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78B1 -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78B1
KR0130878B1 KR1019930017917A KR930017917A KR0130878B1 KR 0130878 B1 KR0130878 B1 KR 0130878B1 KR 1019930017917 A KR1019930017917 A KR 1019930017917A KR 930017917 A KR930017917 A KR 930017917A KR 0130878 B1 KR0130878 B1 KR 013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torage unit
hopper
stirrer
pri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137A (ko
Inventor
강준구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3001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78B1/ko
Publication of KR95000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화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캐리어와 토너가 적절히 혼합되도록 호퍼 내에 토너의 유무감지를 보다 정확히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그네트롤러의 인근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고정되어 현상제를 섞는 교반날개 등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호퍼 내에 토너가 없으면 자유회전되어 굴신의 정지편에 걸려 정지하고 토너가 있으면 구동축에 의해 강제회전되어 상기 정지편을 통과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가 정지편에 걸리었는지 아닌지를 광센서에 알리는 터치암 등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제1도는 종래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토너감지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가)는 토너배출수단의 정면도, (나)는 토너배출수단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토너배출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가)는 토너가 있는 상태, (나)는 토너가 없는 상태.
제5도는 토너배출수단의 구성요소인 광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가)는 토너가 없는 상태, (나)는 토너가 있는 상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 : 정지편203 : 구동축
205 : 광센서206 : 터치암
207 : 돌기부208 : 교반기축
209 : 형합부210 : 개구부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화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호퍼내에 토너의 유무감지를 보다 정확성 있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는 제1도와 같이 토너(2)를 수용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내 토너(2)를 교반하는 교반기(3)와, 상기 교반기(3)에 의해 밀리는 토너(2)를 바깥쪽으로 내보내기 위해 호퍼(1)와 마그네트롤러(6) 사이에 개설된 개구부(4)와, 상기 개구부(4)를 통과한 토너(2)를 캐리어(5)와 함께 외경면부에 부착 시키는 마그네트롤러(6)와, 상기 마그네트롤러(6)에 의해 이동되는 토너로 현상 작업을 구현하는 감광드럼(7)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롤러(6)의 외과 쪽에는 마그네트롤러(6)에 부착된 토너, 캐리어 혼합물의 두께를 조절하는 닥터블레이드(8)가 구성되 있고, 호퍼(1)의 주변부에 호퍼내 토너의 유무를 전자기적으로 감지하는 토너센서(9)가 부착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자방식 인쇄장치는 인쇄신호가 있으면 이에따라 호퍼(1)안의 토너(2)는 교반기(3)의 회전에 의해 개구부(4)를 거쳐서 마그네트롤러(6)쪽으로 이동한다.
마그네트롤러(6) 표면 주위에는 캐리어(5)로 기능하는 철 성분의 알갱이가 모여 있어 이동된 토너(2)와 적당히 마찰되어 혼합되고 이 혼합물(2성분 현상제)은 마그네트롤러(6)에 부착된다.
이때 호퍼(1)에 부착된 닥터블레이드(8)는 마그네트롤로(6)와 일정한 틈새를 갖게되어 2성분 현상제가 마그네트롤러(6)에 대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감광드럼(7)쪽으로 공급 되도록 한다.
감광드럼(7)으로 공급된 캐리어(5)와 토너(2)로 구성되는 2성분 현상제는 현상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감광드럼(7)으로 이송되어 인쇄작용을 하는 것은 토너(2)이고, 캐리어(5)는 토너(2)의 원활한 공급과 대전을 도와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동작을 하는 종래 전자사진방식의 인쇄장치는 캐리어와 토너의 적절한 혼합을 촉진하여 고품질의 인쇄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함께 토너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토너의 양 검출을 보다 정확성 있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토너감지장치에 의하면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특성상 고압사용에 따르는 전자기파와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 주위에 놓여진 전자기파에 의하여 토너센서(9)가 영향을 받게되고, 이로인해 미량의 토너 잔류시에도 토너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도 토너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어 토너양 판단에 있어서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가 필드를 이용한 회로적인 토너센서는 일반적인 포토센서나 스위치에 비해 5∼7배 이상의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토너배출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자기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기구적인 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토너가 저장되는 저장부(호퍼), 상기 저장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시 상기 토너를 저장부 외부로 배출 시키기 위해 회전하며 토너의 양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토너배출수단, 상기 토너배출수단을 회전 구동 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저장부에 근접 설치되어 사이 토너배출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저장부내 토너의 유무를 감지하는 전자사진 인쇄방식의 현상기에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 현상기는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토너(102)가 저장되는 저장부(호퍼 : 101)와, 상기 저장부(10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시 상기 토너(102)를 저장부(101) 외부로 배출 시키기 위해 회전하며 토너(102)의 양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토너배출수단, 상기 토너배출수단을 회전 구동 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저장부(101)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토너배출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저장부내 토너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너감지수단은 저장부(101)내에 토너(102)가 없으면 자유 회전되어 잘 구부러지는 재료로 된 정지편(202)에 걸려 정지하고 토너가 있으면 구동축(203)에 의해 강제 회전되어 상기 정지편(202)을 통과하는 교반기(204)와, 상기 교반기(204)와 정지편(202)에 걸렸는지 아니면 걸리지 않았는지를 광센서(205)에 알려주는 터치암(206)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축(203)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돌부(207)와, 상기 돌부(207)에 형합되어 연동하는 교반기축(208) 상의 형합부(209)로 구성된다.
그리고 역류방지수단은 호퍼(101)의 개구부(201)에 힌지 고정되어 호퍼(101)내로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부재(211)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101) 내를 보면 제3도의 (나)와 같이 구동축(203)이 화살표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교반기축(208)의 형합부(209)가 구동축(203)의 돌기부(207)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한다.
이때 광센서(205)는 ON 상태를 유지한다.
구동축(203)이 계속 회전하여 제4도와 같이 돌기부(207)가 최고점에 이르게 될때 교반기(204)는 회전 끝단에 무게가 집중된 구조이므로, 자유낙하 되어 자중에 의한 회전 운동을 하게된다.
동시에 교반기(204)에 연결된 터치암(206)도 자중에 의한 자유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토너(102)가 정지편(202) 높이보다 높게 있는 경우와 토너(102)가 정지편(202) 높이보다 낮게 있는 경우에 따라 그 자중에 의한 자유회전 운동이 다르게 나타난다.
토너(102)가 정지편(202) 높이보다 높게 있을 경우 제4도의 (가)와 같이 자유 회전한 교반기(204)는 토너(102)에 동작이 멈춰져 구동축(203)의 돌기부(207)가 구동시켜줄 때 까지 그 위치에 있게 된다.
교반기(204)에 연결된 터치암(206)도 역시 멈춰져 있다.
구동축(203)의 구동에 의해 교반기(204)와 터치암(206)이 운동하게 되며 교반기(204)의 구동 속도에 의하여 터치암(206)은 광센서(205)를 빠르게 통과하여, 짧은 시간(SS) OFF 시킨다.
제5도의 (가)에 그 주기를 나타내었다.
토너(102)가 정지편(202)높이보다 높게 있을 경우 제4도의 (나)와 같이 자유회전한 교반기는 정지편(202)에 의해 회전 동작이 멈추어져 있게되며 터치암(206)도 동일 위치에 멈춰져 있게된다.
따라서 광센서(205)는 터치암(206)에 의하여 장시간(LL) OFF된 상태가 유지된다.
정지편(202)은 잘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이므로, 구동축이 회전하여 교반기축의 형합부(209)를 강제로 밀게 되면, 휘어져 교반기(204)를 통과 시킨다.
교반기가 정지편을 벗어나면 터치암(2060은 광센서(205)를 벗어나 광센서(205)를 ON 시키게 되는데, 제5도의 (나)에 그 주기를 나타 내었다.
따라서 토너가 있는 경우와 토너가 없는 경우에 광센서(205)의 ON/OFF 시간이 차이나게 되므로 토너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구적인 토너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전자가 필드를 이용한 경우 보다 가격을 낮추고 주위 전자기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토너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시 상기 토너를 저장부 외부로 배출 시키기 위해 회전하여 토너의 양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토너배출수단과, 상기 토너배출 수단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저장부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토너배출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 되어서 저장부내 토너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배출수단은 호퍼내에 토너가 없으면 자유 회전되어 휘기 쉬운 재질의 정지편에 걸려 토너가 있으면 구동축에 의해 강제 회전되어 상기 정지편을 통과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가 정지편에 걸리었는지 아닌지를 광센서에 알리는 터치암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축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돌부와, 상기 돌부에 형합되어 연동하는 교반기축상의 형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KR1019930017917A 1993-09-07 1993-09-07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KR013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917A KR0130878B1 (ko) 1993-09-07 1993-09-07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917A KR0130878B1 (ko) 1993-09-07 1993-09-07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137A KR950008137A (ko) 1995-04-17
KR0130878B1 true KR0130878B1 (ko) 1998-04-23

Family

ID=1936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917A KR0130878B1 (ko) 1993-09-07 1993-09-07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137A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7973B2 (ja) トナー残量検知機構
US5436704A (en)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residual toner of developing apparatus
US4666285A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H0546026A (ja) トナー残量検出装置
US111319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oner holder dismountably mounted 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0130878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현상기
JP3009794B2 (ja) 画像形成装置
US4299473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using a thick sheet of small size as a transfer sheet
JPH10177300A (ja) 電子写真装置及び現像剤排出方法
JPS62269978A (ja) 静電複写機のための現像装置
JPH1026876A (ja) 画像形成装置
US3834592A (en) Toner replenisher with manual adjustment of dispensing rate
JPH0273276A (ja) トナー補給装置
JP2576060B2 (ja) トナー供給装置
EP0265942B1 (en) Elek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H1118432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189816Y1 (ko) 양면인쇄기기의배지롤러구동장치
JP3452175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2532762Y2 (ja) 現像装置
JPH08248748A (ja) 現像装置
JPH112953A (ja) 画像形成装置
KR890007271Y1 (ko) 전자사진 응용기기의 토너 공급장치
JP5359537B2 (ja) 粉体残量検知装置
JPS6045276A (ja) 現像装置
JP200433372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