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16Y1 - 배수로용 덮개 - Google Patents

배수로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16Y1
KR0130916Y1 KR2019960000090U KR19960000090U KR0130916Y1 KR 0130916 Y1 KR0130916 Y1 KR 0130916Y1 KR 2019960000090 U KR2019960000090 U KR 2019960000090U KR 19960000090 U KR19960000090 U KR 19960000090U KR 0130916 Y1 KR0130916 Y1 KR 0130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rainage
sewage
prevents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724U (ko
Inventor
황용환
Original Assignee
성기웅
대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웅, 대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기웅
Priority to KR2019960000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16Y1/ko
Publication of KR970049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키장의 슬로프(slope)나 도로의 가장자리(이하 노변(路邊)이라함)에 설치되는 배수로에 복개 사용하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노변에는 배수로를 설치하므로서 빗물등의 오수를 집수하여 별도의 처리장소로 이송토록 하고 있는바, 이와같은 배수로는 지면에 반원형 또는 역사다리꼴의 배수블럭을 연접·매립하여 상면을 덮개로 복개토록 하므로서, 오수가 덮개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배수블록으로 낙하·집수되도록 하여 별도의 처리장소로 이송되도록 하게 되는데, 종래의 덮개는 오수와 함께 오물까지도 관통공을 통과하게 되므로서 배수로를 막히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더욱이 시공사용중 보수 및 청소를 이유로 덮개를 분리시키고져 할 경우 배수블럭의 단턱과 덮개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었기에 덮개를 분리시키기가 용이치 못하였고, 규격에 따른 허용오차의 범위가 좁아 불량발생의 빈도가 잦았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경사리브와 걸림턱에 의해 오수의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도 오물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므로서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덮개 저면 가장자리에 단턱을 형성하므로서 단턱에 의해 배수블록과 결합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덮개를 폭방향과 길이방향중에서 택일하여 시공할 수 있어 서로 다른규격의 배수블럭에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로용 덮개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 단면도로서,
(a)는 가-가'선 단면도이고,
(b)는 나-나'선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덮개 2 : 프레임
3 : 수직리브 4 : 경사리브
5, 5' : 걸림턱 6 : 통공
7 : 단턱 ∠θ : 소정각도
본 고안은 스키장의 슬로프(slope)나 도로의 가장자리(이하 노변(路邊)이라함)에 설치되는 배수로에 복개 사용하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노변에는 배수로를 설치하므로서 빗물등의 오수를 집수하여 별도의 처리장소로 이송토록 하고 있는바, 이와같은 배수로는 지면(G)에 길이방향으로 연접·매립시켜 배수블럭(E)의 양단에 형성된 단턱(F)(F')에 덮개(A)를 복개하여 배수블럭(E)의 단면과 지면(G) 및 덮개(A)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되, 덮개(A)가 장방향의 프레임(B) 사이에 격자형으로 다수의 리브(C)를 형성하여 각 리브(C)의 사이에 수직형의 관통공(D)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서, 지면(G)으로부터 오수가 덮개(A) 상으로 흘러들게되며, 오수는 각 관통형(D)을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배수블럭(E)에 집수되어 별도의 처리장소로 이송되고, 낙엽이나 쓰레기(이하 오물이라함)등은 각 리브(C)에 걸려 배수블럭(E)으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 관통공(D)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므로서 작은 크기의 오물은 이를 통해 오수와 함께 낙하하게 되어 배수블럭(E)의 배수로를 차단케 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와같은 덮개(A)가 스키장의 슬로프에 설치케 되는 배수로에 사용될 경우 눈이 녹으면서 발생되는 오수가 관통공(D)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눈이 함께 낙하하게 되므로서 리브(C)의 상면이 노출되어 스키어들이 자칫 덮개(A)위를 활강하게 될 경우 스키의 미끄럼짐에 방해를 주게 되어 스키어가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됨과 동시에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내재되었으며, 더욱이 덮개(A)가 배수블럭(E)의 단턱(F)(F')에 걸쳐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통상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배수블럭(E)의 양단면이 지면(G)으로 노출되므로서 이 노출부위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파손 및 마손현상이 발생하여 배수블럭(E)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게 되고, 단턱(F)(F')과 프레임(B) 사이의 틈새 역시 상부가 노출되게 되어 이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므로서 배수로의 보수 및 청소등을 이유로 덮개(A)를 분리시켜야 할 경우 이물질에 의해 덮개(A)를 분리하기가 용이치 못하였으며, 덮개(A)가 단턱(F)(F')에 안착되기 위하여는 덮개(A)의 크기와 양측 단턱(F)(F') 사이의 크기간에 오차의 허용범위가 한정되므로서 불량발생의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오물의 낙하는 저지하면서도 오수는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수시 배수블럭으로 부터의 이탈이 용이하게 하며, 배수블럭과의 허용오차범위를 크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정높이를 갖는 장방향의 프레임(2)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수직리브(3)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각 수직리브(3)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경사리브(4)를 형성하여 각 수직리브(3)와 경사리브(4)의 사이에 통공(6)이 형성되도록 하되, 경사리브(4)가 수직선에 대하여 소정각도(∠θ)를 갖도록 경사형성하고, 경사리브(4)의 상·하단에 서로 반대방향의 걸림턱(5)(5')을 일체로 형성하여 덮개(1)를 형성하며, 덮개(1) 저면의 가장자리에 단턱(7)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배수블럭이고, 9는 지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의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면(9)을 굴착하여 배수블럭(8)을 매립하고 배수블럭(8)의 양단에 단턱(7)을 일치시켜 덮개(1)를 복개한 다음 공간부에 흙을 매워, 지면(9)이 덮개(1)의 상면과 수평내지는 조금 높게 위치하도록 시공 사용케 되는 것으로, 덮개(1)의 상면으로 오물 및 오수가 도달하게 되면 오물은 상·하부의 걸림턱(5)(5')에 걸리게 되고 오수는 수직리브(3)의 벽면이나 경사리브(4)의 벽면을 타고 통공(6)을 통해 배수블럭(8)으로 낙하하여 별도의 오수처리장소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결림턱(5)(5')에 다량의 오물이 걸리게 되면 통공(6)이 거의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것인바, 이때에는 오수가 덮개(1)상으로 도달되더라도 오물과 각 리브(3)(4)의 벽면사이에 수막현상이 나타나 오수가 통공(6)을 통과하는데 장애요인이 될 것이나, 경사리브(4)가 소정각도(∠θ)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서 오수가 이 경사면을 타고 용이하게 흘러내릴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각도(∠θ)는 너무 클경우에는 오물에 의해 아예 통공(6)이 막혀버릴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너무 작을 경우에는 수막현상을 해소할 수가 없으므로 약 ∠5°내외가 바람직하다.
한편, 배수블럭(8)은 콘크리트로 제조되므로서 규격의 오차가 크게 발생될 수 있으나, 덮개(1)의 단턱(7) 범위내에서는 오차를 허용할 수 있으므로 규격 오차에 의한 불량발생을 거의 배재할 수 있음은 물론, 단턱(7)을 덮개(1)의 폭방향과 길이방향 모두에 형성하므로서 배수블럭(8)의 규격에 따라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규격변화에 따른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오수의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도 오물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배수로의 보수 및 청소시 배수블럭으로 부터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며, 덮개의 설치방향을 선택하므로서 서로 다른 규격의 배수블럭에도 시공할수 있도록 하는 등의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일정높이를 갖는 장방형의 프레임(2)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수직리브(3)를 형성한 덮개에 있어서, 각 수직리브(3)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경사리브(4)를 형성하여 각 수직리브(3)와 경사리브(4)의 사이에 통공(6)이 형성되도록 하되, 경사리브(4)의 상·하단에 서로 반대방향의 걸림턱(5)(5')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배수로용 덮개(1).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리브(4)가 수직선에 대하여 소정각도(∠θ)를 갖도록 형성하여서 된 배수로용 덮개(1).
  3. 제1항에 있어서, 덮개(1) 저면의 가장자리에 일정폭을 갖는 단턱(7)을 형성하여서 된 배수로용 덮개(1).
KR2019960000090U 1996-01-06 1996-01-06 배수로용 덮개 KR0130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090U KR0130916Y1 (ko) 1996-01-06 1996-01-06 배수로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090U KR0130916Y1 (ko) 1996-01-06 1996-01-06 배수로용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24U KR970049724U (ko) 1997-08-12
KR0130916Y1 true KR0130916Y1 (ko) 1998-12-15

Family

ID=1944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090U KR0130916Y1 (ko) 1996-01-06 1996-01-06 배수로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525B1 (en) 2012-06-14 2014-08-26 Google Inc. Error concealment guided robustness
US8891616B1 (en) 2011-07-27 2014-11-18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opy encoding based on encoding cost
US9172967B2 (en) 2010-10-05 2015-10-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ding and decoding utilizing adaptive context model selection with zigzag sca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2967B2 (en) 2010-10-05 2015-10-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ding and decoding utilizing adaptive context model selection with zigzag scan
US8891616B1 (en) 2011-07-27 2014-11-18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opy encoding based on encoding cost
US8819525B1 (en) 2012-06-14 2014-08-26 Google Inc. Error concealment guided robust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24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888A (en) Swimming pool drain
US4523875A (en) Auxiliary drainage system for eliminating water problems associated with a foundation of a building
US4285812A (en) Storm drainage systems
CA2001930C (en) Roadway water drainage installation
JP6165938B1 (ja) 排水溝ユニット
KR0130916Y1 (ko) 배수로용 덮개
RU2435910C2 (ru) Дренажный элемент с выемками для очистки
DK1518964T4 (en) Surface Drainage Facilities
JP3943114B2 (ja) 水路の敷設工法
EP0819197B1 (en) A drainage installation for roads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1319819B1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JPH10183729A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KR200151725Y1 (ko) 집수구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0581530B1 (ko) 도로 배수측구의 집수박스
KR200268898Y1 (ko) 도로의 배수용 브이형 측구 구조
JPH018629Y2 (ko)
JP2018131802A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JP2559319Y2 (ja) 道路側溝ブロック体
JP2619805B2 (ja) 道路側縁用ブロック
KR20160149029A (ko) 경사 연결형 교량 배수 장치
JP2791626B2 (ja) 側溝用ブロック
KR200284915Y1 (ko) 차도의 엘형측구에 설치하는 배수형측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