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63Y1 -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 Google Patents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63Y1
KR0130863Y1 KR2019960004628U KR19960004628U KR0130863Y1 KR 0130863 Y1 KR0130863 Y1 KR 0130863Y1 KR 2019960004628 U KR2019960004628 U KR 2019960004628U KR 19960004628 U KR19960004628 U KR 19960004628U KR 0130863 Y1 KR0130863 Y1 KR 0130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injector
cylindrical
pip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935U (ko
Inventor
유명철
Original Assignee
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철 filed Critical 유명철
Priority to KR2019960004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63Y1/ko
Publication of KR970054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9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나 석재 등 구축물의 군열로 인한 틈새에 접착보강제를 주입하여 보수하는데 사용하는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착제를 그 경화제와 별도의 수장통에 의해 별도로 수장보관되게하다가 사용시에만 혼합되게하여 재료가 절약되게한 것에 관한 것으로, 원통상의 몸체(1)(1')선단에 반원통상의 토출관(2)(2')을 형성하여 그 외측 주면에 나선부(3)(3')를 형성하고 몸체(1)(1')의 대향면에는 암수 결합구(4)(4)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하되, 결합에 의해 원통형으로 된 토출관(2)(2')의 선단에는 스크류(5)가 내입된 파이프상의 주입대(6)를 관연결하여 넛트형 결합구(7)로 결합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 제2도의 A부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몸체 2,2' : 토출관
3,3' : 결합구 5 : 스크류
6 : 주입대 7 : 넛트형 결합구
본 고안은 콘크리트나 석재 등 구축물의 군열로 인한 틈새에 접착보강제를 주입하여 보수하는데 사용하는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착제를 그 경화제와 별도의 수장통에 의해 별도로 수장보관 되게 하다가 사용시에만 혼합되게하여 재료가 절약되게한 것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균열 보수용 접책제 주입기는 접착제와 그 경화제를 섞은 주입액을 한 공간으로 형성된 통안에 넣고 이를 소정의 압력으로 콘크리트나 석조 구조물등의 균열된 틈사이 공간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므로서 접착보강되게하여 구조물의 균열을 보수되게 한 것이나, 그 주입액을 주입함에 있어서 균열된 틈사이 마다 다른 용적에 의해 적당한 량의 주입액을 준비할 수 없어 항상 그 주입액이 남거나 모자르기가 일쑤이어서 남은 경우에는 그 주입액이 이미 경화제와 섞인 상태여서 경화되어 버리므로 이를 다시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처분해야 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며 이에 사용되는 주사기형의 주입기 역시 매번 폐기하므로서 환경문제가지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주입기를 2개의 수장통을 별도로 형성하고 그 선단에 혼합스크류가 형성된 주입대를 형성하여 별도로 보관 저장된 접착제와 그 경화제가 주입대를 통과할 때에만 그 혼합 스크류에 의해 서로 섞이게하여 이를 통과하지 않은 접착제와 경화제는 그대로 수장통에 남아 다음 작업시에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 접착제 주입기를 고안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기 원통상의 몸체(1)(1')선단에 반원통상의 토출관(2)(2')을 형성한 그 외측주면에 나선부(3)(3')를 형성하고 몸체(1)(1')의 대향면에는 암수 결합구(4)(4')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하되, 결합에 의해 원통형으로 된 토출관(2)(2')의 선단에는 스크류(5)가 내입된 파이프상의 주입대(6)를 관연결하여 넛트형 결합구(7)로 결합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은 마개, 9는 압착기, 10은 고정구, 11은 균열공간, 12는 콘크리트구조물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접착제 주입기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그 균열공간에 접착 보강제를 주입하여 보수하는데 사용하는 것인데, 먼저 고정구(10)를 균열부위에 부착하고 주입기의 대소 몸체(1)(1')의 내부에 접착제와 그 경화제를 별도로 내입수장하여 이를 고정대와 밀대로 형성된 통상의 압착기(9)에 장착한 후 그 주입대(6)의 주입파이프에 삽입하여 압축기(9)의 밀대를 밀어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접착제와 그 경화제를 동시에 토출관(2)(2')으로 압출되게 한다.
이렇게 각기 토출관(2)(2')으로 압축된 접착제와 경화제는 주입대(6)로 강제 이송되면서 그 내부의 혼합용 스크류(5)에 의해 서로 섞이면서 선단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접차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보강제는 주입대(6)의 선단을 통해 균열공간(11)에 토출주입되므로서 그 균열공간(11)에 주입된 충만된 접착보강제는 점차 경화되면서 균열된 구조물과 일체화되어 균열된 곳을 보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과정에서 각기의 몸체(1)(1')에 별도내입 저장된 접착제와 경화제 중외부로 토출되지 아니하고 몸체(1)(1')내에 남이 있는 접착제 및 경화제는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이므로 경화되지 않고 그대로 액체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보관하였다가 추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구축물에 대한 균열부위를 접착보강제의 주입에 의해 보수함에 있어서 견고한 보강보수가 가능하면서도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통상의 몸체(1)(1')선단에 반원통상의 토출관(2)(2')을 형성하여 그외측주면에 나선부(3)(3')를 형성하고 몸체(1)(1')의 대향면에는 암수결합구(1)(1')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하되, 결합에 의해 원통형으로 된 토출관(2)(2')의 선단에는 스크류(5)가 내입된 파이프상의 주입대(6)를 관연결하여 넛트형 결합구(7)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균열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KR2019960004628U 1996-03-12 1996-03-12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KR0130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628U KR0130863Y1 (ko) 1996-03-12 1996-03-12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628U KR0130863Y1 (ko) 1996-03-12 1996-03-12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35U KR970054935U (ko) 1997-10-13
KR0130863Y1 true KR0130863Y1 (ko) 1998-12-15

Family

ID=1945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628U KR0130863Y1 (ko) 1996-03-12 1996-03-12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35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357B1 (ko) 록크볼트
KR0130863Y1 (ko) 구조물 균열 보수용 접착제 주입기
KR960038022A (ko) 콘크리트보수제 주입플러그 및 이것을 사용한 주입방법
CN103328170A (zh) 混合装置的掺和件和壳体元件
KR20160142993A (ko) 자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주입장치
JP3396762B2 (ja) アンカ固着用接着剤の注入器
KR10192206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균열보수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방법
KR1005368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WO2008120948A1 (en) Grouting apparatus and grou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20158160A (ja) 接着剤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接着剤カートリッジの使用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の使用方法
CN106622883A (zh) 一种ab胶自动混胶供料机构
JPS6010690Y2 (ja) 二液用充填ガン
KR200364379Y1 (ko) 나사형 철근과 이형 철근의 이음장치
KR200164225Y1 (ko) 콘크리트구조물보수용약액주입노즐
KR100781724B1 (ko) 위치 고정 가능한 약액 안내부재를 갖는 약액 주입기
KR100196005B1 (ko) 카트리지형 주입식 케미칼 앵커
JP334097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箇所に補修材を注入する方法及び注入プラグ
KR200335572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JPH0352385Y2 (ko)
CN215718867U (zh) 一种可接长锚杆
PL60740Y1 (en) Injection-type dispensing and mixing device for injection of rock mass consolidating and sealing medium
CN103114517B (zh) 一种手持式双组份灌缝材料注射器
KR200361250Y1 (ko) 록크볼트용 체결장치
JP4615928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CN211572459U (zh) 一种装修用砂浆填缝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