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73B1 - 콤바인의 곡물 탱크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곡물 탱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73B1
KR0130873B1 KR1019940000371A KR19940000371A KR0130873B1 KR 0130873 B1 KR0130873 B1 KR 0130873B1 KR 1019940000371 A KR1019940000371 A KR 1019940000371A KR 19940000371 A KR19940000371 A KR 19940000371A KR 0130873 B1 KR0130873 B1 KR 013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tank
tank
screw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288A (ko
Inventor
켄지 고우노
아키라 사카이
Original Assignee
호리에 유키지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에 유키지,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에 유키지
Priority to KR101994000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73B1/ko
Publication of KR95002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의 곡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곡물탱크의 차체로부터 회동한 상태의 유지 및 원상태로의 회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두 단계의 회동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곡물탱크는 주행차체상(1)상에 탑재한 탈곡장치(2)와 나란히 곡물탱크(3)를 설치하고, 이 곡물탱크에는 그 저부에 곡물배출스크류(4)를 축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이 곡물배출스크류의 단부에 형성한 종동죠인트부(5)를 양곡스크류에 연동하는 구동죠인트부(7)에 착탈자유로이 끼워 설치하고, 상기 곡물탱크를 주행차체의 외측으로 회동함에 맞추어 일차회동에 의해 상기 양 죠인트부를 이탈하고 이차회동에 의해 곡물 탱크를 차폭보다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콤바인의 곡물탱크이다.

Description

콤바인의 곡물 탱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작용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 요부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를 단면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6도의 곡물 탱크(grain tank)의 평면도이다.
제8도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제9도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차체 2 : 탈곡장치
3 : 곡물탱크 4 : 곡물 배출 스크류
5 : 종동죠인트부 6 : 양곡스크류
7 : 구동 죠인트부 8 : 일차회동지점부
9 : 이차회동지점부 10 : 브레이크장치
11 : 크롤라
본 발명은 콤바인의 곡물탱크(grain tank)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형 콤바인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콤바인에 있어서는 주행차체상에 탈곡장치와 나란히 설치하여 탑재한 곡물탱크를, 곡물탱크와 탈곡장치와의 사이에 전동장치(傳動裝置)를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주행차체의 차폭보다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컨대,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화59-186048호 공보 및 특허출원공개 소화 63-79526호 공보 참조) 이 경우 종래의 대형 콤바인(4조(條), 5조(條))은 곡물탱크를 평면에서 보아 주행차체에 연한 전후방향이 긴 장방형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의 회동에 있어서도 주위의 기체틀에 장해를 받는 것이 적어져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콤바인이 소형으로 되어가면 전후방향의 길이가 제한되어 곡물탱크는 정방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주행차체의 외측으로 회동할때에 주위의 기체틀에 제한되어 원활한 회동이 불가능하였다.
이처럼 곡물탱크는 콤바인의 크기(수확조(條) 갯수의 차)에 의해 각각 제한을 받아 주위의 구성에 좌우되어 평면에서 보아서 장방형에 가까운 경우와 정방형에 가까운 경우가 있다. 소형 콤바인의 경우에는 곡물탱크가 정방형 혹은 이에 가까운 형상으로되기 때문에 주위의 기체틀에 제약을 받아 한 동작(one motion)으로 회동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이러한 종류의 소형콤바인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보아 정방형상의 곡물탱크를 탑재하여도 주위의 기체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는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곡물탱크는, 저부의 배출스크류측과 양곡통측의 전동부와를 전동가능하고 또한 착탈자재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곡물탱크는 회동작용에 있어서 계합하고 있는 양 죠인트부를 계탈시키기 위한 회동행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크롤라(1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차체(1)상에 탑재한 탈곡장치(2)와 나란히 곡물탱크(3)를 설치하고, 이 곡물탱크(3)에는 그 저부에 곡물배출스크류(4)를 측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이 곡물배출스크류(4)의 단부에 형성한 종동죠인트부(5)를 양곡스크류(6)에 연동하는 구동죠인트부(7)에 착탈자유로이 끼워 설치하며, 상기 곡물탱크(3)를 주행차체(1)의 외측으로 회동함에 맞추어 일차회동에 의해 상기 양 죠인트부(5)(7)를 이탈하고, 이차회동에 의해 차폭보다 외측으로 곡물탱크(3)를 회전가능한 구성으로 한 콤바인 곡물탱크이다.
또한 상기의 첫번째의 발명의 경우 회동지지장치는, 계합하고 있는 양 죠인트부(5, 7)를 착탈시키기 위하여 회동하는 일차회동지점부(8)와, 그후 곡물탱크(3)를 주행차체의 차폭보다 외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이차회동지점부(9)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처럼 구성하면, 곡물탱크(3)는 차외(車外)로 회동시켜 유지작업을 완료한 후의 복귀회동에 이르러 일차 회동지점부(8)와 이차회동지점부(9)가 동일한 힘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양 죠인트부의 계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두 번째의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주행차체(1)상에 탑재한 탈곡장치(2)와 나란히 곡물탱크(3)를 설치하고, 이 곡물탱크(3)에는 그 바닥에 곡물배출스크류(4)을 설치하고 이 곡물배출스크류(4)의 단부에 형성한 종동죠인트부(5)를 양곡스크류(揚穀螺旋)(6)에 연동하는 구동 죠인트부(7)와 착탈자유로이 끼워 설치하고, 상기 곡물탱크(3)를 주행차체(1)의 바깥방향으로 회동함에 있어서 상기 양 죠인트부(5)(7)를 이탈시키는 일차 회동지점부(8)와 곡물탱크를 차폭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이차회등지점부(9)로 구성하며, 상기 일차회등지점부(8)에 브레이크장치(10)를 설치하여 이차회동지점부(9)보다 둔하게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 콤바인의 곡물탱크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곡물탱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우선,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곡물탱크(3)는 상기 탈곡장치(2)의 측부위치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어서, 탈곡장치(2)로부터 제1양곡장치(12)를 통해 탈곡, 선별후의 곡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곡물탱크(3)는 바닥에 곡물배출스크류(4)을 장착하고 이 곡물배출스크류(4)의 선단부에 종동죠인트부(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동지간(13)은 그 하단부분을 양곡통(揚穀筒)(14)의 하부에 형성한 오거받침(15)으로부터 연장한 수부재(受部材)(16)에 지지시키고 상단부는 양곡통(14)에 지지시켜 회동자재로 축수(軸受)하고 있다.
곡물탱크(3)는 기부(基部)를 상기 회동지간(13)에 고착한 요동지지간(17)의 선단부에 취부금구(18)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추착(樞着)지지하여 설치하고, 요동지지간(17)의 기부(회동지간(13))를 이차회동지점부(9)로 하고 선단부(취부금구(18)의 추착부)를 일차회동지점부(8)로하고 있다.
그리고 일차회동지점부(8)는 곡물탱크(3)에 취부한 취부금구(18)와 요동지지간(17)의 단부의 증축(19)과의 사이에 브레이크 슈우(20)를 끼워 구성한 브레이크장치(10)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회동조작하기 위해서는 이차회동지점부(9)보다 강한 압력을 필요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양곡통(14)은 상기 곡물탱크(3)의 후방의 주행차체(1)상에 직립상으로 설치하고 양곡스크류(6)을 내장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곡스크류(6)의 전동구성은 제4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양곡통(14)의 하부에 전동축(21)을 축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이 전동축(21)의 외측에 전동풀리(22)를 축착함과 동시에 타단의 내측에 구동죠인트부(7)를 고정하고 중간부에 축착한 베벨기어(23)에 치합하도록 설치한 베벨기어(24)를 양곡스크류(6) 의 축에 장착하여 전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죠인트부(7)는 단부에 형성하고 상술한 곡물배출스크류(4)의 선단에 설치된 종동죠인트부(5)를 착탈자재로 끼워 전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배출통(25)은 이송스크류(26)을 내장하고 있으며, 시단부(始端部)를 상기 양곡통(14)의 상부에 유압장치(27)를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연결하고 종단부를 배출구로하여 주행차체(1)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유압장치(27)는 후술하는 조작박스(30)의 유압조작레버(27a)에 의해 신축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 곡물배출장치(28)은 곡물배출스크류(4), 양곡스크류(6), 이송스크류(26)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반송스크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텐션클러치장치(29)는 상기 전동풀리(22)의 앞쪽(전동위쪽)에 설치하여, 상기 곡물배출장치(28)의 전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고 조작박스(30)의 클러치레버(31)에 의해 단속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박스(30)는 주행차체(1)의 측방으로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엔진카바(32)로 형성한 절개홈 형상의 수납부(33)에 재치하고, 인접하고 있는 탈곡장치(2)의 측판(34)에 고정볼트(35)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연결통(36)은 종동죠인트부(5)의 외주에 있어서 양곡통(14)의 하부에 있는 오거받침(15)의 단부에 착탈자유로 끼울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융기부(37)를 형성하여 개방시의 곡물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곡물탱크(3)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양곡장치(12)의 상단부에 형성한 곡물방출구(38) 근방의 윗쪽에 점검창(39)을 형성하고 이 점검창(39)을 개폐하는 투명덮개(40)의 내측에 곡물긁기 플랜지(41)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곡물긁기 플랜지(41)는 내부의 곡물량을 점검할때에 투명덮게(40)를 열면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이동하여 곡물방출구(38)근방의 곡물을 구석측으로 긁어 모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곡물탱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곡물탱크(3)는 탈곡장치(2)에 의하여 탈곡처리된 곡물이 제1양곡장치(12)에 의해 양곡반송되어 순차 저장된다.
이렇게 하여 탈곡작업이 진행되면, 곡물탱크(3)는 탈곡작업에 수반하여 처리된 곡물이 저장되어 일정량에 달하고 탱크 내부에 장비되어 있는 만배(滿杯)센서의 검출에 의해 경보되고 곡물배출작업으로 연결된다.
배출통(25)은 조작박스(30)의 유압조작레버(27a)의 조작에 의해 논의 가장자리에 대기한 트럭의 탱크상에 이동시켜 곡물배출작업의 준비를 한다.
클러치레버(31)를 조작하여 텐션클러치장치(29)를 넣으면 곡물배출스크류(4)는 전동풀리(22)로부터 전동축(21), 구동죠인트부(7), 종동죠인트부(5)를 개재하여 전동되고, 양곡통(14)내의 양곡스크류(6)는 전동축(21)으로부터 베벨기어(23)(24)를 개재하여 전동되어 회전구동상태로 된다.
이처럼 하여 곡물배출장치(28)가 회전구동되면 곡물탱크(3)내의 곡물은 곡물배출스크류(4)에 의해 곡물탱크(3)의 일측으로 순차반송되고 양곡스크류(6)로 이어 받아서 양곡통(14)내를 상방으로 반송되는 것이다. 이어서 곡물은 양곡통(14)의 상부에 있어서 양곡스크류(6)의 종단부분으로부터 이송스크류(26)로 이어 받아서 배출통(25)내를 선단방향으로 반송되어 기외(機外)로 반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곡물탱크(3)내의 곡물은 순차 반송되어 트럭의 탱크에 도달하여 수확된다.
다음으로 탈곡장치(2)와 곡물탱크(3)와의 사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곡물탱크(3)를 주행차체(1)의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곡물탱크(3)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지지간(17)의 선단부, 즉 일차 회동지점부(8)를 지점으로 하여 일차회동(제1도의c지점)시켜 종동죠인트(5)를 구동죠인트부(7)로 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곡물탱크(3)는 요동지지간(17)의 기부, 즉 이차회동지점부(9)를 지점으로 하여 이차회동(제1도의 D위치)시켜 주행차체(1)의 외측으로 회동한다.
이처럼 곡물탱크(3)를 주행차체(1)의 외측으로 회동하면 탈곡장치(2)의 측부가 크게 개방되어 작업공간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탈곡장치(20의 전동장치 등을 극히 용이하게 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유지를 완료한 후에는 곡물탱크(3)는, 이를 수납방향으로 압압조작하면, 우선 비교적 가볍게 회동가능한 이차회동지점부(9)가 회동하여 주행차체(1)측에 수납되고 이것이 끝나면 브레이크장치(10)가 작동하고 있는 일차회동지점부(8)가 회동한다. 따라서 종동죠인트부(5)는 일차회동지점부(8)의 회동에 의해 구동죠인트부(7)에 정확하게 계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행차체상에 탑재한 탈곡장치와 나란히 곡물탱크를 설치하고, 그 곡물탱크의 저부에 곡물배출스크류를 축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이 곡물배출스크류의 단부에 형성한 종동 죠인트부를 양곡스크류에 연동하는 구동죠인트부에 착탈자유로이 끼워 설치하고, 상기 곡물탱크를 주행차체의 외측으로 회동함에 있어서 일차 회동에 의해 상기 양 죠인트부를 이탈하고 이차회동에 의해 곡물탱크를 차폭보다 외측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으로한 것이기 때문에 우선 최초의 일차회동에 의해 구동죠인트부로 부터 종동죠인트부를 일차회동지점부를 중심으로 곡물탱크를 조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이어서 이차회동에 의해 곡물탱크를 크게 차폭의 외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콤바인의 유지를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주행차체상에 탑재한 탈곡장치에 병설하여 곡물탱크를 설치하고, 그 곡물탱크는 그 저부에 곡물배출스크류를 축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이 곡물배출스크류의 선단에 형성한 종동죠인트부를 양곡스크류에 연동하는 구동죠인트부에 착탈자유로이 끼워 설치하며, 상기 곡물탱크를 주행차체의 외측으로 회동함에 맞추어 상기 양 죠인트부를 이탈시키는 일차회동지점부와 곡물탱크를 차폭보다 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이차회동지점부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일차회동지점부에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하여 이차회동지점부 보다 둔하게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므로, 유지작업을 마쳐 곡물탱크를 원래의 탑재위치로 되돌리는 작업에 있어서 곡물탱크를 주행차체의 하방으로 압압조작하면 우선 가볍게 회전하는 이차회동지점부가 먼저 회동하고, 그 후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일차회동지점부가 회동하기 때문에 양 죠인트부의 착탈이 확실하게 행하여져 곡물탱크를 정확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2)

  1. 주행자체(1)상에 탑재한 탈곡장치(2)와 나란히 설치한 곡물탱크(3)와, 이 곡물탱크(3)의 저부에 설치한 곡물배출스크류(4)와, 상기 탈곡장치(2)에 고착되어 내부에 양곡스크류(6)가 설치되어 있는 양곡통(14)등으로 구성되어 크롤라(11)에 의해 주행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곡물배출스크류(4)의 단부에 종동죠인트부(5)를 형성하여 상기 양곡스크류(6)와 연동하는 구동죠인트부(7)에 착탈 자유로이 끼워 설치하고, 상기 곡물탱크(3)를 주행차체(1)의 외측으로 회동함에 맞추어 상기 양 죠인트부(5,7)를 이탈시키는 죠인트부에 가까운 쪽의 일차회동지점부(8)와 상기 곡물탱크(3)를 차폭보다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이차회동지점부(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회동지점부(8)는 브레이크슈우(20)로 되는 브레이크장치(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장치.
KR1019940000371A 1994-01-11 1994-01-11 콤바인의 곡물 탱크 KR013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371A KR0130873B1 (ko) 1994-01-11 1994-01-11 콤바인의 곡물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371A KR0130873B1 (ko) 1994-01-11 1994-01-11 콤바인의 곡물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88A KR950023288A (ko) 1995-08-18
KR0130873B1 true KR0130873B1 (ko) 1998-04-20

Family

ID=1937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371A KR0130873B1 (ko) 1994-01-11 1994-01-11 콤바인의 곡물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5092A (zh) * 2014-10-03 2017-05-31 Dic株式会社 环氧酯化合物、纤维素酯树脂组合物、光学薄膜及液晶显示装置
KR20180012689A (ko) * 2016-07-27 2018-02-06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US11016918B2 (en) 2007-06-01 2021-05-25 Netlist, Inc. Flash-DRAM hybrid memory modu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6918B2 (en) 2007-06-01 2021-05-25 Netlist, Inc. Flash-DRAM hybrid memory module
US11232054B2 (en) 2007-06-01 2022-01-25 Netlist, Inc. Flash-dram hybrid memory module
CN106795092A (zh) * 2014-10-03 2017-05-31 Dic株式会社 环氧酯化合物、纤维素酯树脂组合物、光学薄膜及液晶显示装置
KR20180012689A (ko) * 2016-07-27 2018-02-06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88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6552B2 (ja) ロールベーラ
US5013208A (en) Grain wagon with unload mechanism
US4892259A (en) Apparatus for receiving, transporting, chopping, and dispensing blocks of fodder
KR0130873B1 (ko) 콤바인의 곡물 탱크
KR101960096B1 (ko) 콤바인의 배출 볏짚 처리부 구조
JP4893111B2 (ja) コンバイン
JPS5851719Y2 (ja) コンバインの穀粒貯溜装置
US5094334A (en) Mechanically driven auger system
JPH10309117A (ja) 脱穀穀稈搬送装置
JPH1189417A (ja) コンバインの脱穀粒貯留部構造
JPH0530607Y2 (ko)
JP2874534B2 (ja)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4009691B2 (ja) コンバイン
CN215835990U (zh) 联合收割机
JPS601575Y2 (ja) コンバインの穀粒貯溜装置
EP0371869B1 (fr) Dispositif de paillage pouvant également faire fonction de désilage et de distribution
JP7282061B2 (ja) コンバイン
JPH0119664Y2 (ko)
JP3777675B2 (ja) コンバイン
JPS585467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籾受取出装置
JP3335891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JPH0516917Y2 (ko)
JPS60251819A (ja)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H1189418A (ja)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構造
JPH1189416A (ja)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