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90Y1 -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90Y1
KR0130990Y1 KR2019960033392U KR19960033392U KR0130990Y1 KR 0130990 Y1 KR0130990 Y1 KR 0130990Y1 KR 2019960033392 U KR2019960033392 U KR 2019960033392U KR 19960033392 U KR19960033392 U KR 19960033392U KR 0130990 Y1 KR0130990 Y1 KR 0130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exhaust manifold
expansion
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181U (ko
Inventor
정용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3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1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젤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 매니폴드(1)가 엔진의 배기포트(2)에 원통형으로 외삽되어 장착되며 그 실링이 배기포트(2)의 외측 원주면에 가공된 실링홈(3)에 다수의 실링용 부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링용 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T'자형 단면의 넓은 부분이 배기 매니폴드(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되고 'T'자형 단면 하측의 양쪽홈(6,8) 중에서 어느 한 홈에 배기 매니폴드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분산시켜 실링홈(3)의 벽면을 향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하는 팽창력 분산면(4)이 형성된 실링용 링(5)과, 상기 실링용 링(5)의 팽창력 분산면(4)이 형성된 홈(6)에 개재되는 원형 단면의 팽창 링(7)과, 상기 실링용 링(5)의 팽창력 분산면(4)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홈(8)에 개재되는 팽창수단으로 구성된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기 매니폴드와의 접촉면에서의 실링성능 및 실링홈 측면과의 접촉면에서의 실링성능을 동시에 충분히 확보함은 물론, 하나의 실링홈과 적은 부품수로 간편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
본 고안은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디젤엔진의 배기 매니폴드를 엔진의 배기포트에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은 실린더 내에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면 500-550℃의 압축열이 발생되며, 이때 인젝터 노즐을 사용하여 연료를 분사하여 착화 연소시키는 엔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디젤엔진중 대형 디젤엔진에 사용되는 배기 매니폴드의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 형상의 배기포트(51)의 외측에 배기 매니폴드(52)가 외삽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 매니폴드(52)와 배기포트(51)의 실링을 위해 상기 배기포트(51)의 외측 원주면에는 실링홈(53)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53)에는 실링용 링(54)이 개재되며, 상기 실링용 링(54)이 효과적인 실링 기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실링용 링(54)을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팽창 링(5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용 링(54)과 팽창 링(55)이 설치된 상태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4각형인 실링용 링(54)을 배기 매니폴드의 내측면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4각단면의 팽창 링(55)을 개재한 것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단면의 실링용 링에서 한쪽 모서리에 경사면(56)을 형성하여 5각단면을 가진 실링용 링(57)의 상기 경사면(5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원형 단면의 팽창 링(58)을 설치한 것이 있다.
상기 4각단면의 실링용 링(54)을 지지하는 4각단면의 팽창 링(55)이 설치된 구조는 4각단면의 실링용 링(54)이 배기 매니폴드(52)에 밀착되는 방향의 힘만을 제공받는 상태가 되며, 상기 5각단면의 실링용 링(57)의 경사면(56)에 원형단면의 팽창 링(58)을 설치한 것은 상기 원형단면의 팽창 링(58)이 제공하는 탄성력이 상기 실링용 링(57)의 경사면(56)에서 힘이 분산되어 일부는 5각단면의 실링용 링(57)을 배기 매니폴드(52)로 밀착하고 일부는 5각단면의 실링용 링(57)이 상기 배기포트(51)에 형성된 실링홈(53)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즉, 상기 경사면(56)을 가진 실링용 링(57)과 원형 단면을 가진 팽창 링(58)이 결합된 실링구조는 상기 4각단면의 실링용 링(54)과 팽창 링(55)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링구조에 비해서 별도로 실링홈의 측면과 실링용 링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기가스의 누출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4각단면의 실링용 링(54)과 팽창 링(55)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링구조는 상기 경사면(56)에 작용하는 원형단면의 팽창 링(58)에 의한 실링구조보다 대부분의 배기가스 누출을 차지하는 배기 매니폴드의 내측 벽면에서의 실링 작용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두 가지 실링구조가 가지고 있는 각각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구조의 실링구조를 병립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그 부품의 형상이 유사하고 수량이 많아 작업이 불편하며 실링홈을 2개소 이상 형성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 하나의 실링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두 가지 실링구조의 장점을 고루 갖춘 새로운 실링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저감하고 작업성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구조를 동시에 사용하는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 매니폴드 2 : 배기포트
3 : 실링홈 4 : 팽창력 분산면
5 : 실링용 링 7 : 원형단면의 팽창 링
9 : 4각단면의 팽창 링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는 배기 매니폴드가 엔진의 배기포트에 원통형으로 외삽되어 장착되며 그 실링이 배기포트의 외측 원주면에 가공된 실링홈에 다수의 실링용 부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링용 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T'자형 단면의 넓은 부분이 배기 매니폴드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되고 'T'자형 단면 하측의 양쪽홈 중에서 어느 한 홈에 배기 매니폴드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분산시켜 실링홈의 벽면을 향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하는 팽창력 분산면이 형성된 실링용 링과, 상기 실링용 링의 팽창력 분산면이 형성된 홈에 개재되는 원형 단면의 팽창 링과, 상기 실링용 링의 팽창력 분산면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홈에 개재되는 팽창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기 매니폴드(1)가 엔진의 배기포트(2)에 원통형으로 외삽되어 장착되며 그 실링이 배기포트(2)의 외측 원주면에 가공된 실링홈(3)에 다수의 실링용 부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실링용 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T'자형 단면의 넓은 부분이 배기 매니폴드(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되고 'T'자형 단면 하측의 양쪽홈(6,8) 중에서 어느 한 홈에 배기 매니폴드(1)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분산시켜 실링홈(3)의 벽면을 향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하는 팽창력 분산면(4)이 형성된 실링용 링(5)과, 상기 실링용 링(5)의 팽창력 분산면(4)이 형성된 홈(6)에 개재되는 원형 단면의 팽창 링(7)과, 상기 실링용 링(5)의 팽창력 분산면(4)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홈(8)에 개재되는 팽창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팽창수단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4각 단면의 팽창 링(9)으로 하였으나, 부품의 통일성을 위해 상기와 같은 원형단면의 팽창 링(7)을 공용으로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T'자형의 실링용 링(5)은 넓은 면이 배기 매니폴드(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구조이며, 아울러 하측의 팽창력 분산면(4)이 형성된 홈(6)에서 작용되는 원형단면의 팽창 링(7)에서 제공되는 팽창력은 상기 실링용 링(5)을 배기 매니폴드(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과 실링홈(3)의 측면에 작용하는 힘으로 분산되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팽창력 분산면(4)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홈(8)에 개재된 4각단면의 팽창 링(9)은 상기 원형단면의 팽창 링(7)과 팽창력 분산면(4)에 의해 배기 매니폴드(1)쪽으로 작용될 압착력의 부족한 량을 보충하면서 실링용 링(5)과 배니 매니폴드(1)의 내측면 밀착상태를 충분히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와의 접촉면에서의 실링성능 및 실링홈 측면과의 접촉면에서의 실링성능을 동시에 충분히 확보함은 물론, 하나의 실링홈과 적은 부품수로 간편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배기 매니폴드가 엔진의 배기포트에 원통형으로 외삽되어 장착되며 그 실링이 배기포트의 외측 원주면에 가공된 실링홈에 다수의 실링용 부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링용 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T'자형 단면의 넓은 부분이 배기 매니폴드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되고 'T'자형 단면 하측의 양쪽홈 중에서 어느 한 홈에 배기 매니폴드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분산시켜 실링홈의 벽면을 향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하는 팽창력 분산면이 형성된 실링용 링과, 상기 실링용 링의 팽창력 분산면이 형성된 홈에 개재되는 원형 단면의 팽창 링과, 상기 실링용 링의 팽창력 분산면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홈에 개재되는 팽창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수단은 4각 단면의 팽창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구조.
KR2019960033392U 1996-10-10 1996-10-10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 구조 KR0130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392U KR0130990Y1 (ko) 1996-10-10 1996-10-10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392U KR0130990Y1 (ko) 1996-10-10 1996-10-10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181U KR19980020181U (ko) 1998-07-15
KR0130990Y1 true KR0130990Y1 (ko) 1999-10-01

Family

ID=1946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392U KR0130990Y1 (ko) 1996-10-10 1996-10-10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652B1 (ko) * 2001-09-28 2004-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매니폴드의 실링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181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2691A (en) Mounting structure of a multiple piston ring
US3924863A (en) Gasket
KR0130990Y1 (ko)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연결 구조
JPH0681749A (ja) 燃料噴射弁の取り付け装置
KR980008780U (ko) 실린더 헤드의 기밀 유지구조
US5230313A (en) Gas engine cylinder head, and a method of retrofitting the head with a precombustion chamber unit
KR200210466Y1 (ko) 배기다기관의 밀봉부재
US4106467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subsidiary combustion chamber
KR200144585Y1 (ko)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60070629A (ko) 배기 다기관의 조립 구조
KR0132037Y1 (ko) 파이프 연결 구조
KR20030092481A (ko) 기밀성 향상을 위한 배기 매니폴드의 시일 링 장착 구조
KR19980037385A (ko) 실린더헤드의 기밀유지용 가스켓구조
KR19990003225U (ko) 엔진 배기장치의 배기가스 누출 방지용 플렌지
KR19990018577U (ko) 실린더 헤드의 체결 구조
KR100229921B1 (ko) 엔진의 피스톤 구조
RU93019998A (ru) Ускоритель поток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эжектором
KR100216462B1 (ko) 내연기관
KR19980051788U (ko) 연결용 플랜지
CN2220537Y (zh) 一种内燃机活塞
JPH082428Y2 (ja) 内燃機関の燃焼室
KR19990021275A (ko) 자동차의 배기파이프간 연결구조
KR960018203A (ko) 내연기관의 흡기구조
KR19980051785U (ko) 배기 파이프 연결장치
KR19980042543U (ko) 자동차의 배기 파이프 기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