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06Y1 -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06Y1
KR0131006Y1 KR2019950050265U KR19950050265U KR0131006Y1 KR 0131006 Y1 KR0131006 Y1 KR 0131006Y1 KR 2019950050265 U KR2019950050265 U KR 2019950050265U KR 19950050265 U KR19950050265 U KR 19950050265U KR 0131006 Y1 KR0131006 Y1 KR 0131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case
short circuit
termin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061U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50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006Y1/ko
Publication of KR970047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30Preventing polarity revers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외부의 충격 및 큰 하중에도 단자의 변형 및 순간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단자의 구조를 변형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자를 보호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건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는 상기 건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건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에는 외부의 큰 하중으로부터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건전지와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리브와 돌출부)로 단자를 형성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자의 변형 및 건전지와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통신단말기등 사용기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건전지-케이스의 제작시에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조립 공수의 감소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건전지-케이스의 (-)전극부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단자를 사용하므로서 단자와 건전지와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건전지-케이스를 제작시에 부품의 일체화로 인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제1도는 종래 기술에서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 외력(F)이 작용시에 건전지-케이스의 단자가 변형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전지-케이스 12 : 코일스프링
14 : 단자 16 : 돌출부
18 : 리브 20 : 건전지
본 고안은 통신기용 전원 공급 장치로 사용되는 일회용 건전지의 단자 부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충격 및 큰 하중에도 단자의 변형 및 순간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건전지(32)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30)의 일측면은 상기 건전지(32)의 (-)전극과 접촉하는 코일스프링(34)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34)은 선경을 굵게하여(즉, 압력을 강하게 한다)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력 보다 큰힘이 결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전지-케이스(30)의 타측면은 상기 건전지(32)의 (+)전극과 접촉하기 위해 평면으로 형성된 철판(36)이 설치된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시 외부의 충격이 코일스프링(34)의 압력 보다 강하게 작용하면 상기 건전지(32)는 건전지-케이스(30)의 타측면에 설치된 철판(36)과의 단락이 발생하며,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34)의 압력이 강해질수록 건전지(32)의 착탈이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2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건전지(42)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40)의 일측면은 상기 건전지(42)의 (-)전극과 접촉하는 코일스프링(44)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44)은 선경을 굵게하여(즉, 압력을 강하게 한다)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력 보다 큰힘이 걸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전지-케이스(40)의 타측면은 상기 건전지(42)의 (+)전극과 접촉하는 철판(36)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철판(36)(여기서는 단자를 가리킨다)은 탄성을 갖기 위해 구부려서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부러진(U자 모양) 철판(36)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철판(36)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건전지(42)와 철판(36)과의 단락을 방지하는 고무(48)가 끼워져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시 철판(46)(여기서는 단자를 가리킨다)의 변형 및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48)를 철판(46) 사이에 끼워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이 증가되어 제품의 원가 상승을 유발시키며, 또한 상기 고무(48)를 철판(46) 사이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립 공수의 증가로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3도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건전지-케이스에 건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건전지(52)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50)의 양단부에는 상기 건전지(52)의 (-)전극과 접촉하는 철판(58)(여기서는 단자를 가리킨다)과, 상기 건전지(52)의 (+)전극과 접촉하는 철판(58)(여기서는 단자를 가리킨다)이 각각 설치되며, 이때 상기 각각의 철판(58)(여기서는 단자를 가리킨다)이 각각 설치되며, 이때 상기 각각의 철판(58)(여기서는 단자를 가리킨다)은 탄성을 갖기 위해 구부려서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부러진(U자 모양) 철판(58)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철판(58)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건전지(52)와 철판(58)과의 단락을 방지하는 고무(60)가 각각 끼워져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시 철판(58)(여기서는 단자를 가리킨다)의 변형 및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60)를 철판(58) 사이에 끼워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이 증가되어 제품의 원가 상승을 유발시키며, 또한 상기 고무(60)를 철판(58) 사이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립 공수의 증가로 생산성이 감소되며, 또한 상기 철판(58)과 고무(60)를 건전지-케이스(5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하므로서 조립시에 2배의 어려움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자의 구조를 변형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자를 보호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전지와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수의 감소로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공수의 감소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는 상기 건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건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에는 외부에 큰 하중으로부터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건전지와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전지-케이스의 양단부에는 상기의 건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와, 상기 건전지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단자에는 외부의 큰 하중으로부터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건전지와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는 제4,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20)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10)의 일측면은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코일스프링(12)이 설치되며, 상기 건전지-케이스(10)의 타측면은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14)가 설치되며, 상기 단자(14)의 상단부 양측면은 외부의 큰 하중으로부터 단자(1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18)가 각각(2개) 형성되며, 상기 단자(14)의 중심부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건전지(20)와 단자(14)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16)가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단자(14)는 여러개의 건전지(20)를 직렬로 연결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전지-케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단자(14)는 건전지(20)를 장착하지 않을 때는 돌출부(16)가 각각의 리브(18)보다 튀어 나와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건전지(20)를 건전지-케이스(10)에 끼우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14)의 돌출부(16)가 탄성력에 의해 후면 방향(뒤로)으로 밀려지면서 압축되어 각각의 리브(18)와 동시에 건전지(20)의 (+)전극에 접촉되어 연결된다. 그후, 외부에서 건전지(20)의 (-)전극 방향으로 충격(힘 : F)이 발생하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전지(20)가 (-)전극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단자(14)의 각각의 리브(18)는 건전지(20)의 (+)전극과 떨어짐과 동시에 돌출부(18)가 복원력에 의해 계속해서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을 유지하게 되어 단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건전지(20)의 (+)전극 방향으로 충격이 발생시에는 상기 단자(14)의 각각의 리브(18)가 단단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단자(14)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는 간단한 구조(리브와 돌출부)로 단자를 형성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자의 변형 및 건전지와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통신단말기등 사용기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건전지-케이스의 제작시에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조립 공수의 감소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는 제5,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20)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10)의 양단부에는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14)와,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14)가 각각(2개)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단자(14)의 상단부 양측면에는 외부의 큰 하중으로부터 단자(1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18)가 각각(2개) 형성되며, 상기 단자(14)의 중심부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건전지(20)와 단자(14)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16)가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단자(14)는 여러개의 건전지(20)를 직렬로 연결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전지-케이스(10)의 양측면에 설치된 각각의 단자(14)는 건전지(20)를 장착하지 않을 때는 돌출부(16)가 각각의 리브(18)보다 튀어 나와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건전지(20)를 건전지-케이스(10)에 끼우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단자(14)의 돌출부(16)가 탄성력에 의해 후면 방향(뒤로)으로 밀려지면서 압축되어 각각의 리브(18)와 동시에 건전지(20)의 (+)전극과 (-)전극에 접촉되어 연결된다. 이때, 외부에서 건전지(20)의 (-)방향 또는 (+)방향으로 충격이 발생시에도 상기 건전지(20)는 건전지-케이스(10)의 양측면에 설치된 각각의 단자(14)의 리브(18)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충격에도 단자(14)의 변형 및 건전지(20)와 단자(14)와의 단락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는 간단한 구조(리브와 돌출부)로 단자를 형성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자의 변형 및 건전지와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통신단말기등 사용기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건전지-케이스의 제작시에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조립 공수의 감소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건전지-케이스의 (-)전극부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단자를 사용하므로서 단자와 건전지와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건전지-케이스를 제작시에 부품의 일체화로 인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건전지(20)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10)는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코일스프링(12)과,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14)로 구성되어진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14)에는 외부의 큰 하중으로부터 단자(1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18)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건전지(20)와 단자(14)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8)는 상기 단자(14)의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2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4)는 여러개의 건전지(20)를 직렬로 연결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6)는 상기 단자(14)의 중심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
  5. 건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케이스(10)의 양단부에는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14)와, 상기 건전지(20)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1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단자(14)에는 외부의 큰 하중으로부터 단자(1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18)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건전지(20)와 단자(14)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8)는 상기 단자(14)의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2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4)는 여러개의 건전지(20)를 직력로 연결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6)는 상기 단자(14)의 중심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건전지-케이스의 단자 구조.
KR2019950050265U 1995-12-28 1995-12-28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KR0131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265U KR0131006Y1 (ko) 1995-12-28 1995-12-28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265U KR0131006Y1 (ko) 1995-12-28 1995-12-28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061U KR970047061U (ko) 1997-07-31
KR0131006Y1 true KR0131006Y1 (ko) 1998-12-15

Family

ID=1944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265U KR0131006Y1 (ko) 1995-12-28 1995-12-28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358A (ko) 2017-10-31 2019-05-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건전지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63A (ko) * 2001-06-26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크 플레이어의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358A (ko) 2017-10-31 2019-05-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건전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061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733A (en) Shock absorbing battery cell interconnect
US8974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CA2592245C (en)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JP7239733B2 (ja) 二次電池
US11749926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vehicle
CN110495013B (zh) 电池组
JP2019079726A (ja) 電圧検出装置
KR0131006Y1 (ko) 건전지 케이스의 단자 구조
JPH09223488A (ja) 電池保持装置
US20060210871A1 (en) Short-circuit free battery receptacle
JPS63119156A (ja) 電池用コネクタ
CN211957500U (zh) 一种接线开关触点装置
KR102598260B1 (ko) 전지모듈
JPS5934064Y2 (ja) 板フユ−ズ装置用中継端子
JPH07230842A (ja) 電子機器の端子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と電子機器本体
CN215896774U (zh) 一种插孔体、护套和接线端子
JP3043706U (ja) 防振電気連結器
CN213520246U (zh) 一种电池盒
CN212323221U (zh) 一种桥接式端子接触片模组结构及大电流端子连接结构
CN216389748U (zh) 充电结构及电子设备
CN213988674U (zh) 一种大功率防水轻触开关
KR102477215B1 (ko) 배터리 팩 모듈
CN211208737U (zh) 可拆卸式连接器
KR102650234B1 (ko) 리벳을 이용한 충전단자 밀폐구조
CN112803186B (zh) 一种充电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