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10B1 -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10B1
KR0131010B1 KR1019940700657A KR19940070657A KR0131010B1 KR 0131010 B1 KR0131010 B1 KR 0131010B1 KR 1019940700657 A KR1019940700657 A KR 1019940700657A KR 19940070657 A KR19940070657 A KR 19940070657A KR 0131010 B1 KR0131010 B1 KR 013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r
inlet
chamber
outlet
p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무트 바커
헬무트 슐츠
게오르그 벤델린
Original Assignee
헬무트 바허
헬무쓰 슐쯔
게오르크 벤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바허, 헬무쓰 슐쯔, 게오르크 벤델린 filed Critical 헬무트 바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29B7/421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with screw and additionally other mixing elements on the same shaft, e.g. paddles, discs, bearings, rotor blades of the Banbu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29B7/428Parts or accessories, e.g. casing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B7/429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4Venting or degassing ; Removing liquids, e.g. by evaporating components
    • B29B7/845Venting, degassing or removing evaporated components in devices with rotary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68Throttling of the flow, e.g. for cooperating with plasticising elements or for dega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5Screws having reverse-fee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4Cylindrical or conical filters
    • B29C48/6945Cylindrical or conical filters surrounding a rotating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4Bypassing means, i.e. part of the molten material being diverted into downstream stages of the extruder
    • B29C48/745Bypassing means, i.e. part of the molten material being diverted into downstream stages of the extruder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29C48/2725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 B29C48/273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using back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3Substantially flat filters mounted at the end of an extruder screw perpendicular to the fe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하기 위한 압출 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며 축선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압출기 웜(2)을 갖추고 압출기 하우징(1)을 포함하고 있다. 압출기 하우징(1)은, 하우징 벽에 대해서 압출기 원의 둘레에 조여주는 귀환형 스크류나사에 의해서 2개의 챔버(8,9)로 분할되어 있다. 한쪽 챔버(8)에는 압출되는 재료에 대한 유입구(3)가 제공되고, 다른 한쪽 챔버(9)에는 배출구(5)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5)와 축성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배기구(17)가 제공되어 있다. 2개의 챔버는 용융물용 여과기(14)가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방향으로 볼 때 배기구는 챔버(9)내에서 채널(11)의 입구부(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있다. 이러한 단면에서 압출기 웜(2)은 그 나사선들이 비압력구역(18)을 형성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추고 있어서, 여과되는 여과되는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가스배출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받는다. 이와같은 방식에 의해서 가스배출작용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츨 장치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며 축선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압출기 웜(extruder worm)을 갖추고 있는 압출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예를 들어서 깔때기 형상의 부재(funnel)에 연결되어 있는 소성처리되는 재료용 장입구와, 상기 장입구로부터 축선상으로 이걱되어 있는 요융물용 배출구와,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와, 그리고 상기 용융물이 통과되면서 여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융물 여과기가 제공되어 있는 장치로서, 상기 압출기 하우징은 상기 웜의 원주상에 형성된 귀한 스크류 나사선에 의해서 두 개의 챔버로 나누어져 있고, 하나의 챔버에는 장입구가 그리고 다른 하나의 챔버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챔버는 용융물용 여과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축선상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압출기 웜이 비압력 구역을 형성하는 기하학적 형상을갖춘 나사선을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3,360,824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용융물이 임의의 수단, 예를 들면 주형안으로 공급되며, 이러한 수단에 의해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성형된다.
또한,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 재료의 스크랩을 재순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스크래을 장입구를 통해서 압출기 하우징 장입시키는 단계와, 하우징내에서 스크랩을 용융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여과기에 의해서 용융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한편으로는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스크랩내에 함유된 불순물이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소성화 공정중에 방출되는 방출가스들은 예를 들면 스크랩 형태의 합성 플라스틱 재료상에 피복되는 도장재료들이 어떤 특정 온도에서 기체성분들을 방출시킴으로써 또는 그러한 도장재료들이 어떤 특정 온정에서 기체성분들을 방출시킴으로써 또는 그러한 도장재료들이 전체적으로 완전히 가스상태로 변형된으로써 발생된다. 이와 같은 기체성분들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배기구는 공지된 구조체내에서 합성플라스틱 재료의 유동방향에서 보았을 때 여과기를 구성하는 스크린 바로 뒤쪽에 설치된다. 깨끗하게 정화되어서 배기처리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는 제 2 챔버내로 장입되어서 배출구 쪽으로 유동된다.실험결과는, 이러한 장치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여과기를 통과하면서 교란(tubulencs)작용을 받기 때문에 , 처리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방출이 충분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서는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이미 방출되었거나 방출되는 가스성분이 다시 합성 플라스틱 재료내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달리, 하나의 단일 챔버내에 설치된 웜(worm)에 있어서,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정제시키기 위한 여과기를 배출구 바로 앞쪽에 설치하는 것이 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식 웜내에서 배기구는 여과기 바로 엎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배기 처리후에도 용융물내에 불순물이 여전히 배출구에 연결된 여과기 및 수단에 의해서 야기되는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소정의 이동압력이 발새하도록 안내부에(1led)를 가져야만 한다. 그러므로, 극복될 수 있는 최대 저항은 이러한 부분에서의 압출기 웜의 형상에 따라서 좌우된다. 예를 들어서,오염된 여과 스크린 때문에 이러한 최대 돠잉으로 작용된다면, 배출구를 통과하는 용융물의 생산은 감소되고,그 결과 배압이 발생하여서 배기구를 통과하는 용융물이 바람직하지 않게 배출된다.
또 다른 공지된 장치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난다.따라서, 고품질의 최종제품의 생산에 적절하도록 미세 메쉬형(fine-meshed) 여과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은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점도, 전체 여과기의 표면적, 및 생산량에 따라서 제한하고 있다. 게다가, 공지된 장치내에서는 용융물이 배기구를 통과한 후에 이러한 용융물내에 불순물에 의해서 가스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최종 제품은 완전히 배기처리되지 않는 상태로 얻어진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용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기구를 통과허는 용융물의 불균일성이 발생하며, 후에 용융물이 용융되고 나서야 가스배출이 비로서 시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공지된 장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제거시켜서,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배기구로부터 배출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모든 불순물과 불균일 성분들이 용융물의 배기처리전에 이미 여과처리되어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확실한 탈가스화작용을 제공하도록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 재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이동방향을 볼 때 배출구가 제공된 챔버와 채널의 결합부 뒤쪽으로 각각의 배기구가 설치되고, 압출기 웜은 상기 결합부와 나사선 형상을 가진 배기구 사이에 제공되어서 비압력 구역을 형성시키며, 각각의 채널과 배출구가 제공된 챔버의 결합부는 귀한 스크류 나사선근처에 설치 된다는 특징을 갖춘 압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언급된 공지의 장치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에따라,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배기작용은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여과기를 통과한 후에 다시 웜 하우징으로 장입되는 순간에 발생된다.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여과기를 통과하는 순간에서부터 배기구를 통과하는 순간까지, 합성 플라스틱 재료내에 포함한 가스들은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며, 이러한 시간 간격동안 합성 플라스틱 재료는 배출기 웜의 비압력 구역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압력을 받지 않는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압력 구역은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방향을 볼 때 배기구 바로 앞쪽에 배열되는 것이며, 공지의 장치들에 있어서 이러한 비압력 구역이 배기구 뒤쪽에 배열되는 것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각각의 채널이 여과처리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귀환형 스크류 나사선에 바로 인접한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챔버내로 장입시키도록 입구부(mounth)를 설치함으로써,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귀한 스크류 나사선에 신뢰성 있게 공급된다. 이러한 잇점은, 원하우징으로 다시 장입되는 개구부가 압출기 스크류의 나사선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설치되는 공지의 장치들의 구조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종래의 공지된 장치에서 압출기 스크류는 귀환형 스크류 나사선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상태로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송시켜서, 이러한 귀환형 스크류 나사에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충분히 제공될 수 없다. 이것은 두 개의 챔버가 서로에 대해서 단단히 결속되지 않고 귀환형 스크류 나사가 건조해질 위험성이 있다는 결론을 유추시킨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이러한 단점은 제거되고, 이에 부가하는 귀환형 스크류 나사선의 산단에 이미 여과된 재료에 의해서 항상청결한 상태로 유지되어서, 귀환형 스크류 나사의 구역에서 합성플라스틱 재료의 크랙킹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합성 플라스틱 재료 여과기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기구를 설치시키기고, 이에 의해서 용융물이 통과하는 순간에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탈 가스화 적용에 의해서, 여과기의 블록킹(blocking)현상에 기인된 궁극적인 배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재료는 배기구를 통해서 제거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불균일 성분 및 불순물이 배기구에 도달되기전에 용융물로부터 제거된다는 사실에 의해서, 임이의 다른 가스들이 이러한 배기구를 통과한 후에 생성되는 것이 방지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장비의 저항만이 극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출구의 구역내의 용융물이 가해지는 주입압력이 감소된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귀환형 스크류 나사는 웜나사에 대해서 마주하는 핸드부의 작은 리드를 가진 스크류 나사를 결속시킨다. 이러한 귀환형 스크류 나사에 의해서 소량의, 예를 들면 용융물의 1 내지 5%는 배출구 및 배기구가 제공된 챔버로부터 장입구가 제공된 챔버로 귀환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에 의해서, 불순물이 함유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여과기를 통과해서 배출구와 배기구가 제공된 챔버에 직접 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흡입구가 제공된 챔버로부터 여과기 까지 연장하고 있는각 채널의 장입구는 귀환형 스크류 나사에 바로 인점해서 설치 된다. 이에 의해서, 사각( dead corner)에서 오랜 시간동안 축적되고 머물러서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열적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출기 웜의 비압력 구역은 배기구까지 확장되고, 압출기 웜은 방출구역을 배출구까지 확장시키는 나사 형상을 가진 비압력 구역에 연결되어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가스방출을 하기 위하여 최대시간이 주어지는 한편, 용융물이 배출구에서 충분한 압력으로 유지된 수단 혹은 주형내로 주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비압력 구역의 최대 길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러한 비압력 구역은 배출구가 제공된 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채널의 입구부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방출이 필요 없는 종류의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하는 데에도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배기구가 폐쇄 되도록 설계된다.
시각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장입구의 벽 또는 각각의 채널의 입구부의 벽이 귀환형 스크류 나사가 제공된 압출기 웜의 단면의 정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는 것이 적절하다.
압출기 하우징과 교차하는 채널의 단면을 간단히 형성하기 위해서, 장입구 또는 각각의 입구부가 제공된 채널 부분들이 압출기 하우징내에서 방사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수평 단면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적절한 구동수단(도시안됨)에 의해서 구동되는 압출기 원(2)이 축선둘레로 회전가능하게 내부에 지지되어 있는 압출기 하우징(1)을 포함하고 있다. 소성처리는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깔때기 형상의 부재, 예컨데 호퍼(4)와 연결된 장입구(3)를 통해서 압출기 웜(2)에 공급된다. 이러한 소성화 처리에 의래서 형성된 용융물은 주형 등과 같은 수단(6)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5)를 통해서 하우징(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장입구(3) 및 배출구(5)로부터 이격된 축상의 거리에서, 압출기 웜(2)에는 이 압출기 웜(2)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가지며, 마주하는 스크류 나사를 포함하고 있는 귀환형 스크류 나사(7)가 제공되어 있으며, 압출기 웜(2)의 원주와 압출기 하우징(1)의 내부벽 사이에서 이러한 귀환형 스크류 나사(7)가 결속부를 구성하여서, 압출기 하우징(1)내에는 두 개의 챔버(8,9)가 형성되도록 한다. 장입구(3)와 연결되어 있는 챔버(8)내에서, 압출기 웜(2)은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소성 처리되고 여과기의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나사선의 깊이 즉, 피치)를 갖는다. 귀환형 스크류 나사(7)에 바로 인접한 챔버(8)의 단부에는 반경상으로 뻗은 채널 단면(10)의 입구부가(10`)압출시 하우징(1)의 벽에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채널 단면(10)이 압출기 하우징(1)의 벽과 교차하면서 상기 압축기 하우징(1)에 고정된 여과기 하우징(12)내의 채널(11)의 단면(11`)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여과기 하우징(12)은 각각의 채널(11)의 단면(11`)이 뻐어 있는 중공형 고간내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여과기(14)는 임이의 필요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용의 여과기(14)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일체식으로 여러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여과 수단이 서로 연달아서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여과기는 역류 현상이 가능하도록 그리고 스크린 교환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용융물은 여과기(14)를 통과한 후에 중공형 공간(13)으로부터 여과기 하우징(12)의 다른 채널 단면(15)으로 유동되고, 그리고 나서 압출기 하우징(12)과 교차하면서 반경상으로 뻗어 있는 채널 단면(16)을 경유해서 챔버(9)안으로 장입된다. 채널단면(16)의 입구부(16`)는 귀환형 스크류 나사(7)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귀환형 스크류 나사(7)와 바로 인접한 채널 단면(10,16)의 벽부(20)는 귀환형 스크류 나사(7)의 정면(21)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하나 이상의 배기구(17)가 채널 단면(16)의 입구부(16`)로부터 축선상으로 이격된 챔버(9)에 제공되고 , 바람직하게는 가스 흡입을 개선시키도록 진공펌프가 통로(22)에 의해 배기구(17)에 연결되어 작동됨에 따라, 가스가 상기 통로(22)에 의해 배기구(17)를 통해서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떨어져서 외부로 방출되도록 유도될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17)에는 적절한 밀폐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가스가 생성되지않는 공정으로 처리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밀폐수단에 의해서 배기구(17)를 밀폐시킨다. 채널(11)의 입구부(16`)와 배기구(17)사이에 배열된 챔버(9)의 종방향의 단면에서, 압출기 웜(2)은 비압력 구역(18)이 형성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비압력 구역(18)이 합성 플라스틱 재료에 알맞는 응력완화 공간으로 작용하여서 가스 방출능력을 향상시킨다.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출기 웜(2)은 이러한 부분에서 그 나사선의 길이가 상당히 증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입구부(16`)를 통해서 공급되는 합성 플라스틱 재료가 이러한 비압력 구역(18)으로 이동되지만 가압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합성 플라스틱 재료내에 함유된 가스는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를 떠나서 압출기 하우징(1)의 내부벽(23)인 압출기 웜(2)의 원주부까지 도달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며, 이러한 내부벽(23)이는 가스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로 제거 된다. 이와 동시에,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용융물이 챔버(9)로부터 배기구(17)를 통해서 불필요하게 방출되는 것이 방지 된다.
압출기 웜(2)은 비압력 구역(18) 다음에 방출 구역(19)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방출 구역(19)에서 나사산의 깊이는 비압력 구역(18)과 비교하여 작으며, 이러한 방출 구역(19)에서는 임의의 수단(6)의 저항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압력이 형성된다.
귀환형 스트류 나사(7)에 의해서 소량의 용융물이 챔버(9)로부터 챔버(8)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용융물이 여과기 (14)를 바이패싱하여 통과함으로써 챔버(8)로부터 챔버(9)로 용융물이 역류하여 불순물 및 불균일 성분이 수단(6)으로 고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여과기 하우징은(12)은 압출기의 세척 또는 여과기(14)의 교환을 위해서 압출기 하우징(1)으로부터 간단한 방식으로 분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변형에 따르면, 귀환형 스크류 나사(7)가 제공된 압출기 웜(2)의 단면이 입구부(16`)안으로 돌출한 길이는 이러한 입구부(16`)가 불필요하게 덮여지지않도록 매우 짧다. 즉 이러한 돌출길이는 귀환형 스크류 나사의 나사선의 하나정도의 길이 또한 하나의 나사선의 길이의 일부분 정도이다. 이러한 작은 정도의 겹침에 의해서, 귀환형 스크류 나사의 마지막 나선은 여과되지만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따라서 확실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귀환형 스크류 나사(7) 가 완전히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새로이 여과 처리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세척 처리된다.

Claims (8)

  1.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로서,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며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압출기 웜(2)을 갖추고 있는 압출기 하우징(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이 깔때기 형상의 부재(4)에 연결되어 있는 소성처리되는 재료용 장입구(3), 상기 장입구(3)로부터 축선상으로이격되어 있는 용융물용 배출구(5), 적어도 하나의 배출가스용배기구(17), 및 용융물이 통과되면서 여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융물용 여과기(14)를갖추고 있으며, 상기 압출기 하우징(1)이 상기 압출기 웜의 원주상으로 배열된 귀환형 스크류 나사(7)에 의해서 2개의 챔버(8,9)로 분활되어 있고, 상기 챔버(8,9)중 어느 한쪽 챔버(8)에는 상기의 장입구(3)가 제공되어 있고, 다른 한쪽 챔버(9)에는 상기 배출구(5)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챔버가 내부에 상기 여과기(14)가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배기구(17)는 상기 배출구(5)가 제공된 상기 챔버(9)에 연결되어 있으며, 축선방향으로 상기 배출구(5)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출기 웜(2)이 비압력 구역(18)을 형성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춘 나사산을 포함하고 있는 압출 장치에 있어서,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이동방향으로 볼때, 각각의 사기 배기구(17)가 상기 배출구(5)가 제공된 상기 챔버(9)에서 각각의 상기 채널(11)의 입구부(16`)의 바로 뒤쪽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부(16`)와 각각의 상기 배기구(17)의 사이에 비압력 구역(18)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95)가 제공된 상기 챔버(9)내에서 각각의 상기 채널(11)의 상기 입구부(16`)가 상기 귀환 스크류 나사(7)에 바로 인접하게 배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입구(3)가 제공된 상기 챔버(8)로부터 상기 여과기(14)까지 뻗어 있는 각각의 상기 채널(11)의 장입구(10`)가 상기 귀한 스크류 나사(7)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 웜(2)의 상기 비압력 구역(18)이 상기 배기구(17)까지 뻗어 있으며, 상기 압출기 웜(2)이 상기 비압력 구역(18)과 연관되어 상기 배출구(5)까지 뻗어서 방출 구역(19)을 형성하도록 하는 기하학적 형상의 나사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압력 구역(18)이 상기 배출구(5)가 제공이 상기 챔버(9)안으로 개방되어 뻗은 상기 채널(11)의 상기 입구부(16`)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기구(17)가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구(10`)또는 상기 입구부(16`)의 각각의 벽(20)이 상기 귀환 스크류 나사(7)가 제공된 상기 압출기 웜(2)의 단면의 정면(21)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구(10`)또는 상기 입구부(16`)가 각각 제공된 채널 단면(10,16)이 상기 압출기 하우징(1)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스크류 나사(7)가 제공된 상기 압출기 웜(2)의 상기 정면(21)이 상기 입구부(16`)와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장치.
KR1019940700657A 1991-08-29 1992-08-06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 KR0131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709/91 1991-08-29
AT170991 1991-08-29
PCT/AT1992/000110 WO1993004841A1 (de) 1991-08-29 1992-08-06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1010B1 true KR0131010B1 (ko) 1998-04-13

Family

ID=351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657A KR0131010B1 (ko) 1991-08-29 1992-08-06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419634A (ko)
EP (1) EP0600924B1 (ko)
JP (1) JP2583823B2 (ko)
KR (1) KR0131010B1 (ko)
AT (1) ATE134563T1 (ko)
BR (1) BR9206425A (ko)
CA (1) CA2116659C (ko)
DE (1) DE59205518D1 (ko)
DK (1) DK0600924T3 (ko)
ES (1) ES2086760T3 (ko)
MX (1) MX9204979A (ko)
TW (1) TW210975B (ko)
WO (1) WO1993004841A1 (ko)
ZA (1) ZA9261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1596A1 (de) 2007-12-14 2009-06-18 Hyundai Motor Co. Höhenverstellvorrichtung eines Fahrzeugsitz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701505T3 (ko) * 1993-06-08 1997-03-10 Georg Wendelin
AT407855B (de) * 1997-04-23 2001-07-25 Bacher Helmu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s abnützungsgrades einer ein plastifiziertes material fördernden dichtschnecke
DE19741674A1 (de) * 1997-09-22 1999-03-25 Haake Gmbh Geb Mischer insbesondere für viskoelastische Materialien
US6206558B1 (en) * 1998-03-27 2001-03-27 Sencorp Systems, Inc. Extrusion system
US20030016585A1 (en) * 1998-05-06 2003-01-23 Leveque Alain Yves Low compression screw
AT406948B (de) * 1999-02-09 2000-10-25 Bacher Helmut Vorrichtung zur filterung thermoplastischen kunststoffmateriales
US7083319B2 (en) * 2003-05-15 2006-08-01 Buss Sms Gmbh Verfahrenstechnic Large-volume reactor having a plurality of process spaces
UA74926C2 (en) * 2004-03-16 2006-02-15 Yevhenii Petrovych Barmashyn Extruder for processing of thermoplastic polymeric materials with area of filtration and degassing
DE102004035260B4 (de) * 2004-07-21 2011-06-01 Pall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resslingen, Pellets, Compounds, Composites, Agglomeraten, Granulaten und dergleichen
AT503014B1 (de) * 2006-04-27 2007-07-15 Schulz Helmuth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DE102006027216A1 (de) * 2006-06-12 2007-12-13 Pro-Tech Beratungs- Und Entwicklungs Gmbh Kunststoff-Regranuliermaschine
AT504723B1 (de) 2006-10-05 2008-09-15 Schulz Helmuth Ing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DE102007045155A1 (de) * 2007-09-20 2009-04-02 Evonik Röhm Gmbh Anordnung des Antriebs bei einem Entgasungsextruder
JP5017455B2 (ja) * 2007-10-19 2012-09-05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合同会社 ポリマーと希釈剤の混合物を調製するための押出機、システム、及び方法
AT506298B1 (de) * 2008-02-20 2009-08-15 Schulz Helmuth Ing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AT508951B1 (de) * 2009-04-17 2012-03-15 Erema Verfahren und anordnung zur recyclierung von kunststoff
US9138749B2 (en) 2011-02-09 2015-09-22 Wisconsin Film & Bag, Inc. Post consumer scrap film recycling process
US8567702B2 (en) 2011-02-09 2013-10-29 Wisconsin Film & Bag, Inc. Post consumer scrap film recycling process
US8820666B2 (en) 2011-02-09 2014-09-02 Wisconsin Film & Bag, Inc. Post consumer scrap film recycling process
AT511208B1 (de) 2011-07-27 2012-10-15 Starlinger & Co Gmbh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RU2536844C1 (ru) * 2013-07-16 2014-12-27 Лев Анатольевич Губ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форм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варианты)
FR3021245B1 (fr) * 2014-05-22 2016-12-23 Lescuyer Et Villeneuve Extrudeuse degazeuse a elastomeres avec filtration amovible.
CN107428104B (zh) 2014-12-30 2019-05-10 奥特克莱夫高压高温有限公司 用于材料变形加工的装置
ITUA20164096A1 (it) * 2016-06-03 2017-12-03 Nexxus Channel S R L Vite per estrusore di materiali polimerici, estrusore di materiali polimerici comprendente detta vite e metodo per realizzare prodotti polimerici estrusi
DE202016105490U1 (de) 2016-10-04 2016-11-07 Helmuth Schulz Vorrichtung zum Entgas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EP3453514A1 (de) 2017-09-12 2019-03-13 Next Generation Analytic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iltern und entgasen einer kunststoffschmelze
EP3659779A1 (en) * 2018-11-20 2020-06-03 Feydas Mekina Ve Mühendislik Limited Sirketi Innovation in extrusion machine used in recycling process of plastic-derived products
AT525668B1 (de) * 2022-07-11 2023-06-15 Engel Austria Gmbh Plastifiziereinheit für eine Formgebungs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3877A (en) * 1962-04-02 1965-07-13 Eastman Kodak Co Multistage extrusion screw and alternate filters
DE1529811B2 (de) * 1965-06-03 1972-06-08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00 Wuppertal Schneckenstrangpresse fue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AT304852B (de) * 1965-06-26 1973-01-25 Kestermann Maschf Rolf Strangpresse
DE1779231B1 (de) * 1968-02-12 1972-05-31 Reifenhaeuser Kg Schneckenstrangpresse fuer thermoplastischen kunststoff
DE3744193C1 (de) * 1987-12-24 1989-01-26 Berstorff Gmbh Masch Hermann Verfahren und Extruder zum Entgasen thermoplastischer Kunststoffschmelzen ueber einen weiten Viskositaetsberei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1596A1 (de) 2007-12-14 2009-06-18 Hyundai Motor Co. Höhenverstellvorrichtung eines Fahrzeugsit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83823B2 (ja) 1997-02-19
AU2384592A (en) 1993-04-05
ZA926169B (en) 1993-03-03
WO1993004841A1 (de) 1993-03-18
CA2116659C (en) 1995-11-14
EP0600924A1 (de) 1994-06-15
BR9206425A (pt) 1995-11-07
ATE134563T1 (de) 1996-03-15
DK0600924T3 (da) 1996-07-22
MX9204979A (es) 1993-04-30
ES2086760T3 (es) 1996-07-01
US5419634A (en) 1995-05-30
CA2116659A1 (en) 1993-03-18
JPH06506413A (ja) 1994-07-21
DE59205518D1 (de) 1996-04-04
AU664564B2 (en) 1995-11-23
EP0600924B1 (de) 1996-02-28
TW210975B (ko) 199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010B1 (ko)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시키기 위한 압출 장치
US73809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reprocessing of a thermoplastic polycondensate
AT503014B1 (de)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US3078512A (en) Extruder vent cleaner
CN1203977C (zh) 高熔点树脂脱水成形的运转监视系统
US3924842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plasticated material
US3814563A (en) Apparatus for treating elastomeric materials
DE3234431C2 (ko)
US3684252A (en) Desolventizing apparatus
JP2012516793A (ja) プラスチック押出機
US3638921A (en) Apparatus for treating elastomeric materials
US4900494A (en) Extru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80125818A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TW201946690A (zh) 混合及捏合機
EP0806282A1 (de) Extruder für Kunststoffgranulat
US33469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of screw extruder
EP0098371B1 (de) Vorrichtung zum Entwässern und Plastifizieren von Explosivstoffgemischen
CN205889833U (zh) 塑料挤出机
EP368169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iltern und entgasen einer kunststoffschmelze
AT516905B1 (de) Vorrichtung zum Entgas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EP1118447B1 (de)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elastomeren Medien, Verwendung der Vorrichtung sowie zwei Betriebsverfahren
DE202016105490U1 (de) Vorrichtung zum Entgas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