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85Y1 -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85Y1
KR0131085Y1 KR2019960026726U KR19960026726U KR0131085Y1 KR 0131085 Y1 KR0131085 Y1 KR 0131085Y1 KR 2019960026726 U KR2019960026726 U KR 2019960026726U KR 19960026726 U KR19960026726 U KR 19960026726U KR 0131085 Y1 KR0131085 Y1 KR 0131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display
switch contact
cooker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129U (ko
Inventor
이세경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26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08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1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내부 압력을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케한 후, 그 측정값을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밥솥내의 압력상태에 따라 그 높, 낮이가 변화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에 의해 접촉되는 스위치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차별적으로 제어수단에 인가되도록 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신호로 증기압력값을 판단하고 그 출력단을 제어하여 수치로써 증기압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신호로 동작하여 각각의 증기압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시수단으로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내부압력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본 고안은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내부 압력을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케한 후, 그 측정값을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보온압력밥솥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발열수단이 내장되고, 그 상부에는 밥솥뚜껑(11)이 설치되는 밥솥본체(1)와, 상기 밥솥본체(1) 내부에 밀폐가능케 되는 내솥용기(12)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밥솥본체(1)는 상기 내솥용기(12)와 연통되게 제1증기배출구(2)와 솔레노이드밸브인 제2증기배출구(3)가 설치되며, 상기 제1증기배출구(2)에는 내솥용기(12) 속의 증기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는 강제개방장치(미도시)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와같이 된 제1증기배출구(2) 및 제2증기배출구(3)는 각각 통상적으로 밥솥내의 압력에 따라 증기를 배출하도록 된 구조로써 제1증기배출구에는 약2기압시, 제2증기배출구에는 약3기압시에 증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각각의 상태에 따라 증기를 배출하도록 된 증기배출구는 그 내부의 증기압조건에 따라 수행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 증기압을 확인하기란 불가능하였다.
물론, 사용자는 제1증기배출구와 제2증기배출구의 동작여부에 따라 그 내부의 증기압상태를 예측할 수는 있지만 실제적으로 정확한 값을 측정하기는 불가능하였다. 이에따라 외부에서도 전기압력밥솥내의 증기압력 상태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압력표시장치를 요망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망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상태에 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주름관이 내솥용기에 연통되게 설치되되, 상기 주름관은 그 상, 하의 높낮이에 따른 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한 신호데이터를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표시수단만 확인하고도 밥솥내의 압력분포상태를 쉽게 인지토록 한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를 보인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 표시장치의 제어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일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주름관 5 : 제어수단
6 : 표시수단 7 : 입력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밥솥내의 압력상태에 따라 그 높낮이가 변화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에 의해 접촉되는 스위치접점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차별적으로 인가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신호로 증기압력값을 판단하고 그 출력단을 제어하여 수치로써 증기압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신호로 동작하여 각각의 증기압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시수단으로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 표시장치의 제어구성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일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과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써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력표시장치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발열수단이 내장되고, 그 상부에는 밥솥뚜껑(11)이 설치되는 밥솥본체(1)와, 상기 밥솥본체(1) 내부에 밀폐가능케 되는 내솥용기(12)와, 상기 밥솥본체(1)에는 상기 내솥용기(12)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1증기배출구(2) 및 제2증기배출구(3)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밥솥내의 압력상태에 따라 그 높낮이가 변화되는 주름관(4)과; 상기 주름관(4)에 의해 접촉되는 스위치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차별적으로 후술하는 제어수단(5)에 인가되도록 하는 입력수단(7)과; 상기 입력수단(7)에 입력된 신호로 증기압력값을 판단하고 그 출력단을 제어하여 수치로써 증기압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과;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의 출력신호로 동작하여 각각의 증기압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는 표시수단(6)이 포함되어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부연하면, 상기 주름관(4)은 높, 낮이 이동이 용이하도록 그 양측으로 주름(4C)이 형성되는 한편, 주름관(4)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푸쉬돌기(4b) 및 내솥용기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지지편(4a)이 형성된다.
상기 입력수단(7)은 상기 푸쉬돌기(4b)의 상측으로 접지단과 연결된 제1스위치접점(a), 일단이 전압(Vcc)과 연결된 제2스위치접점(b) 및 제3스위치접점(c)을 구비하되, 상기 제2스위치접점(b) 및 제3스위치접점(b)은 풀업저항(R1, R2)을 통한 전압(Vcc)이 제어수단(5)의 입력단(PI1, PI2)에 인가되도록 접속한다.
여기서, 상기 제2스위치접점(b), 제3스위치접점(c)이 모두 오프되어 있으면 0기압으로, 제2스위치접점(b)만 온이면 1.5기압으로, 제2스위치접점(b), 제3스위치접점(c)이 모두 온이면 2기압으로, 제2스위치접점(b)은 오프인 반면 제3스위치접점(c)이 온이면 에러상태로 표시 설정토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5)은 입력수단(7)을 통한 신호가 인입되는 입력단(PI1, PI2)과, 출력단(P01)로 구성되어 입력단(PI1, PI2)에 입력된 신호로 증기압력값을 인지하고 그 출력단(P01)을 제어하여 수치로써 증기압이 표시토록 제어된다.
상기 표시수단(6)은 저항(R3), 트랜지스터(Q1), 디스플레이(D)로 구성되어 제어수단(5)의 출력신호에 따른 트랜지스터(Q) 도통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D)가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증기배출구(2) 및 제2증기배출구(3)에 의한 통상의 압력 배출작업외에도 압력표시장치에 의해 내부압력이 표시되도록 하는 바, 즉 내솥용기(12)의 압력상태에 따라 주름관(4)의 그 높, 낮이가 변화되면 이에따른 스위치접점의 차변신호로 내부압력이 표시된다.
그 첫째로, 0기압표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솥용기(12)의 압력이 없는 상태 즉 초기의 상태이면 주름관(4)이 현재높이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푸쉬돌기(4b)와 제1스위치접점(a)만 접촉되어 있고, 그 나머지인 제2스위치접점(b)과 제3스위치접점(c)은 모두 오프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는 결국 풀업저항(R1, R2)을 통한 전압(Vcc)이 제어수단(5)의 입력단(PI1, PI2)으로 각 하이전위신호를 입력시키고, 이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수단(5)에서는 미리 설정된 0기압으로 인식하여 출력단(P01)인 트랜지스터(Q) 및 디스플레이(D)를 구동시켜 0기압이 표시수단에 표시케 한다.
둘째로, 1.5기압표시는 내솥용기(12)의 압력이 조금씩 상승하는 상태이므로 이에 따라 주름관(4)의 높이도 상승되어 푸쉬돌기(4b)와 제1스위치접점(a)이 접속된 상태에서 제2스위치접점(b)과 접촉되는 상태 즉 제2스위치접점(b) 온 제3스위치접점(c) 오프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는 풀업저항(R1)을 통한 전압(Vcc)이 제2스위치접점(b)-제1스위치접점(a)을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됨에 따라 제어수단(5)의 입력단(PI1)으로 로우전위신호가 인입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신호는 계속하여 하이전위신호가 인입된다. 따라서 제어수단(5)에서는 1.5기압으로 인식하여 출력단(P01)인 트랜지스터(Q) 및 디스플레이(D)를 구동시켜 1.5기압이 표시수단(6)에 표시되도록 한다.
셋째로, 2기압표시는 내솥용기(12)의 압력이 최상승하는 상태이므로 역시 주름관(4)의 높이도 최상승되어 이에따라 푸쉬돌기(4b)와 제1스위치접점(a)이 제2스위치접점(b), 제2스위치접점(c)에 모두 접촉되는 상태 즉 제2스위치접점(b) 온 제3스위치접점(c) 온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는 풀업저항(R1, R2)을 통한 전압이(Vcc)제2스위치접점(b)-제1스위치접점(a), 제3스위치접점(c)-제2스위치접점(b)-제1스위치접점(c)을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됨에 따라 제어수단(5)의 입력단(PI1, PI2)으로 로우전위신호가 인입된다. 따라서 제어수단(5)에서는 2기압으로 인지하여 출력단(P01)인 트랜지스터(Q) 및 디스플레이(D)를 구동시켜 2기압이 표시수단에 표시토록 한다.
그리고 넷째로, 증기압에 의해 주름관(4)의 높이가 상승되되, 제2스위치접점(b) 오프 제3스위치접점(c) 온된 상태일때는 에러표시로 진행케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력밥솥내부의 증기압을 확인하기 어려웠던 것을 보완한 것으로서,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상태에 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주름관이 내솥용기에 연통되게 설치되되, 상기 주름관은 그 상, 하의 높낮이에 따른 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한 신호데이터를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표시수단만 확인하고도 밥솥내의 압력분포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밥솥내의 압력상태에 따라 그 높낮이가 변화되는 주름관(4)과; 상기 주름관(4)에 의해 접촉되는 스위치접점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차별적으로 인가되는 입력수단(7)과; 상기 입력수단(7)에 입력된 신호로 증기압력값을 판단하고 그 출력단을 제어하여 수치로써 증기압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과; 상기 제어수단(5)의 출력신호로 동작하여 각각의 증기압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는 표시수단(6)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7)은 상기 주름관(4)의 푸쉬돌기 상측으로 접지단과 연결된 제1스위치접점(a), 일단이 전압과 연결된 제2스위치접점(b) 및 제3스위치접점(c)을 구비하되, 상기 제2스위치접점(b) 및 제3스위치접점(c)은 풀업저항(R1, R2)을 통한 전압이 제어수단(5)의 입력단(PI1)에 인가되도록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KR2019960026726U 1996-08-30 1996-08-30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KR0131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726U KR0131085Y1 (ko) 1996-08-30 1996-08-30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726U KR0131085Y1 (ko) 1996-08-30 1996-08-30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129U KR19980013129U (ko) 1998-06-05
KR0131085Y1 true KR0131085Y1 (ko) 1998-12-01

Family

ID=1946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726U KR0131085Y1 (ko) 1996-08-30 1996-08-30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0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718B1 (ko) * 2005-03-14 2007-01-2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누출 검지방법 및 그 장치
KR101258099B1 (ko) * 2007-06-12 2013-04-25 시리트베르케게엠바하운트콤파니카게 압력 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718B1 (ko) * 2005-03-14 2007-01-2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누출 검지방법 및 그 장치
KR101258099B1 (ko) * 2007-06-12 2013-04-25 시리트베르케게엠바하운트콤파니카게 압력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129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5807A (en) Self-calibrating variable pressure touch key system employing transducers subject to parameter drift
EP1947909A2 (en) Pan Sensor and Heat Generation Unit Having the Pan Sensor and Cooking Range Having the Heat Generation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359976A1 (en) Automatic heating appliance with weight sensor
EP1255478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a liquid in a boiler of a coffee machine
US5350237A (en) Temperature measuring circuit for heating and cooking appliances
US4914476A (en) Device for displaying warm-up waiting time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S5954928A (ja) 静電容量型材料レベル表示器
KR0131085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 표시장치
JP2841512B2 (ja) 減圧脱泡装置の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57497Y1 (ko) 전기압력밥솥 용압력감지장치
KR0132850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과압경보장치
KR100205393B1 (ko) 전기밥솥의 뚜껑열림/오븐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378358B1 (ko) 체온측정 장치
CN201229487Y (zh) 电子控制装置及其感应器组合
KR200183819Y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뚜껑개폐손잡이 동작감지장치
KR102020535B1 (ko) 압력전송기의 설정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
KR970032598A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압력센싱방법
KR100423138B1 (ko) 근접스위치
KR0164192B1 (ko) 압력검출장치
KR100290931B1 (ko) 개폐기 내장형 전원 감지장치
SU1267185A2 (ru) Вакуумное реле
JPH06229624A (ja) 給湯器のリモコン
EP4058732A1 (en) An oven with cooking mode detec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KR920002395Y1 (ko) 쑥찜백의 온도 조절 장치
JPS59120947A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