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158B1 - 에어백 팽창용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팽창용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158B1
KR0131158B1 KR1019940029133A KR19940029133A KR0131158B1 KR 0131158 B1 KR0131158 B1 KR 0131158B1 KR 1019940029133 A KR1019940029133 A KR 1019940029133A KR 19940029133 A KR19940029133 A KR 19940029133A KR 0131158 B1 KR0131158 B1 KR 013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sulating member
expansion fluid
wall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851A (ko
Inventor
엠. 피스쳐 크레이그
피. 어로플린 죤
Original Assignee
제이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류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류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스 엠 .루즈벨트
Publication of KR95001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팽창기(10)은 배출 개구부(40)을 통해 디퓨져 챔버(90)으로 그리고 가스 배출구(92)를 통해 에어백으로 압력성 팽창유체를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절연막(100)은 배출 개구부(40)과 가스 배출구(92)사이에서 디퓨져 챔버(90)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절연막(100)은 축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지점(106,128)에서 하우징에 용접된다. 팽창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절연막(100)은 팽창기 둘레의 주변으로 부터 배출 개구부(40)을 통해 팽창기의 내측으로 습기가 안내되는 것을 포함한 유체유동을 차단한다. 절연막(100)은 응력집중부(130)에 의해 형성된 취약부를 갖는다. 팽창기(10)이 작동될 때, 배출 개구부(40)을 통해 유동하는 유압은 응력집중부(130)에서 절연막(100)을 파열시킨다. 절연막(100)은, 디퓨져 챔버로 부터 에어백 내로 유체가 유동될수 있도록, 가스 배출구(92)를 막지 않는 디퓨져 챔버(90)내의 제2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에어백 팽창용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팽창기 조립체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부분단면도로서, 절연부재의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팽창기 조립체가 작동된 이후, 제1도의 팽창기 조립체의 부품들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팽창기 조립체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일 때, 팽창기 조립체의 일부분의 또다른 확대 부분 단면도.
제5도는 절연부재의 축방향 정면도,
제6도는 절연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절연부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팽창기 12 : 하우징
14 : 콘테이너 16 : 단부캡
20 : 오리피스판 40 : 배출개구부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에어백과 같은 팽창식 자동차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는 팽창기 조립체와 관련한다. 특히, 본 발명은 팽창기 둘레의 주변으로 부터 팽창기 내의 가스 발생재료로 습기가 안내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부재(isolation member)를 갖는 에어백 팽창기와 관련한다.
[발명의 배경]
공지된 많은 에어백 팽창기 구조물이 있다. 그중, 몇몇 팽창기 구조물들은 가연성 가스 발생재료를 포함한다. 공지된 어떤 팽창기 구조물은 저장가스와 가연성 가스발생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가스 발생재료의 점화시, 저장가스가 가열되어 결과적으로 유압의 상승이 있게 된다. 상승된 유압은, 저장가스 및 가스 발생재료의 점화에 의해 생성된 가스를 팽창기로 부터 에어백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부재를 파열시킨다. 가스는 팽창기의 하우징내에 있는 배출 개구부를 통해 에어백내로 유동한다.
가연성 가스 발생재료는 팽창기 둘레의 주변환경에 존재하는 습기에 노출되면 그 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기는 대기중의 습기가 가스 발생재료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몇가지 수단을 포함한다. 습기를 차단하는 한가지 수단으로는 배출 개구부를 가로질러 팽창기 하우징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금속 호일 밀봉체가 있다. 금속 호일 밀봉체는 팽창기 내측의 가스 발생재료와 팽창기 외측의 대기 사이에 방습벽을 형성한다. 팽창기가 작동될 때, 배출 개구부를 통해 유동하는 가스압은 금속 호일 밀봉체를 파열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는 장치를 개시한다. 그 장치는 축 및 그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내의 팽창유체 공급수단은 작동시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기 위해 압력을 갖는 팽창유체를 공급한다. 작동기 하우징은 축상에 배치되며 팽창유체 공급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기를 위한 챔버를 갖는다. 작동기 하우징내에서 챔버의 반경외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배출 개구부는 하우징벽을 통해 연장하며 팽창유체를 팽창유체 공급수단으로 부터 탑승자 보호수단으로 유동되게 한다. 절연부재는, 팽창유체 공급수단의 작동에 앞서 하우징 둘레의 대기중으로 부터 배출 개구부를 통한 유체연통을 차단한다. 절연부재는 하우징벽에 용접되는 제1부분 및 작동기 하우징에 용접되는 제2부분을 갖는 링모양의 금속부재를 구비한다. 금속부재는 제3부분을 갖는데, 상기 제3부분은 팽창유체 공급수단의 작동에 의해 그 제3부분에 작용하는 팽창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파열가능하다. 제3부분은 파열시, 팽창유체의 압력에 대응하여, 팽창유체를 배출 개구부로 부터 금속부재를 지나 탑승자 보호수단내로 유동될 수 있도록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사이에 디퓨져(diffuser)챔버를 형성하는 내측벽 및 외측벽을 갖는다. 배출 개구부는, 팽창유체를 팽창유체 공급수단으로 부터 디퓨져 챔버로 유동시키기 위해, 하우징 내측벽을 통해 팽창유체 공급수단과 디퓨져 챔버 사이로 연장한다. 절연부재는 배출 개구부로 부터 이격된 제1위치에서 디퓨져 챔버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들에게 보다 명확히 인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팽창기와 관련하며, 특히,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팽창기와 관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팽창기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팽창기(10)을 예시한다.
팽창기(10)은 하우징(12)를 포함한다. 하우징(12)는 팽창기(10)의 종방향 중심축(34)둘레에서 연장하는 원통형 콘테이너(14)를 포함한다. 단부캡(16)은 콘테이너(14)의 일단부(18)에 원주방향으로 용접 부착된다. 오리피스판(20)은 콘테이너(14)의 다른단부(22)에 원주방향으로 용접 부착된다.
콘테이너(14), 단부캡(14), 및 오리피스판(20)은 연합하여 하우징(12)내의 챔버(24)를 형성한다. 챔버(24)는 저장가스를 보유한다. 저장가스는 95%의 아르관과 5%의 헬륨으로 되는 것이 양호하다. 가스는 약2,000 내지 3,500psi의 압력으로 챔버(24)내에 저장된다. 다른 가스들도 챔버(24)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 가스들은 다른 압력을 갖고 챔버(24)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 질소, 또는 가스 혼합물이 챔버(24)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오리피스판(20)(제1도 및 제2도)는 외측 원주면(30) 및 내측 원주면(32)를 갖는다. 오리피스판(20)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행한 내측 측면(36) 및 외측 측면(38)을 갖는다. 다수의 원형 배출 개구부(40)들은 오리피스판(20)내에 형성되며 내측 및 외측면(36,38)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배출 개구부(40)들은 팽창기(10)의 중심축(34)를 중심으로 원형어레이(array)형태로 배열된다. 제1도에는 2개의 배출 개구부(40)만이 도시됨에 불구하고 오리피스판(20)내에는 더 많은 배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연성 가스 발생재료(48)(제1도)의 본체는 콘테이너(14)에 대해 동축적으로 작동기 하우징(50)의 내측에 배치된다. 가스 발생재료(48)은 챔버(24)내의 저장가스와 함께 팽창기(10)의 팽창유체 공급수단을 형성한다. 작동기 하우징(50)의 관형부분(52)(제1도 및 제2도)는 오리피스판(20)에 고정된다. 작동기 부분(52)의 외측 원주면(54)는 오리피스판(20)의 내측 원주면(32)에 인접하게 맞물린다.
파열컵(60)은 오리피스판(2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파열컵(60)은 작동기 하우징(50) 및 가스 발생재료(48)을 에워싸는 원통형 부재이다. 파열컵(60)은 오리피스판(20)에 인접하게 파열부(62)를 갖는다.
디퓨져(70)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팽창기(10)의 좌당부에 배치된다. 디퓨져(70)은 오리피스판(20)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형 외측 벽부분(72)를 갖는다. 디퓨져의 외측벽(72)는 외측 원주면(74) 및 내측 원주면(76)을 갖는다(제4도 참조). 디퓨져(7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환형면(78)은 상기 외측 및 내측 원주면(74,76)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디퓨져(70)은 디퓨져의 외측 벽부분(72)의 축방향 외측단부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원추형 벽부분(80)을 갖는다. 디퓨져의 원주형 벽부분(80)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분(82)에서 종결한다. 벽부분(82)는 작동기 하우징부분(52)의 원주형 외측면(54)에 인접하게 배치된 환형의 반경방향 내측면(84)를 갖는다.
디퓨져 벽(72,80,82)는 작동기 하우징부분(5) 및 오리피스판(20)과 함께 팽창기(10)내에 디퓨져 챔버(90)을 형성한다. 배출 개구부(40)은 유체를 파열컵(60)의 내측으로 부터 디퓨져 챔버(90)내로 유동하게 한다. 디퓨져의 외측벽(72)내에 있는 다수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가스 배출구(92)는, 유체가 팽창기(10)에서 나와 디퓨져 챔버(90)으로 부터 에어백(도시안됨)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가스배출구(92)는 디퓨져(70)의 외주면 둘레에서 원형어레이 형태로 배치된다.
점화기(94)는 관형 작동기 하우징부분(52)내에 챔버(96)을 형성하는 슬리이브(95)의 내측에 고정된다. 점화기(94)는 가스 발생재료(48)을 점화하기 적당한 공지된 유형의 점화기이다. 점화기(94)와 슬리이브(95)와 작동기 하우징(50)의 사이에는 방습 밀봉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밀봉체는 용접 또는 크림핑(crimping)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습 밀봉체는 팽창기(10)둘레의 대기중으로 부터 점화기(94)와 하우징(50)사이에 통로를 따라 가스 발생재료(48)내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팽창기(10)은 절연막(100)을 포함한다(제1도,2도,4도 및 7도 참조). 절연막(100)은 팽창기(10)의 종방향 중시축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연장하는 링모양의 부재이다. 절연막(100)은 얇고 탄성적인 비수식성재료로 제조된다.
절연막(100)은 약0.003 내지 0.020인치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절연막(100)은 다른금속 또는 플래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절연막(100)은 디퓨져 챔버(90)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배출 개구부(40)과 가스 배출구(92)의 사이에 배치된다. 절연막(100)은 디퓨져 챔버(90)을 외측 챔버부분(146) 및 내측 챔버부분(148)로 분리한다.
절연막(100)의 반경방향으로 가장 내측의 부분은 절연막의 중심개구부(104)를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관형의 중심플랜지(102)이다. 중심플랜지(102)(제2도)는 디퓨져의 벽부분(82)의 내측면(84)와 작동기 하우징 관형부(52)의 외측 원주면(54)사이에 배치된다. 디퓨져 벽부분(82), 절연부재 플랜지(102), 및 작동기 하우징부분(52)는 작동기 하우징부분(52)의 둘레를 연장하는 원주 용접부(106)에서 서로 용접된다. 용접부(106)은 절연부재 플랜지(102)의 지점에서, 디퓨져(70)과 절연막(100)과 작동기 하우징(50)사이에 밀봉을 형성시킨다.
절연막(100)의 원추형 벽부분(110)은 중심 플랜지(102)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 및 축방향 내측으로(챔버(24)를 향하는 방향으로)연장한다. 원추형 벽부분(110)은 디퓨져(70)과 작동기 하우징(50)의 접합부 사이로 연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디퓨져와 오리피스판(20)의 접합부 사이로 연장한다. 원추형 벽부분(110)은 오리피스판(20)을 향해 위치되는 내측면(112)를 갖는다. 원추형 벽부분(110)은, 제5도 및 6도에 도시되듯이, 절연막(100)에 원추형 형태 및 외관을 제공한다.
디퓨져(70)과 오리피스판(20)의 접합부에 인접하게, 절연막(100)은 원추형 벽부분(110)으로 부터 반경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벽부분(116)을 갖는다. 절연막(100)의 또다른 환형 벽부분(118)은 환형 벽부분(116)으로 부터 축방향 내측으로(챔버(24)를 향하는 방향으로)연장한다. 축방향으로 연장된 벽부분(118)은 디퓨져(70)의 외측벽(72)의 내측 원주면(76)과 인접하게 맞물린다.
절연막(100)은 환형의 외측 원주 플랜지(120)을 갖는다. 외측 플랜지(120)은 축방향 벽부분(118)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플랜지(120)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행한 내측 측면(122) 및 외측 측면(124)를 갖는다. 플랜지(120)은 디퓨져(70)과 오리피스판(20)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클램프(clamp)된다. 플랜지(120)의 내측면(122)는 오리피스판(20)의 축방향 외측면(38)과 인접하게 맞물린다. 플랜지(120)의 외측면(124)는 디퓨져 외측벽(72)의 축방향 내측면(78)과 인접하게 맞물린다. 플랜지(120)의 외측 단부(126)은 디퓨져(70) 및 오리피스판(20)의 각각의 외측면(74,30)으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디퓨져 벽부분(72), 오리피스판(20), 및 절연막 플랜지(120)은 팽창기(10)의 외주면 둘레로 연장하는 원주용접부(128)에서 서로 용접된다. 용접부(128)은 절연막 플랜지(120)의 지점에서 디퓨져(70)과, 절연막(100)과 오리피스판(20)사이를 밀봉시킨다.
절연막(100)의 대부분은 균일한 횡단면 두께를 갖는다. 절연막(100)의 감소된 두께 부분인 응력 집중부(stress riser)는 반경 벽부분(116)내에 형성된다. 응력 집중부(130)의 감소된 황단면 두께는 반경면에서 볼때 호형 횡단면 형태를 갖는 환형 홈(132)의 존재로 인해 야기된다. 따라서, 홈(132) 및 응력 집중부(130)은 팽창기(10)의 중심축(34)와 동축적으로 절연막(100)둘레에서 완전히 연장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팽창기(10)은 비작동 상태이다. 점화기(94)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이며 가스 발생 재료로 점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파열컵(60)은 그 파열부(62)가 파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배출구(92)는 외측 챔버부분(146)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배출 개구부(40)은 내측 챔버부분(148)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절연막(100)은 배출 개구부(40)과 가스 배출구(92)사이에서 유체가 디퓨져 챔버(24)를 가로질러 유동하지 못하도록 유체를 차단한다. 따라서, 절연막(100)은, 팽창기(10)둘레의 주변으로 부터 배출 개구부(40)을 통해 팽창기(10)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차량에 설정된 감속량을 초과하는 감속이 발생되었을 경우, 점화기(94)는 가스발생재료(48)을 점화하기 위한 종지된 방식으로 작동한다. 가스 발생재료의 점화는 파열컵(60)의 밀폐단부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가스를 생성시킨다. 이때 파열컵(60)은 그 파열부(62)가 파열되며 제1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챔버(24)내의 저장가스는 가스 발생재료(48)에 의해 가열되어 챔버(24)에서 나와 배출 개구부(40)을 통해 유동한다. 가스는 배출 개구부(40)을 통해 디퓨져 챔버의 내측 부분(148)로 유동한다.
유동가스는 절연막(100)의 원추형 벽부분(110)의 내측면(112)와 접촉한다. 유동가스에 의해 절연막(100)상에 작용되는 힘은 배출 개구부(4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연막에 응력을 가한다. 응력집중부(130)은 절연막(100)의 가장 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유동가스에 의해 절연막(100)상에 작용되는 힘이 응력 집중부(130)에 있는 재료의 파열 강도를 초과할 때, 절연막은 공지된 지점, 즉, 응력집중부(130)지점에서 파열되게 된다.
파열된 절연막(100)은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절연막(100)의 원추형 벽부분(110)은 디퓨져벽(80,82)의 내측면을 덮는다. 절연막의 벽부분(118)(제4도)는 디퓨져의 외측벽(72)에 인접한 위치에 남는다. 절연막(100)은 배출 개구부(40)과 가스 배출구(92)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챔버(24)로 부터 유동하는 가스는 배출 개구부(4)으로부터 디퓨져 챔버(90) 및 가스 배출구(92)를 통해 유동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절연막(100)은 얇기 때문에, 디퓨져 벽(82,80)의 외형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가용성을 가지며, 디퓨져 캠버(90)내에 존재하지만 디퓨져 챔버(90)을 통하는 유체유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절연막(100)이 팽창기(10)내의 위치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공기 또는 습기가 파열되지 않은 절연막(100) 둘레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절연막(100)은, 팽창기(10)둘레의 주변에 노출된 가스 배출구(92)와 가스 발생재료에 노출된 배출 개구부(40)과 팽창기(10)내의 다른 부품들의 사이에 밀봉을 형성한다. 팽창기(10)내의 절연막(100)의 용접 연결부는, 맞물림 부품으로 부터 절연막이 연결해제되는 경향성을 최소화 시켜주는데, 상기 경향성은 접착연결과 같은 경우에 많이 나타나게 된다.
절연막(100)은 탄성적이며, 팽창기(10)이 직면하는 온도, 기압, 및 고도변화에 따라 부재에 압력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굴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력변화의 경우, 용접되지 않았거나 디퓨져 외측벽(72)에 고정되지 않았던 절연막(100)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벽부분(118)(제4도)는, 화살표(144)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디퓨져벽으로 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당겨질 수 있다. 또한, 절연막(100)의 이러한 탄성은 절연막(100)과 하우징(12)사이에 있는 접속부의 질이 저하되는 경향성을 감소시켜 준다.
전술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개선, 변화 및 응용 실시예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에 의한 그러한 개선, 변화 및 응용실시예들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축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작동시,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는 팽창유체를 공급하는 팽창유체 공습수단; 상기 축상에 배치되며, 챔버를 갖는 작동기 하우징;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챔버내에 위치하는 작동기 수단; 상기 챔버로 부터 이격되며, 팽창유체를 탑승자 보호수단내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 및 상기 작동시 하우징을 에워싸며,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이 작동하기 전에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차단시키는 링모양의 절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1부분, 상기 작동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2부분, 및 압력성 팽창유체가 착용할때 파열가능한 제3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3부분은, 파열시, 팽창유체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절연부재를 지나 상기 배출 개구부로 부터 탑승자 보호수단내로 팽창유체를 유동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제1부분은 제1용접지점에서 상기 하우징에 용접되고,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용접지점으로 부터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제2용접지점에서 상기 작동기 하우징에 용접되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용접지점 사이에서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부분은 제1횡단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파열부는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부분의 횡단면 두께보다 작은 횡단면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 둘레에 연장하는 대략 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파열가능한 제3부분은 환형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환형홈은 그 각각의 측면상에 배치된 상기 절연부재의 횡단면 두께부분 보다 작은 횡단면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이에 디퓨져 챔버를 부분적으로 형성시키는 내측 및 외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 개구부는, 팽창유체를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으로 부터 상기 디퓨져 챔버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측벽을 통해 연장하며; 상기 하우징 외측벽은, 상기 팽창유체를 상기 디퓨져 챔버로부터 자동차 탑승자 보호수단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외측벽을 통해 연장하는 배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의 작동에 앞서, 상기 배출 개구부와 상기 배출통로의 중간의 상기 디퓨져 챔버를 가로질러 연장하여 상기 배출개구부와 상기 배출통로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및 외측벽은 대면하는 표면을 구비하며 제1용접지점에서 서로 용접되고, 상기 절연부재의 제1부분은 상기 하우징 내측벽과 외측벽의 상기 대면하는 표면 사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및 외측벽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 둘레로 연장하며, 상기 절연부재의 제1부분은 제1용접지점에서 상기 하우징에 용접되는 반경방향 외측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재의 제2부분은 상기 제1용접지점으로 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용접지점에서 상기 작동기 하우징에 용접되는 반경방향 내측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내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추형 벽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재의 제3부분은 상기 외측 플랜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이 가스 발생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사이에 디퓨져 챔버를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작동시,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기 위해 압력성 팽창유체를 공급하는 팽창유체 공습수단; 팽창유체를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으로 부터 디퓨져 챔버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과 상기 디퓨져 챔버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 내측벽을 통해 연장하는 배출 개구부; 및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의 작동에 앞서, 상기 하우징 주변의 대기중으로 부터 상기 배출개구부를 통해 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막을 구비하며, 상기 막은, 상기 배출개구부로 부터 이격된 제1위치에서 상기 디퓨져 챔버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배출개구부를 통해 상기 디퓨져 챔버내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벽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벽부분은 압력성 유체가 가해질 때 파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벽부분은, 파열시, 팽창유체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퓨져 챔버로 부터 탑승자 보호수단내로 팽창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져 챔버내의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측벽은, 상기 디퓨져 챔버로 부터 자동차 탑승자 보호수단내로 팽창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디퓨져 챔버와 상기 하우징 둘레의 주변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 외측벽을 통해 연장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막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출 개구부와 상기 배출통로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개구부와 상기 배출통로 사이의 유체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의 벽부분은 상기 막이 파열되는 지점인 응력 집중부를 가지며, 상기 응력 집중부를 제외한 상기 막의 모든 부분은 동일한 두께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응력 집중부는 감소된 두께의 횡단면을 가지므로써 상기 막이 충분한 응력을 받을 때 상기 응력 집중부에서 파열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벽은 대면하는 표면을 구비하며 제1용접지점에서 서로 용접되고, 상기 막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벽의 상기 대면하는 표면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용접지점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벽에 용접되는 제2벽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원추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축 둘레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제1용접지점에서 상기 하우징에 용접되는 반경방향 외측 플랜지 및 상기 제1용접지점으로 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용접지점에서 상기 하우징에 용접되는 내측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의 벽부분은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랜지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는 장치로서, 하우징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작동시, 탑승자 보호수단을 팽창시키기 위해 압력성 팽창유체를 공급하는 팽창유체 공급수단; 상기 팽창유체 공급수단으로 부터 탑승자 보호수단으로 팽창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벽을 통해 연장하는 배출 개구부; 및 상기 팽창유체 공급 수단의 작동에 앞서, 상기 하우징 둘레 주변으로 부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해 유체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이격된 제1, 제2밀봉지점에서 상기 하우징벽에 밀봉되며,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밀봉지점의 중간에 있는 상기 절연부재내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형성된 응력 집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해 압력성 팽창유체가 유동될 때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응력 집중부가 파열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배출개구부로 부터 탑승자 보호수단내로 팽창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용접지점에서 상기 하우징벽에 용접되는 금속부재이며, 상기 제1 및 제2밀봉지점은 상기 제1 및 제2용접지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벽은, 대면하는 표면을 갖고 제1용접지점에서 서로 용접되는 제1 및 제2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부분의 상기 대면하는 표면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용접지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벽부분에 용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지점은 상기 제2밀봉지점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40029133A 1993-11-09 1994-11-08 에어백 팽창용 장치 KR0131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50,367 1993-11-09
US08/150.367 1993-11-09
US08/150,367 US5388859A (en) 1993-11-09 1993-11-09 Isolation member for air bag inf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51A KR950013851A (ko) 1995-06-15
KR0131158B1 true KR0131158B1 (ko) 1998-04-18

Family

ID=2253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133A KR0131158B1 (ko) 1993-11-09 1994-11-08 에어백 팽창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88859A (ko)
EP (1) EP0652141B1 (ko)
JP (1) JP2778919B2 (ko)
KR (1) KR0131158B1 (ko)
CA (1) CA2135249C (ko)
DE (1) DE694166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06829T2 (de) * 1993-03-23 1998-06-18 Trw Inc Aufblaseinrichtung
US5513572A (en) * 1994-05-09 1996-05-07 Alliedsignal Inc. Hybrid inflator
CA2156362C (en) * 1994-09-12 1998-06-30 Jess A. Cuevas Mini inflator assembly
US5584504A (en) * 1995-03-24 1996-12-17 Trw Inc. Inflator assembly
US5536040A (en) * 1995-04-24 1996-07-16 Trw Inc. Inflator for side impact air bag
US5593180A (en) * 1995-04-24 1997-01-14 Trw Inc. Dual chamber inflator for side impact air bag
US5913537A (en) * 1995-06-09 1999-06-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ybrid inflator including non-metallic nitrogen containing ignitable material
US5779266A (en) * 1995-10-10 1998-07-14 Morton International, Inc. Fluid fueled inflator with flow reversal
US5613703A (en) * 1995-11-01 1997-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5673933A (en) * 1995-11-30 1997-10-07 Morton International, Inc. Canister assembled fluid fueled inflator
EP0778181A3 (en) * 1995-12-04 1999-04-14 Morton International, Inc. Igniter for gas bag inflator
US5611567A (en) * 1995-12-18 1997-03-18 Cartridge Actuated Devices, Inc. Non-explosive linear release device
US5844164A (en) * 1996-02-23 1998-12-01 Breed Automotive Technologies, Inc. Gas generating device with specific composition
US6120058A (en) * 1996-08-23 2000-09-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DE29617587U1 (de) * 1996-10-09 1997-02-06 Trw Repa Gmbh Druckgasspeicher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5765866A (en) * 1997-02-19 1998-06-1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bag inflator employing gas gener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ca
US6071364A (en) * 1997-02-19 2000-06-0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Gas gener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ca
US6883830B2 (en) 2001-09-27 2005-04-2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essurized medium for inflator
US7703395B2 (en) * 2005-02-10 2010-04-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having an ignition nozzle
JP2008094259A (ja) * 2006-10-12 2008-04-24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8186712B1 (en) * 2008-08-30 2012-05-29 Tk Holdings, Inc. Gas generator with supported sealing membrane
US8517420B2 (en) 2010-12-15 2013-08-27 Autoliv Asp, Inc. Discharge orifice for airbag inflator
CN103958288A (zh) * 2011-11-24 2014-07-30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用于气囊的气体发生器壳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2767A (en) * 1969-08-12 1975-01-28 Eaton Corp Vehicle safety apparatus having expandable confinement
USRE28164E (en) * 1970-10-19 1974-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vehicle gas bags
US3721456A (en) * 1971-04-23 1973-03-20 Gen Motors Corp Multiple stage inflater
US3834729A (en) * 1971-09-23 1974-09-10 Nissan Motor Sealing unit for pressurized gas generator of automotive safety device
US3806153A (en) * 1972-02-07 1974-04-23 Olin Corp Safety bag inflation for vehicles
US3777772A (en) * 1972-09-11 1973-12-11 Gen Motors Corp Flap opening inflator seal arrangement
US3895821A (en) * 1973-06-01 1975-07-22 Allied Chem Inflation apparatus for safety device
US3891233A (en) * 1974-06-20 1975-06-24 Allied Chem Inflator seal
US5031932A (en) * 1990-04-05 1991-07-16 Frantom Richard L Single pyrotechnic hybrid inflator
US5076607A (en) * 1990-11-27 1991-12-31 Bendix Atlantic Inflator Co. Hybrid inflator
US5199740A (en) * 1991-06-10 1993-04-06 Bendix Atlantic Inflator Co. Hybrid inflator for ai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16635T2 (de) 1999-09-30
DE69416635D1 (de) 1999-04-01
KR950013851A (ko) 1995-06-15
JPH07165000A (ja) 1995-06-27
EP0652141B1 (en) 1999-02-24
US5388859A (en) 1995-02-14
CA2135249C (en) 1996-12-03
CA2135249A1 (en) 1995-05-10
JP2778919B2 (ja) 1998-07-23
EP0652141A1 (en) 199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158B1 (ko) 에어백 팽창용 장치
US5199740A (en) Hybrid inflator for air bag
JP3181870B2 (ja) エアバッグ用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ー
US5615912A (en) Inflator for air bag
US5364127A (en) Inflator assembly
JP2665468B2 (ja) エアバッグ膨張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5536040A (en) Inflator for side impact air bag
US20020053789A1 (en) Air bag gas inflator
US5613703A (en) Apparatus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950005650A (ko) 팽창가능한 수단을 팽창시키는 장치
US6168202B1 (en) Pyrotechnic initiator with petal retainer structure
KR100361702B1 (ko) 하이브리드인플레이터
US5879025A (en) Inflator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5570904A (en) Air bag inflator with movable container
US6029995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6217065B1 (en) Inflator
US5609362A (en) Inflator
EP0790158B1 (en) Inflator assembly
US6830264B2 (en) Air bag inflator with initiator retainer
US5893583A (en) Inflator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5683107A (en) Container of vehicle air bag inflator having fluid with combustible portion
US5280951A (en) Apparatus for use in inflating an air bag and method of assembly
US5584504A (en) Inflator assembly
US6068293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JPH0840180A (ja) 乗物搭乗者用の膨張可能な拘束具の膨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