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경화가능한 결합제는 경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것은 경화간으한 결합제는 전선의 성능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하고 통상 제조속도를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중합체 결합제가 존재하면 통상 전선이 화재에 영향을 받는 최초의 일 또는 이분동안에는 무기물층의 전기저항에 통상 유해한 영향을 마치고, 그 후 그 영향은 중요치 않게 되는바, 상당히 높은 전압, 예컨대 200V에서 회로보전성능에 대해 시험되었던 어떤 전선들은 최초의 일 또는 이분안에 실패하거나 시험은 도에서 여러시간동안 견디어낸다는 것을 알았다. 전선의 저항감소는 온도 상승에 따른 결합제의 탄소화 및/또는 결합제 또는 케이블내의 다른 유기성분으로부터 생기는 기체상 도전성 종의 발생에 기인하며, 그 상태는 그렇게 형성된 탄소가 산화됨으로서 급속히 없어진다고 믿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결합제에 의해 유발되는 저항에 대한 유해한 영향은 통상 얇은 실리콘층이 존재하며 개선될 수 있다. 실리콘층은 결합제로부터 생긴 탄이 전기적 단락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몇가지 형태의 전기적 및 기계적 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시험의 최초의 일 또는 이분 동안 전선의 전기적 성능은 통상 실리콘층의 전기적 성능에 의해 좌우된다. 실리콘층이 다 타버리면 결합제로부터 생기는 탄은 정상적으로 완전히 산화되어버려 전선의 성능에 더 이상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금속전기도체, 풍화된 운모로부터 형성되며 유기결합제를 포함하는 절연무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절연체, 그리고 전선이 불에 영향을 받을 때 전선절연체의 전기적 저항에 미치는 결합제로부터 형성되는 탄의 유해한 영향을 감소 또는 제거시킬 일시적 장벽을 제공할 하나의 재료층으로 구성되는 내화전선을 제공한다.
결합제는 바람직하게 풍화된 운모의 중량에 근거하여 5-30%, 특히 10-25% 중량% 양만큼 사용된다. 더적은 양을 사용하면 도체의 처리능을 충분히 증진시키지 못하며 및/또는 금속도체에 대한 무기물층의 접착을 적당히 증진시키지 못할 수 있는 반면에 더많은 양의 결합제를 사용하면 실리콘층이 차폐되기에 너무 많은 판이 발생될 것이다. 또한, 얇은 양의 판을 발생시키는 네오프렌과 같은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결합제는 15% 이하, 좀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탄소성 탄유수를 갖는다.
탄유수는 열무게분석, 즉 TGA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결합제 시료를 질소 또는 다른 불활성 대기중에서 정해진 율로, 즉 정해진 온도에 대해 분당 10℃로 가열하고, 탄으로 이루어진 잔류중량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탄유수는 단순히 비중합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성분을 고려한 후 최초중합체의 퍼센티지로서 나타낸 잔류탄의 량이다. 상기한 탄유수의 값은 850℃에서 측정된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보호층은, 바라직하게는 중합체 절연층은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밑에 있는 무기물층을 보호하고 요구되는 절연과 정상사용중의 유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외부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의 예에는 올레핀 단독중합체 및 다른 올레핀 및 다른 단량체를 가지는 올레핀 공중합체, 예컨대 비닐에스테르,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알카크릴레이트, 예컨대 저, 중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타렌 블록공중합체 및 이들 공중합체의 수소화된 변형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부류의 낮은 탄발생 중합체는 폴리아미드이다. 바람직한 폴리 마이드에는 나일론, 예컨대 나일론 46, 나일론 6, 나일론 7,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1, 나일론 612, 나일론 11, 나일론 12 그리고 지방족/방향족 폴리아미드, 테레프탈산과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의 축합에 근거한 폴리아미드(바람직하게는 2,2,4- 및 2,4,4- 트리메틸헥산메틸디아민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스아미노메틸노브보란 이성질체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복실산, 예컨대 테레프탈산과의 축합으로부터 형성되는 폴리아미드 그리고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락탐을 함유하는 것, 예컨대 ε-카프로락탐 공중합체, 라우린락탐, 이소프탈산 및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 메탄에 근거한 폴리아미드, 2,2-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과 아디프산 및 아젤라산과의 축합에 근거한 폴리아미드, 그리고 트란스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과 상기한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이성질체와의 축합에 근거한 폴리아미드가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지방족 중합체에는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특히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시클로지방족 디올/테레프탈산 공중합체, 예컨대 1,4-시클로헥산디메틸옥시단위를 가지는 이소프탈레이트 단위와 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부틸렌에테르 공중합체, 그리고 특히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와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록을 가지는 것들과 같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 지방족 이오노머 예컨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의 금속염 또는 술폰화된 EPDM과 같은 술폰화된 올레핀에 근거한 중합체등이 있다. 바람직한 지방족 중합체에는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메타아클리화된 폴리에틸렌의 금속염에 근거한 이오노머, 아크릴탄성중합체 예컨대 경화부위 단량체 및 임의로 에틸렌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n-부틸아크릴레이트중합체 또는 알콕시 치환된 에틸, n-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아크릴레이트에 근거한 것들, 그리고 G과 R이 다음의 의미를 갖는 일반식 의 긴 사슬에스테르단위 및 D와 R이 다음의 의미를 갖는 일반식 의 짧은 사슬 에스테르단위를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상기식에서 G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로부터 말단 히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후에 남는 이가기, 바람직하게는 약 600 내지 6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C2내지 C4알킬렌산화물)이며 ; R은 약 300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디카복실산으로부터 카복실그룹을 제거한 후에 남는 이가기이며 ; 그리고 D는 25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적어도 디올로부터 히드록실그룹을 제거한 후에 남는 이가기이다.
바람직한 코폴레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및 1,4-부탄디올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중합체이다. 이들은 반복단위 를 가진 결정성 경질블록 및 약 600 내지 3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즉 n=6 내지 40인 반복단위 의 비결정질, 탄성중합체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테레프탈레이트 연질블록을 가지는 임의 블록공중합체이다.
다른 바람직한 지방족 중합체에는 폴리에테르와 폴리아미드블록에 근거한 중합체, 특히 반복단위 를 가지는 소위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아미드블록공중합체이다 : 상기식에서 A는 평균분자량이 300 내지 15,0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5000의 범위에 있는 폴리아미드 배열을 나타내고 : B는 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3000의 범위에 있는 직쇄 또는 측쇄의 폭리옥시알킬렌 배열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미드 배열은 알파, 오메가-아미노카복실산, C4-C14사슬을 가지는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조합으로부터 형성되며, 폴리옥시아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 근거하고 있으며, 폴리옥시아킬렌 배열은 5 내지 85%, 특히 10 내지 50 중량%의 전체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이들 공중합체와 이들의 제조는 영국 특허 명세서에 1,473,972호, 1,532,930호, 1,555,644호, 2,005,823 A호 및 2,011,450 A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 중합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의 혼합물로 또는 다른 중합체를 가지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충진제, 예컨대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 예컨대 수화 알루미나 및 티탄과 같은 처리 및 비처리된 금속산화물 난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참고자료 영국 특허출원 제 2,128,394A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같이 단일벽구성 또는 다중벽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이들의 기계적 성질을 증진시키고 가열되었을 때 유동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컨대 화학적 가교제 또는 전자 또는 감마조사에 의해 가교 또는 비가교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다른 물질, 예컨대 황산화제, 안정화제, 가교조장제, 가공조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중합체 절연 또는 절연층의 적어도 내부벽은 실제로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일정한 할로겐-함유 중합체는 화재중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종류를 발생시켜서 전선이 조기에 실패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 경우에 절연층은 바람직하게 5중량% 이하의 할로겐,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의 할로겐, 특히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의 할로겐을 함유한다. 하지만, 다른 경우에, 예컨대 고온등급이 요구되는 기체전선의 경우에 있어서는 절연층의 외부벽 또는 일차외피가 할로겐화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적당할 수도 있다. 특히 유용한 한부류위 할로겐화된 중합체는 불소화된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상의 불소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불소화된 중합체는 단순한 불소함유 중합체이거나 불소를 함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 혼합물일 수 있다. 이 불소화된 중합체는 통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소화, 종종 과불소화된, 올레핀성 불포화단량체의 반복-또는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비-불소화된 올레핀을 가지는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 이 불소화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150℃, 종종 250℃ 및 350℃ 이하의 융점을 가지며, 융점이상인 60℃ 이하의 온도에서 104pa.s 이하의 점도(가교이전)를 가진다. 바람직한 불소화된 중합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헥사플로오로에틸렌의 단복-또는 공중합체이며, 특히 예컨대 35 내지 60몰% 에킬렌, 35 내지 60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10몰% 이하의 다른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몰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스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또는 헥사플푸오로이소부틸렌과의 공중합체,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의 공중합체이다. 그렇지 않으면 C1-C5퍼플루오로알콕시 치환된 퍼플루오로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상기 불소화된 중합체와의 공중합체이다.
더욱이, 중합체 절연층, 또는 중합체 절연층이 내부층은, 바람직하게 열중량분석에 의해 측정했을 때 15중량% 이하의 탄소질 탄 유수물을 가진다. 이런 전선은 본원과 함께 동일자 출원된 참고자료로 나타낸 본 발명자들의 공동출원계류중인 전선이란 명칭의 영국 특허출원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은 비도금구리 및 주석, 은 또는 크롬도금된 구리와 같은 가장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한 도체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 도체는 만약 필요하다면 예컨대 참고자료 유럽 특허출원 제 190,888호에 설명된 바와같이 전기 전도성 내화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과 이 전선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고로 예로써 기술될 것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전선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약도.
제 3a -3c 도는 전선의 회로보전성능에 대한 결합제 및 실리콘층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첨부 도면에 따르면, 전선(1)은 부분적으로 풍화된 운모의 두께가 50마이크로 미터인 층(3)과, 두께가 50마이크로 미터인 실리콘 중합체층(3')과, 계속해서 폴리테트라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테레프탈레이트/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에 기초된 압축된 0.15㎜ 두께의 중합체 절연체층(4)으로 코팅된 22AWG7 세선통 도체(2)로 구성된다.
전선은 제 2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장치에서 도체(2)는 풍화된 운모와 결합제의 콜로이드 현탁액을 포함하는 배쓰(5)에 공급되고, 분산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교반되며, 상기 현탁액은 공급배스(5')로부터 공급된다. 도체는 배쓰로 내려가서 로울러(6)를 휘돌아 배쓰를 떠나 곧바로 위로 올라간다. 공중관(7)은 배쓰를 떠나는 도선의 일부를 에워싸고 있으며 중공전극은 풍화된 운모가 도체의 상승부에 적층되도록 중관(7) 내부에 위치된다. 이것은 도선이 로울러(6)를 휘돌아갈때 그렇게 형성된 무기물 피복이 손상되지 않게 방지한다.
코팅된 도선은 배쓰를 떠난 뒤 더운 공기의 역류에 의해 가열되는 길이가 약 1.5미터인 건조탑(8)을 통과하여, 이 건조탑(8)의 상부는 온도가 약 200℃이며 그 하부는 약 160℃이다. 무기물 코팅이 건조된뒤 코팅된 도체는 실리콘 중합체가 담긴 코팅포트(10)을 통고하게 된다. 실리콘 중합체층이 전선에 가해진 뒤 그 전선은 상부의 온도가 약 130℃이고 하부가 약 90℃인 다른 하나의 더운 공기 건조탑(11)을 통과하게 된다.
실리콘층이 가해지고 건조되었을 때 전선은 절연상부코팅의 제공을 기다리기 위해 감길 수 있거나 또는 상부 피복이, 예컨대 압축기(12)에 의해 그때 그때에 제공될 수 있다.
도체(2)를 피복장치에 공급하는 공급속도는 의도하는 코팅의 두께, 전기영동전위와 배쓰에서의 풍화된 운모의 농도에 따를 것이다. 예컨대, 보다 높은 도선속도와 동일한 체류시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배쓰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서 공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더라도 공급속도는 2 내지 20미터/분, 특히 5내지 10미터/분이 바람직하다.
제 3a-3c도는 전선의 절연체의 전기적 성능에 대한 결합 및 실리콘층의 결과를 나타낸다. 각 경우에 1미터의 트위스트된 전선쌍은 가스불꽃에서 900℃로 가열되었고, 2선 사이의 전기저항은 가로좌표에 표시되는 시간의 함수로서 기억되어 세로좌표를 따라 표시된다.
제 3a 도는 결합제를 포함하지 않은 25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풍화 운모층에 의해서만 절연된 전선의 성능을 나타낸다. 전선을 가열했을 때 저항은 약 60초에서 107오옴을 약간 하회하는 값으로 떨어져 테스트가 끝날때까지 그 레벨을 유지한다. 이 절연층은 만족한 전기성능을 나타냈지만, 적당치 못한 기계적 성능을 보였으며 경제적인 전선 및 케이블 공정율로 제조될 수 없었다.
제 3b 도는 무기물층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공중합 결합제의 15중량%를 포함하는 전선의 성능을 나타낸다. 기계적 특성은 양호했고, 전선은 전선 및 케이블 공정작용을 통해 50미터/분까지의 비율로 기계적으로 쉽게 처리될 수 있었다. 이 경우에는, 전선의 전기저항은 30초 후 약 105오옴으로 떨어진 후 다시 150-200호 후 약 107오옴으로의 저항 강하는 그러한 전선에 지정될 수 있는 전압범위를 크게 억제할 것이다.
제 3c 도는 전체두께를 75 마이크로미터로 하기 위해 50마이크로미터층의 실리콘 탄성중합체가 더 부가된 제3b도 전선의 성능을 나타낸다. 저항은 테스트의 개시후 100초에서 107오옴을 약간 상회할 정도로 떨어졌고, 테스트가 종결될때까지 그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유기결합제의 해로운 효과가 완전히 제거된다. 절연체의 기계적 성능은 양호했고, 그 한 개는 실리콘층의 세기에 의해 결정된다. 전선에는 쉽게 또다른 중합체절연체층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한다.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체를 코팅하는데 사용된 작업용 콜로이드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었다. 본 출원과 동일날짜로 출원되었으며 전선이라는 명칭을 가진 우리의 영국 특허출원에 따른 풍화된 운모 800g을 약 30분 동안 끓는 물에 씻었으며, 얻어진 용액을 경사분리하여 점토분획을 제거하였다. 다음에 교환가능한 양이온을 나트륨 이온으로 교체하기 위해 무기물을 4-24시간동안 염화나트륨 포화용액중에서 환류시켰다. 그다음, 질환은으로 시험해서 그 이상의 염소이온이 관찰되지 않을때까지 잉여의 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것을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씻어낸다. 그다음, n-부틸염화 암모늄몰 용액으로 4-24시간동안 이물질을 환류시킨다음 염소이온이 염화은으로 검출되지 않을때까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씻어낸다.
다음, 부풀린 물질은 무기물을 쪼개기 위해 20분 동안 그 리브 믹서에서 처리되어 처리되지 않은 무기물을 침전시키기 위해 20분 동안 정치시킨다. 상부분획은 작업용 콜로이드로 사용되었다.
풍화된 운모의 중량에 근거하여 4중량%의 풍화된 운모와 15중량%의 카르복실화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고무를 갖는 콜로이드는 도금용 배쓰로 사용되었다. 20AWG 5m/분의 속도로 길이가 40㎝린 콜로이드 배쓰를 통과하는바, 그동안 풍화된 운모는 4.2V의 도금 전압과 165mA의 전류로 도체상에 전기영동적으로 적충되었다. 그다음, 코팅된 전선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30마이크로미터 건조두께의 무기물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건조탑을 통과하게 된다. 그다음, 전선은 2부분의 실리콘배쓰(KE1204 exshinetsu)를 통고하여 50마이크로미터의 두꺼운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시 경화된다. 그후, 8중량%의 데카브로모디페닐에티르와 4%의 삼산화안티몬난연성화제를 포함한 저밀도의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100마이크로미터의 두꺼운 단일벽 절연체가 전선상에 압출되었다.
전선은 3개의 전선을 함께 꼬아서 각 전선을 3상전원의 어느 한상에 연결한다음 IEC331에 따라 3시간의 시험기간동안 그 전선을 900℃로 가열하여 회로보전에 대해 시험되었다. 전선은 전체 시험기간동안 900℃에서 실패없이(즉, 3A 퓨우즈가 끊어짐이 없이)에 상마다 300v를 지탱할 수 있었다.
실시예 2-5
실시예 1은 다음의 결합제들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실시예 2 포리비닐 아세테이트
실시예 3 아클리 공중합체 에멀션
실시예 4 폴리비닐리딘 클로라이드
실시예 5 비닐피리딘 말단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고무
전선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대로 시험되었으며, 각 경우에 전선은 3시간 동안 900℃에서 매 상마다 300V를 지탱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은 실리콘층이 폴리디에틸 실록산에 근거한 제제로부터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실리콘층은 75-100마이크로미터의 두꺼운 층을 형성하도록 코팅의 도체상에 상온으로 압출되었고 300℃의 관가마에서(체류시간 20.5초) 가황되었다.
전선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되었고 900℃에서 3시간동안 매상마다 440V를 지탱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6은 침전배쓰의 도금전압이 40마이크로미터의 무기물 층두께를 부여하는 15.5V(300mA)인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전선은 990℃에서 3시간 동안 해상마다 440V를 지탱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은 사용된 실리콘이 70마이크로미터의 두께의 인가된 침지코팅된 무용제 실리콘(sylgard 184)인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전선은 900℃에서 3시간 동안 해상마다 300V를 지탱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중량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80
Surlyn 이오노머 20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8
삼산화안티몬 4
Irganox 1010 2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교차결합중진제 5
로 이루어진 100마이크로미터의 두꺼운 층으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전선은 900℃에서 3시간동안 매상마다 300V를 지탱했다.
실시예 10
실시예 9는 PBT/surlyn층이 난연성화재(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sb2o3)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두께가 100마이크로미터인 부가의 중합체층이 PBT/surlyn층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부가외층은 다음의 조성물을 갖는다.
중량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70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에테르테레프탈레이트
블록공중합체30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탈이미드10
삼산화 안티온4
수산화 마그네슘20
전선은 900℃에서 3시간 동안 매상마다 300V를 지탱했다.
실시예 11
실시예 7은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절연체가 실시예 10의 부가의 층으로 교체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전선은 900℃에서 3시간 동안 매상마다 440V를 지탱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6은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절연체가 불완전연성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100마이크로미터의 두꺼운 층으로 대체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전선은 900℃에서 3시간 동안 매상마다 300V를 지탱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1은 사용된 결합제가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였고, 도금전압이 12.5V 도금전류가 422mA였고, 라인속도가 10미터/분이었고, 그리고 실리콘층 및 중합체 절연체가
실리콘 조성물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61.2
발연실리카 22.3
그라운드 실리카 6.8
발연된 이산화티탄 3.4
Iron 산화물 3.4
과산화물 2.4
열안정화제(세륨 수산화물) 0.5
소 백금 0.005
절연체
중량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43.5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산화물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15.8
폴리카르모디미드2.8
데카브로모 디페닐 에테르 9.5
삼산화 안티몬 3.8
244-263.9
산화방지제(Irganox 1010)1.9
수산화 마그네슘18.8
과 같은 조성물을 가졌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실리콘층은 100㎛의 두께를 가졌고, 중합체층은 125㎛의 두께를 가졌다. 전선은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시험되었고, 전체 시험 기간 동안 900㎛에서 매상마다 440V(3A)를 지탱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은 중합체 절연체가
조성물
중량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43.5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15.6
산화물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15.8
폴리카르보디미드2.8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9.5
삼산화 안티몬3.8
244-263.9
산화방지제(Irganox 1010)1.9
수산화마그네슘18.8
과 같은 조성물을 가졌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되었다.
도금전압은 11.5V였고, 도금 전류는 365mA였다. 무기물층은 25㎛의 두께를 가졌고, 실리콘층은 125㎛의 두께를 가졌다.
전선은 전체 시험 동안 900℃에서 해상마다 440V(3A)를 지탱할 수 있었다.

Claims (18)

  1. 금속전기도체와, 이 도체상에 화학적으로 박리되어 풍화된 운모로부터 전해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무기물층과, 이 무기물층상에 위치되는 실리콘 중합체로 구성되는 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콘층상에 위치되는 보호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외피는 유기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전기절연외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외피는 내부 및 외부층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층은 실질적으로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15중량%보다 많지 않은 탄소질탄 유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전체무기물 중량에 기초된 5중량%로부터 30중량%의 범위로 무기물층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유기라텍스의 형태로 무기물층에 섞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스티렌/부타디엔/카르복실산 중합체 또는 비닐피리딘/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실리콘 중합체는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1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5 내지 125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12. 케이블 외피에 둘러싸여진,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따른 전선다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
  13. ( i ) 화학적으로 박리되어 풍화된 운모의 현탁액에 가늘고 긴 전기도체를 통과시키고, 그 도체위에 풍화된 운모를 적층시키기 위해 그 도체에 전위를 제공하고, ( ii ) 그렇게 형성된 풍화된 운모층을 건조하고, ( iii ) 풍화된 운모의 표면에 하나의 실리콘 중합체층을 가하고, 그리고 (iv) 그 실리콘층을 건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을 형성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코팅도체에 절연보호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형성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에 결합제를 섞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형성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라텍스의 형태로 현탁액속에 섞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형성하는 방법.
  17.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층에 유기중합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형성하는 방법.
  18. 금속전기도체와, 화학적으로 박리되어 풍화된 운모로 형성되며 유기결합제를 포함하는 절연무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절연체와, 전선절연체의 전기저항에 대한 결합제로부터 형성된 바람직하지 못한 탄의 효과를 감소 또는 제거하며 전선이 불에 영향을 받을시 일시적 장벽을 제공하는 상기 무기물층상에 위치되는 하나의 재료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전선.
KR1019890700441A 1987-07-10 1988-07-08 전선 및 케이블 KR0131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16303 1987-07-10
GB878716303A GB8716303D0 (en) 1987-07-10 1987-07-10 Electrical wire & cable
PCT/GB1988/000544 WO1989000762A1 (en) 1987-07-10 1988-07-08 Electrical wire and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221A KR890702221A (ko) 1989-12-23
KR0131402B1 true KR0131402B1 (ko) 1998-04-24

Family

ID=1062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41A KR0131402B1 (ko) 1987-07-10 1988-07-08 전선 및 케이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370041A1 (ko)
JP (1) JPH02504199A (ko)
KR (1) KR0131402B1 (ko)
AU (1) AU606723B2 (ko)
BR (1) BR8807604A (ko)
CA (1) CA1319401C (ko)
DK (1) DK163849C (ko)
FI (1) FI900108A0 (ko)
GB (1) GB8716303D0 (ko)
IL (1) IL87045A (ko)
WO (1) WO1989000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92B1 (ko) * 2010-07-22 2012-05-23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마이크로 동축 선재와 이를 갖는 케이블 및 마이크로 동축 선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0686B (en) 2008-06-05 2012-05-16 Tyco Electronics Ltd Uk High performance, high temperature wire or cable
JP2010123461A (ja) * 2008-11-20 2010-06-03 Sumitomo Electric Ind Ltd 絶縁電線、その製造方法及び多層電線
JP5534544B2 (ja) * 2008-11-20 2014-07-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及び多層電線
GB2480452B (en) * 2010-05-18 2014-10-08 Tyco Electronics Ltd Uk High temperature insulated wire or cable
CN102831965A (zh) * 2012-08-10 2012-12-19 安徽埃克森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矿物绝缘防火电缆
US10354779B2 (en) 2017-03-31 2019-07-16 Radix Wire & Cable, Llc Free air fire alarm cable
GB201906525D0 (en) * 2019-05-09 2019-06-26 Teesside Univ Multilayer coating
CN116376432A (zh) * 2023-04-23 2023-07-04 北京倚天凌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色涂层处理液、涂层及包含涂层的陶瓷分色云母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96986A1 (de) * 1963-06-22 1970-10-01 Siemens Ag Verfahren zur elektrophoretischen Herstellung von Glimmerschichten auf einer metallischen Unterlage
JPS57185621A (en) * 1981-05-09 1982-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Method of producing electrically insulated conductor
DE3544810A1 (de) * 1985-12-18 1987-06-19 Eilentropp Hew Kabel Schutzhuelle gegen hitze- und feuereinwirkung von aussen fuer strangfoermiges g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92B1 (ko) * 2010-07-22 2012-05-23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마이크로 동축 선재와 이를 갖는 케이블 및 마이크로 동축 선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70041A1 (en) 1990-05-30
JPH02504199A (ja) 1990-11-29
IL87045A0 (en) 1988-12-30
IL87045A (en) 1993-03-15
KR890702221A (ko) 1989-12-23
BR8807604A (pt) 1990-04-10
AU1990588A (en) 1989-02-13
AU606723B2 (en) 1991-02-14
FI900108A (fi) 1990-01-09
GB8716303D0 (en) 1987-08-19
WO1989000762A1 (en) 1989-01-26
DK163849B (da) 1992-04-06
CA1319401C (en) 1993-06-22
DK5690A (da) 1990-01-09
DK163849C (da) 1992-08-24
FI900108A0 (fi) 1990-01-09
DK5690D0 (da) 199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4281B1 (en) Flame retarded cladding
KR0131402B1 (ko) 전선 및 케이블
CA1118854A (en) Electric cables with an enclosing sheath of low flammability material
AU2017421247B2 (en) Flame retardant, low smoke, cold resistant electric cable
AU606721B2 (en) Electrical wire with insulating mineral layer
BRPI0520624B1 (pt) cabo com propriedades de auto-extinção, e, composição retardante de chama
US10736249B2 (en) Conductive corona shielding paper, in particular for outer corona shielding
US9484125B2 (en) Mica-based strip
EP1235232B1 (en) Cable with coating of a composite material
AU606440B2 (en) Electrical wire with insulating mineral layer
JP2015048371A (ja) ノンハロゲン樹脂組成物、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JPH11507167A (ja) 絶縁ワイヤおよびケーブル
AU606439B2 (en) Electrical wire with insulating mineral layer
GB2170646A (en) Flame retardant cable
EP0366700B1 (en) Electrical wire
CA1307837C (en) Dual wall wire having polyester fluoropolymer insulation
GB1583956A (en) Electric cables
CN1030901A (zh) 矿物
JP2001052535A (ja) 耐トラッキング性絶縁電線、及び耐トラッキング性絶縁ケーブル
WO1989000760A1 (en) Wire
CN107633914A (zh) 一种高压电缆
GB2176491A (en) Poly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hydrated inorganic fi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