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306B1 - Suspen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uspension apparatus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306B1
KR0131306B1 KR1019920023213A KR920023213A KR0131306B1 KR 0131306 B1 KR0131306 B1 KR 0131306B1 KR 1019920023213 A KR1019920023213 A KR 1019920023213A KR 920023213 A KR920023213 A KR 920023213A KR 0131306 B1 KR0131306 B1 KR 013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vehicle body
vehicle
knuck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13903A (en
Inventor
전동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2002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306B1/en
Publication of KR94001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bstract

휠의 범프 또는 리바운드시 캠버의 변화를 크게함과 동시에 트레드의 변화를 줄일수 있는 차량용 현가장치로서, 외측단이 너클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는 센터 및 리어 로워 아암과; 후단이 너클에 고정되고 선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프론트 로워 아암과;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아암과; 너클에 연결되어 차체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후단에 연결되어 차체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으며 그 하단이 상기 리어 로워 아암의 일정부위에 연결되는 제3 아암과, 그리고 상기 제2 아암의 거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그 내측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아암으로 형성되는 어퍼아암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A vehicle suspension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a change in camber at the time of bump or rebound of a wheel and reducing a change in tread, comprising: a center and rear lower arms having an outer end connected to a knuckle and an inner end connected to a subframe; A front lower arm having a rear end fixed to the knuckle and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 strut arm formed of an assembly of a shock-absorber and a spring; A first arm connected to the knuckle and extending toward the vehicle body; a second arm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first arm and extending rearward; and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arm and extending below the vehicle body; A lower arm formed of a third arm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rear lower arm, and an upper arm formed of a connecting arm connected to an almost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econd arm and having an inner end connected to a vehicle body. Vehicle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Car suspens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현가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spension of FIG. 1.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를 측면에서 본 작동 상태도.3 is a side view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종래의 현가장치를 측면에서 본 작동상태도.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uspension from the sid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휠 3 : 서브 프레임2: wheel 3: sub-frame

4 : 너클 6 : 프론트 로워 아암4: knuckle 6: front lower arm

8, 10 : 센터 및 리어 로워 아암 12 : 어퍼 아암8, 10: center and rear lower arm 12: upper arm

14 : 스트러트 아암 121 : 제1 아암14 strut arm 121 first arm

122 : 제2 아암 123 : 제3 아암122: second arm 123: third arm

124 : 연결아암 142 : 쇽 업소오버124: connecting arm 142: shock over

141 : 스프링141: spring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Sub-frame)을 적용시킨 멀티 링크형 독립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외부로 부터 충격을 받았을때 캠버변화와 트레드변화를 적절히 제어하여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k independent suspension device using a sub-frame. More specifically, when the vehicle is impacted from the outside, the camber change and the tread change are appropriately controlled to improve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It relates to a rear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that can be improved.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 주행할 때 차체에 대한 타이어의 위치상태를 제어하므로써 타이어의 노면상에서의 위치가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 놓일 수 있게끔 하여 조종 안정성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키고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Suspension in automobiles connects the axle and the body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tire relative to the body when driving so that the position on the road surface of the tire can be placed in the most ideal state to maintain the best steering stability. It is a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body or cargo and improves the riding comfort by preventing the axle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ody.

이와같은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크게 분류하여 차축 현가식과 독립 현가식이 있는데,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전, 후륜 모두 차축식 현가장치를 적용하고 있으며, 승용차의 경우 종래에는 전륜은 독립 현가장치를 채용하고 후륜은 차축식 현가장치를 채용한 예도 있으나 요즈음 제작 판매되고 있는 승용차의 경우에는 전, 후륜 모두 양 휠이 상호 간섭됨이 없이 움직이게 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독립 현가장치하고 있다.Suspensions of such vehicle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axle suspension and independent suspension. For large vehicles, axle suspension is applied to both front and rear wheels.In the case of passenger cars, front suspension adopts independent suspension and rear wheels. In some cases, the axle suspension system is adopted, but 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that is manufactured and sold these days, both front and rear wheels mov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ide comfort and stability are improved.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독립 현가장치는 그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과 다수의 콘트롤 아암이 적용되는 멀티 링크(Multy-link)형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independent suspension of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is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structural difference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k rear wheel suspension to which a subframe and a plurality of control arms are applied.

즉, 일반적인 멀티 링크형 현가장치는 차체의 저부에 마운팅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과 휠 지지체를 연결하여 각 휠의 독립적인 상하운동을 가능케 하는 다수의 콘트롤 아암과; 상기 휠 지지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스트러트 아암 등이 구비되어 차체 및 휠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That is, a general multi-link suspension system includes: a sub fram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A plurality of control arms connecting the subframe and the wheel support to enable independent vertical movement of each wheel; The wheel support is provided with a strut arm fixed at the lower end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o effectively absorb shock and vibration load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가장치를 제4도와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suspens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 as follows.

제4도는 종래의 현가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휠(2)을 지지하는 너클(4) 하단에 차체와 휠을 연결하여 주는 프론트 아암(6)및 센터 아암(8) 그리고 리어 아암(10)이 부싱 또는 볼 조인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어퍼 아암(12)이 상기 너클의 상단에 그 한측이 볼 조인트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한측은 차체에 부싱결합되어 구성하였다.FI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The front arm 6 and the center arm 8 and the rear arm which connect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to the bottom of the knuckle 4 supporting the wheel 2 are shown in FIG. 10 is coupled by a bushing or ball joint coupling, and the upper arm 12 has a ball joint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knuckle, and the other side is bushe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외부로부터 휠에 충격이 가해져 범프 또는 리바운드가 발생할때 각 아암의 배치상태 및 그 아암들의 연결부에 개재되는 탄성부시의 변형특성 등에 의하여 캠버 및 트래드가 변화하게 된다.When the wheel is impacted from the outside and bumps or rebounds occur, the camber and the tread change due to the arrangement of each arm and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bush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arms.

다시말하면, 캠버란 차륜을 차량의 앞에서 볼때, 위가 벌어져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이렇게 하는 주요한 이유는 킹핀 경사와 함께 오프셋을 작게하여 조향을 쉽게 하기 위해서 이며, 트레드는 좌우 타이어의 접지 면 중심 간의 거리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캠버의 변화가 클수록 조종 안정성은 향상되며, 트레드의 변화는 승차감과 차량의 직진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변화는 작을수록 보다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camber is the top of the wheel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o make steering easier by reducing the offset with the kingpin inclination. Generally speaking, the larger the change in the camber, the better the steering stability, and the change in the tread affects the ride comfort and the straight stability of the vehicle.

그러나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현가장치는 차량이 리바운드되는 휠과 각 아암의 유기적인 변화는 파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변화 하는데, 이때 현가장치는 캠버의 각(△α)변화가 커지게 되면 그에 따라서 트레드의 변화(△T)도 커지게 되는데, 그것은 각각의 아암들이 모두 차체측과 연결되는 점을 중심으로 피벗하기 때문이다.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conventional suspension system changes as shown by the broken line of the wheels to which the vehicle is rebounded and the organic change of each arm. In this case, the suspension system increases the angle (Δα) change of the camber. As a result, the change of tread (ΔT) also increases accordingly, since each arm pivots around the point where all the arms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따라서 캠버의 변화가 커져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에따라 트레드의 변화도 커져 승차감과 직진 안정성에는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을 가진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가장치는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을 양립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change of camber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but accordingly the change of the tread has a disadvantage that adversely affects the ride comfort and straight stability. That is, the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compatible with riding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본 발명은 상기 종래 현가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의 범프 또는 리바운드시 캠버의 변화를 크게하여 조종안정성을 증가 시킴과 동시에 트레드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어 승차감 및 차량의 직진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hange in the camber during bump or rebound of the wheel to increase the steering stability and to reduce the change in the trea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ride comfort and linear stability of the vehicle.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측단이 너클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는 센터 및 리어 로워 아암과; 후단이 너클에 고정되고 선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프론트 로워 아암과;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아암과; 너클에 연결되어 차체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후단에 연결되어 차체의 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면 그 하단이 상기 리어 로워 아암의 일정부위에 연결되는 제3 아암과, 그리고 상기 제 2 아암의 거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그 내측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아암으로 형성되는 어퍼아암을 구비하여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To realize th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and rear lower arm having an outer end connected to a knuckle and an inner end connected to a subframe; A front lower arm having a rear end fixed to the knuckle and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 strut arm formed of an assembly of a shock-absorber and a spring; A first arm connected to the knuckle and extending toward the vehicle body, a second arm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first arm and extending rearward, and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arm and extending below the vehicle body; A lower arm having a third arm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rear lower arm, and an upper arm connected to an almost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econd arm and having an inner end connected to a vehicle body. It provides a vehicle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F로 지시되는 화살표의 방향은 차체의 전방을 가르키는 것이며 R로 지시되는 화살표의 방향은 차량의 후방을 가르키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FIG. 1,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by F indicates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by R indicates the rear of the vehicle. Is pointing.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는 외측단이 너클(4)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서브 프레임(3)에 연결되는 센터 및 리어 로워 아암(8)(10)과; 후단이 너클(4)에 고정되고 선단이 차체(미도시)에 연결되는 프론트 로워 아암(6)과; 쇽 업소오버(142)와 스프링(141)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아암(14)과; 너클에 연결되어 차체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아암(121)과, 상기 제1아암(121)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아암(122)과, 상기 제2아암(122)의 후단에 연결되어 차체의 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하단이 상기 리어 로워 아암(10)의 일정부위에 연결되는 제3 아암(123)과, 그리고 상기 제2 아암(122)의 거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그 내측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아암(124)으로 이루어진 어퍼아암(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As shown, a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and rear lower arms 8 and 10 having an outer end connected to a knuckle 4 and an inner end connected to a subframe 3; A front lower arm 6 having a rear end fixed to the knuckle 4 and a front end connect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A strut arm 14 formed of an assembly of a shock absorber 142 and a spring 141; A first arm 121 connected to the knuckle and extending toward the vehicle body, a second arm 122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first arm 121 and extending rearward, and the second arm 122 A third arm 123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vehicle and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low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rear lower arm 10, and an almost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arm 122. It is configured to have an upper arm 12 made of a connecting arm 124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vehicle bod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현가장치의 실시예에서는 각 아암의 차체측 고정수단으로서는 부싱결합을 채택하였고 휠측의 연결 수단으로는 볼 조인트 결합을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 로워 아암의 경우 양단의 연결부를 모두 부싱결합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ushing coupling is adopted as the vehicle body side fixing means of each arm, and the ball joint coupling is used as the wheel side coupling mea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an do. For example, the center lower arm can be bushing-coupled at both ends.

그리고 어퍼 아암(12)의 제1 아암(121)과 제2 아암의 연결부는 부싱결합을, 제2 아암과 제3 아암의 연결은 부싱 또는 볼조인트 연결을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rm 121 and the second arm of the upper arm 12 may be a bushing coupling, and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arm and the third arm may be bushing or ball joint connec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작동을 배면도인 제3도와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여기서 제3도는, 보다 쉽게 이해 될수 있도록 휠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범프 또는 리바운드될때 작용하는 어퍼 아암(12)과 로워 아암(8)(10)들만 도시하여 설명되고 있다.3 shows only upper arms 12 and lower arms 8 and 10 acting when the wheel is bumped or rebounded by external impacts, so that they can be more readily understood.

휠(2)이 외부로 부터 충격을 받아 범프 또는 리바운드 될때, 각 아암의 연결 수단에 의해서 아암들은 유기 적으로 움직이는데,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휠이 리바운드되면 센터 및 리어 로워 아암(8)(10)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내측단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로워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어퍼 아암(12)의 제3 아암(123)이 위로 밀리고 또한 제1 아암(121)은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2 아암(122)이 내측으로 밀리면서 가상의 포인트(A)를 만들게 된다. 이것은 어퍼 아암(12)을 차체에 연결하여 주는 연결아암(124)이 상기 제2 아암(122)의 거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휠의 캠버에 영향을 주는 제1 아암(121)에 직접 영향을 주지 못하고 상기 제2 아암(122)에 의해 새로운 가상 포인트를 만들면서 상기 제1 아암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때문이다.When the wheel 2 is bumped or rebounded by an impact from the outside, the arms move organically by the connecting means of each arm. When the wheel is rebounded as shown, the center and rear lower arms 8 and 10 It is moved upward based on the inner end fixed to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third arm 123 of the upper arm 12 connected to the lower arm is pushed upward and the first arm 121 is lowered downwar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arm 122 is pushed inward to create a virtual point A. This directly affects the first arm 121 that affects the camber of the wheel because the connecting arm 124 that connects the upper arm 12 to the vehicle body is connected to the near center of the second arm 122. This is because the second arm 122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first arm while creating a new virtual point.

이렇게 하므로서, 휠의 하측은 상기 제3 아암(123)과 연결되는 리어 로워 아암(10)에 의해서 휠을 외측으로 거의 밀지 않고 상기 어퍼아암(12)은 더욱 외측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포인트를 기준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휠을 더욱 내측으로 당기게 된다.In this way, the lower side of the wheel is moved on the basis of the new point that the upper arm 12 moves further outward without pushing the wheel outwardly by the rear lower arm 10 connected with the third arm 123. As a result, the wheel is pulled inward.

따라서, 휠의 상측은 더욱 내측으로 이동하고 휠의 하측은 거의 외측으로 밀리지 않기 때문에 캠버의 변화를 크게 함과 동시에 트레드의 변화(△T')를 거의 없이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승차감 및 차량의 직진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refore, since the upper side of the wheel moves further inward and the lower side of the wheel is hardly pushed outward, the camber change can be increased and the tread change (ΔT ') can be made little, thereby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Not only can it have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ride comfort and the straight stability of the vehicle.

Claims (6)

외측단이 너클(4)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서브 프레임(3)에 연결되는 센터 및로워 아암(8)(10)과; 후단이 너클에 고정되고 선단이 차체(미도시)에 연결되는 프론트 로워 아암(6)과; 쇽 업소오버(142)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아암(14)과; 너클에 연결되어 차체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아암(121)과, 상기 제1 아암(121)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아암(122)과, 상기 제2 아암(122)의 후단에 연결되어 차체의 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하단이 상기 리어 로워 아암(10)의 일정부위에 연결되는 제3 아암(123)과, 그리고 상기 제2 아암(122)의 거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그 내측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아암(124)으로 형성되는 어퍼아암(12)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A center and lower arm (8) (10) having an outer end connected to the knuckle (4) and an inner end connected to the subframe (3); A front lower arm 6 having a rear end fixed to the knuckle and a front end connect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A strut arm 14 formed of an assembly of a shock absorber 142 and a spring; A first arm 121 connected to the knuckle and extending toward the vehicle body; a second arm 122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first arm 121 and extending rearward; and the second arm 122. A third arm 123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vehicle and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having a lower end thereof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rear lower arm 10, and connected to an almost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arm 122. And an upper arm (12) formed at the inner end thereof with a connecting arm (124)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부싱연결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2. A vehicle suspens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re bushing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과 제3 아암은 볼 조인트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The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rm and the third arm are connected to a ball j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123)과 리어 로워 아암(10)은 부싱연결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The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arm (123) and the rear lower arm (10) are bushing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123)과 리어 로워 아암(10)은 볼 조인트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The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arm (123) and the rear lower arm (10) are connected to a ball j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122)과 연결아암(124)은 부싱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The vehicle suspens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rm (122) and the connecting arm (124) are bushingly connected.
KR1019920023213A 1992-12-03 1992-12-03 Suspension apparatus KR0131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213A KR0131306B1 (en) 1992-12-03 1992-12-03 Suspen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213A KR0131306B1 (en) 1992-12-03 1992-12-03 Suspens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03A KR940013903A (en) 1994-07-16
KR0131306B1 true KR0131306B1 (en) 1998-04-21

Family

ID=1934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213A KR0131306B1 (en) 1992-12-03 1992-12-03 Suspens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30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03A (en)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20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0180370B1 (en) Steering wheel suspension system
KR0131301B1 (en) Suspension apparatus
KR0131299B1 (en)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
KR0131300B1 (en) Suspension apparatus
US5558360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drive wheel
KR0180371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car
KR960005902B1 (en)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US4458913A (en) Independent rear wheel suspension
KR0131306B1 (en) Suspension apparatus
KR100305851B1 (en) Suspension of vehicle
KR0138226Y1 (en) Car suspension
KR0139519B1 (en) Suspension system
KR100412712B1 (en) Rear multi-link suspension having a dual upper arm
KR0131297B1 (en) Suspension apparatus
KR0180365B1 (en) Driving wheel suspension system for a car
KR0139750Y1 (en) Rear suspension system of a vehicle
KR0131296B1 (en) Suspension apparatus
KR100199741B1 (en) Wishbone type front suspension
KR200153165Y1 (en) Semi-trailing arm type rear suspension for vehicle
KR100320504B1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0559884B1 (en) suspension of McPherson strut type
KR0180363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car
KR100207104B1 (en) Steering 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KR960003493Y1 (en) Rear axle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